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744B1 - 꽃게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꽃게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744B1
KR101627744B1 KR1020140061823A KR20140061823A KR101627744B1 KR 101627744 B1 KR101627744 B1 KR 101627744B1 KR 1020140061823 A KR1020140061823 A KR 1020140061823A KR 20140061823 A KR20140061823 A KR 20140061823A KR 101627744 B1 KR101627744 B1 KR 10162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b
receiving
unit
weighing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11A (ko
Inventor
이재향
Original Assignee
이재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향 filed Critical 이재향
Priority to KR102014006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7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꽃게 분류장치는, 꽃게를 수용하기 위한 꽃게수용부재와,상기 꽃게수용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수량을 센싱하기 위한 인입부재와,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와, 측정된 무게에 따라 꽃게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부재와, 각종 신호를 입력받고 전체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해 꽃게의 무게를 측정하고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 분류작업에 의한 비용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고, 2개 이상의 꽃게가 투입으로 무게 측정에 대한 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 분류장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꽃게가 꽃게 분류장치 내에서 이동하거나 분류할 때 꽃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고, 꽃게 분류장치 내에 해수가 고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꽃게 무게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꽃게 분류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꽃게 분류장치 {SEAFOOD SORTING APPATATUS}
본 발명은 꽃게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꽃게를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면서도, 꽃게 분류시 꽃게가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꽃게 분류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굴, 전복 또는 꽃게와 같은 해산물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해산물을 무게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꽃게의 경우 종래 무게에 따른 꽃게 분류작업은 대부분 숙련된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숙련된 인력에 의할 경우 대강의 크기 판별 후 무게 및 손상의 정도에 따라 꽃게를 일일이 분류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분류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숙련 인력의 부재 및 많은 인력 소모에 따른 인건비 문제로 인해 꽃게 전체 가격을 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꽃게 등급 분류의 객관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꽃게를 팔고자 하는 어민들과 사고자 하는 도매상 또는 분류 작업자 간의 끊임없는 시비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분류 작업에 장시간 소모됨에 따라 꽃게의 신선도가 저하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꽃게의 무게를 측정하고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 분류작업에 의한 비용상승 및 어민들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꽃게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 개 이상의 꽃게가 동시에 저울부분에 투입될 경우 무게 측정에 대한 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 분류장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꽃게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게가 꽃게 분류장치 내에서 이동하거나 분류될 때 꽃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꽃게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게 분류장치 내에 해수가 고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꽃게 무게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꽃게발 등이 장치 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꽃게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꽃게 분류장치는 꽃게를 수용하기 위한 꽃게수용부재와, 상기 꽃게수용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수량을 센싱하기 위한 인입부재와,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와, 측정된 무게에 따라 꽃게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부재와, 각종 신호를 입력받고 전체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꽃게의 분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부재 상에 이미 꽃게가 놓여져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동안 또 다른 꽃게가 상기 인입부재에 의해 상기 무게측정부재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입부재에 의한 꽃게의 이송을 잠시 중단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꽃게수용부재는 상기 꽃게수용부재의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꽃게가 담긴 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로부터 꽃게를 공급받아 꽃게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부는 꽃게가 담긴 용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선반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개폐가능한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입부재는 상기 꽃게수용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인입부재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제 1 이송부와, 상기 꽃게수용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수량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무게측정부재는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무게측정부재 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제 2 이송부와,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류부재는 상기 무게측정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분류부재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제 3 이송부와, 상기 제 2 이송부로 인입된 꽃게를 무게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꽃게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제 3 이송부상에 이송되는 꽃게를 상기 수거부 쪽으로 선택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는 하단부에 선별되는 꽃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이송부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 띄워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모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모방지부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이송부, 제 2 이송부, 제 3 이송부 중 어느 하나는 이송되는 꽃게가 놓여지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와 벨트로 연결되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구동보조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보조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벨트지지부재와, 상기 벨트상에서 이송되는 꽃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지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환형 또는 사각단면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 또는 상기 구동보조부재의 양측 끝에 배치되는 원판디스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벨트와 상기 가이드 사이는 접촉에 의한 마찰이 생기지 않음과 동시에 꽃게가 빠지거나 끼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꽃게를 수용하기 용이한 각도로 이루어진 포섭부와, 상기 포섭부와 연결되며 상기 벨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꽃게의 무게를 측정하고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 분류작업에 의한 비용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어민과 매입도매상, 분류작업자들 간의 잦은 시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꽃게가 투입됨으로 인해 무게 측정에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꽃게가 꽃게 분류장치 내에서 이동하거나 분류될 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꽃게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꽃게 분류장치 내에 해수가 고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꽃게 무게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꽃게발 등이 장치 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류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꽃게 분류장치의 전체 사시 사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분류장치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분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입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상기 인입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인입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상기 분류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상기 회동부재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꽃게 분류장치의 전체 사시 사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분류장치의 내부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분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입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인입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인입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측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10 은 상기 분류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2 는 상기 회동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되는 꽃게 분류장치(1000)는, 꽃게를 수용하기 위한 꽃게수용부재(100)와, 상기 꽃게수용부재(100)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수량을 센싱하기 위한 인입부재(200)와, 상기 인입부재(200)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300)와, 측정된 무게에 따라 꽃게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부재(400)와 각종 신호를 입력받고 전체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꽃게 분류장치(1000)는 현재 분류중인 꽃게의 중량, 중량에 따른 등급표시, 전체 및 각 등급의 누적개수, 누적중량 등의 분류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0)는 상기 제어부(220)에 포함되어 장치의 정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220)를 통해 현재 분류진행 중인 꽃게의 정보와 분류완료된 꽃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꽃게 분류장치(1000)는 중량 초과 또는 미달로 인해 분류부재(400)에 의해 분류되지 않은 꽃게가 수거되는 미분류수거부재(7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분류수거부재(700)는 중량 미달 또는 지나친 손상 등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급 이외의 꽃게들을 수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분류부재(400)의 후단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류부재(400)는 선별부(420)와 수거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꽃게수용부재(100)의 선반부(110)에 꽃게가 담긴 용기(114)를 올려놓고 꽃게수용부재(100)의 수용부(130)에 꽃게를 옮겨 담은 다음, 작업자가 개방부(140)에 위치하여 수용부(130)에 있는 꽃게를 인입부재(200)에 이동시키면, 상기 인입부재(200)에서 꽃게의 위치를 체크하고 무게측정부재(300)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무게측정부재(300) 상에 이미 꽃게가 놓여져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동안 또 다른 꽃게가 상기 인입부재(200)에 의해 상기 무게측정부재(300)로 이송되는 경우 즉, 상기 인입부재(200)의 컨베이어 이송 속도를 계산하여 상기 무게측정부재(300) 상에 동시에 두 마리 이상의 꽃게가 놓여질 것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상기 인입부재(200)에 의한 꽃게의 이송을 잠시 중단시킨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부재(300)에 의한 꽃게 무게 측정이 완료되어 상기 분류부재(400) 쪽으로 꽃게가 이송된 이후에 상기 인입부재(200) 상의 꽃게를 상기 무게측정부재(300)쪽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동시에 두마리 이상의 꽃게가 상기 무게측정부재(300) 상에 놓여짐으로 인해 무게 측정의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게측정부재(300)에서 측정된 무게에 따라 미리 설정된 등급분류에 따라 꽃게의 등급이 결정되어 분류부재(400)로 이송된다.
이후, 상기 분류부재(400)의 선별부(420)에 의해 등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류되어 각각의 등급에 따라 수거부(430)로 옮겨진다.
상기 수거부(430)는 꽃게의 무게 등급에 따라 분류된 꽃게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선별부(420)에 의해 선별 이송된 꽃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꽃게수용부재(100)는 상기 꽃게수용부재(100)의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12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일측에 배치되며 꽃게가 담긴 용기(114)를 거치하기 위한 선반부(110)와, 상기 선반부(110)로부터 꽃게를 공급받아 꽃게를 수용하는 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130) 내에 수용된 꽃게 중에서 육안으로 판별하여 매우 손상되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꽃게는 개방부(140)쪽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꽃게수용부재(100)에서 상기 수용부(130)는 놓여지는 수평 각도를 다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130) 상에 수용되는 꽃게의 이동 및 해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130)의 수평 각도는 상기 프레임부(120)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부(110)는 꽃게가 담긴 용기(114)의 일측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용기(114)를 선반(111)에 올려놓고 거치유닛(112)에 상기 용기(114)의 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을 거치시키고, 상기 용기(114)의 좌측 하부를 상기 거치유닛(11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용기(114)를 용이하게 들어올려 상기 수용부(130)에 꽃게를 손쉽게 옮겨 담을 수 있다.
상기 거치유닛은 'ㄴ'형상의 걸림턱 형상이나 집게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용기(114)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용기(114)를 회전시켜 꽃게를 상기 수용부(130)에 부을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일 수 있으면 되고,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입부재(200)는 꽃게수용부재(100)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인입부재(200)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꽃게수용부재(100)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수량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예를 들어 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인입부재(200) 상으로 이송되는 꽃게의 갯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무게측정부재(300) 상에 꽃게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인입부재(200) 상에서 이송되는 꽃게가 추가적으로 상기 무게측정부재(300)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를 재빨리 멈추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무게측정부재(300) 상에는 항상 한 마리의 꽃게가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는 모터와 이에 연결되는 회전축 및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게측정부재(300)는 상기 인입부재(200)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무게측정부재(300)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인입부재(200)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측정부는 꽃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저울 또는 디지털 중량계 등일 수 있다.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인입부재(200)에서 이송된 꽃게가 상기 무게측정부재(300)의 컨베이어 벨트(미도시) 상에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무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무게측정부재(300)의 이송부도 상기 인입부재(200)의 이송부와 동일하게 모터와 이에 연결되는 회전축 및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분류부재(400)는 상기 무게측정부재(300)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분류부재(400) 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 인입된 꽃게를 무게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부(420)와, 상기 선별부(420)에 의해 분류된 꽃게를 수거하는 수거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부(420)는 상기 분류부재(400) 상의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꽃게를 상기 수거부(430) 쪽으로 선택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421)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부재(400)의 이송부도 상기 인입부재(200) 또는 무게측정부재(300)의 이송부와 동일하게 모터와 이에 연결되는 회전축(411) 및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421)는 그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거부(430)쪽으로 꽃게를 밀어낼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421)는 하단부에 선별되는 꽃게가 끼이거나, 꽃게의 손상을 방지하되, 꽃게가 빠져나가지 않을 만큼 이송부의 컨베이어 벨트(413)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띄울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상기 벨트(413) 상에서 이동하는 꽃게의 분류시 포섭이 용이하도록 벨트(413)가 움직이는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형상, 즉 꽃게를 안는 형상으로 굽혀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 12 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421)는 선별되는 꽃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이송부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 띄워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420)는 몸체부(421)와 상기 몸체부(421)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모방지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421)는 무게의 감소를 위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모방지부(422)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42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421)가 꽃게로 인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420)가 회전되는 경우 콘베이어의 이송 속도에 의해 꽃게가 상기 회동부재(420)의 축쪽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의 축쪽 부근에 꽃게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421)의 하부 내측(424)에는 상기 마모방지부(422)가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421)는 상기 분류부재(400) 상의 이송 속도를 고려하여 회동을 상기 제어부에서 조절한다.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인입부재(200), 무게측정부재(300), 분류부재(400)는 각각 꽃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이송부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하 함께 설명한다.
상기 이송부는 이송되는 꽃게가 놓여지는 벨트(213,313,413)와, 상기 벨트(213,313,413)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213,313,413)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11,311,411)와, 상기 구동부재(211,311,411)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재(211,311,411)와 벨트(213,313,413)로 연결되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구동보조부재(212,312,412)와, 상기 구동부재(211,311,411)와 상기 구동보조부재(212,312,41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벨트지지부재(214,314,414)와, 상기 벨트(213,313,413)상에서 이송되는 꽃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260,360,46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현재 상용화된 시스템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벨트지지부재(214,314,414)는 상기 벨트(213,313,413)를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하되, 상기 벨트(213,313,413)가 이동함에 있어 상기 벨트(213,313,413)와 벨트지지부재(214,314,414)간의 기동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해수가 고이지 않도록 원형 또는 사각단면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벨트(213,313,413)의 이송 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벨트(213,313,413)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재(211,311,411)는 전기 모터가 연결된 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213,313,413)가 상기 구동부재(211,311,411)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동될 경우, 상기 벨트(213,313,413)가 한 쪽으로 치우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부재가 배치된 부분에 꽃게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재(211,311,411) 또는 상기 구동보조부재(212,312,412)의 양측에 원판디스크(215,315,415)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260,360,460)는 꽃게가 부재 간 이동이 있을 경우 꽃게의 포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벨트(213,313,413)의 바깥 방향으로 펼쳐진 형상을 하고 있는 포섭부(261,361,461)와, 상기 벨트(213,313,413) 상에서 꽃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부(262,362,462)를 구비한다.
상기 포섭부(261,361,461)는 꽃게가 부재 간에 이동할 경우, 꽃게가 이탈하는 것을 막고 용이하게 꽃게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깔대기 형상의 상부구조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안내부(262,362,462)와 벨트(213,313,413) 사이에는 상기 벨트(213,313,413)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0.5 mm 내지 2 mm)을 두되, 꽃게가 그 사이에 빠져서 손상을 입거나, 끼지 않도록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262, 362, 462)의 상부와 하부에는 벨트의 중심부 쪽으로 꽃게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안내부(261, 26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 에서 꽃게 이송방향의 하부에 배치되는 유도안내부(265)에 의해 꽃게가 롤러축에 끼임으로써, 전체 이송부가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꽃게수용부재
110: 선반부
120: 프레임부
130: 수용부
140: 개방부
200: 인입부재
220: 제어부 (표시부 포함)
300: 무게측정부재
400: 분류부재
420: 선별부
421: 회동부재
422: 끼임방지부재
430: 수거부
700: 미분류수거부재

Claims (19)

  1. 꽃게를 수용하기 위한 꽃게수용부재;
    상기 꽃게수용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수량을 센싱하기 위한 인입부재;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
    측정된 무게에 따라 꽃게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부재;
    각종 신호를 입력받고 전체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부재는 상기 꽃게수용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인입부재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제 1 이송부;
    상기 꽃게수용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수량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측정부재는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무게측정부재 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제 2 이송부;
    상기 인입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부재는 상기 무게측정부재로부터 이송된 꽃게를 상기 분류부재상에서 이송하기 위한 제 3 이송부;
    상기 무게측정부재로부터 인입된 꽃게를 무게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꽃게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부는 상기 제 3 이송부 상에 이송되는 꽃게를 상기 수거부 쪽으로 선택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부는 선별되는 꽃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이송부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 띄워져 배치되며,
    상기 회동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모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축에서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송부, 제 2 이송부, 제 3 이송부 중 어느 하나는 이송되는 꽃게가 놓여지는 벨트;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와 벨트로 연결되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구동보조부재;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보조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벨트지지부재;
    상기 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꽃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꽃게를 수용하기 용이한 각도로 이루어진 포섭부;
    상기 포섭부와 연결되며 상기 벨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에는 벨트의 중심부 쪽으로 꽃게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안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꽃게의 분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부재 상에 이미 꽃게가 놓여져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동안 또 다른 꽃게가 상기 인입부재에 의해 상기 무게측정부재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입부재에 의한 꽃게의 이송을 잠시 중단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꽃게수용부재는 상기 꽃게수용부재의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꽃게가 담긴 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선반부;
    상기 선반부로부터 꽃게를 공급받아 꽃게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꽃게가 담긴 용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모방지부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지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환형 또는 사각단면의 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 또는 상기 구동보조부재의 양측 끝에 배치되는 원판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와 상기 가이드 사이는 접촉에 의한 마찰이 생기지 않음과 동시에 꽃게가 빠지거나 끼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 분류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0061823A 2014-05-22 2014-05-22 꽃게 분류장치 KR10162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23A KR101627744B1 (ko) 2014-05-22 2014-05-22 꽃게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23A KR101627744B1 (ko) 2014-05-22 2014-05-22 꽃게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11A KR20150134711A (ko) 2015-12-02
KR101627744B1 true KR101627744B1 (ko) 2016-06-07

Family

ID=5488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823A KR101627744B1 (ko) 2014-05-22 2014-05-22 꽃게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79B1 (ko) * 2020-12-21 2021-07-22 주식회사 씨앤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179Y2 (ja) * 1991-05-09 1997-05-21 大和製衡株式会社 計量装置の物品相載り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89B1 (ko) * 2009-05-15 2011-12-21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179Y2 (ja) * 1991-05-09 1997-05-21 大和製衡株式会社 計量装置の物品相載り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11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0893A (zh) 一种称重扫描测体三位一体机
KR200438754Y1 (ko) 과일 선별기
KR102442707B1 (ko)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EP3326940A2 (en) A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KR20130114216A (ko) 조합 저울
SE1351194A1 (sv) Ett transportbandsystem för en utcheckningsdisk
KR101096789B1 (ko)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CN209921746U (zh) 面膜包装袋空袋检测机
KR101627744B1 (ko) 꽃게 분류장치
JP5838722B2 (ja) 空容器回収装置
EP1083008B1 (en) Conveyor system for sorting according to weight and optical properties
KR10068208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 검출장치
KR102171867B1 (ko)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KR20110123707A (ko)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US10954080B1 (en) Automatic conversion station
WO2020216778A1 (en) Waste sorting unit, system, method and use for sorting waste
JP5472140B2 (ja) 物品移載装置および物品移載方法
JPH05507434A (ja) 目的物を分類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S5992315A (ja) 卵計量装置
CN205042756U (zh) 一种称重分选装置
KR101393685B1 (ko) 로터리 배출장치의 행잉슈트
JP4912062B2 (ja) バケット式選別装置
JPH0731140Y2 (ja) 活きうなぎまたは活きあなご用計量装置
JP5472139B2 (ja) 物品移載装置および物品移載方法
CN217971310U (zh) 多功能货物分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