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75B1 -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275B1
KR101631275B1 KR1020100009640A KR20100009640A KR101631275B1 KR 101631275 B1 KR101631275 B1 KR 101631275B1 KR 1020100009640 A KR1020100009640 A KR 1020100009640A KR 20100009640 A KR20100009640 A KR 20100009640A KR 101631275 B1 KR101631275 B1 KR 10163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
arrangement
main body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063A (ko
Inventor
이경태
김종배
조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75B1/ko
Priority to US13/019,364 priority patent/US8447052B2/en
Publication of KR2011009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자 기기는 사운드 플레이트가 스탠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배치와 사운드 플레이트가 본체 후방에 배치되어 벽걸이형이 가능한 제2 배치가 상호 전환 가능한 체결 구조를 가진다. 또한, 사운드 플레이트는, 제1 배치에서 플레이트의 전방쪽 측면에 마련된 틈을 통해 음향을 방출하는 틈 방사형 스피커 시스템이며, 제2 배치에서 플레이트의 전방쪽 오픈된 영역을 통해 음향이 방출되는 전면 방사형 스피커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sound plate switchable between stand-type and hang-type}
본 발명은 평판형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이 전환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지털 TV와 같은 전자 기기들이 슬림화되면서, 음향장치도 슬림한 구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조가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음향장치도 박형화된 디지털 TV 안에 설치하기 위해, 근래에는 하방 방사형(down-firing) 방식의 프론트 스피커와 후방 방사형(back-firing) 방식의 우퍼(woofer)를 채용한다. 하방 방사형 방식의 프론트 스피커는 디지털 TV의 하부 베젤에 장착되어 중·고음을 하부로 방사한다. 후방 방사형 방식의 우퍼는 디지털 TV의 후면에 장착되어 저음을 후방으로 방사하며, 회절을 통하여 음이 전면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음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초박형화되면서, 음질 열화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초박형 디지털 TV와 같은 슬림한 구조의 전자 기기에 적합한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본체에서의 전기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평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운드 플레이트; 및
본체와 사운드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사운드 플레이트를 본체의 하방에서 본체를 지지하도록 배치하여 본체에 대한 스탠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배치와, 사운드 플레이트를 본체의 후방에 배치하는 제2 배치가 상호 전환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며,
사운드 플레이트는,
제1 배치에서 플레이트의 전방쪽 측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음향을 방출하는 틈 방사형이며,
제2 배치에서 플레이트의 전방 쪽 일부가 오픈되어 오픈된 영역을 통해 음향이 방출되는 전면 방사형이다.
적어도 하나의 틈은, 제1 배치를 기준으로 플레이트의 측면 하단에 위치하여, 제1 배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틈에서 방출되는 음향이 그라운드 평면 방사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제2 배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음향 진동판이 플레이트의 오픈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치에서 플레이트의 오픈된 영역은, 제2 배치에서 본체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디지털 TV와 같은 영상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주파수 대역별로 음향의 강조 또는 약조 처리하는 것으로서, 제1 배치에 대응하는 제1 이퀄라이징 모드와 제2 배치에 대응하는 제2 이퀄라이징 모드를 가지는 이퀄라이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퀄라이저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일 수 있다.
체결 유닛은, 제1 배치에서 사운드 플레이트를 본체의 하방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체결유닛과, 제2 배치에서 사운드 플레이트를 본체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제1 평판;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이 향하는 영역은 오픈된 제2 평판;을 포함하며, 제2 평판의 오픈된 영역은 제1 배치에서 슬릿 커버로 탈착가능하게 덮어지며, 제2 배치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그릴 커버로 덮어질 수 있다.
제1 체결유닛은 플레이트의 제1 평판을 본체의 하방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며, 제2 체결유닛은 플레이트의 제2 평판을 본체의 후면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플레이트의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공간에 나란히 배치된 우퍼 모듈과 트위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우퍼 모듈은, 플레이트의 상판과 하판을 밀폐시켜 플레이트의 상판과 하판이 우퍼 모듈의 인클로저로 기능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우퍼 모듈과 트위터 모듈은 좌우 하나씩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체결 유닛은, 제1 배치에서 사운드 플레이트를 본체의 하방으로 펴고, 제2 배치에서 사운드 플레이트를 본체의 후방으로 접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플레이트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될 수 있다.
사운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각각 수용하는 것으로, 플레이트의 좌우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며, 제2 배치에서의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은, 제1 배치에서의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이 좌우 및 상하 반전하여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 내에 각각 설치되는 우퍼와 트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은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은, 제1 배치에서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이 노출된 영역이 플레이트에 의해 차단되며, 제2 배치에서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이 노출된 영역이 플레이트의 오픈된 영역과 일치하도록, 플레이터에 장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체와 이의 스피커 시스템인 사운드 플레이트가 분리됨으로써, 본체는 초박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둘째, 진동원인 사운드 플레이트가 본체에서 분리됨으로써, 본체의 기구 설계는 열방사 문제에 집중될 수 있다.
셋째, 진동원인 사운드 플레이트가 본체에서 분리됨으로써, 본체의 진동 문제가 해소될 수 있으며, 저음에 대한 재생력 및 명료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면음에 의한 음압강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넷째, 사운드 플레이트가 제1 배치에 있는 경우, 사운드 플레이트는 스탠드로 겸용할 수 있으며, 본체의 하중에 의해 사운드 플레이트의 자체적인 진동이 억제되므로, 진동에 강인하게 된다.
다섯째, 전방 방사형 스피커 수준의 음질이 확보될 수 있으며, 사운드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 배치에 따라 대응되는 이퀄라이징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적절한 이퀄라이징을 통해 우수한 저역신장과 명료도 높은 고역재생이 기대될 수 있다.
여섯째, 전자 기기는 중앙·전면에 최적의 스위트 스폿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스탠드형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기기의 스탠드형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기기의 벽걸이형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 기기의 벽걸이형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 기기에서 사운드 플레이트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운드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5의 사운드 플레이트의 우퍼 및 트위터의 주파수 대역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스탠드형 배치에서 벽걸이형 배치로의 전환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그라운드 평면 방사를 설명하기 위한 사운드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전면 방사를 설명하기 위한 사운드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전자 기기의 이퀄라이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이퀄라이징 전의 음압레벨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PEQ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이퀄라이징 후의 음압레벨을 도시한다.
도 15은 도 1의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이퀄라이징 전의 음압레벨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1의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PEQ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의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배치된 경우의 이퀄라이징 후의 음압레벨을 도시한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스탠드형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전자 기기의 벽걸이형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는 도 18의 사운드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제1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e는 도 18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스탠드형 배치에서 벽걸이형 배치로의 전환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사운드 플레이트 110, 310...플레이트
111, 311...상판 112...측면
113, 313...하판 116a, 116b, 312a, 312b...슬릿 커버
117, 317...그릴 커버 118, 119, 290...체결부
120, 320...틈 130, 330a, 330b...스피커 모듈
131a, 131b, 332a...우퍼 모듈 132a, 132b, 333a, 333b...우퍼
133a, 133b, 334a...프레임 134a, 134b, 335a...트위터 모듈
135a, 135b, 336a, 336b...트위터 136a, 136b, 337a...트위터 홀더
190, 195, 390...체결 유닛 200, 400...본체
210...디스플레이 패널 220...제어부
230...이퀄라이저 G...바닥
W...벽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전자 기기의 스탠드형 배치를 도시하며, 도 3 및 도 4는 전자 기기의 벽걸이형 배치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사운드 플레이트(100), 본체(200) 및 체결유닛(1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디지털 TV와 같은 영상 음향 기기일 수 있다. 본체(200)는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와 그밖에 미도시된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탠드형 배치 상태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벽걸이형 배치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스탠드형 배치와 벽걸이형 배치를 상호 전환가능하다. 상호 전환하는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으로 놓인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듯이,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제1 체결유닛(190)을 통해 본체(200)에 체결되어 본체(200)를 지지하는 스탠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배치에 놓인다. 제1 배치에서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 마련된 틈(120)들을 통해 음향을 방출하는 틈 방사형(slit-firing) 스피커 시스템이 된다. 나아가, 제1 배치에서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바닥(G)에 놓이는 것을 예정하며,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그라운드 평면 방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걸린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듯이,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제2 체결유닛(195)을 통해 본체(200)의 후방에 체결되는 제2 배치에 놓인다. 제2 배치에서 본체(200)는 별도의 체결유닛(290)을 통해 벽면(W)에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벽면(W)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배치에서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전방을 향해 직접 음향을 방출하는 전방 방사형(front firing) 스피커가 된다.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음향이 방출되는 부분은 그릴 커버(117)로 덮여 있을 수 있다. 그릴 커버(117)는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가능한 망 구조를 가진다.
제1 및 제2 체결유닛(190, 195)은 사운드 플레이트(100)와 본체(2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나 형상은 본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본체(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체결유닛(300)을 경유하는 미도시된 케이블을 통하여 사운드 플레이트(100) 내의 스피커 모듈(도 6의 13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 시스템은 그 자체의 기구적 구조에 의해 일정 부피를 차지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스피커 시스템인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되므로, 본체(200)의 두께는 스피커 시스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액정패널, 유기발광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초박형의 평판 패널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체(200)는 슬림화되기에 용이하다. 나아가, 진동원(vibration source)인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됨으로써, 본체(200)의 진동 문제가 해소될 수 있으며, 본체(200)의 기구 설계는 열방사 문제에 집중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사운드 플레이트(100)만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10) 내에 설치되는 스피커 모듈(13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상판(111)과 하판(113)이 합체되어 얇은 평판형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상판(111)과 하판(11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스피커 모듈(1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판(111)에는 제1 체결유닛(도 1의 190)과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부(118)가 마련되며, 하판(113)에는 제2 체결유닛(도 3의 195)과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부(119)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체결부(118, 119)는 단순한 홈 또는 암나사 등의 형상을 지닐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체결유닛(190, 195)의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의 측면(112)에는 스피커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방출될 수 있는 복수의 틈(slit)(120)들이 마련된다. 복수의 틈(120)들은 스피커 모듈(130)의 스피커 유닛의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피커 모듈(130)이 한 쌍의 우퍼 모듈(131a, 131b)과 한 쌍의 트위터 모듈(134a, 134b)을 갖는 경우, 복수의 틈(120)들은 총 4개가 마련되어, 한 쌍의 우퍼 모듈(131a, 131b) 및 한 쌍의 트위터 모듈(134a, 134b)에서 출력되는 음향들이 독립적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틈(120)들은 방출되는 음향의 파장보다 작은 두께(도 6의 T)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복수의 틈(120)의 음향 방출의 원점을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틈(120)의 두께(T)는 가청한계주파수의 파장인 17mm의 1/4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의 두께는, 방출된 음향이 플레이트(110)의 측면(112)에서 반사되는 것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얇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10)의 두께는 20mm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틈(120)들은 플레이트(110)의 측면(112)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틈(120)들은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제1 배치 상태에 놓인 경우, 즉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으로 배치된 경우, 그라운드 평면(ground plane) 방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라운드 평면 방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플레이트(110)의 하판(113)의 일부는 제거되어, 오픈된 영역(113a, 113b)이 된다. 오픈된 영역(113a, 113b)은 후술하는 우퍼(132a, 132b) 및 트위터(135a, 135b)의 음향 진동판들이 플레이트(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제1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 오픈된 영역(113a, 113b)은 슬릿 커버(116a, 116b)로 덮여 진다.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제2 배치 상태에 놓인 경우, 즉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배치된 경우, 슬릿 커버(116a, 116b)는 제거되고, 오픈된 영역(113a, 113b)을 통해 우퍼(132a, 132b) 및 트위터(135a, 135b)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직접 방출된다. 이러한 오픈된 영역(113a, 113b)은 그릴 커버(도 4의 117)로 덮일 수 있다.
스피커 모듈(130)은 한 쌍의 우퍼 모듈(131a, 131b)과 한 쌍의 트위터 모듈(134a, 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우퍼 모듈(131a, 131b)과 트위터 모듈(134a, 134b)은 플레이트(110)의 좌우로 대칭되게 수평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되듯이 플레이트(110)의 중앙쪽 좌우에 한 쌍의 우퍼 모듈(131a, 131b)이 배열되고, 바깥쪽 좌우에 한 쌍의 트위터 모듈(134a, 134b)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우퍼 모듈(131a, 131b)과 트위터 모듈(134a, 134b) 각각은 복수의 틈(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우퍼 모듈(131a, 131b)은 각각 우퍼(132a, 132b)와 프레임(133a, 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우퍼(132a, 132b)는 저음용 스피커로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듯이 대략 100Hz 내지 3kHz 대역의 중·저역의 음향(WF)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우퍼(132a, 132b)는 음향 진동판이 하판(113)의 오픈된 영역(113a, 113b)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프레임(133a, 133b)의 일측은 우퍼(132a, 132b)를 고정시키는 홀더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133a, 133b)의 나머지 부분은 플레이트(110)의 상판(111)과 하판(113)을 밀폐시키는 격벽 구조를 갖는다. 상판(111)과 하판(113) 사이의 프레임(133a, 133b)에 의해 밀폐된 공간은 우퍼(132a, 132b)에 출력되는 저음을 증폭시키는 인클로저(enclosure)로 기능하게 된다. 플레이트(110)의 상판(111) 및 하판(113)을 인클로저로 이용함에 따라,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초박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저음에 의한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자체진동을 억제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프레임(133a, 133b)은 플레이트(110)의 상판(111) 및 하판(113)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체로도 기능한다.
플레이트(110)의 상판(111) 및/또는 하판(113)에는 스크류(screw) 체결을 위한 복수의 스크류 홀(114)들이나 리브(미도시)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홀(114)들이나 리브는 우퍼(132a, 132b)에서 출력되는 저음에 의해 자체진동이 강하게 발생되는 지점들에 마련되어 자체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플레이트(110)의 강성을 보강시킬 수도 있다.
한 쌍의 트위터 모듈(134a, 134b)은 각각 트위터(135a, 135b)와 트위터 홀더(136a, 136b)를 포함할 수 있다. 트위터(135a, 135b)는 고음용 스피커로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듯이 3kHz이상의 고역 음향(TW)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7은 우퍼 모듈(131a, 131b)과 트위터 모듈(134a, 134b)의 겹쳐지는 대역이 대략 3kHz인 경우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이고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트위터(135a, 135b) 역시 음향 진동판이 하판(113)의 오픈된 영역(113a, 113b)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나아가, 트위터(135a, 135b)의 음향 진동판은 인접한 틈(120)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음향의 방사방향이 틈(120)들을 향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스탠드형 배치에서 벽걸이형 배치로의 전환 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형 배치를 갖는 전자 기기에서 사운드 플레이트(100)를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플레이트(100)를 좌우로 뒤집어 플레이트(110)의 상판(111)은 밑으로, 하판(113)은 위로 향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8c에 도시되듯이, 뒤집어진 플레이트(110)에서 슬릿 커버(116a, 116b)를 분리시킨다. 이 결과 플레이트(110)의 오픈된 영역(113a, 113b)를 통해 스피커 모듈(130)의 음향진동판(139)들이 플레이트(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8d 및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오픈된 영역(113a, 113b)을 그릴 커버(117)로 덮는다. 다음으로,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하판(113)의 체결부(119)를 본체(200)의 체결부(290)에 제2 체결유닛(195)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전자 기기를 벽걸이형으로 전환시킨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전환함에 따라,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일 때 사운드 플레이트(100)에 대해 최적화된 이퀄라이저의 조절값을 벽걸이형에 대해 최적화된 조절값으로 바꾼다. 이러한 이퀄라이징의 전환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벽걸이형 배치에서 스탠드형 배치로의 전환은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한 전환 방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그라운드 평면 방사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바닥(G), 즉 그라운드에 놓이는 것을 예정한다. 복수의 틈(120)들은 플레이트(110)의 측면 하단쪽에 위치하므로, 바닥(G)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틈(120)들의 두께(T)가 스피커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파장보다 작게 설계됨에 따라, 복수의 틈(120)들은 음향의 방출 원점처럼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에 따라, 본 실시예의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2π 입체각으로 음향을 방출하는 그라운드 평면 방사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그라운드 평면 방사를 함에 따라, 사운드 플레이트(100)에서 방출된 음향은 후방의 벽면등에서 반사됨 없이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전방 방사형 스피커 수준의 매우 깨끗한 충격 응답 특성을 보여주며, 반사음에 의한 왜곡이 짧은 시간안에 급격히 감소하는 등, 전방 방사형(front-firing) 수준의 음질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평면 방사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음향축(acoustic axis)이 상방으로 형성하게 되며, 전자 기기의 중앙·전면에 최적의 스위트 스폿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200)의 하중에 의해 사운드 플레이트의 자체적인 진동이 억제되므로, 진동에 강인하게 된다.
도 10은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전방 방사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수직하게 세워지며, 스피커 모듈(130)의 음향 진동판이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음향은 그릴 커버(117)를 통과하여 전방을 직접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전방 방사를 함에 따라 높은 수준의 음질이 확보될 수 있다.
종래의 후면 방사형 우퍼를 채용한 박형 DTV의 경우, 저음을 후면으로 방사하며 회절을 통하여 저음을 전면으로 전달한다. 그런데, 이러한 후면 방사형 우퍼는 DTV의 뒷커버를 가진하여 불필요한 진동 및 음향모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저음에 대한 재생력 및 명료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후면음의 경로차로 인해 청취 위치에 따라 음압강하(dip)를 발생시킨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스피커 시스템인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됨으로써, 본체(200)에서의 진동 문제가 제거됨으로써, 저음에 대한 재생력 및 명료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면음에 의한 음압강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우퍼와 트위터가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고차필터로 PEQ를 구성하는 경우, 위치에 따른 음압강하가 거의 없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의 이퀄라이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의 신호처리부(220)는 이퀄라이저(230)와 메모리(240)를 구비한다. 이퀄라이저(230)는 전자 기기의 본체(200)에서 복조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조절하는 신호처리하는 것으로서,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특성을 바로 잡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이퀄라이저(230)는 예를 들어, 파라메트르릭 이퀄라이저(parametric equalizer; PEQ)일 수 있다. 메모리(240)에는 스탠드형에 대응되는 PEQ 값과 벽걸이형에 대응되는 PEQ 값이 저장된다.
이퀄라이저(230)는 제1 및 제2 이퀄라이징 모드(231, 232)를 포함한다. 제1 이퀄라이징 모드(231)는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 상태에 놓인 경우로서, 스탠드형에 대응되는 PEQ 값을 메모리(240)로부터 읽어들여 주파수 응답을 조절한다. 제2 이퀄라이징 모드(232)는 전자 기기가 벅걸이형 상태에 놓인 경우로서, 벽걸이형에 대응되는 PEQ 값을 메모리(240)로부터 읽어들여 주파수 응답을 조절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이퀄라이징 모드(231, 232)는 전자 기기의 배치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며, 자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제1 배치와 제2 배치 사이에서 상호 변경될 때 전기적 배선이 변경되는 등의 기계적 방식으로 제1 및 제2 이퀄라이징 모드(231, 232)는 상호간에 스위칭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센서에 의해 사운드 플레이트(100)의 배치를 검출하는 등의 전기적인 방식으로 1 및 제2 이퀄라이징 모드(231, 232)는 상호간에 스위칭될 수 있다. 나아가 별도로 마련된 물리적인 스위치나 프로그램의 메뉴와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스위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적으로 스위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이퀄라이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퀄라이징을 위해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본체(200)의 하방에 장착되어 스탠드형으로 바닥(도 1의 G)에 놓인 상태에서, 전방에서 음압레벨을 측정한다. 도 12는 이퀄라이즈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주파수 응답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실선(S1)은 우퍼(도 6의 131a, 131b)의 음압 파형을 나타내며, 점선(S2)은 트위터(도 6의 135a, 135b)의 음압 파형을 나타낸다. 이퀄라이즈 전의 음압레벨를 측정한 후, 이를 토대로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를 설정한다. 도 13은 제1 이퀄라이징 모드(231)에서의 PEQ 값의 일례로서, 이퀄라이저 필터 계수가 주파수축에 대한 무한 임펄스 응답(Infinite impulse response; IIR)의 파형으로 도시된다. 실선(P1)은 우퍼(131a, 131b)에 대한 PEQ 값이며, 점선(P2)은 트위터(135a, 135b)에 대한 PEQ 값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PEQ 값을 설정하여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강조 및 약조 처리함으로써 이퀄라이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4에서 실선(S1')은 우퍼(131a, 131b)의 이퀄라이즈된 음압 파형을 나타내며, 점선(S2')은 이퀄라이즈된 트위터(135a, 135b)의 이퀄라이즈된 음압 파형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퀄라이즈된 우퍼(131a, 131b) 및 트위터(135a, 135b)의 합쳐진 음압 파형(S1'+S2')이 주파수 대역 전반에 결처 비교적 평평한 것을 볼 수 있다.
비슷하게 도 15 내지 도 17은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이퀄라이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퀄라이징을 위해 사운드 플레이트(100)가 본체(200)의 후방에 장착되어 본체(200)가 벅걸이형으로 벽면(도 3의 W)에 걸린 상태에서, 전방에서 음압레벨을 측정한다. 도 15는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이퀄라이즈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주파수 응답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5에서 실선(S1)은 우퍼(131a, 131b)의 음압 파형을 나타내며, 점선(S2)은 트위터(135a, 135b)의 음압 파형을 나타낸다. 도 16은 제2 이퀄라이징 모드(231)에서의 PEQ 값의 일례이다. 실선(P1)은 우퍼(131a, 131b)에 대한 PEQ 값이며, 점선(P2)은 트위터(135a, 135b)에 대한 PEQ 값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PEQ 값을 설정하여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강조 및 약조 처리함으로써 이퀄라이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7에서 실선(S1')은 이퀄라이즈된 우퍼(131a, 131b)의 음압 파형을 나타내며, 점선(S2')은 이퀄라이즈된 트위터(135a, 135b)의 음압 파형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퀄라이즈된 우퍼(131a, 131b) 및 트위터(135a, 135b)의 합쳐진 음압 파형(S1'+S2')이 주파수 대역 전반에 결처 비교적 평평한 것을 볼 수 있다.
종래의 하방 방사형(down-firing) 프론트 스피커의 경우, 하방으로 음향이 출력되므로, 고역의 음향을 PEQ로 증폭시키게 되면, 비선형적 왜곡(distortion)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최대음량에 도달하기 전에 앰프 포화(saturation)이 발생하여, PEQ 증폭의 효과에 한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사운드 플레이트(100)는,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 상태에 놓인 경우와 벽걸이형 상태에 놓인 경우에 각각 대응되는 이퀄라이징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적절한 이퀄라이징을 통해 우수한 저역신장과 명료도 높은 고역재생이 기대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다. 도 18은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 상태에 놓인 경우를 도시하며, 도 19는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 상태에 놓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사운드 플레이트(300), 본체(400) 및 체결유닛(3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체결유닛(390)은 접여지는 힌지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사운드 플레이트(30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체결유닛(390)은 힌지 구조를 가지며, 사운드 플레이트(300)를 본체(40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으로 놓인 경우의 사운드 플레이트(300)의 제1 배치와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걸린 경우의 사운드 플레이트(300)의 제2 배치는 체결유닛(390)의 회동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체결유닛(390)의 구체적인 힌지 구조나 힌지 형상은 본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제2 배치에서 본체(400)는 별도의 체결유닛(490)을 통해 벽면(W)에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벽면(W)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본체(400)에서 분리된 구조를 가지며, 스탠드형 배치 상태와 벽걸이형 배치를 상호 전환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또한, 스탠드형 배치 상태에서 사운드 플레이트(400)가 그라운드 평면 방사 조건을 만족하는 틈 방사형 스피커 시스템이 되며, 벽걸이형 배치 상태에서 사운드 플레이트(400)가 전명 방사형 스피커 시스템이 된다는 점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의 사운드 플레이트(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운드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310)와 플레이트(310) 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0a, 330b)을 포함한다. 플레이트(310)는 상판(311)과 하판(313)이 합체되어 평판형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상판(311)에는 체결유닛(도 18의 390)의 일부인 제1 체결부(390)가 마련된다. 제1 체결부(390)의 구체적인 구조는 체결유닛(390)의 구체적인 힌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상판(311)의 일부는 제거되어, 오픈된 영역(311a, 311b)이 된다. 오픈된 영역(311a, 311b)은 후술하는 우퍼(도 22c의 333a, 333b) 및 트위터(도 22c의 336a, 336b)의 음향 진동판들이 플레이트(3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제1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 오픈된 영역(311a, 311b)은 슬릿 커버(312a, 312b)로 덮여 진다.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제2 배치 상태에 놓인 경우, 즉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배치된 경우, 슬릿 커버(312a, 312b)는 제거되고, 오픈된 영역(311a, 311b)을 통해 우퍼(333a, 333b) 및 트위터(336a, 336b)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방출된다. 이러한 오픈된 영역(311a, 311b)은 그릴 커버(도 22c의 317)로 덮일 수 있다.
상판(311)과 하판(31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0a, 330b)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0a, 330b)은 나란히 좌우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0a, 330b)은 좌우 및 상하 반전되어 플레이트(3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대칭적인 구조를 지닌다. 제1 배치에서 제1 스피커 모듈(330a)은 좌측 스피커로 예정하며, 제2 스피커 모듈(330b)은 우측 스피커로 예정하며, 제2 배치에서 제1 스피커 모듈(330a)은 우측 스피커로 예정하며, 제2 스피커 모듈(330b)은 좌측 스피커로 예정한다.
도 21은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스피커 모듈(330a)은 상판(331a)과 하판(338b)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 우퍼 모듈(332a)과 트위터 모듈(335a)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측면에는 음향이 방출될 수 있는 복수의 틈(320)들이 마련된다. 복수의 틈(320)들은 우퍼 모듈(332a)과 트위터 모듈(335a)에 대응되어 2개가 마련되어, 음향들이 독립적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틈(320)들은 방출되는 음향의 파장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복수의 틈(320)의 음향 방출의 원점을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틈(320)들은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측면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틈(320)들은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제1 배치 상태에 놓인 경우에 그라운드 평면(ground plane) 방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하판(338)에는 오픈된 영역(339)이 마련되어, 우퍼(333a) 및 트위터(336a)의 음향진동판이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제1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 오픈된 영역(339)은 플레이트(310)의 하판(313)으로 덮여 진다.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제2 배치 상태에 놓인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모듈(330a)은 뒤집어져, 플레이트(도 20의 310)의 오픈된 우측 영역(도 20의 311b)과 일치하게 된다.
우퍼 모듈(332a)은 우퍼(333a)와 프레임(334a)을 포함할 수 있다. 우퍼(333a)는 음향 진동판이 하판(338)의 오픈된 영역(339)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프레임(334a)의 일측은 우퍼(333a)를 고정시키는 홀더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334a)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상판(331a)과 하판(338a)을 밀폐시키는 격벽 구조를 갖는다. 상판(331a)과 하판(338a) 사이의 프레임(334a)에 의해 밀폐된 공간은 우퍼(333a)에 출력되는 저음을 증폭시키는 인클로저로 기능하게 된다.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상판(331a)과 하판(338a)을 인클로저로 이용함에 따라, 사운드 플레이트(300)는 초박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저음에 의한 사운드 플레이트(300)의 자체진동을 억제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프레임(334a)은 제1 스피커 모듈(330a)의 상판(331a)과 하판(338a)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체로도 기능한다.
트위터 모듈(335a)은 트위터(336a)와 트위터 홀더(337a)를 포함할 수 있다. 트위터(336a) 역시 음향 진동판이 하판(338)의 오픈된 영역(339)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나아가, 트위터(135a, 135b)의 음향 진동판은 인접한 틈(320)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음향의 방사방향이 틈(320)들을 향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제2 스피커 모듈(330b)은 실질적으로 제1 스피커 모듈(330a)와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a 내지 도 22e는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스탠드형 배치에서 벽걸이형 배치로의 전환 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형 배치를 갖는 전자 기기에서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0a, 330b)을 사운드 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310)로부터 꺼낸다. 다음으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유닛(312a, 312b)를 플레이트(310)로부터 분리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커버유닛(312a, 312b)의 분리가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0a, 330b)의 인출에 앞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0a, 330b)을 좌우 및 상하로 반전시키고 플레이트(310)에 다시 장착시킨다. 즉, 좌측에 있던 제1 스피커 모듈(330a)은 뒤집으면서 플레이트(310)의 우측으로 장착시키고, 우측에 있던 제2 스피커 모듈(330b)은 뒤집으면서 플레이트(310)의 좌측으로 장착시킨다. 이 결과 도 2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10)의 오픈된 영역(311a, 311b)을 통해 우퍼(333a, 333b) 및 트위터(336a, 336b)의 음향진동판이 플레이트(310)의 외부로 노출된다. 플레이트(310)의 오픈된 영역(311a, 311b)은 그릴 커버(317)로 덮는다. 도 22d는 제1 배치에 있는 사운드 플레이트(300)가 그릴 커버(317)로 덮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2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플레이트(300)를 본체(400)의 후방으로 접어 전자 기기를 벽걸이형으로 전환시킨다. 나아가, 이 전자 기기가 벽걸이형으로 전환함에 따라, 전자 기기가 스탠드형일 때 사운드 플레이트(300)에 대해 최적화된 이퀄라이저의 조절값을 벽걸이형에 대해 최적화된 조절값으로 바꾼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벽걸이형 배치에서 스탠드형 배치로의 전환은 도 22a 내지 도 22e를 참조한 전환 방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의 전기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수용하는 평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하방에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본체에 대한 스탠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배치와,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하는 제2 배치가 상호 전환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배치에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전방쪽 측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틈을 통해 음향을 방출하는 틈 방사형이며,
    상기 제2 배치에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전방 쪽 일부가 오픈되어 오픈된 영역을 통해 음향이 방출되는 전면 방사형인 전자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틈은,
    상기 제1 배치를 기준으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측면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배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틈에서 방출되는 음향이 그라운드 평면 방사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음향 진동판이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오픈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된 전자 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치에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오픈된 영역은, 상기 제2 배치에서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전자 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별로 음향의 강조 또는 약조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배치에 대응하는 제1 이퀄라이징 모드와 상기 제2 배치에 대응하는 제2 이퀄라이징 모드를 가지는 이퀄라이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인 전자 기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퀄라이징 모드와 상기 제2 이퀄라이징 모드는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배치 및 상기 제2 배치 상호간의 전환에 따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상호 전환되는 전자 기기.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배치에서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하방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체결유닛과, 상기 제2 배치에서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는,
    제1 평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이 향하는 영역은 오픈된 제2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평판의 오픈된 영역은 상기 제1 배치에서 슬릿 커버로 탈착가능하게 덮어지며, 상기 제2 배치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그릴 커버로 덮어지는 전자 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유닛은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제1 평판을 상기 본체의 하방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며, 상기 제2 체결유닛은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제2 평판을 상기 본체의 후면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전자 기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공간에 나란히 배치된 우퍼 모듈과 트위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 모듈은,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상판과 하판을 밀폐시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상판과 하판이 상기 우퍼 모듈의 인클로저로 기능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 모듈과 트위터 모듈은 좌우 하나씩 쌍으로 배치되는 전자 기기.
  15.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배치에서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펴고, 상기 제2 배치에서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접는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되는 전자 기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각각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좌우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치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제1 배치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이 좌우 및 상하 반전하여 장착된 전자 기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 내에 각각 설치되는 우퍼와 트위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의 외부로 노출된 전자 기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제1 배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이 노출된 영역이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제2 배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의 음향 진동판이 노출된 영역이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오픈된 영역과 일치하도록,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전자 기기.
KR1020100009640A 2010-02-02 2010-02-02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 KR10163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40A KR101631275B1 (ko) 2010-02-02 2010-02-02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13/019,364 US8447052B2 (en) 2010-02-02 2011-02-02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ound plate switchable between stand type and ha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40A KR101631275B1 (ko) 2010-02-02 2010-02-02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63A KR20110090063A (ko) 2011-08-10
KR101631275B1 true KR101631275B1 (ko) 2016-06-16

Family

ID=4434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640A KR101631275B1 (ko) 2010-02-02 2010-02-02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47052B2 (ko)
KR (1) KR101631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435A (ko) * 2013-07-05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719A (ko) * 2008-12-09 2011-09-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의 음향 출력을 조정하는 방법
US9407984B2 (en) * 2011-02-24 2016-08-02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quality
KR102023189B1 (ko) * 2013-07-03 2019-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060678A1 (en) 2013-10-24 2015-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KR102293654B1 (ko) * 2014-02-11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84981B1 (ko) * 2015-11-24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모듈,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37264B1 (ko) * 2018-01-25 202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587951B1 (en) * 2018-09-13 2020-03-10 Plantronics, Inc. Equipment including down-firing speaker
CN111787456B (zh) * 2020-07-15 2022-06-07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声道切换组件及电子设备
KR102380631B1 (ko) * 2021-06-08 2022-04-01 (주)세아메카닉스 벽밀착형 스탠드 및 플로우 스탠드 공용화 tv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378A (ja) 2001-09-14 2003-03-20 Toshiba Corp 移動体情報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9801518A (es) * 1995-09-02 1998-05-31 New Transducers Ltd Vehiculo para pasajeros que incorporan altavoces que comprenden elementos acusticos radiantes en forma de panel.
JP3388111B2 (ja) * 1996-10-24 2003-03-17 富士通株式会社 スピーカ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EP1617699A3 (en) * 2004-07-12 2013-11-27 Sony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stand and speaker apparatus
KR20080063681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378A (ja) 2001-09-14 2003-03-20 Toshiba Corp 移動体情報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435A (ko) * 2013-07-05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820092B2 (en) 2013-07-05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multi channel audio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2201870B1 (ko) * 2013-07-05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63A (ko) 2011-08-10
US8447052B2 (en) 2013-05-21
US20110188679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275B1 (ko) 스탠드-벽걸이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플레이트를 채용한 전자 기기
KR101632299B1 (ko) 사운드 플레이트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8477966B2 (en) In-wall sub-woofer with high-volume displacement
WO2011052543A1 (ja) スピーカ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CA2442180A1 (en) Asymmetrical loudspeaker enclosures with enhanced low frequency response
JP2009267577A (ja) 薄型表示装置
JP5215299B2 (ja) 少なくとも2つのスピーカ装置と、音声コンテンツ信号を処理するための1つのユニットとを有するスピーカシステム
AU2003212436A1 (en) Elliptical flushmount speaker
US20080159572A1 (en) Multiple Loudspeaker Device
JPH11122560A (ja) スピーカー振動防止装置を有するテレビ
JPH03147498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CN112788492B (zh) 显示装置及扬声器组件
JP2003204587A (ja) 薄型の平面画像表示装置
US20150146898A1 (en) Sound field supporting device and sound field supporting system
JP2011087146A (ja) スピーカを備えた表示装置
JPH03106298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CN216134563U (zh) 条形音箱及显示设备
JP2004048168A (ja) スピーカを備えた置き台
CN216057392U (zh) 条形音箱及显示设备
JP3126343U (ja) スピーカ装置
JP2010004384A (ja) スピーカ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2004282310A (ja) スピーカ装置
JPH01152899A (ja) 平面スピーカー体型av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