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585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585B1
KR101621585B1 KR1020127012744A KR20127012744A KR101621585B1 KR 101621585 B1 KR101621585 B1 KR 101621585B1 KR 1020127012744 A KR1020127012744 A KR 1020127012744A KR 20127012744 A KR20127012744 A KR 20127012744A KR 101621585 B1 KR101621585 B1 KR 101621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portion
back side
side concave
disposable diaper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655A (ko
Inventor
도모미 오쿠
사토루 사카구치
히데키 마츠시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체(130)의 이면 시트(120)측 표면에는 표면 시트(110)를 향해 오목한 이면측 오목부(135)가 제공된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흡수체(130)의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인 복수의 홈(135a, 135b)을 포함한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일회용 기저귀(1)의 사용 전 상태에서 이면 시트(120)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고, 이면측 오목부(135)의 깊이(D)는 흡수체가 액체 흡수시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게 되어 있다. 친수성 섬유 및 입자상 SAP가 팽창시, 이에 의해 흡수체(130)가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여, 외부로부터는 이면측 오목부(135)가 소실되는 것처럼 보인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개시는 흡수체에 있어서 배설물의 존재 또는 확산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뇨, 배설물 등의 존재 또는 확산을 이면 시트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인디케이터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41020호(도 1, p5 등) 참조]. 인디케이터는 흡수체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를 상호 접합하는 핫멜트 접착제와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특정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코팅 제제이다. 인디케이터는 흡수체의 의복측 소정 영역에 도포된다.
인용 리스트
특허 문헌
PTL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41020호
인디케이터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특수한 코팅 제제이기 때문에, 이의 도포 범위가 광범위하면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인디케이터는 유색 코팅 제제이기 때문에, 이의 도포 범위가 광범위하면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이 손상되다는 추가의 문제가 일어난다. 상세하게는, 광범위하게 도포되면, 인디케이터는 흡수성 물품의 의복측 표면에 인쇄된 다른 패턴과 조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본 발명의 1 이상의 구체예의 목적은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흡수체에 있어서 배설물의 존재 또는 확산을 외부로부터 확실히 시인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1 이상의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는 액투과성 표면 시트;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제공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며, 흡수체의 이면 시트측 표면에는 흡수체의 표면 시트측을 향해 오목한 이면측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면측 오목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 이면 시트를 흡수체와 접합하는 접합재가 배치되며, 이면측 오목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전 상태에서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며, 이면측 오목부의 깊이는,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시,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1 이상의 구체예는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흡수체에 있어서 배설물의 존재 또는 확산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흡수체에 있어서 배설물의 존재 또는 확산을 외부로부터 확실히 시인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역 S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롤 및 제2 롤을 도 8에 있어서 화살표 F8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대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한다. 하기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와 상이함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하기의 설명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또한, 도면은 또한 서로 상이한 치수 관계 및 비율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한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의 배측에 대한 앞 허리 라인부(10); 착용자의 등측에 대한 뒤 허리 라인부(20); 및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한 가랑이부(30)를 포함한다. 일회용 기저귀(1)는 앞 허리 라인부(10), 뒤 허리 라인부(20) 및 가랑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된 소위 원피스 타입 기저귀이다.
뒤 허리 라인부(20)의 피부 접촉면측의 폭 방향(W) 단부에는 걸림 테이프(fastening tape, 41, 42)가 각각 제공된다. 또한, 앞 허리 라인부(10)의 피부 접촉면측의 반대측의 폭 방향(W) 단부에는 걸림 테이프(41, 42)가 걸리는 걸림부(43, 44)가 각각 제공된다. 앞 허리 라인부(10)와 뒤 허리 라인부(20)는 걸림 테이프(41, 42) 및 걸림부(43, 44)에 의해서 착용자의 허리의 좌우측에서 상호 접합된다.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L)의 가장자리부에는 허리 개더(gather; 51, 52)가 형성된다. 허리 개더(51, 52)에는 실 유사 탄성 부재(511, 521)가 신장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1)의 가랑이부(30)의 폭 방향(W)의 가장자리부에는 다리 개더(53, 54)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 개더(53, 54)에는 실 유사 탄성 부재(531, 541)가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1)는 액투과성 표면 시트(110),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120) 및 흡수체(130)를 포함한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체(130)의 이면 시트(120)측 표면에는 표면 시트(110)를 향해 오목한 이면측 오목부(135)가 제공되어 있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연속적인 복수의 홈(135a, 135b)을 포함한다. 홈(135a)은 서로 평행하며, 홈(135b)도 서로 평행하다.
홈(135a, 135b)은 흡수체(130)의 길이 발향(L)으로 연장된 중앙선(CL)으로 경사져 있다. 홈(135a, 135b)은 연속적이며, 상호 교차한다. 홈(135a, 135b)은 중앙선(CL)에 대해 사선 각도로 경사져 있다. 홈(135a)은 홈(135b)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또는 동일한 각도로 중앙선(CL)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사선 각도는 35 내지 45°일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면측 오목부(135)는 이면 시트(120)의 평면에서 보아 격자 패턴을 형성한다.
도 3은 도 2의 영역 S를 확대하여 얻은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체예에서는 홈(135a, 135b)이 상호 교차하여 격자 패턴을 형성한다. 인접 홈(135a)의 쌍 및 인접 홈(135b)의 쌍에 의해 경계 지어진 격자의 창에 해당하는 각각의 창 부분(136)은 이면 시트(120)의 평면에서 보아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다. 이 구체예에서, 다이아몬드 형상의 높이 및 폭을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선(1a, 1b)은 각각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선(1a)은 선(1b)보다 길다.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창 부분(136)의 정점은 원호 형상으로 형상되어 있다. 예컨대, 치수는 하기와 같이 기재된다: 각각의 홈의 폭(w) = 1.0 mm; 1a = 21 mm; 및 1b = 18 mm.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표면 시트(110)는 부직포, 직포,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과 같은 액투과성 구조를 갖는 시트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 또는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및 화학 섬유 중 어느 것이라 사용할 수 있다.
쳔연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목재 펄프 또는 커튼과 같은 셀룰로오스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화학 섬유의 예는 레이온 및 피브릴 레이온과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및 친수화 처리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의 예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단섬유, PE와 PP의 그래프트 중합 섬유, 시스-코어 구조의 복합 섬유 등을 포함한다.
부직포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 건식법(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 및 습식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건식법 또는 습식법 중 복수의 방법을 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빙밥의 예는 서멀본딩, 니들펀치, 케미컬본딩 등을 포함한다. 부직포의 형성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 시트(120)는 백(back) 부직포(121) 및 액불투과성 백 필름(122)을 포함한다. 백 부직포(121)는 의복측에 접촉하고, 액불투과성 백 필름(122)은 백 부직포(12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가깝게 위치한다. 백 부직포(121)는 SMS, 스펀본드 또는 포인트본드 부직포로 형성된 소수성의 부직포이다. 백 필름(122)은 투습성 또는 비투습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백 부직포(121) 및 백 필름(122)은 도시되지 않은 핫멜트 접착제(HMA) 등으로 상호 접합된다. 캔틸레버법(JIS L-1096의 A법)에 의해 측정된 이면 시트(120)의 강연도는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 110 mm 이하이다.
흡수체(130)는 표면 시트(110)와 이면 시트(120)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체(130)는 착용자의 뇨 및 배설물과 같은 액체를 흡수하여,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다. 흡수체(130)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131) 및 흡수성 시트(132)를 갖는다.
흡수성 코어(131)는 친수성 섬유 및 입자상 고분자 흡수체[이하, 고흡수성 폴리머(SAP)로 지칭함]를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서, 분쇄 목재 펄프 및 커튼과 같은 셀룰로오스, 레이온 및 피브릴 레이온과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및 아세테이트 및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상 폴리머, 섬유상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소수화 처리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비용 및 흡수 성형 용이성을 고려하여, 분쇄 목재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AP와 혼합된 친수성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31)는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티슈와 같은 흡수성 시트(132)로 캡슐화된다.
흡수체(130)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 320 g/㎡ 이하이다. 흡수체(130)의 평량이 320 g/㎡ 미만인 경우, 흡수체(130)에 후술하는 이면측 오목부(135)를 형성시,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이 이면 시트(120)를 통해 인식 가능하기에 충분히 깊게 형성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에 대한 SAP의 배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이다. 30% 이상의 SAP 배합 비율은,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성이 억제되지 않고 이면측 오목부(135)가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70% 미만의 SAP 배합 비율은, 이면측 오목부(135)가 착용자의 움직임을 따를 수 있어 장착시의 위화감이 회피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이러한 SAP의 양은 흡수성 시트(132)가 쉽게 찢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흡수체(130)는 액체를 흡수하여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이면측 오목부(135)의 깊이(D)는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시,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아진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흡수체(130)에 있어서 오목부 형성부(137)에 형성된다. 오목부 형성부(137)에는 입자상 SAP가 응집되어 있다.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에, 이면측 오목부(135)의 흡수체(130)의 두께(d1)는 바람직하게는 0.6 mm 이상, 1.3 m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이다. 흡수체(130)의 두께(d1)가 1.3 mm 미만인 경우,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자의 움직임이 뇨의 존재와 관계없이 이면측 오목부(135)의 오목부 형상을 인식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창 부분(136)에 있어서 흡수체(130)의 두께(d3)는 이면측 오목부(135)에 있어서 흡수체(130)의 두께(d1)보다 두껍다. 두께(d3)는 바람직하게는 2.0 mm 이상, 5.0 mm 이하이고, 이 구체예에서 두께(d3)는 3.0 mm이다. 즉, 창 부분(136)은 이면측 오목부(135)보다 이면 시트(120)로부터 더욱 돌출된다.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성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측 오목부(135)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합재(140)가 배치되어 있고, 접합재(140)는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을 따라 이면 시트(120)를 흡수체(130)와 접합시킨다. 따라서, 이면 시트(120)는 접합재(140)로 이면측 오목부(135)의 표면 형상을 따라 흡수체(130)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재(140)는 이면측 오목부(135)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재(140)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패턴으로 용이하게 도포 가능한 HMA이다. HMA는 스티렌계 폴리머,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티렌계 폴리머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지만; 부드럽고 상온에서 피착체의 섬유 사이에 들어가서 부착될 수 있는, 상온에서 감압성을 나타내는 H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의 예로서, 커튼 도포, 스파이럴 도포, Ω 도포 등을 들 수 있다. Ω 도포는 HMA가 연속적인 Ω 문자 패턴으로 도포되는 방법이다. 이들 중에서, 커튼 도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커튼 도포의 경우, 흡수체(130)의 이면 시트(120)측의 전체 표면에 0.8 g/㎡의 HMA를 분무 상태로 도포한다.
도 5는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착용자의 신체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측 오목부(135)[홈(135a, 135b)]는, 일회용 기저귀(1)의 사용 전에 이면 시트(120)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시 소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7을 이용하여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체(130)가 배설물(이하 단순히 액체로 지칭함)을 흡수한 상태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영역 A에서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하면, 친수성 섬유 및 입자상 SAP가 팽창하여, 흡수체(130)가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러한 이유로, 홈(135a, 135b)이 형성된 오목부 형성부(137)에 있어서,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한 후의 두께(d2)는 액체를 흡수하기 전의 두께(d1)보다 두꺼워진다(도 7 참조, d2>d1). 도 6에 도시된 영역 A에서, 이면측 오목부(135)에 있어서 흡수체(130)의 두께(d2)는 두께(d1)보다 두꺼워진다. 그 결과, 이면측 오목부(135)[홈(135a, 135b)]의 깊이(D)(도 4 참조)는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아진다. 이는 홈(135a, 135b)에서의 흡수체(130)의 두께와 창 부분(136)의 두께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켜, 사용 전 상태에 비해 홈(135a, 135b)이 이면 시트(120)측에서 덜 구별 가능하게 한다. 흡수체(130)가 충분히 액체를 흡수시, 홈(135a, 135b)이 소실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체(130)의 이면 시트(120)측 표면에는 표면 시트(110)를 향해 오목한 이면측 오목부(135)[홈(135a, 13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합재(140)로 이면측 오목부(135)의 표면의 형상을 따라 이면 시트(120)가 흡수체(130)에 접합되어 있다.
홈(135a, 135b)은 일회용 기저귀(1)의 사용 전 상태에서 이면 시트(120)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한편,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하여 홈(135a, 135b)의 깊이(D)가 흡수체(130)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아진다. 이는 홈(135a, 135b)에서의 흡수체(130)의 두께와 창 부분(136)에서의 흡수체(130)의 두께 사이의 차이를 없애서, 사용 전 상태보다 홈(135a, 135b)이 이면 시트(120)측에서 덜 구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흡수체(130)가 뇨 또는 배설물과 같은 액체를 흡수하는 것 및 배설물이 확산되는 범위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즉,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 이면측 오목부(135)는 소위 인디케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 오목부(135)는 무색이어서, 이 부분은 다른 패턴에 간섭하지 않으며,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면측 오목부(135)는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에 따라 변색되는 성분을 혼합한 코팅 제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춘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연속적이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구체예에서는 특히 이면 시트(120)의 평면에서 보아 격자 패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뇨 및 배설물과 같은 액체가 이면측 오목부(135)를 따라 용이하게 확산된다. 착용자가 단지 소량의 뇨를 배설한 경우에도, 광범위한 이면측 오목부(135)가 덜 구별 가능해져서, 인디케이터로서의 역할을 확실히 발휘할 수 있다.
흡수체(130)는 펄프 및 입자상 SAP를 포함하며, 펄프에 대한 SAP의 배합 비율은 30% 내지 70%이다. 또한, 오목부 형성부(137)에는 입자상 SAP가 응집되어 있다. 예컨대, 엠보스 가공에 의해 이면측 오목부(135)를 형성하는 경우, 인가된 압력으로 인해 SAP가 변형되어, SAP 주위에 존재하는 친수성 섬유를 받아들여, 결과적으로 친수성 섬유와 얽히기 쉬워진다. 이는 오목부 형성부(137)에 있어서 SAP와 친수성 섬유 사이의 분리를 억제하여, 흡수체(13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의 유지를 돕는다.
따라서, 액체를 흡수하기 전후의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 사이의 차이를 강조할 수 있어서, 배설물의 존재 또는 확산을 외부로부터 확실히 시인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흡수체(130)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g/㎡이상, 320 g/㎡ 이하이다. 이에 의해,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이 이면 시트(120)를 통해 인식 가능하기에 충분한 깊이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에서, 캔틸레버법에 의해 측정된 이면 시트(120)의 강연도는 30 mm 이상, 110 mm 이하이다. 이는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에 이면 시트(120)를 맞추는 것을 도와서,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이 이면 시트(120)의 외측으로부터 더욱 시인 가능하게 한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스 가공과 같은 압축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흡수체(130)에 엠보스 가공에 의해 이면측 오목부(135)를 형성시, 사용 전 상태에서 이면측 오목부(135)의 오목부의 형상이 더욱 시인 가능해진다.
(흡수체에 이면측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
다음으로,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체(130)에 이면측 오목부(135)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장치(200)는 제1 롤(210) 및 제2 롤(220)을 갖는다.
제1 롤(210)은 중간 연속체(400)와 접하면서 일회용 기저귀(1)의 제조 공정 흐름 방향에 해당하는 기계 방향(MD)으로 회전한다. 중간 연속체(400)는 예컨대 흡수체(130)를 형성하는 흡수성 시트(132)의 연속체(300)에 흡수성 코어(131)를 캡슐화하여 형성된다. 제1 롤(210)은 그 사이에 놓인 중간 연속체(400)를 통해 후술하는 제2 롤(220)에 대해 압박된다.
제2 롤(220)에는 그의 표면에 제2 롤(220)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221)가 제공된다. 볼록부(221)는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에 대응하는 격자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속체(400)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롤(210)과 제2 롤(220)의 2개의 롤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흡수체(130)의 이면 시트(120)측 표면이 볼록부(221)에 의해 표면 시트(110)측을 향해 압축된다.
도 9는 제1 롤(210) 및 제2 롤(220)의 도 8의 화살표(F8)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단, 도 9는 중간 연속체(400)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제1 롤(210)과 제2 롤(220)의 볼록부(221)의 선단과의 간격(C)은 바람직하게는 0.15 mm 내지 0.6 mm이다. 0.15 mm 이상의 간격(C)은 중간 연속체(400)가 2개 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0.6 mm 이하의 간격(C)은 흡수체(130)를 충분히 유지시켜 이면측 오목부(135)에 있어서 흡수체(130)의 두께를 1.3 mm 이하로 형성되도록 보장한다.
한편, 제1 롤(210) 및 제2 롤(220)에 의한 중간 연속체(400)의 압박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6 MPa 내지 6.3 MPa이다. 1.6 MPa 이상의 압력은 액체 흡수 전 상태에서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의 유지를 보장한다. 6.3 MPa 미만의 압력은 이면측 오목부(135)가 너무 딱딱하지 않게 하여 장착감의 불편을 회피하도록 보장한다.
볼록부(221)의 제2 롤(220)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2.5 mm이다. 0.3 mm 이상의 돌출 높이(h)는 이면측 오목부(135)와 창에 해당하는 다이아몬드 부분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장하여, 이면측 오목부(135)가 이면 시트(120)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 가능하도록 보장한다. 2.5 mm 이하의 돌출 높이(h)는 볼록부(221)가 꺾여 제조 장치의 불량을 초래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구체예 1)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2)를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하기 설명에서,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1)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회용 기저귀(2)는, 흡수체(130A)의 표면 시트(110)측 표면에 이면 시트(120)측과 동일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2)에서는, 흡수체(130A)의 표면 시트(110)측에 이면 시트(120)를 향해 오목한 표면측 오목부(138)가 형성된다. 표면측 오목부(138)는 연속적인 복수의 홈(138a, 138b)을 포함한다. 홈(138a)은 서로 평행하고, 홈(138b)도 서로 평행하다. 홈(138a, 138b)은 표면 시트(110)의 평면에서 보아 상호 교차하고, 격자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격자의 창에 해당하는 창 부분(139)은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구체예에서, 표면측 오목부(138)는 이면측 오목부(135)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표면측 오목부(138)의 깊이(D1)는 이면측 오목부(135)의 깊이(D) 이상이다.
표면측 오목부(138)는 이면측 오목부(135)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언급한 제1 롤(210) 및 제2 롤(220)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제1 롤(210) 및 제2 롤(220)의 볼록부(221) 사이의 간격(C)을 0.15 mm 내지 0.4 mm 범위로 설정하여 엠보스 가공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1 롤(210)의 표면이 편평하더라도 흡수체(130A)의 표리면 양측에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흡수체(130A)의 표면 시트(110)측에 홈이 형성되는 것은 액체가 흡수체(130A)의 흡수 표면 전체에 걸쳐 확산되는 것을 돕는다. 이는 흡수체(130A)의 흡수량이 국소적으로 포화되는 것으로 인한 흡수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을 따라 배설물이 널리 확산되기 때문에, 소량의 배설물이라도 넓은 범위에서 엠보스 가공된 패턴이 소실되어, 인디케이터로서의 역할을 확실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오목부(138)의 깊이(D1)가 이면측 오목부(135)의 깊이(D)보다 클 경우, 액체가 표면측 오목부(138)로부터 이면측 오목부(135)를 향해 흡수체(130A)의 두께 방향으로 흡수되기 쉽다. 이는 이면측 오목부(135)가 이면 시트(120)측으로부터 덜 구별 가능해지는 효과를 촉진한다.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구체예 2)
일회용 기저귀(1)의 설명에서, 이면측 오목부(135)는 각각 이면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은 다이아몬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3)를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일회용 기저귀(3)에서, 흡수체(130B)의 이면 시트(120)측 표면에 이면측 오목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오목부(135')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을 갖는다. 이면측 오목부(135')에 의해 둘러싸인 창 부분(136')은 이면 시트(12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3)에서, 이면측 오목부(135')는 허니콤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일회용 기저귀(3)의 폭 방향(W)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흡수체(130B)에 힘이 적용된 경우, 힘이 허니콤 형상의 홈을 따라 분산되고, 이에 따라 흡수체(130B)의 특정 위치에 힘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이면측 오목부(135')의 형상의 유지를 더욱 용이하게 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이면측 오목부(135')의 오목부의 소실이 덜 생긴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3)에서, 이면측 오목부(135')의 허니콤 형상이 일회용 기저귀(3)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교환 시기를 적절히 시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덧붙여, 일회용 기저귀(3)는 일회용 기저귀(1)보다 착용자의 피부 표면을 더욱 용이하게 피트시켜, 착용자를 더욱 편안하게 피트시킨다.
(평가 시험)
흡수체의 이면 시트측 표면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이면측 오목부가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지는, 이면 시트가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에 피트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회용 기저귀에 적절한 이면 시트로서 사용 가능한 자재를 선택하기 위한 지표를 발견하였다.
표 1은 이면 시트를 형성하는 자재의 유형, 자재의 강연도, 및 이면 시트 외측으로부터 이면측 오목부가 시인 가능한지 여부의 조합을 나타낸다. 시인성은 우수(A), 양호(B) 또는 불량(D)으로 표시하였다. 강연도는 캔틸레버법(JIS L-1096의 A법)에 의해 측정된 평균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강연도(mm)=[표면측의 평균 이동 거리+이면측의 평균 이동 거리(mm)]/2
강연도를 얻고자 하는 자재의 시험편(25 mm×150 mm)을 준비하였다. 시험편 각각을 5 mm/초의 속도로 시험 표면 상에 미끄러지게 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서 각각 5 회 미끄러뜨리기를 수행한 후, 각각의 방향에 대해 평균을 얻었다. 또한, 길이 방향의 평균 값 및 폭 방향의 평균 값의 평균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값을 자재의 강연도로서 평가하였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39488414-pct00001
표 1의 결과는, 흡수체의 이면 시트측 표면에 형성된 이면측 오목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표면 시트의 강연도는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 110 mm 이하임을 보여준다. 강연도를 상기 범위로 하면, 이면 시트가 흡수체에 형성된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을 따르기 쉬워져서, 이면측 오목부의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면 시트로서의 바람직한 자재의 예로서, 18.5 g/㎡의 비통기 필름 및 13 g/㎡의 SMS 부직포를 5 g/㎡의 HMA로 접합(커튼 도포)하여 얻은 자재를 들 수 있다.
(다른 구체예)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상세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는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는 다양한 대체 구체예,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을 용이하게 찾을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1)는 앞 허리 라인부, 뒤 허리 라인부 및 가랑이부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소위 쓰리피스 타입 기저귀일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는 또한 구체예의 일회용 기저귀의 걸림 테이프 부분이 미리 접합된 팬츠형 기저귀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연속적인 이면측 오목부(홈)를 설명하였다. 이면측 오목부(홈)는 연속적인 형상이고 확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측 오목부(홈)의 형상은 다이아몬드 또는 허니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의 확산성을 고려하여, 홈이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불연속적인 원 형상, 직각 형상 등을 갖는 도트를 대신에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패턴, 설계 등을 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체(130)의 평량에 따라 이면측 오목부(홈)의 깊이 또는 이의 형성 범위를 변경함으로써, 예컨대 성인용 기저귀 및 어린이용 기저귀와 같이 흡수량이 상이한 기저귀에 각각 적절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예의 설명에서는, 이면측 오목부(홈)는 흡수체(130)의 이면측의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컨대 뇨 또는 배설물이 도달하는 것이 부적합한 허리 개더 또는 다리 개더 주위에 이면측 오목부(홈)를 주로 배치할 수 있다.
구체예의 설명에서, 이면측 오목부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면측 오목부의 형성 방법은 엠보스 가공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면측 오목부는 흡수체에 공기를 분무함으로써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구체예 1의 설명에서는, 표면 시트(110)측에 위치하는 롤의 표면에 블록부를 제공하지 않고 표면측 오목부(138)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을 압박하는 제1 롤의 표면에 볼록부를 제공하고 이면을 형성하는 표면으로서의 평면형 앰빌을 제공함으로써 표면측 오목부(138)를 형성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면 및 이면 각각에 대향하는 롤러의 양방에 볼록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구체예 2의 설명에서는, 일회용 기저귀(3)의 흡수체(130B)의 이면 시트(120)측 표면에 허니콤 형상의 이면측 오목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표면 시트(110)측에 허니콤 형상의 표면측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수체(130B)의 표면 시트(110)측에 형성되는 표면측 오목부와 이면 시트(120)측에 형성되는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는 다양한 구체예를 물론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설명에 기초하여 타당하게 간주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2009년 11월 30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72977호의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양태를 적어도 하기 항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는 액투과성 표면 시트;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제공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며, 흡수체의 이면 시트측 표면에는 흡수체의 표면 시트측을 향해 오목한 이면측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면측 오목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 이면 시트를 흡수체와 접합하는 접합재가 배치되며, 이면측 오목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전 상태에서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며, 이면측 오목부의 깊이는,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시,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게 되어 있다.
또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할 수 있는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하기 구체예 중 1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시 소실될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연속적일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복수의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이면 시트의 평면에서 보아 격자 패턴일 수 있다. 격자 패턴은 복수의 연속적으로 접합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 패턴은 복수의 불연속적으로 접합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중앙선(CL)에 대해 사선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사선 각도는 30 내지 45°일 수 있다. 격자 패턴은 일련의 연결된 다이아몬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허니콤 패턴일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상호 연결된 육각형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상호 연결된 육각형을 형성하는 복수의 불연속적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흡수체의 전체 표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면측 오목부는 흡수체의 중앙부 및/또는 허리 개더 및/또는 다리 개더 인접 영역에만 제공될 수 있다.
흡수체는 펄프 및 입자상 고분자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펄프에 대한 고분자 흡수체의 배합 비율은 30% 내지 70%이다.
입자상 고분자 흡수체는 이면측 오목부가 형성되는 오목부 형성부에 응집될 수 있다.
흡수체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 320 g/㎡ 이하이다.
오목부 형성부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6 mm 이상, 1.3 mm 이하이다.
캔틸레버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이면 시트의 강연도는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 110 mm 이하일 수 있다.
이면 시트측을 향해 오목한 표면측 오목부가 흡수체의 표면 시트측에 형성될 수 있고, 표면측 오목부는 이면측 오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측 오목부의 깊이는 이면측 오목부의 깊이 이상일 수 있다.
표면측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이면측 오목부와 동일하다.
결합재는 흡수체의, 오목부가 제공된 이면 시트측 및/또는 표면 시트측의 전체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접착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재는 흡수체의, 이면측 및/또는 표면측 오목부가 제공된 영역에만, 또는 전체 이면측 및/또는 표면측 표면 전체에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접착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재는 0.8 g/㎡의 중량으로 도포될 수 있다. 표면 시트는 표면측 오목부의 형상을 따를 수 있다. 표면측 오목부의 형상은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이면측 오목부는 수소 이온 농도 지수에 따라 변색되는 제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면측 오목부는 주로 기저귀의 허리 개구 및 다리 개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 상태에서 이면측 오목부가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하도록 이면 시트는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을 따를 수 있으며,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시, 이면측 오목부의 깊이는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아질 수 있어서, 이면측 오목부는 신체 배출물을 표시하는 데에 있어서 덜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해질 수 있다.

Claims (10)

  1. 액투과성을 갖는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을 갖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마련되고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는 흡수체
    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이면 시트측의 표면에는 상기 표면 시트측을 향해 오목한 이면측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면측 오목부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이면측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이면 시트를 상기 흡수체와 접합하는 접합재가 배치되며,
    상기 이면측 오목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전의 상태에서 상기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볼 수 있으며, 상기 이면측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보다 얕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오목부는 상기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소실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오목부는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오목부는 상기 이면 시트의 평면에서 보아 격자형인 것인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펄프와, 입자상의 고분자 흡수체를 포함하며, 상기 펄프에 대한 상기 고분자 흡수체의 배합 비율이 30% 내지 70%인 것인 일회용 기저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의 고분자 흡수체는 상기 이면측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부에 응집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평량이 150 g/㎡ 이상 및 320 g/㎡ 이하인 것인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부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두께는 0.6 mm 이상 및 1.3 mm 이하인 것인 일회용 기저귀.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캔틸레버 측정법에 의한 상기 이면 시트의 강연도는 30 mm 이상 및 110 mm 이하인 것인 일회용 기저귀.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표면 시트측에는 상기 이면 시트측을 향해 오목한 표면측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면측 오목부는 상기 이면측 오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표면측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이면측 오목부의 깊이 이상인 것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127012744A 2009-11-30 2010-11-30 일회용 기저귀 KR101621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2977A JP5258736B2 (ja) 2009-11-30 2009-11-30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09-272977 200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655A KR20120101655A (ko) 2012-09-14
KR101621585B1 true KR101621585B1 (ko) 2016-05-16

Family

ID=4362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744A KR101621585B1 (ko) 2009-11-30 2010-11-30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92525B2 (ko)
EP (1) EP2506816A4 (ko)
JP (1) JP5258736B2 (ko)
KR (1) KR101621585B1 (ko)
CN (1) CN201752454U (ko)
AR (1) AR079177A1 (ko)
AU (1) AU2010323996B2 (ko)
MY (1) MY152458A (ko)
TW (1) TWI519280B (ko)
WO (1) WO20110650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362A (ko) 2020-06-02 2021-12-09 아인비에스 주식회사 흡수부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일회용 기저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4008T3 (es) 2003-02-12 2013-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ES2297062T3 (es) 2003-02-12 2008-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ñal fino y seco.
CA2692241C (en) 2007-06-18 2012-08-14 Harald Hermann Hundor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MX2009013888A (es) 2007-06-18 2010-04-01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desechable con un material polimerico particulado absorbente distribuido, practicamente, de manera continua y metodo para fabricarlo.
BRPI0910858A2 (pt) 2008-04-29 2018-03-27 Procter & Gambl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núcleo absorvente com uma cobertura de núcleo resistente à estiramento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390550B2 (ja) * 2011-02-28 2014-01-1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2717823B2 (en) 2011-06-10 2019-04-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EP2717822B1 (en) 2011-06-10 2019-06-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MX2013014588A (es) 2011-06-10 2014-01-24 Procter & Gamble Estructura absorbente para articulos absorbentes.
ES2459724T3 (es) 2011-06-10 2014-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étodo y aparato para hacer estructuras absorbentes con material absorbente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CN103596534B (zh) 2011-06-10 2017-04-12 宝洁公司 一次性尿布
CN102579199A (zh) * 2012-03-01 2012-07-18 王观寿 一种带有新型吸收体的纸尿裤或纸尿片
RU2635070C2 (ru) 2012-11-13 2017-11-08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с каналами и знаками
JP5291236B1 (ja) * 2012-11-2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52B1 (en) 2012-12-10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566198B2 (en) *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JP6159122B2 (ja) * 2013-03-29 2017-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ITBO20130177A1 (it) * 2013-04-18 2014-10-19 Gdm Spa Articolo igienico assorbente e macchina per realizzare tale articolo.
ES2655690T3 (es) 2013-06-14 2018-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absorbente y canales de formación de núcleo absorbente cuando están húmedos
CN113230030B (zh) 2013-07-03 2023-11-28 瑞德科技控股有限公司 吸收复合物、采用吸收复合物的吸收制品、制造吸收复合物和/或制品的方法、系统和装置
CA2922316A1 (en) 2013-08-27 2015-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MX2016003391A (es) 2013-09-16 2016-06-24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JP6262981B2 (ja) * 2013-10-10 2018-01-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886093B1 (en) 2013-12-19 2016-09-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colored areas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CN104939980A (zh) * 2014-03-28 2015-09-30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面层材料
CN103924382B (zh) * 2014-04-16 2015-06-10 北京倍舒特妇幼用品有限公司 护理垫吸收芯体多次压花方法及装置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PL2949299T3 (pl) 2014-05-27 2018-01-31 Procter & Gamble Wkład chłonny z układem rozmieszczenia materiału chłonnego
JP6188644B2 (ja) * 2014-06-30 2017-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開放型のおむつ
JP1547533S (ko) * 2015-02-27 2016-04-11
WO2016149251A1 (en) 2015-03-16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US10507144B2 (en) 2015-03-16 2019-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JP6548156B2 (ja) * 2015-03-30 2019-07-24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MX2017014428A (es) 2015-05-12 2018-04-10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adhesivo mejorado del nucleo al lienzo inferior.
JP6743057B2 (ja) 2015-05-29 2020-08-1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チャネル及び湿り度インジケータを有する吸収性物品
CN106264884A (zh) * 2015-05-29 2017-01-04 江苏德邦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拉拉裤
JP1557383S (ko) * 2015-07-10 2016-08-29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JP6842886B2 (ja) * 2016-11-15 2021-03-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92260B2 (ja) * 2017-02-22 2022-01-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1592702S (ko) 2017-04-18 2020-12-07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815A (ja) 1999-10-15 2001-04-24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20030208176A1 (en) 2002-05-06 2003-11-06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with C-fold layer fluid acquisition system, C-fold layer fluid acquisition system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4222868A (ja) 2003-01-21 2004-08-12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シート状化粧料
JP2005046263A (ja) 2003-07-31 2005-02-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オムツ及び尿取り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2311A (en) * 1977-12-05 1980-03-11 Felfoldi James J Disposable diaper with wetness indicator
JPS59168101A (ja) * 1983-04-13 1984-09-21 池田 勝美 おむつ
JP3408566B2 (ja) * 1992-12-25 2003-05-1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75601B2 (ja) * 1996-09-12 2005-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
JP3901496B2 (ja) * 2001-11-15 2007-04-04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706944B2 (en) * 2001-12-14 2004-03-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materials having improved absorbent properties
JP2003190209A (ja) * 2001-12-26 2003-07-08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7767875B2 (en) * 2001-12-31 2010-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indicator for alerting a wearer to urination
US7479578B2 (en) * 2003-12-19 2009-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ly wettable—highly flexible fluff fibers and disposable absorbent products made of those
JP4683892B2 (ja) * 2004-09-30 2011-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
WO2006109524A1 (ja) * 2005-04-01 2006-10-19 Ka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2006341020A (ja) 2005-06-10 2006-12-21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66948A1 (en) * 2005-09-19 2007-03-22 Tyco Healthcare Retail Group, Inc. Absorbent article with quilted feature
US20070142804A1 (en) * 2005-12-16 2007-06-21 Bernard Bobby L Hollow-core fibers
GB2452260A (en) 2007-08-28 2009-03-04 Simon Rhys David Nappy having an uneven outer surface when wet
JP5563253B2 (ja) * 2009-07-30 2014-07-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815A (ja) 1999-10-15 2001-04-24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20030208176A1 (en) 2002-05-06 2003-11-06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with C-fold layer fluid acquisition system, C-fold layer fluid acquisition system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4222868A (ja) 2003-01-21 2004-08-12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シート状化粧料
JP2005046263A (ja) 2003-07-31 2005-02-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オムツ及び尿取りパ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362A (ko) 2020-06-02 2021-12-09 아인비에스 주식회사 흡수부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일회용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23996A1 (en) 2012-05-10
JP5258736B2 (ja) 2013-08-07
EP2506816A4 (en) 2014-03-12
AU2010323996B2 (en) 2015-07-30
TW201200111A (en) 2012-01-01
WO2011065026A1 (en) 2011-06-03
EP2506816A1 (en) 2012-10-10
US9192525B2 (en) 2015-11-24
TWI519280B (zh) 2016-02-01
JP2011115245A (ja) 2011-06-16
MY152458A (en) 2014-10-15
CN201752454U (zh) 2011-03-02
AR079177A1 (es) 2011-12-28
US20120238977A1 (en) 2012-09-20
KR20120101655A (ko) 201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85B1 (ko) 일회용 기저귀
US10973702B2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 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EP2640331B2 (en) Absorbent article
US20150250663A1 (en) Three-dimensional substrates
KR101608560B1 (ko) 흡수성 물품
JP4008868B2 (ja) 吸収性物品
EP3727257B1 (en) An absorbent article for newborns
US10285874B2 (en) Multi-component topsheets
US20150250659A1 (en) Multi-component topsheets
US20150250658A1 (en) Multi-component topsheets
CN102885676A (zh) 具有非对称吸收量的吸收垫及包括该吸收垫的吸收性物品
JP5751774B2 (ja) 失禁用ライナー
JP6620004B2 (ja) 吸収性物品
JP6701556B2 (ja) 吸収性物品
CN203107444U (zh) 吸收性物品
TWI645840B (zh) Absorbent article
JP6944575B2 (ja) 吸収性物品
CN111885987B (zh) 吸收性物品用的吸收体
CN103655058A (zh) 吸收性物品
JP2021159542A (ja)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2020156752A (ja) 吸収性物品
JP2019187800A (ja) 吸収性物品
JP2018089048A (ja) 吸収性物品
JP201804293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