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478B1 - 차량 사고 통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사고 통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478B1
KR101623478B1 KR1020100024317A KR20100024317A KR101623478B1 KR 101623478 B1 KR101623478 B1 KR 101623478B1 KR 1020100024317 A KR1020100024317 A KR 1020100024317A KR 20100024317 A KR20100024317 A KR 20100024317A KR 101623478 B1 KR101623478 B1 KR 10162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microcomputer
auxiliary battery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196A (ko
Inventor
임상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4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사고 통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으로 동작하는 차량 사고 통보 장치는 보조 배터리, 턴온되면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변환하여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컨버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기준 전압 미만이면 컨버터를 턴온시키고,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이 기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인가시켜 동작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사고 통보 장치{Apparatus for Reporting Accident}
본 발명은 차량 사고 통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사고 통보 장치의 보조 전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사고 통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 안테나부(12), 마이크부(13), 버튼부(14) 및 음성 출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1)는 H/U일 수 있고,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안테나부(12)는 CDMA, WCDMA, GSM 같은 무선 통신 접속을 위한 RF 입출력부와, 자차 위치 확인을 위한 GPS RF 입력부를 포함한다.
마이크부(13)는 마이크로 폰일 수 있고, 음성 통화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버튼부(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음성 출력부(15)는 앰프와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고, 상대방 음성을 출력한다.
전술한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는 에어백(16)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자차 위치를 확인한 후 긴급 구난 센터로 송부한다.
또한,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는 운전자가 직접 구난 센터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는 차량 전원(배터리, B+)에서 전압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 전력이 출력될 경우, 전술한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며, 차량 전원(배터리)에서 전압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지 않은 전력이 출력될 경우, 동작 수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에 보조 배터리를 포함시켜 구성한다 하더라도 자연 발전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수명은 일시적이므로, 방전되면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는 동작 수행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력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차량 사고를 통보할 수 있는 차량 사고 통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으로 동작하는 차량 사고 통보 장치는 보조 배터리; 턴온되면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컨버터; 및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컨버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이 기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인가시켜 동작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력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차량 사고를 통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구동 전력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차량 사고를 통보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사고 통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의 동작 모드별 전원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110), 컨버터(120), 마이컴(130), 전원 분배부(140), 스위치(150), 마이컴 전원부(160)를 포함하고,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으로 보조 배터리(110)를 충전시키며, 차량 사고에 의해서 차량 전원, 즉 차량 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충전된 보조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보조 배터리(110)는 차량 배터리(200)와는 별개의 배터리로 차량 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차량 배터리(200)를 대신해서 전원 분배부(140)로 충전된 전력을 인가시킨다.
컨버터(120)는 턴온되면 차량 전원, 즉 차량 배터리(20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변환하여 보조 배터리(110)를 충전시킨다.
마이컴(130)은 보조 배터리(110)에 충전된 전력의 전압을 확인하고, 확인결과 기준 전압 미만이면 컨버터(120)를 턴온시켜 차량 배터리(200)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보조 배터리(110)가 충전되도록 한다.
또한, 마이컴(130)은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이 기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보조 배터리(110)에 충전된 전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예컨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여 차량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마이컴(130)은 보조 배터리(110)에 충전된 전력이 전원 분배부(140)에 인가되도록 스위치를 턴온시킨다.
전원 분배부(140)는 인가된 전력을 분배한다.
스위치(150)는 턴온되면 충전된 보조 배터리(110)의 전력이 전원 분배부(140)에 인가되도록 전원 분배부(140)와 보조 배터리(110)를 연결시킨다.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버터(120)는 보조 배터리(110)의 입력단을 보호한다. 즉, 컨버터(120)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과전압의 전력이 인가되더라도 전압을 적정 수준으로 변환시킨 전력을 보조 배터리(110)에 공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조 배터리(110)는 차량 배터리(200)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충전될 수 있고, 방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110)의 전력 충전 회로는 다이오드(D1)와 컨버터(120)를 포함하고, 컨버터(120)의 동작 유무는 마이컴(130)에 의해 제어된다.
차량 사용자에 의해 차량 전원이 오프된 경우(ACC 오프), 차량 배터리(200)와 보조배터리(11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는 최소 전류 소모 모드로 진입한다. 즉, 마이컴(130)은 차량의 ACC 신호를 검출하여 ACC 오프이면 스위치(150)와 컨버터(120)를 오프시킨다. 또한, 마이컴(130)은 차량 배터리(200)의 탈거 여부를 저항(R1)과 저항(R2)에 걸린 전압을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마이컴(130)은 검출된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내려가면 차량 배터리(200)가 탈거된 것으로 인식한다. 마이컴(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컴 전원부(160)는 다이오드(D2)와, 다이오드(D3)에 의해서 Oring 되어 있다. 마이컴 전원부(160)는 마이컴 전원이 상시 전원으로서 동작하도록, 즉 마이컴(130)에 전력이 지속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다이오드(D2) 또는 다이오드(D3)를 통과하여 인가된 전력의 전압을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마이컴(130)에 공급한다.
다이오드(D2)와 다이오드(D3)가 Oring 되어 있는 이유는 차량 배터리(200)에 역전압이 걸리거나 차량 배터리가 short되더라도 보조 배터리(110)의 전력이 차량 측으로 sinking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이오드(D1)는 차량 배터리(200)에 역전압이 걸렸을 때 컨버트(120)를 보호한다. 마이컴(130)은 저항(R3)과 저항(R4)에 걸린 전압을 검출하는 것으로 보조 배터리(110)의 전압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보조 배터리(11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스위치(150)는 마이컴(130)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되며 ACC 오프시 보조 배터리(11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프된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사고 통보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의 동작 모드별 전원 시퀀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통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동작 모드에서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0)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마이컴(130)은 차량의 ACC가 온 또는 오프되었는지를 확인한다(S401).
차량의 ACC가 온된 경우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 전력이 인가되어 다이오드(D1)와 마이컴(130)에 공급되는 상태이다.
마이컴(130)은 차량의 ACC가 온된 경우, 컨버터(120)와 스위치(150)를 턴온시킨다(S403).
컨버터(120)는 턴온될 경우,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으로 보조 배터리(110)를 충전시키고, 스위치(150)는 턴온될 경우, 충전된 보조 배터리(110)의 전력을 전원 분배부(140)에 인가시킨다.
전원 분배부(140)는 인가된 전력을 CPU, 메모리, 모뎀 등의 구동에 적합한 구동 전압으로 분배하여 공급한다. 이때 다이오드(D3)는 보조 배터리(110)의 전압이 차량 배터리(200)의 전압보다 낮으므로 오프되어 충전된 보조 배터리(110)의 전력이 마이컴 전원부(16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2)번 동작 모드에서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0)의 동작은 (1)번 동작 모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3-1)번 동작 모드에서 차량은 시동이 걸린다. 시동이 걸린 경우, ACC는 오프되고, IGN1은 온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3-1)번 동작 모드에서도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0)는 (1)번 동작 모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마이컴(130)은 차량 배터리(200)의 전압을 검출하고(S404), 검출결과 차량 배터리(200)의 전압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보조 배터리(110)의 전압을 검출한다(S405).
검출결과 보조 배터리(110)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미만일 경우, 마이컴(130)은 스위치(150)를 오프시키고, 컨버터(120)를 턴온 시킨다(S406). 보조 배터리(110)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을 유지할 경우, 마이컴(130)은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컨버터(120) 또한 오프시킨다(S407).
차량 배터리(200)의 전압이 일정 수준 미만일 경우, 마이컴(130)은 스위치(150)를 온 시키고, 컨버터(120)를 오프시킨다(S408). 이때 차량 배터리(200)에 전압 강하가 발생하므로 다이오드(D1)와 다이오드(D2)는 다이오드 역전압이 인가되어 자동 오프된다.
즉, (3-1) ~ (3-2)번 동작 모드 사이에서 다이오드(D1)와 다이오드(D2)는 오프되고, 다이오드(D3)는 턴온되며, 스위치(150) 또한 턴온되므로, 마이컴 전원부(160) 및 전원 분배부(140)는 보조 배터리(110)에 의해 동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차량 배터리(200)에 전압 강하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므로 차량 사고 통보 장치(100)는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4)번 동작 모드에서 마이컴(130)은 ACC, IGN, 차량 배터리(200)를 체크한다. 차량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일정 수준의 전압을 유지하고 ACC, IGN1만 오프 되었으므로 마이컴(130)은 스위치(150)와 컨버터(120)만 오프시킨다. 컨버터(120)를 오프시키는 이유는 ACC가 오프된 상태에서 슬립 전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5)번 동작 모드에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여 차량 전원(배터리)으로부터 전압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다. 이때 마이컴(130)은 에어백을 체크하고, 에어백으로부터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차량이 오케이면), 스위치(150)를 턴온된 상태로 1분 미만으로 유지한 후(S410), 다시 턴오프 시킨다(S411).
에어백으로부터 신호가 발생하면(차량 사고 발생), 스위치(150)는 턴온시키고, 컨버터(120)는 오프시킨다(S412). 다이오드(D1)와 다이오드(D2)는 오프된다.
마이컴(130)은 보조 배터리(110)의 전압을 체크하여(S413) 기설정된 수준 미만일 때까지, 즉 보조 배터리(110)가 방전될 때까지 전원 분배부(140)로 충전된 전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 사고 통보 장치
110 : 보조 배터리
120 : 컨버터
130 : 마이컴
140 : 전원 분배부
150 : 스위치
160 : 마이컴 전원부

Claims (4)

  1.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으로 동작하는 차량 사고 통보 장치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
    턴온되면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컨버터;
    상기 차량 전원에 역전압 인가시 상기 컨버터를 보호하는 제 1 다이오드;
    상기 인가된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부;
    턴온되면 상기 전원 분배부와 상기 보조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스위치;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컨버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이 기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인가시켜 동작하도록 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컴 전원부가 상시적으로 상기 마이컴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 2 및 제 3 다이오드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차량 전원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컨버터를 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에 역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오드를 자동으로 오프시키고, 상기 제 3 다이오드는 턴온시키는 것인
    차량 사고 통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전원 분배부에 인가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것
    인 차량 사고 통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온시켜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되,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전압을 유지하면, 턴온된 상기 스위치를 다시 턴오프 시키는 것
    인 차량 사고 통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에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가 턴온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에 공급하는 마이컴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차량 사고 통보 장치.






KR1020100024317A 2010-03-18 2010-03-18 차량 사고 통보 장치 KR101623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317A KR101623478B1 (ko) 2010-03-18 2010-03-18 차량 사고 통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317A KR101623478B1 (ko) 2010-03-18 2010-03-18 차량 사고 통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96A KR20110105196A (ko) 2011-09-26
KR101623478B1 true KR101623478B1 (ko) 2016-05-23

Family

ID=4495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317A KR101623478B1 (ko) 2010-03-18 2010-03-18 차량 사고 통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486A (ko) * 2012-02-08 2013-08-19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용 자기진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정보 처리방법과 기록매체
KR101334757B1 (ko) * 2012-11-22 2013-11-29 주식회사 케이엘텔레시스 차량 상태 정보 모니터링 장치
KR102116026B1 (ko) * 2013-11-28 2020-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전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40948A (ko) 2015-10-06 2017-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vn의 동작 방법, avn, 이를 장착하는 차량
KR20220104087A (ko) 2021-01-17 2022-07-26 차병갑 테스트용 차량 성능 측정기기의 재부팅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698A (ja) * 2000-08-24 2002-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8213714A (ja) * 2007-03-06 2008-09-18 Denso Corp 車載緊急通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698A (ja) * 2000-08-24 2002-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8213714A (ja) * 2007-03-06 2008-09-18 Denso Corp 車載緊急通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96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478B1 (ko) 차량 사고 통보 장치
EP3154039B1 (en) Method for operat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avn) system, av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7868742B2 (en) On-board emergency reporting apparatus and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the same
JP2008213714A (ja) 車載緊急通報装置
EP3326855B1 (en) A battery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US9463775B2 (en) Vehicular emergency reporting device
JPH11266549A (ja) 電圧供給装置
KR101231976B1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120030B (zh) 无线充电器以及电子设备遗忘提醒方法
JP2008114678A (ja) 車両用電源装置
JP5685758B2 (ja) 車両用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CN102050028B (zh) 车载电源管理装置及方法
KR101831136B1 (ko) Avn의 동작 방법, avn, 이를 장착하는 차량
KR20100011564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전원공급 장치
KR102116026B1 (ko) 차량 배터리 전원 장치 및 그 방법
JP2003319567A (ja) 充電装置及び盗難防止装置
JP3091669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834530B1 (ko) 차량용 전원 보조 공급 장치
JP2000092750A (ja) 電源回路
JP2003293914A (ja) 車載電子装置
KR100693646B1 (ko) 차량의 배터리 단자 결선 감지 방법
JPH09283186A (ja) 電子機器及び二次電池の放電方法
KR20070005272A (ko) 충전시 과전압 방지장치
KR20010044543A (ko) 차량용 핸즈프리 전원차단알람장치
KR200340878Y1 (ko) 자동차의 배터리상태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