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234A -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 Google Patents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234A
KR20210032234A KR1020190113749A KR20190113749A KR20210032234A KR 20210032234 A KR20210032234 A KR 20210032234A KR 1020190113749 A KR1020190113749 A KR 1020190113749A KR 20190113749 A KR20190113749 A KR 20190113749A KR 20210032234 A KR20210032234 A KR 2021003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roll
forming
roll shaft
tube
tub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956B1 (ko
Inventor
이동진
김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천
Priority to KR102019011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9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하고, 기준간격을 항상 유지하도록 포밍롤 축이 가압조절되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튜브시트의 좌우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튜브시트의 양단을 가압하여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한 쌍의 포밍롤; 상기 포밍롤에 수직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포밍롤 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포밍롤 위치설정기;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가 인입되며, 양단에서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를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포밍롤의 기준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포밍롤 축이 가압조절되어 튜브시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포밍롤 미세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Tube mill with tube twist protection}
본 발명은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트(set)를 이루는 한 쌍의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하고, 반복되는 포밍작업 과정에서의 포밍롤 마모와 유격 및 간격 확대 발생시 포밍롤 축에 대한 측방향 가압조절에 의해 보정되어 기준간격이 유지되면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관(PIPE, TUBE)은, 봉강을 원료로 하여 용접부가 없도록 만네스만 천공기에서 제조되는 심레스관과, 용접에 의해 용접부가 형성된 용접관으로 구분된다.
심레스관은 용접부가 없기 때문에 특성이 우수하나, 제조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보일러나 유압장치 등과 같이 고압의 유체가 사용되는 곳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며, 그 외에는 대부분 용접관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접관 튜브는 일반적으로 롤 포밍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롤 포밍 공정은 상, 하, 좌, 우로 이루어진 다수의 롤을 이용하여 점진적인 소성변형을 이용한 성형 방법으로 평판을 벤딩하여 조관하고, 조관된 소재를 용접함으로써 튜브를 생산한다. 이러한 롤 포밍 공정을 통해 형상이 일정하고 길이가 긴 튜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튜브 생산시 치수에 따라 조관기용 튜브 제조시설에 설치된 포밍롤의 간격과 스탠드롤의 간격을 조절해주어야 하며, 공정 과정이 지날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롤 포밍 장치는 와셔와 핸들을 조작해 상, 하, 좌, 우의 폭을 정확하게 맞추어 주어야 하는데, 세밀한 조절이 어렵고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술로 공정 중간에 한곳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롤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판별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포밍롤은 포밍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하여 소재와 직접 닿는 면에 지속적인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연삭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포밍롤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초기 설치시 정확한 치수로 맞추어진 포밍롤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포밍롤이 정확히 고정되지 않은 헐거운 고정상태로 포밍작업을 진행하여 뒤틀어진 형태의 튜브가 생산되었다.
또한, 포밍롤의 마모로 인해 코팅이 벗겨져 파편이 발생하게 되고, 파편에 의해 포밍 작업 시 튜브 외관에 스크래치가 생겨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튜브 뒤틀림을 유발하였다.
그리고 튜브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 커져 튜브시트(슬릿팅 코일)를 포밍할 때 열이 발생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하면서 포밍롤 간격이 더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포밍롤 코팅의 벗겨짐 및 마모가 가속화됨에 따라 튜브의 뒤틀림 현상이 현저하게 증가함이 발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2933호 "튜브 제조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0535919호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 쌍의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하고, 연속 작업에 의한 포밍롤의 마모가 발생 되더라도 마모된 치수만큼 포밍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밍롤 축의 상하 고정력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에 동시에 고정력이 작용하며, 포밍롤의 기준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시트(슬릿팅 코일) 포밍시 튜브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포밍롤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포밍롤 코팅의 벗겨짐 및 마모를 최소화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롤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이동경로 유도방향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되어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유닛에 의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위치와 균형을 유지시켜 정상 공정 경로가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불량 발생을 방지하고,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튜브시트의 좌우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튜브시트의 양단을 가압하여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한 쌍의 포밍롤; 상기 포밍롤에 수직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포밍롤 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포밍롤 위치설정기;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가 인입되며, 양단에서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를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포밍롤의 기준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포밍롤 축이 가압조절되어 튜브시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포밍롤 미세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한 쌍의 포밍롤이 전후로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포밍롤 축으로 고정되도록 갖추어져, 한 쌍의 상기 포밍롤 사이로 튜브시트가 이송되면서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포밍유닛; 상기 포밍유닛의 베이스 프레임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포밍롤 위치설정기; 선택된 한 쌍의 상기 포밍롤에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가 인입되며, 양단에서 상기 포밍롤 축을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포밍롤이 초기설정거리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포밍롤 축의 초기설정거리가 유지되도록 가압조절하여 튜브시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포밍롤 미세조정유닛; 한 쌍의 가이드롤이 상기 포밍유닛 전후에 상하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포밍유닛의 전후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이 가이드롤 축으로 연결되도록 갖추어져,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 사이로 튜브시트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유닛; 상기 포밍유닛의 중앙의 설정높이에 센터롤이 고정 배치되며, 튜브시트의 상단에 접촉되어 복원력에 의한 튜브시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양단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센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밍롤 미세조정유닛은, 평판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인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홀에 상기 포밍롤 축의 상단이 인입된 상태로 연결시키는 연결고정대; 상기 연결고정대의 인입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이동가압구; 상기 연결고정대의 양측에 관통되어 상기 이동가압구에 연결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가압구가 상기 포밍롤 축의 일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포밍롤 축 사이의 기준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에 의하면, 포밍롤 미세조정유닛에 의해 포밍롤의 상하 고정력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단단하게 고정되게 하고, 기준간격을 항상 유지하도록 포밍롤 축이 가압조절되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치수 변경 또는 연속 작업에 의한 포밍롤의 마모 발생시 변경되거나 마모된 치수만큼 포밍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도구 없이도 포밍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 능률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닛에 의해 가이드롤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이동경로 유도방향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되어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센터유닛에 의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위치와 균형을 유지시켜 정상 공정 경로가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의 주요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의 포밍롤 미세조정유닛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의 이동가압구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포밍유닛(100), 포밍롤 위치설정기(200),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 가이드유닛(400), 센터유닛(5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포밍유닛(100)은 세트(set)를 이루는 한 쌍의 포밍롤(120) 사이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가 이송되면서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구성이다.
포밍유닛(100)은 세트(set)를 이루는 한 쌍의 포밍롤(120)이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포밍유닛(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포밍롤 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포밍롤(120)이 연결되어, 한 쌍의 포밍롤(120) 사이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가 이송되면서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과 4를 참조하여, 포밍유닛(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가 조관기용 튜브 제조시설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작업용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도록 갖추어진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10)은 이송되는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길이방향으로 공정순서에 따라 점진적으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가 튜브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조관기용 튜브 제조시설의 작업용 테이블에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밍롤(120)은 한 쌍이 세트를 이루는 구성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이송되는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좌우에 대칭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포밍롤(120)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이송방향으로 회전되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양단을 가압하고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한다. 이때, 포밍롤(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된 포밍롤 축(130)으로부터 회전가능 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갖추어질 수 있다. 또한, 포밍롤(120)은 외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의 형상에 따라 튜브시트(슬릿팅 코일)를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므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이송방향을 따라 포밍롤(120)의 함몰부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밍롤 축(130)은 포밍롤(120)에 수직 관통되어 하부가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포밍롤 축(130)의 하단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포밍롤 축(130)은 포밍롤(120)에 갖추어진 베어링을 매개로 움직임 없이 포밍롤(1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포밍롤 위치설정기(20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되며, 포밍롤 축(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여기서 포밍롤 위치설정기(200)는 작업자에 의해 스패너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조여지거나 풀어지며,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위치와 설정된 포밍롤(120)의 기준간격에 따라 포밍롤 축(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은 한 쌍의 포밍롤 축(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연결 고정시킨다. 특히,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은 포밍롤 축(130)의 상하 고정력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포밍롤 축(130)의 상단에 고정력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포밍롤 위치설정기(200)에 의한 하단 고정과 연동되어 포밍롤 축(130)의 상하 고정력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포밍롤(120)의 기준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튜브시트(슬릿팅 코일)를 포밍할 때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 커짐에 따라서 포밍롤(120)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에 의해 포밍롤(120)의 간격 벌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은 한 쌍의 포밍롤(120)이 전후로 배치된 경우에는 선택된 한 쌍의 포밍롤(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포밍롤 축(130)의 상부가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포밍롤(120)은 튜브시트(슬릿팅 코일)가 이동하면 외측으로 가압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은 포밍롤(1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더라도 내측으로 고정력을 전달하도록 갖추어진다.
즉,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은 포밍롤 축(130)의 상부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포밍롤(120)을 단단히 고정해주며, 한 쌍의 포밍롤(120)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써, 포밍롤(120) 사이의 기준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압 조절하여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은 양단에서 포밍롤 축(130)의 상부를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성형과정에서 형상과 위치에 오차가 발생한 포밍롤(120)의 위치보정을 수행하게 되고, 한 쌍의 포밍롤(120)의 초기설치거리를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은 포밍롤 미세조정유닛(300)은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연결고정대(310), 이동가압구(320), 회전가압부재(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고정대(310)는 상하 관통되는 한 쌍의 인입홀(311)이 형성되며, 인입홀(311)에 한 쌍의 포밍롤 축(130)의 상단이 인입된 상태로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인입홀(311)은 포밍롤 축(13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포밍롤 축(130)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고정대(310)의 양측면에 관통홀(312)이 형성되며, 관통홀(312)에 회전가압부재(330)가 관통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관통홀(312)은 내주면이 나사산 가공되어 회전가압부재(330)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고정대(310)의 인입홀(311)과 관통홀(312) 사이에는 이동가압구 배치공간(313)이 함몰형성되고, 이동가압구 배치공간(313)의 바닥면에는 가이드홈(314)이 형성되어 이동가압구(320)의 수평이동을 안내한다.
이동가압구(320)는 연결고정대(310)의 이동가압구 배치공간(3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포밍롤 축(13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이동가압구(320)는 일측면에 안착홈(321)이 요입 형성되어 포밍롤 축(130)의 일측면이 안착되게 한다. 이러한 이동가압구(320)의 안착홈(321) 형상에 의해 이동가압구(320)가 포밍롤 축(13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가압구(320)는 타측면에 삽입홈(322)이 내측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가압부재(330)가 삽입 고정된다. 특히, 이동가압구(320)의 단차진 삽입홈(322)의 형상에 의해 회전가압부재(3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회전가압부재(330)는 연결고정대(310)의 양측에 관통되어 이동가압구(320)에 연결설치되고, 회전력을 직선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가압부재(330)에 의해 이동가압구(320)를 이동가압구 배치공간(313)의 가이드홈(314)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별도의 도구없이 한 쌍의 포밍롤(120)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가압부재(330)는 고정헤드(331), 볼트형 이동스틱(332), 핸들(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고정헤드(331)는 2단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타측으로 이동가압구(320)의 삽입홈(322)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며, 삽입홈(322)에 삽입되도록 갖추어진다. 그리고 볼트형 이동스틱(332)은 고정헤드(331)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고정대(3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312)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고정헤드(331)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볼트형 이동스틱(332)은 볼트식으로 풀고 조이는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한 쌍의 포밍롤(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핸들(333)은 볼트형 이동스틱(332)의 단부에 설치되며, 길이가 긴 막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형 이동스틱이 회전되게 한다. 이때, 핸들(333)의 길이가 길수록 작은 회전각으로 수평 이동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힘들이지 않고 볼트형 이동스틱(332)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가이드유닛(400)은 한 쌍의 가이드롤(410) 사이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것으로, 가이드롤(410), 가이드 프레임(420), 가이드롤 축(430), 가이드롤 연결대(4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롤(410)은 포밍유닛(100)의 전후방에 설치되며,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것으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가이드 프레임(420)은 가이드롤(410)의 좌우에 배치되며, 작업용 테이블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갖추어진다.
가이드롤 축(430)은 가이드롤(410)에 수평으로 관통되어 가이드 프레임(42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롤(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가이드롤 연결대(440)는 전후방의 가이드 프레임(420)을 연결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가이드롤(410)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하도록 하여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이동경로 유도방향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되어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센터유닛(500)은 포밍유닛(10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정높이에 고정 배치되는 센터롤(510)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상단에 접촉되어 포밍작업이 진행중인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접합 예정 부위에 접촉력을 가하여 복원력에 의한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튜브시트(슬릿팅 코일) 양단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센터유닛(500)은 센터롤(510)이 포밍유닛(100)의 중앙에 배치되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대(520)와 높낮이 조절바(530) 및 센터롤 축(5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설치대(520)는 가이드유닛(400)의 좌우측 가이드롤 연결대(440)에 고정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센터유닛(500)의 중앙 지점에 설치되도록 갖추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520)는 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포밍롤(1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바(530)는 설치대(520)의 중앙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센터롤(510)이 상하로 이동되게 하여,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롤 축(540)은 높낮이 조절바(530)와 연결되어 센터롤(510)에 수직 고정되도록 갖추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한 쌍의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하고, 기준간격을 항상 유지하도록 포밍롤 축이 가압조절되어 튜브시트(슬릿팅 코일)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포밍유닛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포밍롤
130 : 포밍롤 축
200 : 포밍롤 위치설정기
300 : 포밍롤 미세조정유닛
310 : 연결고정대
311 : 인입홀
312 : 관통홀
313 : 이동가압구 배치공간
314 : 가이드홈
320 : 이동가압구
321 : 안착홈
322 : 삽입홈
330 : 회전가압부재
331 : 고정헤드
332 : 볼트형 이동스틱
333 : 핸들
400 : 가이드유닛
410 : 가이드롤
420 : 가이드 프레임
430 : 가이드롤 축
440 : 가이드롤 연결대
500 : 센터유닛
510 : 센터롤
520 : 설치대
530 : 높낮이 조절바
540 : 센터롤 축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튜브시트의 좌우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튜브시트의 양단을 가압하여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한 쌍의 포밍롤;
    상기 포밍롤에 수직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포밍롤 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포밍롤 위치설정기;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가 인입되며, 양단에서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를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포밍롤이 기준간격으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포밍롤의 기준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포밍롤 축이 가압조절되어 튜브시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포밍롤 미세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2. 한 쌍의 포밍롤이 전후로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포밍롤 축으로 고정되도록 갖추어져, 한 쌍의 상기 포밍롤 사이로 튜브시트가 이송되면서 튜브 형상으로 성형되게 하는 포밍유닛;
    상기 포밍유닛의 베이스 프레임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포밍롤 위치설정기;
    선택된 한 쌍의 상기 포밍롤에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상부가 인입되며, 양단에서 상기 포밍롤 축을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포밍롤이 초기설정거리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포밍롤 축의 초기설정거리가 유지되도록 가압조절하여 튜브시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포밍롤 미세조정유닛;
    한 쌍의 가이드롤이 상기 포밍유닛 전후에 상하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포밍유닛의 전후좌우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이 가이드롤 축으로 연결되도록 갖추어져,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 사이로 튜브시트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유닛;
    상기 포밍유닛의 중앙의 설정높이에 센터롤이 고정 배치되며, 튜브시트의 상단에 접촉되어 복원력에 의한 튜브시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양단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센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롤 미세조정유닛은,
    평판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인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홀에 상기 포밍롤 축의 상단이 인입된 상태로 연결시키는 연결고정대;
    상기 연결고정대의 인입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밍롤 축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이동가압구;
    상기 연결고정대의 양측에 관통되어 상기 이동가압구에 연결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가압구가 상기 포밍롤 축의 일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포밍롤 축 사이의 기준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1020190113749A 2019-09-16 2019-09-16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10224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49A KR102242956B1 (ko) 2019-09-16 2019-09-16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49A KR102242956B1 (ko) 2019-09-16 2019-09-16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34A true KR20210032234A (ko) 2021-03-24
KR102242956B1 KR102242956B1 (ko) 2021-04-21

Family

ID=7525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749A KR102242956B1 (ko) 2019-09-16 2019-09-16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50B1 (ko) * 2021-12-31 2022-08-12 (주)백천정밀 성형롤 교체가 용이한 롤 포밍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391U (ko) * 1985-03-13 1986-09-20
KR19990064692A (ko) * 1999-04-29 1999-08-05 조청조 조관기 및 성형기용 사이드 롤러스탠드
KR200355399Y1 (ko) * 2004-04-17 2004-07-06 (주) 한양테크 조관기용 사이드 롤러 스탠드
JP3649871B2 (ja) * 1997-09-10 2005-05-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ロール成形方法およびロール成形スタンド
KR100535919B1 (ko) 2004-07-01 2005-12-09 (주) 한양테크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KR100876659B1 (ko) * 2007-07-19 2009-01-07 포우에스엠 주식회사 머플러 파이프 소재 제작용 조관기의 용접예정부분 에지가공장치
KR20090055881A (ko) * 2007-11-29 2009-06-03 (주) 디엠에스티에스 조관장치
KR101511336B1 (ko) * 2014-09-15 2015-04-14 (주)백천정밀 강관 성형 중 스프링 백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조관기의 i-스페셜 성형 장치
KR101632422B1 (ko) * 2014-12-12 2016-06-21 주식회사 탑스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KR101705334B1 (ko) * 2014-12-05 2017-02-15 (주) 한양테크 금속관용 심가이드 롤러의 v형 각도 조정장치
KR101942933B1 (ko) 2017-07-20 2019-01-28 주식회사 포스코 튜브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9007806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장치용 사이드 롤 유닛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391U (ko) * 1985-03-13 1986-09-20
JP3649871B2 (ja) * 1997-09-10 2005-05-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ロール成形方法およびロール成形スタンド
KR19990064692A (ko) * 1999-04-29 1999-08-05 조청조 조관기 및 성형기용 사이드 롤러스탠드
KR200355399Y1 (ko) * 2004-04-17 2004-07-06 (주) 한양테크 조관기용 사이드 롤러 스탠드
KR100535919B1 (ko) 2004-07-01 2005-12-09 (주) 한양테크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KR100876659B1 (ko) * 2007-07-19 2009-01-07 포우에스엠 주식회사 머플러 파이프 소재 제작용 조관기의 용접예정부분 에지가공장치
KR20090055881A (ko) * 2007-11-29 2009-06-03 (주) 디엠에스티에스 조관장치
KR101511336B1 (ko) * 2014-09-15 2015-04-14 (주)백천정밀 강관 성형 중 스프링 백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조관기의 i-스페셜 성형 장치
KR101705334B1 (ko) * 2014-12-05 2017-02-15 (주) 한양테크 금속관용 심가이드 롤러의 v형 각도 조정장치
KR101632422B1 (ko) * 2014-12-12 2016-06-21 주식회사 탑스코 슬라이드레일 절곡각도 복원장치
KR101942933B1 (ko) 2017-07-20 2019-01-28 주식회사 포스코 튜브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9007806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장치용 사이드 롤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50B1 (ko) * 2021-12-31 2022-08-12 (주)백천정밀 성형롤 교체가 용이한 롤 포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956B1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5072B (zh) 用於加工機械的壓輥的調整裝置,特別是開槽機,以及加工機械,特別是具有此種調整裝置的開槽機
CN101690960A (zh) 高柔性多头拉形机
US9643227B2 (en) Drawing unit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2242956B1 (ko)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102189749B1 (ko) 금속 와이어를 드로잉 및 교정하는 장치, 및 해당 드로잉 및 교정 방법
JP7164538B2 (ja) 多機能加工装置
KR20180063488A (ko) 코일 포장용 자동 내주링 제조 장치
EP2077166B1 (de) Längsrandbearbeitungsvorrichtung für Bleche
DE102018211311B4 (de) Erweiterte Regelung JCO-Formpresse
KR101846158B1 (ko)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안내장치
KR102206168B1 (ko) 파이프가이드 장치가 설치되는 파이프 주름부 형성장치
CN209773132U (zh) 一种工字钢用整形校直设备
KR102258563B1 (ko)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US3704614A (en) Adjustable strip conditioner
KR101553574B1 (ko) 시트 롤 포밍 장치용 런닝커터
JP2669688B2 (ja) クラッド鋼板の反り矯正機
US2974710A (en) Metal working device
CN109366193A (zh) 带压花的美式装配体轻钢龙骨成型机
JPH0199711A (ja) ガイド
CN205056855U (zh) 用于碳滑板托架折边机的压料装置
KR101196006B1 (ko) 평철 교정기
CN219335487U (zh) 一种型材弯曲的防扭装置
CN219839265U (zh) 大型塑料卷材恒张力控制装置
CN211727019U (zh) 一种酸洗机的矫直机构
JP2018130737A (ja) パイプ曲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