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919B1 -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 Google Patents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919B1
KR100535919B1 KR1020040050988A KR20040050988A KR100535919B1 KR 100535919 B1 KR100535919 B1 KR 100535919B1 KR 1020040050988 A KR1020040050988 A KR 1020040050988A KR 20040050988 A KR20040050988 A KR 20040050988A KR 100535919 B1 KR100535919 B1 KR 10053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screw
stan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조
Original Assignee
(주) 한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양테크 filed Critical (주) 한양테크
Priority to KR102004005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소재를 용접하여 금속 파이프와 같은 제품을 만드는 조관기(造管機)와 소재를 절곡 소성 가공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기(成形機) 등에 있어서, 스탠드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를 이송시키는 롤러를 고정 지지하는 사이드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롤러를 이격시켜 굴대 장착하되, 롤러의 축은 횡방슬라이딩블록에 수직방향으로 나사체결하고, 횡방슬라이딩블록은 간격이 좌우방향으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이동하는 베이스에 슬라이딩 장착하며, 특히 상기 롤러의 축을 회전시켜 조절하여 롤러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세트스크루와 부싱 및 고정너트에 의해 롤러의 축을 고정시켜 롤러의 임의 높낮이를 설정가능 하도록 하여 상기 롤러의 축은 임의로 외측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좌우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각각 미세하게 이동시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서 파이프 성형 소재의 진원도를 정밀하게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제조하도록 하는 사이드롤러 스탠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Squeeze roller and side roller stand for Tube Mill}
본 발명은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를 용접하여 금속 파이프와 같은 제품을 만드는 조관기(造管機)와 소재를 절곡 소성 가공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기(成形機) 등에 있어서, 스탠드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를 이송시키는 롤러를 고정 지지하는 사이드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롤러를 이격시켜 굴대 장착하되, 롤러의 축은 횡방슬라이딩블록에 수직방향으로 나사체결하고, 횡방슬라이딩블록은 간격이 좌우방향으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이동하는 베이스에 슬라이딩 장착하며, 특히 상기 롤러의 축을 회전시켜 조절하여 롤러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세트스크루와 부싱 및 고정너트에 의해 롤러의 축을 고정시켜 롤러의 임의 높낮이를 설정가능 하도록 하여 상기 롤러의 축은 임의로 외측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좌우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각각 미세하게 이동시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서 파이프 성형 소재의 진원도를 정밀하게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제조하도록 하는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관기 및 성형기에서 파이프 소재로 사용되는 박판은 롤러 사이에 물린 상태에서 이송되고 롤러는 스탠드에 설치되며 스탠드는 조관기 및 성형기에서 여러 개가 수평방향으로 연속하여 다단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사이드롤러 스탠드는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이미 특허등록번호 제10-0295720호(2001년 5월 2일) 조관기 및 성형기용 사이드롤러 스탠드로 등록받은 바 있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의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스탠드 사이에 설치되고 하단 블록에 결합되는 과 롤러 사이에는 베어링이 끼워지며, 상기 롤러는 고정 너트와 칼라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조관기 및 성형기용 사이드롤러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하단 블록에 끼워 맞춤 후 박음 되어 으로 고정되고, 의 상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축의 외측 삽입되는 슬리브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합되며,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되, 슬리브롤러의 상하측 사이에 베어링이 끼여지는 것이다.
상기 축의 하부는 하단 블록에 형성된 홈에 끼워 맞춤 후 박은 상태에서 핀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롤러의 높낮이 조절을 하기 위하여 육각으로 형성된 슬리브의 슬리브상부 외측을 회전시키면 축은 하단 블록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리브가 축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롤러의 높낮이가 조정되고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단에서 고정볼트를 회전하여 쉽게 고정된다.
이러한 작업은 상부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스탠드 사이로 손을 집어넣어 작업할 필요가 없는 편리성이 있는 것이며 슬리브와 축이 열처리 연마되어 있어 아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중심이 되는 축은 하단 블록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리브만 움직이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고 정밀성이 좋아져 결국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롤러의 교환은 고정 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것에 의하여 교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사이드롤러 스탠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롤러의 높낮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슬리브를 회전시켜야 만 하는데, 슬리브의 근래에 들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파이프의 외관/외경에 따라 롤러의 교체가 잦아지고, 그에 따라 높낮이도 수시로 변경/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변경/설정 할 때마다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슬리브를 회동시킴으로서 롤러의 장착상태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조관기 및 성형기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파이프가 계속 통과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이 롤러에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슬리브와 고정볼트의 고정력이 약화되며, 계속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슬리브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단 블록에 결합되는 축은 하단이 고정되고 상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좌우 양측으로 설치된 축과 그 축에 굴대 장착한 롤러사이에 소재가 통과되면서 성형될 때에 축의 상단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로서 정밀한 성형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롤러를 이격시켜 축에 굴대 장착하고,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소재를 성형하도록 하는 사이드롤러 스탠드에 있어서,
한 쌍의 롤러를 이격시켜 굴대 장착하되, 롤러의 축은 횡방슬라이딩블록에 수직방향으로 나사체결하고, 횡방슬라이딩블록은 간격이 좌우방향으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이동하는 베이스에 슬라이딩 장착하며, 특히 상기 롤러의 축을 회전시켜 조절하여 롤러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세트스크루와 부싱 및 고정너트에 의해 롤러의 축을 고정시켜 롤러의 임의 높낮이를 설정가능 하도록 하여 상기 롤러의 축은 임의로 외측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좌우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각각 미세하게 이동시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서 파이프 성형 소재의 진원도를 정밀하게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제조하도록 하는 사이드롤러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1실시예의 주요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 및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1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1실시에는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22)를 이격시켜 축(17)에 각각 굴대 장착하되, 축(17)은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블록(10)에 수직방향으로 하단을 나사체결하고,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블록(10)은 스크루 축(3)에 체결하되, 스크루 축(3)의 일측에는 왼나사(3a)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3b)를 형성하여 스크루 축(3)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블록(10)은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며, 상기 스크루 축(3)의 양단은 장착대(1a)(1b)에 굴대장착하고, 상기 스크루 축(3)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봉(7)에 장착하여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은 가이드 봉(7)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크루 축(3)은 일측으로 고정대(1a)(1b)의 수직변(2)에 굴대 장착하되, 일측의 고정대(1b)에는 수직변(2)에는 너트(4)를 나사체결하고, 너트(4)의 중앙에 스크루 축(3)의 일측을 굴대장착하며, 너트(4)의 일측에는 고정너트(5)를 체결하고, 스크루 축(3)의 외측단부는 각 헤드(6)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너트(4)는 스크루 축(3)에 굴대 장착하되 너트(4)의 좌우측에 통상의 멈춤링 등을 장착하고, 외측에는 각 헤드를 형성한 것으로, 너트(4)의 각 헤드를 회전시키면 스크루 축(3) 전체가 이동하고, 스크루 축(3)의 각 헤드(6)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블록(10)이 이동하는 것이다.
특히 스크루 축(3)은 오른 나사(3a)와 왼 나사(3b)를 형성하고, 오른나사와 왼나사에 각각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블록(10)을 체결 장착한 것으로 스크루 축(3)의 회전에 의해 횡방슬라이딩블록(10)은 서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봉(7)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의 몸체(11)에 관통된 상태로 단부가 고정대(1a)(1b)의 수직변(2)에 고정된 것이고, 상기 고정대(1a)(1b)는 조관기 또는 성형기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17)을 수직방향으로 체결하고, 축(17)에는 롤러(22)를 굴대장착하며, 축(17)의 상단에는 부싱(27)을 체결하여 롤러(22)의 상단을 억누르도록 하고, 횡방슬라이딩블록(10)의 상단일측에는 덮게 블록(30)을 고정하되 덮게 블록(30)의 일측에 상기 부싱(27)을 회전억제토록 억류시키고 축(17)의 단부에는 고정너트(35)를 체결하여 부싱(27)을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은 몸체(11)의 일측에 수직변(12)을 형성하고, 몸체(11)의 타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15)를 형성하며, 몸체(11)의 횡방향으로 암나사(13)와 암나사(13)의 외측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 공(14)을 형성하고, 수직변(1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탭(16)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축(17)은 하단에 턱(19)을 형성하고, 턱(19)의 아래쪽에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의 암나사(15)에 대응하는 수나사(18)를 형성하며, 상단에는 수나사(20)를 형성하고 단부에는 각 헤드(21)를 형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 축(17)의 하단에 형성한 수나사(18)가 오른 나사일 경우 상측에 형성하는 수나사(20)는 왼 나사로 형성한 것이고, 반대로 하단에 형성한 수나사(18)가 왼 나사일 경우 상측에 형성하는 수나사(20)는 오른 나사로 형성하여 주어도 무방하다.
상기 롤러(22)는 통상의 스퀴즈롤러로서 외경은 파이프 소재(8)의 외경과 대응하는 오목 롤러로서 내경 상하측에 각각 베어링(23)(25)을 삽입하고, 상기 상측 베어링(23)과 하측 베어링(25)사이에는 베어링 간격을 유지하는 칼럼(24)을 삽입하며, 상기 하측 베어링(25)은 상기 축(17)의 턱(19)에 얹히도록 한 것이고, 상측의 베어링(23)에는 베어링커버(26)를 씌운 것이다.
상기 부싱(27)의 일측 면에는 면 가공한 면삭부(28)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덮게 블록(30)은 일측에 상기 부싱(27)의 외경과 대응하는 장착공(31)을 형성하고, 덮게 블록(30)의 측면일측에서 상기 장착공(31)과 관통하도록 암나사(32)를 형성하며, 덮게 블록(30)의 타측에는 통상의 볼트(36)를 체결하도록 하는 장착공(33)을 형성하여 상기 일측 면에 형성한 암나사(32)에는 세트스크루(34)를 체결한 것이다.
즉, 횡방슬라이딩블록(10)의 암나사(15)에 축(17)을 수직방향으로 체결하고, 축(17)의 턱(19)에 롤러(22)의 하측 베어링(25)이 얹히도록 삽입하며, 롤러(22)의 상측에는 베어링커버(26)를 씌우고, 베어링커버(26)의 상측에 부싱(27)을 삽입하며, 부싱(27)의 외경이 장착공(31)을 관통하도록 덮게 블록(30)을 씌운 후 일측의 장착공(33)에는 통상의 체결요소인 볼트(36)를 삽입하여 횡방슬라이딩블록(10)의 수직변(12)에 형성한 탭(16)에 체결한 것이다.
특히 상기 부싱(27)은 면삭부(28)가 덥게 블록(30)에 체결한 세트스크루(34)를 체결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입하고 세트스크루(34)를 조여주면 부싱(27)은 회전되지 못하고 억류되도록 한 것이며, 부싱(27)의 상단 쪽에서 축(17)의 단부에 고정너트(35)를 체결한 것이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다른 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조되는 파이프의 직경 및 파이프 소재에 따라 적정한 롤러(22)를 장착한 상태에서 파이프를 성형제조하게 된다.
롤러(22)를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볼트(36)와 고정너트(35)를 풀어내면, 덮게 블록(30)과, 부싱(27) 및 베어링커버(26)를 걷어 낼 수 있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작업에 따른 적정한 사이즈의 롤러(22)를 교체 장착하는 것이다.
롤러(22)를 고정하고 할 때에는 분해의 역순으로 조립하는데, 먼저 롤러(22)를 축(17)에 삽입한 후 베어링커버(26)를 씌우고, 부싱(27)을 삽입하며, 덮게 블록(30)을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롤러(22)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세트스크루(34)와 고정너트(35)를 느슨하게 풀어주되, 세트스크루(34)는 부싱(27)이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만 풀어준 상태에서 축(17)의 각 헤드(21)에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주면 축(17)의 수나사(18)와 횡방슬라이딩블록(10)의 암나사(15)사이에서 승강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소망하는 높이로 설정한 다음에는 고정너트(35)와 세트스크루(34)를 견고하게 조이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롤러(22)는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롤러(22)의 높낮이를 각각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롤러(22)사이를 벌리거나 좁히고자 할 때에는 공지의 기술처럼 스크루 축(3)을 회전시켜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너트(4)는 공구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 헤드(6)를 회전시키면 횡방슬라이딩블록(10)은 좌우측으로 벌려졌다가 혹은 좁혀지는 것이다.
또한 너트(4)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롤러(22)사이의 간격은 유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롤러(22) 전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2실시예로서 횡방슬라이딩블록(10a)에 축(17)을 체결하는 구성을 달리 하는 것으로 상기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a)은 몸체(11)의 일측에 슬라이드 공(41)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공(41)의 저면에는 자리 홈(42)을 형성하며, 자리 홈(42)에는 너트커버(43)를 체결 고정한 것이다.
상기 너트커버(43)는 중앙에 암나사(15)를 형성한 것으로 축(17)의 수나사(18)와 체결하도록 한 것이고, 통상의 체결 요소인 볼트(44)를 사용하여 자리 홈(42)에 체결하여 너트커버(43)가 몸체(11)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2실시예는 몸체(11)에 암나사(15)를 직접가공하지 않고 별도의 너트커버(43)에 암나사(15)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정밀하게 암나사(15)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슬라이드 공(41)을 따라 축(17)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함으로서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롤러(22)의 높낮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3실시예로서 횡방슬라이딩블록(10b)에 축(17)을 체결하는 구성을 달리 하는 것으로, 상기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b)은 몸체(11)의 일측에 슬라이드 공(41)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공(41)의 저면에는 암나사(15)를 직접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제3실시예는 몸체(11)에 암나사(15)를 직접 가공하여 축(17)을 체결하되 슬라이드 공(41)을 따라 축(17)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함으로서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롤러(22)의 높낮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고, 별도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4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로서 횡방슬라이딩블록(10)의 몸체(11) 일측에 수직변(12)을 형성하지 않고, 환봉형태의 지주(50)를 복수개로 세워 장착하여 덮게 블록(54)을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 지주(50)는 몸체(11)에 고정홈(51)을 형성하여 지주(50)의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하고, 핀(52)으로 고정한 것이며, 지주(50)의 상단은 수나사(5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덮게 블록(54)은 일측에 장착공(55)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50)를 체결한 후에 고정너트(56)를 조여 지주(50)에 덮게 블록(54)을 고정시킨 것이다.
즉, 롤러(22)를 굴대 장착하여 고정시킴에 있어서, 롤러(22)를 굴대장착한 축(17)의 상단과 하단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줌으로서 축(17)이 외측방향으로 휘거나 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축(17)을 직접 회전시켜 줌으로서 롤러(22)의 높낮이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파이프소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롤러(22)는 외측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는데, 축(17)은 상단과 하단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축(17)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보다 견고한 상태로 롤러의 축을 지지하여 보다 정밀한 성형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롤러(22)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롤러(22)를 장착한 축에는 어떠한 영향력도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롤러(22)는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파이프를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롤러의 높낮이 설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슬리브 자체를 회전시켜 승하강 시킴으로서 슬리브에 굴대 설치된 롤러의 하중까지 지탱하며 회전시켜야 함으로 많은 에너지 소모가 이루어 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는 단순히 고정너트(35)를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 축(17)을 회전시킴으로서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롤러의 높낮이 설정을 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슬리브의 자체를 회전시켜야 함으로서 슬리브의 상단에 형성한 각 헤드 폭을 수용할 만큼의 큰 공구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는 통상적으로 휴대가 가능한 정도의 다소 작은 공구(스패너 등)를 이용
또한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블록은 전체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양쪽의 횡방슬라이딩블록 사이 간격을 벌리거나 또는 좁힐 수 있는 것으로 보다 성형되는 소재의 직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1실시예의 주요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 및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1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5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의 제6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고정대 2: 수직변
3: 스크루 축 4: 너트
5: 고정너트 6: 각 헤드
7: 가이드 봉 8: 파이프 소재
10, 10a, 10b: 횡방슬라이딩블록 11: 몸체
12: 수직변 13: 암나사
14: 슬라이드 공 15: 승강암나사
17: 축 18: 승강수나사
19: 턱 20: 고정수나사
21: 각 헤드 22: 롤러
23, 25: 베어링 24: 칼럼
26: 베어링커버 27: 부싱
28: 면삭부 30: 덮게 블록
31: 장착공 32: 암나사
33: 장착공 34: 세트스크루
35: 고정너트 36: 볼트
41: 승강 슬라이드 공 42: 자리 홈
43, 54: 너트 커버 44: 볼트
50: 지주 51: 고정홈
52: 핀 53: 수나사
55: 장착공 56: 고정너트

Claims (5)

  1. 고정대에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형성한 스크루 축을 굴대장착하고, 스크루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봉을 장착하며, 상기 가이드봉에서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 블록을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루 축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횡방슬라이딩블록의 간격이 넓혀지거나 좁혀지도록 하며, 횡방슬라이딩블록에는 각각 롤러를 굴대 장착하여 한 쪽 롤러와 다른 쪽 롤러를 이격시켜 롤러사이에 성형소재를 통과시켜 파이프를 성형하도록 하는 사이드롤러 스탠드에 있어서,
    몸체(11)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15)를 형성하고, 몸체(11)의 타측에는 수직변(12)을 형성하며 수직변(12)에는 탭(16)을 형성한 횡방슬라이딩블록(10)(10a)(10b)과,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10a)(10b)의 암나사(15)에 체결하되, 하측에는 턱(19)을 형성하고, 턱(19)의 아래쪽으로 상기 암나사(15)에 체결하도록 수나사(18)를 형성하며, 상측에는 수나사(20)를 형성하고, 수나사(20)의 상측 단부에 각 헤드(21)를 형성한 (17)과,
    상기 축(17)에 삽입하여 턱(19)에 얹혀 굴대 장착하되, 상하측에 각각 상측 베어링(23)과, 하측베어링(25)을 내장하고, 상측 베어링(23)과 하측 베어링(25)사이에 칼럼(24)을 장착한 롤러(22)와,
    상기 축(17)에 삽입하여 상기 롤러(22)의 상측 베어링(23)을 덮도록 하는 베어링커버(26)와,
    상기 축(17)에 삽입하여 상기 베어링커버(26)를 억누르되, 일측에 면삭부(28)를 형성한 부싱(27)과,
    상기 부싱(27)의 외경에 삽입하고, 상기 횡방슬라이딩블록(10)(10a)(10b)의 수직변(12)상단에 체결 고정하되, 일측에는 상기 부싱(27)의 외경과 대응하는 장착공(31)을 형성하고, 일측 면에는 장착공(31)과 관통하도록 암나사(32)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장착공(33)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32)에는 세트스크루(34)를 체결하되 부싱(27)의 면삭부(28)에 세트스크루(34)가 닿도록 체결하며, 상기 장착공(33)에는 통상의 볼트(36)를 삽입 장착하는 덮게 블록(30), 및
    상기 축(17)의 상단에 형성한 수나사(20)에 체결하되 상기 부상(27)의 상면을 억누르도록 체결하는 고정너트(3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축(17)은,
    상측에 형성한 수나사(20)와 하측에 형성한 수나사(18)의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횡방슬라이딩블록(10a)의 몸체(11)는,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공(41)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 공(41)의 저면에는 자리 홈(42)을 형성하며, 자리 홈(42)에는 암나사(15)를 형성한 너트커버(43)를 체결 고정하여 축(17)은 슬라이딩 공(41)에서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횡방슬라이딩블록(10b)의 몸체(11)는,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공(41)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 공(41)의 저면에는 암나사(15)를 형성하여 축(17)은 슬라이딩 공(41)에서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횡방슬라이딩블록은,
    몸체(11)의 일측에 환봉형태의 지주(50)를 복수개로 세워 장착하여 덮게 블록(54)을 고정하고, 상기 지주(50)의 상단은 수나사(53)를 형성한 것과,
    상기 덮게 블록(54)은 일측에 장착공(55)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50)를 체결한 후에 고정너트(56)를 조여 지주(50)에 덮게 블록(54)을 고정시킨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KR1020040050988A 2004-07-01 2004-07-01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KR10053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988A KR100535919B1 (ko) 2004-07-01 2004-07-01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988A KR100535919B1 (ko) 2004-07-01 2004-07-01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5919B1 true KR100535919B1 (ko) 2005-12-09

Family

ID=3730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988A KR100535919B1 (ko) 2004-07-01 2004-07-01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91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6251A (zh) * 2012-08-24 2012-12-05 武汉钢铁(集团)公司 直缝焊管扭转矫正装置
KR20160068319A (ko) * 2014-12-05 2016-06-15 (주) 한양테크 금속관용 심가이드 롤러의 v형 각도 조정장치
KR102081409B1 (ko) 2018-08-30 2020-02-25 (주)우성기계공업 조관기용 샤프트구조
KR20210032234A (ko)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대천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20210035448A (ko) * 2019-09-24 2021-04-01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102431650B1 (ko) * 2021-12-31 2022-08-12 (주)백천정밀 성형롤 교체가 용이한 롤 포밍장치
KR20220131397A (ko) * 2021-02-24 2022-09-28 임태균 대형 파이프 성형장치
KR102514537B1 (ko) 2022-02-10 2023-03-29 (주)백천정밀 용접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관장치
KR102581807B1 (ko) 2022-08-30 2023-09-25 (주)백천정밀 용접이음부의 높이차 미세조절이 가능한 조관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6251A (zh) * 2012-08-24 2012-12-05 武汉钢铁(集团)公司 直缝焊管扭转矫正装置
KR20160068319A (ko) * 2014-12-05 2016-06-15 (주) 한양테크 금속관용 심가이드 롤러의 v형 각도 조정장치
KR101705334B1 (ko) * 2014-12-05 2017-02-15 (주) 한양테크 금속관용 심가이드 롤러의 v형 각도 조정장치
KR102081409B1 (ko) 2018-08-30 2020-02-25 (주)우성기계공업 조관기용 샤프트구조
KR20210032234A (ko)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대천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KR20210035448A (ko) * 2019-09-24 2021-04-01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102258563B1 (ko) * 2019-09-24 2021-05-28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20220131397A (ko) * 2021-02-24 2022-09-28 임태균 대형 파이프 성형장치
KR102459399B1 (ko) 2021-02-24 2022-10-27 임태균 대형 파이프 성형장치
KR102431650B1 (ko) * 2021-12-31 2022-08-12 (주)백천정밀 성형롤 교체가 용이한 롤 포밍장치
KR102514537B1 (ko) 2022-02-10 2023-03-29 (주)백천정밀 용접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관장치
KR102581807B1 (ko) 2022-08-30 2023-09-25 (주)백천정밀 용접이음부의 높이차 미세조절이 가능한 조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919B1 (ko) 조관기용 용접롤러 및 사이드롤러 스탠드
KR200355399Y1 (ko) 조관기용 사이드 롤러 스탠드
KR20170056116A (ko) 커팅날 교체 구조를 갖춘 환봉 절단장치
US6736278B2 (en) Support structure of rack
CN210198840U (zh) 一种力学拉伸试验用拉伸件固定夹具
KR200401905Y1 (ko) 프레스금형 받침장치
CN214446190U (zh) 一种连续加载样品的自动化加工装置
CN105922032A (zh) 一种用于阶梯轴的可调式夹紧装置
CN203944685U (zh) 油管折弯的装置
CN212250930U (zh) 一种耐磨耐高温耐腐蚀的陶瓷弹簧
WO2017146146A1 (ja) 段曲げ加工方法及び段曲げ金型
KR102279320B1 (ko) 로토 프로식 랙 전조기의 다이스 장착 지그
CN209986851U (zh) 一种机电设备加工用筒状壳体固定装置
CN108856526B (zh) 一种型材拉弯模具的定位可调夹具
CN111745018A (zh) 一种可生产不同规格的u型板的冲压设备
CN212020433U (zh) 一种数控磨床内棒料用浮动支撑
CN103658268A (zh) 油管折弯的装置
KR200412138Y1 (ko) 전조기용 아이들센터
KR200364267Y1 (ko) 압연기용 스트리퍼 가이드의 지지장치
CN1318188C (zh) 螺母固定装置
CN205551230U (zh) 角钢冲压模具座
CN218476634U (zh) 一种轴承拆卸工具
CN213531508U (zh) 圆锥滚子轴承生产用自动安装装置
CN212216817U (zh) 一种可加工多弧度件的折弯模具
CN217451594U (zh) 一种薄壁铸件弧面的调节式校正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