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752B1 -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752B1
KR101620752B1 KR1020140179287A KR20140179287A KR101620752B1 KR 101620752 B1 KR101620752 B1 KR 101620752B1 KR 1020140179287 A KR1020140179287 A KR 1020140179287A KR 20140179287 A KR20140179287 A KR 20140179287A KR 101620752 B1 KR101620752 B1 KR 10162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cable fixing
bolt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은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는, 케이블 다발을 고정시키는 띠 형상의 케이블 고정부; 및 케이블 고정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당기거나 푼 후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맞춰 케이블 다발이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따라 조절부에 의해 케이블 고정부의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 다발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다발의 고정이 윙볼트 구조를 갖는 조절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패너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Adjustable clamp to fix cable}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따라 조절부에 의해 케이블 고정부의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 다발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가 개시된다.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장치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기적신호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이 사용되며, 이러한 케이블들을 설치할 때 케이블 다발 지지용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다발 지지용은 일반적으로 P형 클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고정 클램프(1)는, P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원형의 공간에 케이블 다발이 배치되는 클램프 몸체(10)와, 클램프 몸체(10)의 양단에 형성된 볼트 홀(15, 16)에 결합되는 볼트(51) 및 볼트(151)를 고정하는 너트(57) 그리고 와셔(53, 5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고정 클램프(1)는 클램프 몸체(10)의 양단을 벌리고 케이블 다발(3)을 클램프 몸체(10)에 배치시킨 다음 오므리고 이어서 볼트(51)를 체결하는 체결 방법을 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고정 클램프(1)에 있어서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벌리고 오므리는 데 상당한 힘이 요구되는데 배선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가 많아 충분한 힘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아울러 변형되면서 원형 그대로 볼트 홀(15, 16)이 일치하지 않게 됨으로써 볼트 체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설치 완료된 케이블에 대해 유지보수 작업을 할 때 볼트와 너트를 해체하고 다시 설치할 때 전술한 과정들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한계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따라 조절부에 의해 케이블 고정부의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 다발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다발의 고정이 윙볼트 구조를 갖는 조절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패너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케이블 다발의 각 굵기에 맞는 클램프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종래와는 달리 여러 굵기의 케이블 다발에 적용할 수 있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윙볼트 구조를 갖는 조절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조절부로부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다발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는, 케이블 다발을 고정시키는 띠 형상의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당기거나 푼 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맞춰 상기 케이블 다발이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따라 조절부에 의해 케이블 고정부의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 다발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다발의 고정이 윙볼트 구조를 갖는 조절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패너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가 설치되는 장치의 내벽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조절몸체; 및 상기 조절몸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윙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타단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윙볼트의 회전 시 상기 고정홈에 대한 상기 고정돌기의 고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조절부에 대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조절몸체에는 상기 윙볼트의 회전 시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가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다발을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하는 배치 공간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상기 조절몸체의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완전히 빼낸 후 상기 케이블 다발을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한 후 상기 가이드홈에 다시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인입시키는 분리 및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윙볼트는, 상기 조절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며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시키는 날개 형상의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홈에 대한 상기 고정돌기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돌기는 라운딩(rounding) 처리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띠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고강성 또는 내수성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따라 조절부에 의해 케이블 고정부의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 다발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다발의 고정이 윙볼트 구조를 갖는 조절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패너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다발의 각 굵기에 맞는 클램프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종래와는 달리 한 개의 클램프로 여러 굵기의 케이블 다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윙볼트 구조를 갖는 조절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조절부로부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다발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부의 윙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 처리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부의 윙볼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 처리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100)는, 항공기, 선박 또는 자동차 등에 구비되는 케이블 다발(101)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다발(101)을 고정시키는 띠 형상의 케이블 고정부(110)와, 케이블 고정부(110)의 일단부(111)에 고정되어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를 당기거나 푼 후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 다발(101)의 굵기에 맞게 케이블 다발(101)이 케이블 고정부(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절부(120)와, 케이블 고정부(110)를 항공기 등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케이블 고정부(110)는,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단부(111, 115)가 모여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케이블 고정부(110)의 일단부(111)에 대해 타단부(115)가 길이 조절된 후 고정됨으로써 케이블 고정부(110)가 형성하는 배치 공간(110S)에 케이블 다발(101)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케이블 고정부(110)는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항공기 등에 장착되는 경우 강한 저항이 발생될 수 있고 여러 환경 가운데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강성 및 내수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을 충분히 구비할 수 있는 경우 금속 재질 또는 다른 합금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케이블 고정부(110)의 일단부(111)는 전술한 것처럼, 고정 볼트 모듈(150)에 의해서 항공기 등의 내벽에 고정된다. 그리고 타단부(115)는 후술할 조절부(120)에 의해 위치 조절된 후 조절부(12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선택적 조절 후 위치 고정을 위해서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홈(117)이 구비되어 조절부(120)와 구조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 볼트 모듈(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를 내벽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볼트(151)와, 너트(157) 그리고 와셔(153, 155)들을 포함한다.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에는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볼트(151)가 관통되고, 관통된 볼트(151)는 내벽을 관통하게 되는데,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볼트(151)의 단부에 차례대로 평와셔(153), 스프링와셔(155), 너트(157)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와셔(155)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가령 본 클램프(100)가 장착된 항공기 등의 기기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클램프(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케이블 고정부(110)는 일단부(111)만이 내벽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케이블 다발(101)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볼트 구조를 전체적으로 해제할 필요가 없어 복잡한 작업 공정을 없앨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의 단축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절부(120)는 전체적으로 윙볼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를 당기거나 푼 후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 다발(101)을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조절부(1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110)의 일단부(111)에 고정되는 조절몸체(121)와, 조절몸체(12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윙볼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조절몸체(121)의 일단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으로써 케이블 고정부(110)의 일단부(111)에 고정된다. 이 조절몸체(121) 내에는 가이드홈(125)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25)은 케이블 조절부(120)의 타단부(115)가 인입되어 선형 이동되는 가이드 부분으로서 케이블 타단부(115)의 끝이 가이드홈(125)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수록 케이블 고정부(110)가 형성하는 배치 공간(110S)은 좁아진다. 따라서 케이블 다발(101)이 배치 공간(110S)에 배치된 경우 케이블 고정부(110)를 타이트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반대로 케이블 타단부(115)의 끝이 가이드홈(125)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케이블 고정부(110)가 형성하는 배치 공간(110S)은 넓어져 느슨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윙볼트(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몸체(121)에 구비된 고정틀(123)에 고정되는 체결홈(133)을 구비하며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고정돌기(132)가 구비되는 볼트부재(131)와, 볼트부재(131)의 일측에 연결되어 볼트부재(131)를 회전시키는 날개 형상의 회전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부재(13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체결홈(133)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조절몸체(121)의 내측에는 체결홈(133)에 대응되는 고정틀(123)이 형성되어 볼트부재(131)가 조절몸체(121)의 틀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상하좌우 등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이고, 볼트부재(131)는 조절몸체(121)에 대해서 제자리 회전 가능함은 당연하다.
볼트부재(131)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고정돌기(132)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돌기(132)는 전술한 케이블 고정부(110)의 고정홈(117)과 구조적으로 상호 대응되는 것으로, 고정돌기(132)가 고정홈(117)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조절부(120)에 대한 케이블 고정부(110)의 위치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고정돌기(132)는 라운딩(rounding) 처리되어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돌기(132)가 고정홈(117)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각진 부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인입 및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볼트부재(131)는 회전부재(135)에 의해서 회전된다. 회전부재(135)를 회전시키는 경우 그와 일체로 작동하는 볼트부재(131) 역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부재(135)의 회전으로 인해 볼트부재(131)의 회전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32) 및 고정홈(117)이 톱니가 맞물리는 것처럼 상호 맞물리며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부재(131)의 회전하는 만큼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가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부연하면, 회전부재(135)의 회전에 의해 볼트부재(13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가 좌측(도 5 기준)으로 이동함으로써 케이블 고정부(110)의 배치 공간(110S)이 좁아져 케이블 고정부(110)에 대한 케이블 다발(101)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부재(135)의 회전에 의해 볼트부재(13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케이블 고정부(110)의 배치 공간(110S)이 넓어지며 이로 인해 케이블 고정부(110)에 대한 케이블 다발(101)의 고정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유지 보수 등이 필요해 케이블 다발(101)을 케이블 고정부(110)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가 조절부(120)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즉 가이드홈(125)으로부터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가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윙볼트(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다발(101)의 굵기에 따라 조절부(120)에 의해 케이블 고정부(110)의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 다발(101)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다발(101)의 고정이 윙볼트(130) 구조를 갖는 조절부(1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패너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케이블 다발의 각 굵기에 맞는 클램프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종래와는 달리 한 개의 클램프(100)로 여러 굵기의 케이블 다발(101)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유지 보수 등이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종래에는 클램프(100) 전체를 내벽 등으로부터 제거한 후 좁은 공간에서 양단부를 벌리고 케이블 다발(101)을 제거하였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윙볼트(130) 구조를 갖는 조절부(1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조절부(120)로부터 케이블 고정부(110)의 타단부(115)를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다발(101)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101 : 케이블 다발
110 : 케이블 고정부
117 : 고정홈
120 : 조절부
121 : 조절몸체
130 : 윙볼트
131 : 볼트부재
132 : 고정돌기
135 : 회전부재
150 : 고정 볼트 모듈

Claims (9)

  1. 케이블 다발을 고정시키는 띠 형상의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당기거나 푼 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맞춰 상기 케이블 다발이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조절몸체; 및
    상기 조절몸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윙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타단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윙볼트의 회전 시 상기 고정홈에 대한 상기 고정돌기의 고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조절부에 대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가 설치되는 장치의 내벽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몸체에는 상기 윙볼트의 회전 시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가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다발을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하는 배치 공간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상기 조절몸체의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완전히 빼낸 후 상기 케이블 다발을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한 후 상기 가이드홈에 다시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타단부를 인입시키는 분리 및 결합 구조를 갖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볼트는,
    상기 조절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며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시키는 날개 형상의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 대한 상기 고정돌기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돌기는 라운딩(rounding) 처리되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띠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고강성 또는 내수성 플라스틱 재질인,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KR1020140179287A 2014-12-12 2014-12-12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KR10162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287A KR101620752B1 (ko) 2014-12-12 2014-12-12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287A KR101620752B1 (ko) 2014-12-12 2014-12-12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752B1 true KR101620752B1 (ko) 2016-05-12

Family

ID=5602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287A KR101620752B1 (ko) 2014-12-12 2014-12-12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357A (ko) * 2022-03-31 2023-10-10 하이비스 주식회사 고온용 배관의 내부 결함 또는 내부 두께 감육 위험 감지를 위한 압력 감지재 외부 보강 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357A (ko) * 2022-03-31 2023-10-10 하이비스 주식회사 고온용 배관의 내부 결함 또는 내부 두께 감육 위험 감지를 위한 압력 감지재 외부 보강 수단
KR102629184B1 (ko) 2022-03-31 2024-01-25 하이비스 주식회사 고온용 배관의 내부 결함 또는 내부 두께 감육 위험 감지를 위한 압력 감지재 외부 보강 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22938B2 (en) Cable retaining apparatus
US10389102B2 (en) Cable gland assembly
US20130071179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JP6533970B2 (ja) 架空線保持装置
TW201838904A (zh) 捲線支撐具及放線器
KR101620752B1 (ko) 조절 가능 케이블 고정 클램프
BRPI1101134A2 (pt) grampo para terminal macho
KR102198898B1 (ko)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WO2010092766A1 (ja)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カメラの取付け方法
JP2016111799A (ja) 引下線用コネクタ固定金具
JP5882375B2 (ja) 間接活線先端工具
KR20150060606A (ko)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US11349254B2 (en) Hinged strain relief backshells,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for strain relief
JP4744380B2 (ja) 間接活線工具の先端工具
JP6928994B2 (ja) キャップ
JP2017011989A (ja) ケーブルの取り外し装置、取り外し装置を用いたケーブルの取り外し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ケーブル
JP7000810B2 (ja) 力検出装置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
DE202016104361U1 (d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ür Motorrollen
JP5914078B2 (ja) 活線振り分け工具
JP2019171530A (ja) ロボットへの線条体追加敷設方法およびロボット
CN109333587B (zh) 一种自动冲压线机器人管束装置
KR20150117046A (ko) 센서 프로브 고정장치
JP2009050053A (ja) 間接活線把持工具
JP6420300B2 (ja) 取付金具及び防鳥ネット取付具
JP2020178408A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