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422B1 -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422B1
KR101632422B1 KR1020140179734A KR20140179734A KR101632422B1 KR 101632422 B1 KR101632422 B1 KR 101632422B1 KR 1020140179734 A KR1020140179734 A KR 1020140179734A KR 20140179734 A KR20140179734 A KR 20140179734A KR 101632422 B1 KR101632422 B1 KR 10163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rail
guide
rail
main body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도록 하여 생산과정에서 변경된 슬라이드레일의 절곡각도를 보정하도록 한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인입과 인출을 위해 서로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입안내부(110)와 인출안내부(120)가 설치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어 회전축(250)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측면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보정면(210)이 형성된 한 쌍의 보정롤러(200); 상기 회전축(25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정롤러(2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동작시켜 상기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물어 잡아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동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bending repair device of slide rail}
본 발명은 천공 및 절단과정을 거치면서 절곡각도가 변경된 슬라이드레일을 보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슬라이드레일의 절곡각도를 원래대로 복원하도록 한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레일은 서랍장이나 가전제품 등 서랍이 서랍수용부에서 인출되거나 서랍수용부 내부로 인입될 때 서랍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단이다.
이러한 슬라이드레일은 서랍의 양측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측레일과, 서랍수용부의 양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외측레일과,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외측레일과 내측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레일과, 중간레일과 외측레일 사이 및/ 또는 중간레일과 내측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리테이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레일, 외측레일, 중간레일은 강판을 롤포밍기로 진입시켜 롤포밍기를 통과하면서 양측면이 점차적으로 절곡되도록 성형한 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표면에 다수 형상으로 구멍을 천공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롤포밍을 통해 양측면을 절곡한 상태에서 절단과정과 천공과정을 거치면서 양측면 절곡각도가 미세하게 변경되었고, 그로 인해 내측레일과 외측레일 및 중간레일을 서로 결합하여 슬라이드레일을 완성하는 경우 약간의 유동이 발생되었으며, 그로 인해 고품질의 슬라이드레일 생산이 어려웠고, 사용과정에서 서랍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더 처지게 됨으로써 그 유동각도가 심해져 슬라이드레일의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슬라이드레일의 결합작업을 수행하기 전 고무망치 등으로 수작업을 통해 레일들의 측면 절곡각도를 보정한 후 결합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수작업을 통해 보정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보정하지 못하였으며, 롤포밍과정을 거친 최초 상태로 완벽하게 복원하지 못함에 따라 고품질의 레일을 생산하지 못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7369호(공개일: 2013.10.28, 발명의 명칭: 슬라이더)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과정과 천공과정을 거치면서 측면 절곡각도가 변경된 내측레일과 중간레일 및 외측레일을 포함한 슬라이드레일을 보정면을 갖는 보정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절곡각도가 최초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인입과 인출을 위해 서로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입안내부(110)와 인출안내부(120)가 설치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어 회전축(250)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측면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보정면(210)이 형성된 한 쌍의 보정롤러(200); 상기 회전축(25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정롤러(2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동작시켜 상기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물어 잡아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동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안내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레일지지프레임(111)과, 상기 레일지지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지지한 채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로 사이로의 정확한 인입을 안내하는 레일안내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300)은, 구동모터(310)와, 그 구동모터(310)에 축결합되는 감속기어부(320)와, 상기 감속기어부(320)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제1원동기어(331)가 형성된 구동기어부(330)와, 상기 구동기어부(3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원동기어(331)에 기어결합되게 외주면에 동력전달기어(341)가 형성된 동력전달기어부(340)와, 각각의 회전축(25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원동기어(331)와 동력전달기어(341)에 각각 기어연결되게 외주면에 제1종동기어(351)가 각각 형성된 종동기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각각의 회전축(250)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이동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동블록(400)과, 상기 이동블록(400)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500)는, 상기 두 개의 이동블록(400)의 일측에 각각 일단이 다른 회전방향으로 나선결합되고 외주면에 제2종동기어(511)가 형성된 간격조절축(510)과, 그 간격조절축(510)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본체(100)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제2종동기어(511)에 각각 기어결합되게 제2원동기어(521)가 형성된 간격조절봉(520)과, 상기 간격조절봉(5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간격조절봉(520)을 회전동작시키는 회전수단(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정롤러(20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 중 어느 하나의 보정롤러에 결합된 회전축에 일측이 관통 결합되고 타측에는 가장자리에 수평이동안내레일(412)이 형성된 이동공간(411)이 마련된 제1가이드블록(410)과, 상기 수평이동안내레일(412)에 걸려 상기 이동공간상에서 수평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보정롤러에 결합된 회전축에 관통 결합되는 제2가이드블록(420)과, 상기 제1가이드블록(410)을 관통하여 단부가 이동공간(411)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가이드블록(420)에 고정되는 제2가이드블록 고정구(4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는 1열 이상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의 일측에 위치되어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안내롤러(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안내부(110)의 상측에는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호스(141)가 연결된 에어분사관(1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표면에 투명유리가 구비되고 상기 보정롤러(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도록 상부커버(150)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출안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안내프레임(121)과, 그 안내프레임(121)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본체(10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받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22)와, 상기 안내프레임(121)에 일측이 힌지핀(123a)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드레일의 상면에 접하도록 지지롤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롤러(124)가 설치된 회동판(123)과, 상기 회동판(123)의 타측에 하중을 부여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124)가 상기 슬라이드레일 상면에 접하도록 하는 하중봉(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출안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26)과, 그 고정프레임(126)의 안쪽에 힌지결합되어 실린더(129)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상기 본체(10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받쳐 지지하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127a)가 설치된 한 쌍의 회동판(127)과, 상기 고정프레임(126)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27a)의 상부에 슬라이드레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레일감지센서(128)와, 상기 고정프레임(126)에 실린더브라켓(129a)으로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회동판(127)에 링크(129b)로 연결되어 상기 레일감지센서(128)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회동판(127)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27a)의 상측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회동판(1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안내프레임(127b)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브라켓(129a)에는 상기 지지대(127a)에 지지된 채 인출안내프레임(127b)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들림방지대(129c)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 따르면,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내측레일, 중간레일, 외측레일)을 해당 레일의 측면 절곡각도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보정면을 갖는 보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롤포밍된 상태의 절곡각도로 복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레일간의 유격이 없거나 최소한의 유격발생으로 고품질의 슬라이드레일을 생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경쟁회사의 상품에 비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서 인입안내부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서 인출안내부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서 상부안내롤러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서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에서 회전축이 결합된 이동블록과 간격조절부의 연결구조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롤러에 제1가이드블록과 제2가이드블록이 설치된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정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슬라이드레일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인출안내부에 안내되어 레일박스에 담겨지는 슬라이드레일의 인출과정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인출안내부에 안내되어 레일박스에 담겨지는 슬라이드레일의 인출과정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가 설치된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는 내측레일과 외측레일 및 중간레일의 결합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각각의 레일들{이하, '슬라이드레일'이라 함}의 측면 절곡각도를 보정하여 롤포밍기를 거친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이 한 쌍의 보정롤러(200)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슬라이드레일의 절곡각도를 복원시키도록 한 것이다.
슬라이드레일의 절곡각도 복원을 위해, 슬라이드레일의 인입과 인출을 위해 서로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입안내부(110)와 인출안내부(120)가 설치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슬라이드레일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어 회전축(250)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측면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보정면(210)이 형성된 한 쌍의 보정롤러(200)와, 상기 회전축(25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정롤러(2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키는 구동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작업자가 선 채로 인입안내부(110)를 통해 슬라이드레일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높이가 작업자의 허리 근방에 이르도록 본체지지대(101)에 지지되어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지지대(101)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모서리 근방에 각각 나선결합되는 받침구(102)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지지대(101)는 다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된 테이블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그 본체지지대(101)의 상부에 상기 본체(100)가 올려져 고정되는 것이며, 본체지지대(101)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수단(300)의 구동모터에 전원공급은 물론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도록 제어박스(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인입안내부(110)와 인출안내부(120)는 슬라이드레일이 인입되어 각도보정이 이루어진 후 인출됨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인입안내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레일지지프레임(111)과, 그 레일지지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안내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지지프레임(111)은 최소한 슬라이드레일 길이의 절반 이상에서 슬라이드레일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슬라이드레일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인입시키도록 하고, 상기 레일안내프레임(112)은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안내하여 슬라이드레일이 비뚤어지지 않고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로 사이로 정확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안내프레임(112)은 일 예로서, 상기 레일지지프레임(111)에 보정대상 슬라이드레일의 내측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이 씌워져 지지되도록 한 채로 보정롤러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안내프레임(112)의 다른 예로서, 상기 레일지지프레임(111)의 일측에 레일지지프레임의 표면에 대해 단차지도록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외측면이 지지되도록 한 채로 보정롤러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입안내부(110)의 상측에는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호스(141)가 연결된 에어분사관(1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관(140)은 상기 인입안내부(110)에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는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인출안내부(120)는 보정롤러를 통과하여 절곡각도가 복원된 슬라이드레일이 인출되는 부분으로, 슬라이드레일을 안내하여 인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나, 레일들의 구조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2가지의 실시예로 구성하였다.
즉, 내측레일과 외측레일의 복원에 사용되는 인출안내부의 구조(인출부분부터 낙하되어 떨어지는 방식)와, 중간레일의 복원에 사용되는 인출안내부의 구조(레일이 모두 인출된 후 수평상태로 낙하되는 방식)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레일은 절곡된 외측면에 절곡부분에 근접되게 리테이너의 베어링이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되어져 형성되고, 상기 외측레일은 절곡된 내측면에 절곡부분에 근접되게 리테이너의 베어링이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되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드레일의 인출부분부터 낙하되어 슬라이드레일의 단부가 부딪히더라도 굴곡위치가 절곡부분에 형성됨에 따라 굴곡부위의 손상이 없어 제품 품질에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중간레일은 내측면과 외측면 모두에 리테이터의 베어링이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중으로 굴곡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인출됨과 동시에 단부부분부터 낙하되면, 슬라이드레일의 단부가 부딪히면서 자칫 단부 근방에 형성된 굴곡부위가 손상되어 제품 품질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음에 따라 수평으로 떨어지는 방식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출안내부(120)의 세부적인 구조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인출안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안내프레임(121)과, 그 안내프레임(121)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본체(10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받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22)와, 상기 안내프레임(121)에 일측이 힌지핀(123a)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드레일의 상면에 접하도록 지지롤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롤러(124)가 설치된 회동판(123)과, 상기 회동판(123)의 타측에 하중을 부여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124)가 상기 슬라이드레일 상면에 접하도록 하는 하중봉(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지지롤러(122)에 지지된 채로 상부롤러(124)와 지지롤러(122) 사이를 통과하면서 지지된 후 일측 단부에서부터 낙하되면서 레일박스(미도시)에 떨어져 수집되는 것이다.
상기 하중봉(125)은 상부롤러와 지지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슬라이드레일이 이동 중 흔들림 등으로 인해 들리면서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가 결합된 회동판에 하중을 부여하여 슬라이드레일이 이동중에 들리지 않고 원활히 이동되어 낙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출안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26)과, 그 고정프레임(126)의 안쪽에 힌지결합되어 실린더(129)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상기 본체(10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받쳐 지지하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127a)가 설치된 한 쌍의 회동판(127)과, 상기 고정프레임(126)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27a)의 상부에 슬라이드레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레일감지센서(128)와, 상기 고정프레임(126)에 실린더브라켓(129a)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127)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26)과 회동판(127)은 슬라이드레일이 모두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판(127)의 회동에 따라 하방으로 수평낙하되어야 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고정프레임(126)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지고, 단부가 별도 브라켓 등으로 서로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7a)는 슬라이드레일이 인출되어 지는 경우,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이 지지되면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판(127)의 일측면에 자유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감지센서(128)와 실린더(129)는 모두 제어박스에 전선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고, 상기 레일감지센서에서 슬라이드레일을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실린더가 작동되면서 회동판을 하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동판(127)이 양측에 각각 하나씩 회동되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실린더(129)는 실린더로드가 각각의 회동판(127)에 한 쌍의 링크(129b)로 연결되어져 실린더로드 인출시 링크에 의해 상기 회동판(127)이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27a)의 상측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회동판(1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안내프레임(127b)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브라켓(129a)에는 슬라이드레일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들림방지대(129c)가 설치된다.
상기 인출안내프레임(127b)는 상기 고정프레임(126)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회동판(127)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동판(127)과 함께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들림방지대(129c)는 상기 실린더브라켓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27a)에 지지된 채로 인출안내프레임(127b)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레일이 이동 도중에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들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정롤러(200)는 한 쌍이 구비되는 것으로, 그 사이 간격을 통해 슬라이드레일이 통과하게 되는 것이며, 외주면에 상기 보정면(210)이 형성된다.
상기 보정면(210)은 롤 포밍된 슬라이드레일의 측면 절곡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것으로, 보정대상 슬라이드레일이 각각의 보정롤러에 형성된 보정면을 통과하면서 절곡각도가 보정되어 롤포밍된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 보정롤러(200)의 보정면은 여러 개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레일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보정면을 갖는 보정롤러가 구비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이러한 상기 보정롤러(200)는 1열 이상 설치되도록 한다. 첨부도면에서는 보정롤러를 2열로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부안내롤러(130)를 설치하여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슬라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안내롤러(130)는 좌우방향은 물론, 상하방향으로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보정하고자 하는 레일의 폭이나 높이에 적합하게 조절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안내롤러(130)의 좌우상하조절을 위해, 상기 본체(100)에는 상하방향으로 장방형의 볼트삽입구멍(132)이 형성된 안내롤러브라켓(131)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안내롤러(130)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롤러브라켓(131)의 볼트삽입구멍(132)에 끼워져 너트결합되는 안내롤러고정축(133)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롤러브라켓(131)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도록 나선결합되어 상기 볼트삽입구멍(132)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부고정축(134)이 설치되어 진다.
상기 구동수단(300)은 상기 보정롤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각각의 보정롤러(20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여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잡아당겨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수단(300)의 실시예로서, 구동모터(310)와, 그 구동모터(310)에 축결합되는 감속기어부(320)와, 상기 감속기어부(320)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제1원동기어(331)가 형성된 구동기어부(330)와, 상기 구동기어부(3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원동기어(331)에 기어결합되게 외주면에 동력전달기어(341)가 형성된 동력전달기어부(340)와, 각각의 회전축(25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원동기어(331)와 동력전달기어(341)에 각각 기어연결되게 외주면에 제1종동기어(351)가 각각 형성된 종동기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기어부와 동력전달기어부를 통해 각각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기어부에 전달되는 것이고, 구동기어부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과 동력전달기어부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에 따라 인입안내부(110)를 통해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보정롤러가 양측에서 결속하여 인출안내부(120)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정롤러(200)는 그 사이간격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폭이 서로 다른 레일의 절곡각도 보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에는 각각의 회전축(250)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이동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동블록(400)과, 상기 이동블록(400)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이동블록(400)은 육면체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250)이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블록(400)은 상기 본체(100)에서 유동되지 않은 채 수평이동하여야 함에 따라 본체(100)에 브라켓 등의 가이드수단에 의해 안내되어 수평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부(500)는 상기 두 개의 이동블록(400)의 일측에 각각 일단이 다른 회전방향으로 나선결합되고 외주면에 제2종동기어(511)가 형성된 간격조절축(510)과, 그 간격조절축(510)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본체(100)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제2종동기어(511)에 각각 기어결합되게 제2원동기어(521)가 형성된 간격조절봉(520)과, 상기 간격조절봉(5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간격조절봉(520)을 회전동작시키는 회전수단(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단(530)을 이용하여 간격조절봉(5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원동기어(521)에 기어결합된 제2종동기어(511)가 회전되면서 간격조절축(510)을 회전시키게 되고, 간격조절축(510)이 회전으로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나선결합된 이동블록(400)이 이동되면서 서로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이동블록(400)은 상기 간격조절축(510)에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나선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봉(520)의 회전시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동블록(400)이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정확한 이동거리의 계산은 물론,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간격조절축(510)의 외주면에는 이동거리에 대한 수치가 눈금이나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정롤러(200)의 간격 조절시 회전축의 하부에서 간격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보정롤러가 설치된 회전축 상부의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정롤러(20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 중 어느 하나의 보정롤러에 결합된 회전축에 일측이 관통 결합되고 타측에는 가장자리에 수평이동안내레일(412)이 형성된 이동공간(411)이 마련된 제1가이드블록(410)과, 상기 수평이동안내레일(412)에 걸려 상기 이동공간상에서 수평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보정롤러에 결합된 회전축에 관통 결합되는 제2가이드블록(420)과, 상기 제1가이드블록(410)을 관통하여 단부가 이동공간(411)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가이드블록(420)에 고정되는 제2가이드블록 고정구(43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블록(410)과 제2가이드블록(420)에 의해 보정롤러가 뒤틀림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원하는 치수로의 정확한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보정롤러(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도록 상부커버(150)가 씌워진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150)의 표면에는 투명유리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내부를 육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측면에서 상부에는 상부커버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들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과정은 먼저, 작업자가 인입안내부(110)에 슬라이드레일을 올려놓고 보정롤러 사이로 인입시킨다. 이 슬라이드레일은 한 쌍의 보정롤러에 결속되어 이끌리면서 이동하게 되고, 보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슬라이드레일의 측면 절곡각도가 롤포밍된 상태로 보정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절곡각도 보정 후 인출안내부(120)로 인출되고, 인출안내부(120)에 의해 안내되어 레일박스로 낙하되어 담아진다.
상기 인출안내부(120)는 도 13과 같이 내측레일과 외측레일을 복원하는 경우에는 레일의 일측 단부에서부터 낙하되게 구성하고, 중간레일의 경우 도 14와 같이 수평상태로 수직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의 제작과정 중 절단과정과 천공과정을 거치면서 측면 절곡각도가 변경되는데, 이러한 변경된 레일의 측면 절곡각도를 손쉽게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100: 본체 101: 본체지지대
102: 받침구 110: 인입안내부
111: 레일지지프레임 112: 레일안내프레임
120: 인출안내부 121: 안내프레임
122: 지지롤러 123: 회동판
123a: 힌지핀 124: 상부롤러
125: 하중봉 126: 고정프레임
127: 회동판 127a: 지지대
127b: 인출안내프레임 128: 레일감지센서
129: 실린더 129a: 실린더브라켓
129b: 링크 129c: 들림방지대
130: 상부안내롤러 131: 안내롤러브라켓
132: 볼트삽입구멍 133: 안내롤러고정축
134: 상부고정축 140: 에어분사관
141: 에어호스 150: 상부커버
200: 보정롤러 210: 보정면
250: 회전축 300: 구동수단
310: 구동모터 320: 감속기어부
330: 구동기어부 331: 제1원동기어
340: 동력전달기어부 341: 동력전달기어
350: 종동기어부 351: 제1종동기어
400: 이동블록 410: 제1가이드블록
411: 이동공간 412: 수평이동안내레일
420: 제2가이드블록 430: 제2가이드블록 고정구
500: 간격조절부 510: 간격조절축
511: 제2종동기어 520: 간격조절봉
521: 제2원동기어 530: 회전수단

Claims (12)

  1.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인입과 인출을 위해 서로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입안내부(110)와 인출안내부(120)가 설치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어 회전축(250)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측면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보정면(210)이 형성된 한 쌍의 보정롤러(200);
    상기 회전축(25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정롤러(2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동작시켜 상기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물어 잡아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동수단(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안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26)과, 그 고정프레임(126)의 안쪽에 힌지결합되어 실린더(129)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상기 본체(10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받쳐 지지하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127a)가 설치된 한 쌍의 회동판(127)과, 상기 고정프레임(126)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27a)의 상부에 슬라이드레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레일감지센서(128)와, 상기 고정프레임(126)에 실린더브라켓(129a)으로 설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회동판(127)에 링크(129b)로 연결되어 상기 레일감지센서(128)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회동판(127)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12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안내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레일지지프레임(111)과, 상기 레일지지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지지한 채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로 사이로의 정확한 인입을 안내하는 레일안내프레임(1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안내부(110)의 상측에는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호스(141)가 연결된 에어분사관(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는 1열 이상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의 일측에 위치되어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안내롤러(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0)은, 구동모터(310)와, 그 구동모터(310)에 축결합되는 감속기어부(320)와, 상기 감속기어부(320)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제1원동기어(331)가 형성된 구동기어부(330)와, 상기 구동기어부(3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원동기어(331)에 기어결합되게 외주면에 동력전달기어(341)가 형성된 동력전달기어부(340)와, 각각의 회전축(25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원동기어(331)와 동력전달기어(341)에 각각 기어연결되게 외주면에 제1종동기어(351)가 각각 형성된 종동기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각각의 회전축(250)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이동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동블록(400)과, 상기 이동블록(400)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500)는, 상기 두 개의 이동블록(400)의 일측에 각각 일단이 다른 회전방향으로 나선결합되고 외주면에 제2종동기어(511)가 형성된 간격조절축(510)과, 그 간격조절축(510)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본체(100)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제2종동기어(511)에 각각 기어결합되게 제2원동기어(521)가 형성된 간격조절봉(520)과, 상기 간격조절봉(5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간격조절봉(520)을 회전동작시키는 회전수단(5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롤러(200)의 상측에는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200) 중 어느 하나의 보정롤러에 결합된 회전축에 일측이 관통 결합되고 타측에는 가장자리에 수평이동안내레일(412)이 형성된 이동공간(411)이 마련된 제1가이드블록(410)과, 상기 수평이동안내레일(412)에 걸려 상기 이동공간상에서 수평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보정롤러에 결합된 회전축에 관통 결합되는 제2가이드블록(420)과, 상기 제1가이드블록(410)을 관통하여 단부가 이동공간(411)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가이드블록(420)에 고정되는 제2가이드블록 고정구(4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표면에 투명유리가 구비되고 상기 보정롤러(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도록 상부커버(150)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7a)의 상측에는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회동판(1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안내프레임(127b)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브라켓(129a)에는 상기 지지대(127a)에 지지된 채로 인출안내프레임(127b)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레일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들림방지대(129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11.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인입과 인출을 위해 서로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입안내부(110)와 인출안내부(120)가 설치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어 회전축(250)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원대상 슬라이드레일의 측면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보정면(210)이 형성된 한 쌍의 보정롤러(200);
    상기 회전축(25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정롤러(2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동작시켜 상기 보정롤러(200) 사이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물어 잡아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동수단(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안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안내프레임(121)과, 그 안내프레임(121)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본체(10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드레일을 받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22)와, 상기 안내프레임(121)에 일측이 힌지핀(123a)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드레일의 상면에 접하도록 지지롤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롤러(124)가 설치된 회동판(123)과, 상기 회동판(123)의 타측에 하중을 부여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124)가 상기 슬라이드레일 상면에 접하도록 하는 하중봉(12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12. 삭제
KR1020140179734A 2014-12-12 2014-12-12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KR10163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34A KR101632422B1 (ko) 2014-12-12 2014-12-12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34A KR101632422B1 (ko) 2014-12-12 2014-12-12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422B1 true KR101632422B1 (ko) 2016-06-21

Family

ID=5635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34A KR101632422B1 (ko) 2014-12-12 2014-12-12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0453A (zh) * 2018-07-19 2018-10-09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校直装置及具有其的折弯设备
WO2018194304A1 (ko) * 2017-04-19 2018-10-25 대한네트웍스 주식회사 철근 직선화 가공장치
CN108723241A (zh) * 2017-04-15 2018-11-02 上海敏孚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车顶压条滚弯成型机
WO2020062362A1 (zh) * 2018-09-28 2020-04-02 苏春光 一种校直方法及应用该方法的校直装置和导轨校直机
CN112122406A (zh) * 2019-06-25 2020-12-25 杨喜春 用于校正大型弯头管件端口椭圆度的装置
KR20210032234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대천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20210035448A (ko) * 2019-09-24 2021-04-01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20220145208A (ko) * 2021-04-21 2022-10-28 김영남 좌우 스위치 밴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39Y1 (ko) * 1993-08-10 1996-01-06 김동수 금속판 성형장치
KR100405624B1 (ko) * 2002-10-17 2003-11-14 유병섭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KR20130117369A (ko) 2012-04-17 2013-10-28 (주)세고스 슬라이더
KR101400784B1 (ko) * 2014-02-21 2014-05-29 한민희 파이프 재활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39Y1 (ko) * 1993-08-10 1996-01-06 김동수 금속판 성형장치
KR100405624B1 (ko) * 2002-10-17 2003-11-14 유병섭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KR20130117369A (ko) 2012-04-17 2013-10-28 (주)세고스 슬라이더
KR101400784B1 (ko) * 2014-02-21 2014-05-29 한민희 파이프 재활용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3241A (zh) * 2017-04-15 2018-11-02 上海敏孚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车顶压条滚弯成型机
CN108723241B (zh) * 2017-04-15 2023-10-03 上海敏孚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车顶压条滚弯成型机
WO2018194304A1 (ko) * 2017-04-19 2018-10-25 대한네트웍스 주식회사 철근 직선화 가공장치
CN108620453A (zh) * 2018-07-19 2018-10-09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校直装置及具有其的折弯设备
WO2020062362A1 (zh) * 2018-09-28 2020-04-02 苏春光 一种校直方法及应用该方法的校直装置和导轨校直机
CN112122406A (zh) * 2019-06-25 2020-12-25 杨喜春 用于校正大型弯头管件端口椭圆度的装置
KR20210032234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대천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102242956B1 (ko) * 2019-09-16 2021-04-21 주식회사 대천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20210035448A (ko) * 2019-09-24 2021-04-01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102258563B1 (ko) * 2019-09-24 2021-05-28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20220145208A (ko) * 2021-04-21 2022-10-28 김영남 좌우 스위치 밴딩장치
KR102473878B1 (ko) * 2021-04-21 2022-12-06 김영남 좌우 스위치 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422B1 (ko)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KR100892059B1 (ko) 벤딩기
KR102221144B1 (ko)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KR101061239B1 (ko) 롤 포밍 스트립 절단장치
CN108723147A (zh) 一种卫浴彩钢板生产线的柔性滚压装置
CN111940549B (zh) 一种电缆桥架轧制成型方法
KR101450182B1 (ko) 평탄도 확보를 위한 파이프 벤딩기
KR20160139096A (ko) 소재 안내장치
KR100949734B1 (ko) 교정기용 교정롤 세팅장치
CN108136467B (zh) 用于压力矫直金属的扁平制品的设备
CN205308960U (zh) 一种辊轧机支撑辊及中间辊更换装置
JP4580587B2 (ja) 形鋼圧延機用ガイド装置
KR100966922B1 (ko) 사다리 제조장치
KR100768407B1 (ko) 초장축 스파이럴 강관을 제작하기 위한 조관기의 아웃 넷테이블
KR100599075B1 (ko) 롤포밍기
KR101490615B1 (ko) 선재 연연속압연 가이드장치
RU645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и центрирования листового и полосового проката
KR101398888B1 (ko) 스트립 선단부 라운딩 장치
KR100957202B1 (ko) 냉연강판의 장력 조절장치
KR101111650B1 (ko) 박판 반곡제어용 전자석 위치조절장치
KR101372504B1 (ko) 형강류 고주파 밴딩장치
KR20080011485A (ko)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KR100920635B1 (ko) 다단식 선재 핀치롤장치
JP2010042431A (ja) ステッケルミル設備のストリップガイド装置
JP2018131324A (ja) ベルトの蛇行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