KR101632457B1 -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457B1
KR101632457B1 KR1020117021362A KR20117021362A KR101632457B1 KR 101632457 B1 KR101632457 B1 KR 101632457B1 KR 1020117021362 A KR1020117021362 A KR 1020117021362A KR 20117021362 A KR20117021362 A KR 20117021362A KR 101632457 B1 KR101632457 B1 KR 10163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distal end
guide wire
plan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116A (ko
Inventor
도모까네 구로사와
유따까 다노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75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re without a coil possibly combined with a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조작성, 안전성을 향상시켜, 분기 혈관에의 오진입을 억제할 수 있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는, 직선 형상의 기단부 영역(2)과 상기 기단부 영역(2)의 선단측에 연속되어 최선단부(36)가 기단부 방향을 향한 선단 영역(3)을 갖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이며, 상기 선단 영역(3)은, 상기 기단부 영역(2)에 연속되는 만곡부(32)와, 상기 만곡부(32)의 선단측에 연속되는 선단부(34)를 갖고, 상기 기단부 영역(2) 및 당해 기단부 영역(2)에 연속되는 상기 만곡부(32)의 적어도 기단부측의 일부가 동일한 만곡 평면(A) 상에 위치하고, 상기 선단부(34)는, 상기 만곡 평면(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만곡 평면(A)과 직교하는 상기 기단부 영역(2)의 축심 상의 직교 평면(B)에 대해, 상기 만곡부(32)가 만곡되는 방향의 영역에 최선단부(36)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MEDICAL GUIDE WIRE}
본 발명은, 혈관 내 치료 또는 검사를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카테터 등의 의료 용구를, 혈관 내의 원하는 부위까지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는, 혈관의 진단 및 치료를 경피적으로 행할 때에, 카테터나 인트로듀서 키트 등의 의료 용구를 혈관 내에 도입, 유치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카테터 등의 의료 용구를 혈관에 도입할 때의 부위는, 종래 페모랄(대퇴부)이 주류였지만, 최근 환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브라키알(상완부)이나 특히 레이디얼(손목부)로 이행하고 있고, 분기나 사행(蛇行)을 갖는 경우가 많은 팔부 혈관 내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조작성이 우수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 레이디얼(손목부)로부터 심장 주변의 목적 부위까지 운반할 때, 선단에 J형 형상을 갖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가 사용되어 왔다. 이 경우, 선단의 J형 형상을 곧게 하여 혈관에 삽입하지만, 선단의 J형 형상이 혈관의 측지에 걸린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를 더 밀어 전진시키면, 가이드 와이어가 원하는 혈관으로부터 벗어나, 측지로 돌진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일단 가이드 와이어를 측지로부터 빼내고, 다시 원하는 혈관을 겨냥하여 추진해야 한다고 하는 조작이 번잡하였다. 또한, 측지에 오진입하였는지 여부는, 통상 X선 조영이 사용되어 확인되지만, 시술자는 그 때마다 환자에게 조영제를 투여해야 해, 환자에의 신체 영향도 우려되고 있었다.
상기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J형 형상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직선부의 연장선과 와이어 기선(基線)이 이루는 각도를 40 내지 70도로 함으로써, 혈관의 분기에의 오진입을 방지시키는 가이드 와이어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81184호 공보
그런데, 레이디얼(손목부)로부터 가이드 와이어를 심장까지 진행시키는 경우, 페모랄(대퇴부)이나 브라키알(상완부)과 비교하여, 분기 혈관이 많은 혈관로를 진행해 가야 해, 선단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J자의 가이드 와이어라도, 분기 혈관에의 오진입을 해결하는 데에는 이르지 않아, 확실하게 심장 주변의 목적 부위까지 진행시킬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선단의 J형 형상이 분기 혈관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반전되어 원래의 J형 형상으로 복귀되어 직진하는 경우가 있어도, 그 선단 형상에 따라서는 다른 분기 혈관으로 오진입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었다.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조작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시술자의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는, 직선 형상의 기단부 영역과 상기 기단부 영역의 선단측에 연속되어 최선단부가 기단부 방향을 향한 선단 영역을 갖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이며, 상기 선단 영역은, 상기 기단부 영역에 연속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선단측에 연속되는 선단부를 갖고, 상기 기단부 영역 및 당해 기단부 영역에 연속되는 상기 만곡부의 적어도 기단부측의 일부가 동일한 만곡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만곡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만곡 평면과 직교하는 상기 기단부 영역의 축심상의 직교 평면에 대해, 상기 만곡부가 만곡되는 방향의 영역에 최선단부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는, 선단부가 만곡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3차원의 입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선단부를 신장시켰을 때에 나선 형상으로 할 수 있어, 나선 형상 특유의 추진력 전달 기구에 의해, 분기 혈관으로 들어가기 어려운 가이드 와이어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분기 혈관의 입구 주변에서 걸려 있는 경우라도, 기단부쪽으로부터 계속 가해지는 압입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분기 혈관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빠지기 쉬워져, 분기 혈관에의 오진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의 최선단부가 분기 혈관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경우라도, 가일층의 압입에 의해 혈관 내에서 선단부를 신장시키기 전의 형상(기본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어, 혈관벽에 상처를 내지 않는 안전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다시 기본 형상으로 된 상태에서 진행시켜도, 분기 혈관으로 진입하는 일 없이 직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최선단부가, 만곡 평면과 직교하는 상기 기단부 영역의 축심상의 직교 평면에 대해, 만곡부가 만곡되는 방향의 영역에 설치되므로, 가이드 와이어가 혈관 내에서 기본 형상으로 복귀된 후에, 분기 혈관의 입구에 가이드 와이어의 최선단부를 걸리게 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후방으로 되돌림으로써, 용이하게 나선 형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선단측으로부터 관찰한 측면도이다.
도 3은 혈관 내에 삽입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혈관 내에 삽입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반전될 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혈관 내에 삽입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기본 형상으로 복귀되었을 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혈관 내에서 기본 형상으로 복귀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나선 형상으로 복귀시킬 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혈관 내에 삽입하였을 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만곡부의 변형예를 선단측으로부터 관찰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만곡부의 다른 변형예를 선단측으로부터 관찰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어 실제의 비율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강 내로 삽입되는 측의 단부에, 대략 직선 형상의 기단부 영역(2)과, 기단부 영역(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 영역(3)을 갖는다. 또한, 선단 방향은 체강 내에 삽입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기단부 방향은 그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선단 영역(3)은, 후술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심봉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테이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가이드 와이어(1)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심봉에 합성 수지층이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다. 심봉에 적절하게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Ni-Ti 합금과 같은 초탄성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합금 등을 들 수 있고, 1개의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2개 이상의 재료를 접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선단에 유연성을 갖게 하기 위해, 선단 부분의 심봉은 테이퍼 형상으로 직경 축소되어 있다. 합성 수지층에 적절하게 사용되는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에는, 산화바륨이나 텅스텐 등의 X선 조영성 미세 분말을 혼입할 수 있다. 또한, 심봉의 선단부에 X선 조영용 백금, 금 등의 코일을 설치함으로써, X선 투시하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합성 수지층의 표면에는 또한, 무수말레산 등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의 윤활성 피막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카테터와 같은 치료용 튜브 내나, 체강 내에서의 삽입 관통 저항이 저감되어, 원활한 삽입이 가능해진다. 윤활성 피막은 체강 내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는 코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1)의 외경은, 통상 0.1㎜ 내지 1.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의 전체 길이는, 100㎝ 내지 4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350㎝ 정도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 영역(3)은, 만곡되는 만곡부(32)와, 만곡부(32)에 연속되는 선단부(34)를 갖고, 선단부(34)의 최선단에는 최선단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1)는, 만곡부(32)가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기본 형상(전혀 부하가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형상)에 있어서, 최선단부(36)가 선단 방향이 아닌 기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대략 J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만곡부(32)는, 기단부측의 시점부인 만곡 시점(32a)과, 선단측의 종점부인 만곡 종점(32b)과, 만곡 시점(32a)과 만곡 종점(32b)의 중간점인 만곡 중간점(32c)을 갖고 있다. 만곡부(32)는, 만곡 시점(32a)으로부터 만곡 중간점(32c)까지가, 동일 평면인 만곡 평면(A) 상에서 만곡되고, 이 만곡 평면(A) 상에는 기단부 영역(2)도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만곡부(32)의 만곡 중간점(32c)으로부터 만곡 종점(32b)까지의 부위는, 선단부(34)에 근접함에 따라서, 만곡 평면(A)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선단부(34)는, 최선단부(36)에 근접함에 따라서 만곡 평면(A)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도 2에 도시하는 만곡 평면(A)과 직교하는 기단부 영역(2)의 축심상의 평면인 직교 평면(B)에 대해, 만곡부(32)가 만곡되어 있는 영역, 즉, 직교 평면(B)을 경계로 만곡부(32)가 연장되어 있는 쪽의 영역에, 최선단부(36)가 위치하도록 형상이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의 만곡 평면(A)에의 투영선이 기단부 영역(2)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어, 투영선이 기단부 영역(2)과 교차하지 않는다. 즉, 선단부(34)가, 직교 평면(B)과 교차하지 않는다.
만곡부(32)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곡률 반경(R)이 0.2㎜ 내지 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이다.
또한, 만곡부(32)의 만곡 중간점(32c)으로부터 만곡 종점(32b)까지의 부위 및 선단부(34)의 만곡 평면(A)에 대한 경사각 β는,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지만, 반드시 일정하지 않아도 되고, -90도<경사각 β<90도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곡부(32)의 만곡 평면(A)에 대한 경사각과, 선단부(34)의 만곡 평면(A)에 대한 경사각이 달라도 좋다.
최선단부(36)의 만곡 평면(A)으로부터의 높이 H는, 0㎜<|H|<2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34)의 만곡 평면(A)에의 투영선의 길이 L은, 0.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부(34)의, 직교 평면(B)에 대한 만곡각 α(도 12 참조)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0도이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0도<만곡각 α<90도로 해도 좋고, 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의 만곡 평면(A)에의 투영선이 기단부 영역(2)과 교차하지 않는 범위에서, 즉 선단부(34)가 직교 평면(B)과 교차하지 않는 범위에서, 만곡각 α<0도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시술자가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34)를 혈관(V) 내에 삽입할 때에는, 인서터라 불리는 관 형상의 기구를 통과시켜 삽입하지만, 기본 형상인 상태에서는 입체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삽입할 수 없으므로, 최선단부(36)가 선단 방향(삽입 방향)을 향하도록 시술자가 선단 영역(3)을 신장한 후 인서터에 삽입한다. 이때, 선단부(34)는 만곡 평면(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형상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신장시켰을 때에 만곡부(32)의 주변에 있어서 나선 형상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혈관(V) 내에 삽입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의 일부가 혈관벽과 접촉하므로, 그대로의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시술자가 가이드 와이어(1)의 기단부측을 조작하여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을 혈관(V) 내의 안쪽으로 밀어 전진시켜 가면, 최선단부(36)가 분기 혈관(V1)의 입구에 당도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1)는 선단이 나선 형상으로 되어 있어, 선단부(34)가 나선의 주위 방향으로 권회하면서 가이드 와이어(1)의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최선단부(36)가 분기 혈관(V1)의 입구와 접해도, 나선 피치가 줄어들도록 하여 선단부(34)의 축심이 옆으로 흔들리도록 변형되어, 분기 혈관(V1)의 입구의 접촉점인 혈관벽에 가해지는 저항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분기 혈관(V1)에의 오진입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환자에 대해 조영제를 사용한 확인 작업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신체에의 부담이 적어지고, 또한 조영제 비용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32)의 도중인 만곡 중간점(32c)으로부터 선단측이, 기본 형상에 있어서 만곡 평면(A)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있으므로, 나선 형상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고, 신장되어 나선 형상으로 되기 쉬워, 선단 영역(3)에 가해지는 저항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선단부(36)가 분기 혈관(V1)의 입구에 당도하여, 시술자가 더욱 밀어 넣으면 혈관벽과 선단부(34)의 접촉이 계기가 되어,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34)가 반전되어 최선단부(36)가 기단부 방향을 향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혈관 삽입 전의 기본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만곡부(32)가 삽입 방향 최선단으로 되어, 시술자의 강인한 압입에 대해서도, 최선단부(36)가 혈관벽에 접촉되기 어려워, 혈관벽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아진 형상으로 된다. 또한, 삽입 방향 최선단으로 되는 만곡부(32)의 만곡 중간점(32c)이, 혈관 직경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만곡 중간점(32c)이 혈관벽과 접촉되기 어려워져, 혈관(V) 내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1)를 원활하게 직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는, 혈관(V) 내에 삽입된 형상(신장된 형상)일 때에는 분기 혈관에의 오진입 방지성 및 조작성이 향상되고, 선단 영역(3)이 반전된 형상일 때에는, 조작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즉,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는, 분기 혈관에의 오진입 방지성, 조작성 및 안전성을 밸런스 좋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 영역(3)이 반전되어 최선단부(36)가 기단부 방향을 향한 후, 가이드 와이어(1)를 다시 신장된 형상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 혈관(V1)의 입구에 가이드 와이어(1)의 최선단부(36)를 걸리게 한 후, 가이드 와이어(1)를 후방으로 되돌림으로써, 다시 나선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이 후, 최선단부(36)가 분기 혈관(V1)의 입구에 걸리지 않도록 조작하면서, 나선 형상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와이어(1)를 밀어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최선단부(36)를 포함하는 선단부(34)가, 직교 평면(B)에 대해 만곡부(32)가 만곡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이드 와이어(1)를 후방으로 되돌림으로써 용이하게 나선 형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최선단부(36)가 직교 평면(B)에 대해 만곡부(32)의 만곡되는 영역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우, 선단부(34)의 만곡 평면(A)에의 투영선이 기단부 영역(2)과 교차하므로, 최선단부(36)를 걸리게 하여 가이드 와이어(1)를 후방으로 되돌리면, 선단부(34)와 기단부 영역(2)과 교차가 강해지기 쉬워, 즉 만곡부(32)의 곡률 반경(R)이 작아지도록 변형되기 쉬워져 나선 형상으로 복귀되기 어려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선단부(36)가 직교 평면(B)에 대해 만곡부(32)의 만곡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선단부(34)가 직교 평면(B)과 교차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이드 와이어(1)가 용이하게 나선 형상으로 복귀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단부(34)의 형태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의 선단측의 일부만이, 만곡 평면(A)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연장해도 좋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 평면(A)에 대한 선단부(34)의 경사각 β가, 최선단부(36)에 근접함에 따라서 커지도록 하여, Y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혈관(V) 내에 삽입하였을 때에, 선단부(34)의 최선단부(36)와는 다른 부위를 혈관벽과 접촉시켜, 최선단부(36)가 혈관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이드 와이어(1)의 최선단부(36)의 혈관(V)에 대한 긁힘이나 충돌을 저감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만곡 평면(A)에 대한 선단부(34)의 경사각 β가, 최선단부(36)에 근접함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는 것이 아니라, 국소적으로 굴곡되어 커져도 좋다.
또한, 선단부(34)의 Y 방향으로의 만곡의 정도는, 가이드 와이어(1)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분지 혈관이 많은 쇄골하동맥에 있어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평균적인 쇄골하동맥의 내경이 6㎜ 정도이므로, 내경 6㎜의 관 내에서 가이드 와이어(1)가 나선 형상으로 되었을 때에, 최선단부(36)가 관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고, 내경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선단부(36)가 혈관벽과 접촉하지 않고, 또한 내경의 대략 중심에 위치시킴으로써, 가이드 와이어(1)의 분기 혈관(V1)에의 오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원활하고 또한 안전하게 가이드 와이어(1)를 추진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32)의 형태는, 만곡부(32)의 적어도 기단부측의 일부가 만곡 평면(A) 상에 위치하면, 도 1, 도 2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32) 전체가, 만곡 평면(A) 상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 시점(32a)으로부터 만곡 종점(32b)까지의 만곡 평면(A)에 대한 경사각 β가 선단부(34)에 근접함에 따라서 커지도록 하고, 만곡 평면(A)으로부터 이격되는 Y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만곡 시점(32a)에 있어서의 접선이 만곡 평면(A)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Y 방향으로 만곡되는 부위가, 만곡부(32)의 전체가 아닌 일부라도 좋고, 또한 Y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굴곡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하였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의 최선단부(36)가, 직교 평면(B)과 평행하고 만곡 종점(32b)이 위치하는 평면(C)보다도, 직교 평면(B)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위치해도 좋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34)의 최선단부(36)가, 직교 평면(B)과 평행하고 만곡 종점(32b)이 위치하는 평면(C)보다도, 직교 평면(B)에 근접하는 측에 위치해도 좋다.
또한, 선단 영역(3)은 코일 등의 금속 소선을 권취함으로써, 적절하게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라도 좋고, 금속 코어선을 프레스한 평판 형상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목적에 따라서, 코일 등의 금속 소선을 권취하는 위치나, 금속 코어선을 프레스하여 평판 형상으로 하는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는, 레이디얼이나 브라키알 및 페모랄로부터, 가이드 와이어나 카테터 등의 의료 기구를, 흉부나 복부 등의 목적으로 하는 부위까지 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천자 부위나 목적 부위에 따라 적용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은, 2009년 4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9-098463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들의 개시 내용은 참조되어, 전체로서 포함되어 있다.
1 :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2 : 기단부 영역
3 : 선단 영역
32 : 만곡부
32a : 만곡 시점
32b : 만곡 종점
32c : 만곡 중간점
34 : 선단부
36 : 최선단부
A : 만곡 평면
B : 직교 평면

Claims (4)

  1. 부하가 작용하고 있지 않은 기본 형상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기단부 영역과 상기 기단부 영역의 선단측에 연속되어 최선단부가 기단부 방향을 향한 선단 영역을 갖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이며,
    상기 선단 영역은, 상기 기단부 영역에 연속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선단측에 연속되는 선단부를 갖고,
    상기 기단부 영역 및 당해 기단부 영역에 연속되는 상기 만곡부의 기단부측의 시점과 선단측의 종점의 중간점으로부터 기단부측이 동일한 만곡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선단측이 상기 만곡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만곡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만곡 평면과 직교하는 상기 기단부 영역의 축심상의 직교 평면에 대해, 상기 만곡부가 만곡되는 방향의 영역에 최선단부를 갖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만곡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해 만곡 평면에 대한 경사각이 변화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직교 평면과 교차하고 있지 않은,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가 작용하고 있지 않은 기본 형상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1개인,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KR1020117021362A 2009-04-14 2010-04-13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KR101632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8463 2009-04-14
JP2009098463 2009-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116A KR20120027116A (ko) 2012-03-21
KR101632457B1 true KR101632457B1 (ko) 2016-06-21

Family

ID=4298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362A KR101632457B1 (ko) 2009-04-14 2010-04-13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17959B2 (ko)
EP (1) EP2420282B1 (ko)
JP (1) JP5639580B2 (ko)
KR (1) KR101632457B1 (ko)
CN (1) CN102395400B (ko)
WO (1) WO2010119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2037B2 (en) 2005-07-06 2015-10-20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EP2150304B1 (en) 2007-05-07 2010-12-01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and blood sample devices and method of use
US10363389B2 (en) 2009-04-03 2019-07-30 Scientia Vascular, Llc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having varying diameters
US8468919B2 (en) 2008-12-08 2013-06-25 Next Vascular, Llc Micro-cutting machine for forming cuts in products
US11406791B2 (en) 2009-04-03 2022-08-09 Scientia Vascular, Inc.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having varying diameters
US9950137B2 (en) 2009-04-03 2018-04-24 Scientia Vascular, Llc Micro-fabricated guidewire devices formed with hybrid materials
US8932258B2 (en) 2010-05-14 2015-01-13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and method
US10384039B2 (en) 2010-05-14 2019-08-20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top-mounted advancement components
US9872971B2 (en) 2010-05-14 2018-01-23 C. R. Bard, Inc. Guidewire extension system for a catheter placement device
US9950139B2 (en) 2010-05-14 2018-04-24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including guidewire and catheter control elements
US11925779B2 (en) 2010-05-14 2024-03-12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top-mounted advancement components
US8690833B2 (en) 2011-01-31 2014-04-08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and insertion device with reduced blood spatter
ES2835652T3 (es) 2011-02-25 2021-06-22 Bard Inc C R Dispositivo de inserción de componente médico que incluye una aguja retraíble
USD903101S1 (en) 2011-05-13 2020-11-24 C. R. Bard, Inc. Catheter
US20150201900A1 (en) * 2012-01-25 2015-07-23 Mubin I. Syed Multi-pane imaging transducer associated with a guidewire
US10213187B1 (en) 2012-01-25 2019-02-26 Mubin I. Sy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 superficial temporal artery access for carotid artery stenting
JP2014018574A (ja) * 2012-07-23 2014-02-03 Piolax Medical Device:Kk ガイドワイヤ
US10639179B2 (en) 2012-11-21 2020-05-05 Ram Medical Innovations, Llc System for the intravascular placement of a medical device
US9522254B2 (en) 2013-01-30 2016-12-20 Vascular Pathway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nipuncture and catheter placement
WO2014197962A1 (en) * 2013-06-12 2014-12-18 Carnevale Francisco Cesar Cathet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16037127A1 (en) 2014-09-05 2016-03-10 C.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retractable needle
US9636244B2 (en) 2015-04-09 2017-05-02 Mubin I. Sy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al to distal stent deployment
USD903100S1 (en) 2015-05-01 2020-11-24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BR112017024570B1 (pt) 2015-05-15 2022-06-28 C.R. Bard, Inc Dispositivo de inserção para inserir um cateter no corpo de um paciente
US10327929B2 (en) 2015-10-30 2019-06-25 Ram Medical Innov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procedural catheter in tortuous vessels
US11020256B2 (en) 2015-10-30 2021-06-01 Ram Medical Innovations, Inc. Bifurcated “Y” anchor support for coronary interventions
US10779976B2 (en) 2015-10-30 2020-09-22 Ram Medical Innov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procedural catheter in tortuous vessels
US10492936B2 (en) 2015-10-30 2019-12-03 Ram Medical Innov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access of procedural catheter in tortuous vessels
US10173031B2 (en) 2016-06-20 2019-01-08 Mubin I. Syed Interchangeable flush/selective catheter
US11052228B2 (en) 2016-07-18 2021-07-06 Scientia Vascular, Llc Guidewire devices having shapeable tips and bypass cuts
US11207502B2 (en) 2016-07-18 2021-12-28 Scientia Vascular, Llc Guidewire devices having shapeable tips and bypass cuts
CN112206397B (zh) 2016-09-12 2023-03-21 C·R·巴德股份有限公司 导管插入装置的血液控制
US10821268B2 (en) 2016-09-14 2020-11-03 Scientia Vascular, Llc Integrated coil vascular devices
US11452541B2 (en) 2016-12-22 2022-09-27 Scientia Vascular, Inc. Intravascular device having a selectively deflectable tip
EP3585471A4 (en) 2017-03-01 2021-03-10 C.R. Bard, Inc. CATHETER INTRODUCTION DEVICE
KR102628519B1 (ko) 2017-05-26 2024-01-22 사이언시아 바스큘라, 아이엔씨. 비나선형 절개부 구조를 가지는 미세 제조 의료 장치
US11007075B2 (en) 2018-02-18 2021-05-18 Ram Medical Innovations, Inc. Vascular access devices and methods for lower limb interventions
US11305095B2 (en) 2018-02-22 2022-04-19 Scientia Vascular, Llc Microfabricated catheter having an intermediate preferred bending section
EP3762084B1 (en) 2018-03-07 2024-04-24 Bard Access Systems, Inc. Guidewire advancement and blood flashback systems for a medical device insertion system
US10667833B2 (en) * 2018-06-08 2020-06-02 Neuravi Limited Guidewire with an atraumatic clot-circumventing configured distal end for use in an endovascular medical system
USD921884S1 (en) 2018-07-27 2021-06-08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EP4010057A4 (en) 2019-08-19 2023-10-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ENTERLINE CATHETER PLACEMENT DEVICE
CA3165005A1 (en) * 2020-01-29 2021-08-05 Baylis Medical Company Inc. Medical guidewire assembly having predetermined spatial geom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184A (ja) 2002-12-03 2004-07-02 Teruo Hashimoto 医療用ガイドワイヤー
JP2006141778A (ja) 2004-11-22 2006-06-08 Tonokura Ika Kogyo Kk 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ガイドカテーテルセット体
JP2006230482A (ja) 2005-02-22 2006-09-07 Kaneka Corp 脱血用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591A (en) * 1988-08-09 1990-02-06 Mallinckrodt, Inc. Nylon-PEBA copolymer catheter
US4950228A (en) * 1990-01-10 1990-08-21 Knapp Jr Peter M Ureteral stent
US5445625A (en) * 1991-01-23 1995-08-29 Voda; Jan Angioplasty guide catheter
US5295493A (en) * 1992-03-19 1994-03-22 Interventional Technologies, Inc. Anatomical guide wire
US5306263A (en) * 1992-05-01 1994-04-26 Jan Voda Catheter
US6203531B1 (en) * 1993-11-03 2001-03-20 Daig Corporation Guiding introduce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ccessory pathways around the mitral valve using a retrograde approach
US5575766A (en) * 1993-11-03 1996-11-19 Daig Corporation Process for the nonsurgical mapping and treatment of atrial arrhythmia using catheters guided by shaped guiding introducers
US5427119A (en) * 1993-11-03 1995-06-27 Daig Corporation Guiding introducer for right atrium
US5722400A (en) 1995-02-16 1998-03-03 Daig Corporation Guiding introduce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left ventricular tachycardia
JP3300155B2 (ja) 1994-03-23 2002-07-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医療用ガイドワイヤの先端部付形方法
US5814029A (en) * 1994-11-03 1998-09-29 Daig Corporation Guiding introducer system for use in ablation and mapping procedures in the left ventricle
SE9601541D0 (sv) 1995-11-08 1996-04-23 Pacesetter Ab Styrtrådsenhet
SE9504334D0 (sv) 1995-12-04 1995-12-04 Pacesetter Ab Styrtrådsenhet
JP4198214B2 (ja) 1997-09-10 2008-12-17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AU3491499A (en) 1998-04-13 1999-11-01 Prolifix Medical, Inc. Guidewire for precision catheter positioning
DE69914609T2 (de) 1998-08-19 2005-01-05 Cook Inc., Bloomington Vorgeformter Führungsdraht
AUPP907599A0 (en) 1999-03-08 1999-04-01 Baxter International Inc. Directional guidewire
US6214016B1 (en) 1999-04-29 2001-04-10 Medtronic, Inc. Medical instrument positioning device internal to a catheter or lead and method of use
DE69926889T2 (de) 1999-09-09 2006-06-14 Schneider Europ Gmbh Buelach Führungshilfe für medizinische Geräte
US7674245B2 (en) * 2001-06-07 2010-03-09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shape guide catheter
DE10217757A1 (de) * 2002-04-20 2003-10-30 Friedhelm Brassel Medizinischer Retriever
JP4188663B2 (ja) 2002-11-06 2008-11-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ガイドワイヤ
JP4197961B2 (ja) * 2003-01-22 2008-12-1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の製造方法
JP2006025907A (ja) 2004-07-13 2006-02-02 Kawasumi Lab Inc ガイドワイヤー
JP4907945B2 (ja) 2004-11-01 2012-04-04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WO2006090707A1 (ja) * 2005-02-22 2006-08-31 Kaneka Corporation カテーテル
JP4680007B2 (ja) * 2005-08-29 2011-05-1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タイレット
CN102688551A (zh) 2006-03-06 2012-09-26 泰尔茂株式会社 导丝
JP5030546B2 (ja) * 2006-11-17 2012-09-19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ー
JP2009098463A (ja) 2007-10-17 2009-05-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184A (ja) 2002-12-03 2004-07-02 Teruo Hashimoto 医療用ガイドワイヤー
JP2006141778A (ja) 2004-11-22 2006-06-08 Tonokura Ika Kogyo Kk 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ガイドカテーテルセット体
JP2006230482A (ja) 2005-02-22 2006-09-07 Kaneka Corp 脱血用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7959B2 (en) 2013-08-27
EP2420282A1 (en) 2012-02-22
US20120029478A1 (en) 2012-02-02
KR20120027116A (ko) 2012-03-21
EP2420282B1 (en) 2019-09-18
WO2010119867A1 (ja) 2010-10-21
CN102395400B (zh) 2014-12-03
JPWO2010119867A1 (ja) 2012-10-22
EP2420282A4 (en) 2012-10-03
JP5639580B2 (ja) 2014-12-10
CN102395400A (zh)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457B1 (ko)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JP5512716B2 (ja) ガイドワイヤ
US7942832B2 (en) Medical guide wire
EP2949358A1 (en) Catheter
US20100087780A1 (en) Wire Guide having Variable Flexibilit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60001048A1 (en) Guidewire
EP3679975A1 (en) Catheter
EP4249030A1 (en) Medical cathe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20150157830A1 (en) Guidewire
JP2013039305A (ja) ガイドワイヤ
US20120065621A1 (en) Double lumen tubing with improved kinking resistance
US20080319419A1 (en) Medical catheter and a catheter assemble
US20230173226A1 (en) Catheter and method for engaging catheter
JP3179894U (ja) カテーテル
US9808604B2 (en) Guide wire
JP4316252B2 (ja) カテーテル
JP6754271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6754270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WO2022158417A1 (ja) カテーテル
WO2022118845A1 (ja) カテーテル
JP2019150317A (ja) ガイドワイヤ
WO2022158418A1 (ja) カテーテル
WO2024121990A1 (ja) カテーテル
WO2018074074A1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2024040728A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