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29B1 - 임플란트 제거 도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제거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29B1
KR101620329B1 KR1020117001358A KR20117001358A KR101620329B1 KR 101620329 B1 KR101620329 B1 KR 101620329B1 KR 1020117001358 A KR1020117001358 A KR 1020117001358A KR 20117001358 A KR20117001358 A KR 20117001358A KR 101620329 B1 KR101620329 B1 KR 10162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removal tool
threaded
hole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215A (ko
Inventor
알데꼬아 에두아르도 아니뚜아
Original Assignee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198,213 external-priority patent/US20090317771A1/en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filed Critical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Publication of KR2011003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제거 도구(1)에 관한 것으로, 해당 도구는 환자의 뼈(6)에 나사 결합된 임플란트(5)를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토크-제공 시스템의 커플링을 수용하는 헤드(2)와 바람직하게는 감소되는 직경을 가지고 좌향 나사산을 가지며 임플란트(5)의 구멍(7) 내에 나사 결합되도록 의도된 나사형 본체(4)를 포함한다. 임플란트(5)의 추출은 상대적으로 간단히 수행되며, 상기 임플란트(5)는 실제 깨끗하게 추출되어 환자의 뼈(6) 내에 최소 크기의 공간(13)을 남긴다. 결국, 상기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환자에 훨씬 덜 외상적인 임플란트(5) 추출 방법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제거 도구{IMPLANT EXTRACTION TOOL}
본 발명은 일단 환자의 상악골 또는 턱뼈 내로 골유착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환자의 입에서 제거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환자의 뼈에서 제거 가능한 도구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환자의 뼈에 마련된 골강(osseous cavity) 내로 삽입되며 후에 인공 삽입물이 부착되는 부분이다. 임플란트 삽입 절차는 통상 다음과 같다: 환자의 뼈에 임플란트를 수용하는 공간을 관통하고; 그 공간 내로 임플란트르 삽입하고; 임플란트가 뼈에 골유착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임플란트가 골유착되면, 스크류 또는 무언가 적절한 용구를 사용하여 인공 삽입물을 임플란트에 부착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일단 삽입되어 골유착된 임플란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원치 않는 골손실, 골절의 경우나 임플란트가 잘못 위치된 경우 임플란트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플란트는 인공 삽입물이 변형되어 임플란트가 더 이상 인공 삽입물을 지지하는 것이 유효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경우에도 제거되어야 할 것이다.
임플란트의 제거는 그것의 뼈에 대한 연결이 다방향 힘에 매우 견고하고 저항적이어서 분리가 어렵게 구성되므로 쉬운 작업이 아니다. 예를 들면, 치과 이식학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유효 수명 기간에 700 N까지의 크기의 반복되는 교합 및 저작력을 견뎌내야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예를 계속 들면, 현재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거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중공의 원통형 드릴로 임플란트 주위의 뼈를 천공하고 주변의 뼈의 일부와 함께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기술은 다량의 뼈의 제거를 포함하고 환자의 뼈에 큰 공간을 남기는 것이므로 분명히 외상적이다. 이 공간은 이후에 적절한 골 재생 기술을 이용하여 충전 후 재생 처리되어야 한다. 또한, 이 공간은 임플란트의 직경보다 30% 까지 직경이 클 수 있고, 이는 뼈의 부피의 70% 이상에 상응한다. 이것은 제거된 임플란트를 대체하여야 하는 경우 훨씬 큰 크기의 제2의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임플란트의 제거는 외상적이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최소한의 있을 수 있는 불편으로 외과 의사가 간단하게 시술하는 제거 시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뼈에 최소한의 가능한 외상적인 방법으로 임플란트의 제거를 허용하는 새로운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뼈로부터 임플란트의 제거를 허용하는 도구이고, 임플란트는 뼈와 접촉하는 외벽과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은 임플란트에 원래 제공되거나, 임플란트 제거 도구를 사용하기 전에 임플란트에 형성된다.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헤드와 나사형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에 토크를 제공할 수 있는 외과용 모터, 래칫 렌치 등의 시스템의 부착 수단을 제공한다. 나사형 본체의 직경은 점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지점에서, 나사형 본체의 직경은 임플란트의 구멍의 직경보다 크고; 나사형 본체의 최소 직경은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 작다. 나사형 본체는 임플란트의 구멍 내로 도입된 후 상기 구멍의 내벽으로 나사 삽입(나사산을 강제로 밀어 넣음)되는 것을 의미한다. 나사형 본체는 그 단부가 임플란트의 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나사형 영역의 나머지가 두께를 얻고 구멍의 내벽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직경이 일정하면 일어나지 않음) 점감하는 직경을 가진다.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임플란트의 구멍(기 존재하거나 추출 전에 투공될 수 있음) 내로 삽입된다. 토크-제공 시스템은 임플란트 제거 도구를 회전시킨다. 토크-제공 시스템이 임플란트 제거 도구를 회전시킴에 따라,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임플란트의 구멍 내로 나사 삽입되면서 나사산을 압박한다. 시스템이 계속 회전됨에 따라,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나사형 본체는 구멍으로의 부착을 증강시킴으로써 조임 토크가 뼈에 접촉되는 임플란트의 외벽에 인가된다. 조임 토크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토크-제공 시스템의 회전은 임플란트를 강제하여 뼈와의 연결 상태가 파괴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나사형 본체의 나사산은 좌향이어서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된(그에 따라 이 나사형 부분의 나사산은 대체로 우향임) 임플란트와의 최적의 작동을 가능케 한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나사형 본체의 나사산은 나사형 부분을 갖춘 임플란트의 대부분(예컨대 치과용 임플란트의 대부분)의 나사형 부분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이다. 이 실시예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지 않은 임플란트의 제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분명히,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나사형 본체의 나사산이 우향인 실시예도 고려된다. 이 실시예는 예컨대,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지 않은 임플란트의 제거에도 사용될 수 있겠지만, 외부 나사산이 좌향인 임플란트의 제거에 통상 사용될 것이다.
이 경우,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임플란트 제거 도구가 임플란트의 구멍 내에 삽입된다. 토크-제공 시스템은 임플란트 제거 도구를 반시계 방향(좌측으로)으로 회전시킨다. 토크-제공 시스템이 임플란트 제거 도구를 회전시킴에 따라,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임플란트의 구멍 내로 나사 삽입되어 나사산을 압박한다. 시스템이 회전을 계속함에 따라,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나사형 본체는 구멍으로의 부착을 증강시키고; 따라서 조임 토크가 임플란트의 나사형 부분에 인가된다. 조임 토크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토크-제공 시스템의 좌향(반시계 방향) 회전은 임플란트를 압박하여 뼈와의 연결 상태를 파괴하고 임플란트의 분리를 시작한다(나사형 부분이 우향이므로). 시스템이 좌향 회전을 계속하면, 임플란트는 분리되고 뼈로부터 깨끗하게 제거된다.
임플란트는 스크류,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 등의 다른 부분이 부착되는 감춰진 나사형 구멍을 대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상기 감춰진 나사형 구멍 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많은 종류의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골접합 스크류, 중공형 임플란트, 골 블록 부착 스크류 등;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 외과적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거의 완벽하게 깨끗한 방식(원통형이면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외벽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거하는 경우에도)으로 치과용 임플란트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른 한편, 종래의 도구를 사용하면, 제거 시술이 훨씬 복잡하고 환자에 위험하다. 이 경우 뼈에 상당히 큰 최종적인 구멍을 형성할 뿐 아니라(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이 수반하는 손상과 함께), 위험하기도 하다. 종래의 도구(관상톱 드릴)에 의한 삽입이 너무 깊으면, 치신경 또는 인접 임플란트 또는 이빨이 손상될 수 있다. 이 위험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구를 사용시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제거 도구는 임플란트가 일단 제거된 골강 내로 이전의 임플란트(아마도 가장 바람직한 크기인)와 동일한 크기의 다른 임플란트가 삽입되도록 한다. 대신, 임플란트를 명확히 제거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골강의 작은 크기는 사후-추출 시나리오를 향상시켜 회복 시간(뼈의 완전한 재생을 위한 시간)을 분명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상세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하지 않는 첨부 도면으로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임플란트 제거 도구를 사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거 순서를 나타낸다.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임플란트 제거 도구를 사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거 순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11, 12는 도 9의 임플란트 제거 도구의 치과용 임플란트 내로의 삽입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임플란트 제거 도구(1)를 사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인 임플란트의 제거 순서를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5)는 나사형 부분(8)과 헤드(9)를 포함한다. 나사형 부분(8)은 임플란트(5)를 뼈(6)에 부착시킨다. 헤드(9)는 임플란트(5)가 인공 삽입물(가치(假齒))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들 도면은 외부 연결부를 갖는 임플란트(5)를 보여주는데; 다시 말해, 헤드(9)는 인공 삽입물의 부착을 위해 추가의 요소가 놓여지는 육각 돌기(10)인 돌출부를 가진다. 임플란트(5)는 구멍(7)을 포함하는데, 해당 구멍은 도면에서는 나사 영역(12)과 원통형 리세스(11)를 구비하는 나사형 블라인드 구멍이다(blind threaded hole).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헤드(2)와 나사형 본체(4)를 포함한다. 헤드(2)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1)에 토크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착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토크-제공 시스템은 외과용 모터, 래칫 렌치 등일 수 있다. 나사형 본체(4)는 임플란트(5)의 구멍 내로 삽입되고 임플란트(5)에 구속되도록 의도된다. 나사형 본체(4)는 임플란트(5)의 구멍(7)의 내벽 안으로 나사 삽입을 강제할 수 있는 점감하는 직경의 나사형 프로파일을 가진다. 그러므로, 나사형 본체(4)의 최소 직경은 구멍(7)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나사형 본체(4)의 나사산은 임플란트(5)의 나사형 부분(8)의 방향과 반대인 좌향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외부 연결부를 갖는 임플란트(5)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특히 구성되며; 나사형 본체(4)는 길고, 임플란트(5)의 구멍(7)의 원통형 리세스(11)와 나사형 영역(12) 모두에 나사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헤드(2)와 나사형 본체(4) 사이에 위치된 네크부(3)도 포함한다. 이 네크부(3)는 토크-제공 시스템이 임플란트 제거 도구(1)를 회전시킬 때, 파괴되지 않도록 매우 견고하여야 한다. 임플란트 제거 도구(1)가 회전될 때, 나사형 본체(4)가 구멍(7)에 결합하게 되고 임플란트(5)가 뼈(6)에 대한 자체의 나사 결합 연결을 파괴한다는 점에 기인하여, 큰 장력을 받게 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나사형 본체(4)는 제조의 단순성(기계화)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원추형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나사형 본체(4)의 프로파일이 감소되거나 그렇지 않은 기타의 다른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임플란트 제거 도구(1)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임플란트(5)의 구멍(7) 내로 삽입된다. 처음에,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제거 도구(1)와 구멍(7) 사이에 소정의 갭이 존재한다. 임플란트 제거 도구(1)가 한계에 도달하면(갭이 사라짐), 토크-제공 시스템은 좌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그런 다음,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리세스(11)와 나사형 영역(12) 내로 자체 나사 결합(나사산을 압박)되기 시작한다. 토크-제공 시스템이 회전을 계속하면,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구멍(7) 내로의 장착을 계속한다. 결국, 임플란트 제거 도구(1)와 임플란트(5) 간에는 나사 연결이 이루어지거나, 다시 말해,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임플란트(5)에 구속된다. 동시에, 임플란트(5)는 뼈(6)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을 계속하면, 임플란트(5)는 뼈(6)로부터의 분리를 계속하고 최종적으로 뼈(6)에서 제거되어 공간(13)을 남긴다.
도 4는 임플란트(5)의 제거가 중공의 원통형 드릴을 기초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행한 경우 남겨지는 공간(14)을 나타낸다. 이 공간(14)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제거 도구(1)와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공간(13)보다 훨씬 크다.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임플란트 제거 도구(1)를 사용한 임플란트(5)의 제거 순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내부 연결부, 즉 전술한 나사형 영역(12) 이외에 회전 방지 영역(15)과 원통형 영역(16)을 포함하는 구멍(7)을 갖춘 임플란트(5)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특히 의도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제거 도구(1)의 나사형 본체(4)는 짧은 길이를 갖는데, 이는 나사형 본체(4)가 임플란트(5)의 정확한 제거를 위해 임플란트 제거 도구(1)를 위한 회전 방지 영역(15)과 원통형 영역(16) 내로 나사 결합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제거 도구(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형 부분(4)은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과, 임플란트(5)의 구멍(7)의 내경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 나사형 영역(4b)(상기 구멍(7)은 본 실시예의 경우 나사가 형성되어 있음)과, 직경이 감소하는 제2 나사형 영역(4c)을 포함한다. 도 10, 11, 12는 도 9의 임플란트 제거 도구(1)의 치과용 임플란트(5) 내로의 삽입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다. 직경이 감소하는 제2 나사형 영역(4c)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5)의 구멍(7) 내에 임플란트 제거 도구(1)의 삽입 시작 및 나사 연결의 시작을 돕는다.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임플란트(5) 내부에 나사 결합되므로, 원통형 나사형 영역(4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되기 시작한다. 원통형 나사형 영역(4b)의 직경은 구멍(7)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원통형 나사형 영역(4b)은 임플란트(5)를 점진적으로 파괴하여 새로운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 새로운 나사산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원통형 나사형 영역(4b)은 임플란트(5)를 따라 임플란트 제거 도구(1)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결국, 임플란트 제거 도구(1)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내부로 더 나사 삽입되면,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은 임플란트(5)의 구멍(7) 내로 나사 삽입되기 시작하여 상기 구멍(7)의 내벽에 수평 마찰을 인가한다. 수평 마찰이 충분히 높으면,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과 구멍(7)의 벽 사이의 마찰 및 나사 삽입은 임플란트 제거 도구(1)가 구멍(7) 내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어서 토크가 임플란트(5)에 전달될 때까지 증가됨으로써, 결국은 임플란트(5)와 뼈(6) 사이의 연결이 깨지도록 하고(아직 깨지지 않았으면) 임플란트(5)가 뼈(6)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강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괴 토크는 큰 직경의 나사형 본체(4)의 일부, 즉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에 의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추출 토크는 큰 직경을 갖는 영역(전술한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에 의해 인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추출 토크의 인가를 담당하는 영역이 보다 크고(따라서 보다 견고하고) 또한 임플란트 제거 도구(1)와 임플란트(5) 사이의 접촉 표면이 크기 때문에, 사용중 임플란트 제거 도구(1)의 파괴의 위험이 낮고, 동시에 임플란트(5)에 큰 토크가 인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임플란트(5)와 뼈(6) 사이의 연결을 쉽게 파괴할 수 있다.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 및/또는 직경이 감소하는 제2 나사형 영역(4c)은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것이 가장 간단하고 동일 효과의 실시예이기 때문이다.

Claims (11)

  1. 구멍(7)을 포함하고 환자의 뼈(6)에 부착되는 임플란트(5)의 제거를 가능케 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1)로서,
    상기 임플란트 제거 도구(1)는,
    상기 임플란트 제거 도구(1)에 토크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착되는 헤드(2), 및 상기 임플란트(5)의 상기 구멍(7) 내에 나사 삽입되는 나사형 본체(4)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형 본체(4)는,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과, 상기 제1 나사형 영역(4a)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임플란트(5)의 상기 구멍(7)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나사형 영역(4b)과, 상기 원통형 나사형 영역(4b)으로부터 연장되는 직경이 감소하는 제2 나사형 영역(4c)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본체(4)는 좌향의 나사산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본체(4)는 우향의 나사산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와 상기 나사형 본체(4) 사이에 위치되는 네크부(3)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본체(4)는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는 임플란트 제거 도구(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본체(4)는 원추형인 임플란트 제거 도구(1).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이 감소하는 제1 나사형 영역(4a) 및/또는 상기 직경이 감소하는 제2 나사형 영역(4c)은 원추형 형태인 임플란트 제거 도구(1).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7001358A 2008-06-20 2009-06-18 임플란트 제거 도구 KR101620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0801858A ES2344240B1 (es) 2008-06-20 2008-06-20 Herramienta para permitir la extraccion de un implante.
ESP200801858 2008-06-20
US12/198,213 2008-08-26
US12/198,213 US20090317771A1 (en) 2008-06-20 2008-08-26 Implant removal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215A KR20110033215A (ko) 2011-03-30
KR101620329B1 true KR101620329B1 (ko) 2016-05-12

Family

ID=4143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358A KR101620329B1 (ko) 2008-06-20 2009-06-18 임플란트 제거 도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9241776B2 (ko)
EP (1) EP2283792B1 (ko)
JP (1) JP5442007B2 (ko)
KR (1) KR101620329B1 (ko)
CN (1) CN102076279A (ko)
AR (1) AR074154A1 (ko)
BR (1) BRPI0909924B8 (ko)
CA (1) CA2728147C (ko)
CL (1) CL2010001480A1 (ko)
CO (1) CO6321206A2 (ko)
ES (2) ES2344240B1 (ko)
MX (1) MX2010013268A (ko)
PE (1) PE20110443A1 (ko)
PL (1) PL2283792T3 (ko)
PT (1) PT2283792E (ko)
RU (1) RU2476183C2 (ko)
TW (1) TWI536972B (ko)
WO (1) WO200915337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4408B (zh) * 2022-02-09 2023-12-01 鈴木計芳 拔牙用具套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8549B1 (es) 2010-03-10 2013-09-13 Biotechnology Inst I Mas D Sl Metodo de extraccion de implantes y broca de trefina para facilitar la extraccion.
ES2347634B1 (es) * 2010-03-10 2011-09-08 Biotechnology Institute, I Mas D, S.L. Herramienta extensora para aplicacion de par sobre un implante dental.
ES2390766B1 (es) 2010-09-30 2014-01-17 Biotechnology Institute, I Mas D, S.L. Metodo de expansion de cresta osea y un implante-expansor para ser utilizado en dicho metodo
WO2014075256A1 (zh) * 2012-11-15 2014-05-22 Ho Chih-Chung 具有第一内螺纹及第二内螺纹的牙植体
CN104055588A (zh) * 2013-07-03 2014-09-24 广州中国科学院先进技术研究所 一种牙种植体植入工具
KR101570615B1 (ko) 2014-09-04 2015-11-19 허덕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JP6411234B2 (ja) * 2015-01-29 2018-10-24 京セラ株式会社 歯科用インプラント抜去器具
JP2016154856A (ja) * 2015-02-25 2016-09-01 株式会社DentalBank 歯科用治具、除去穴充填用人工骨、トレフィンバーおよび歯科用治具の製造方法
CN105662605A (zh) * 2016-03-16 2016-06-15 吴大怡 残根无创脱位器
US10966842B2 (en) 2017-07-13 2021-04-06 The University Of Hong Kong Surgical extraction device for bone implant tips
US20210052356A1 (en) * 2019-08-19 2021-02-25 Dentsply Sirona Inc. Dental device for removing a partially or fully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
CN112190351B (zh) * 2020-09-17 2021-06-04 四川大学 一种用于拔牙的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53B1 (ko) 2005-02-15 2006-06-30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0758360B1 (ko) 2006-11-06 2007-09-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마운트 장치
KR100788240B1 (ko) * 2006-12-04 2007-12-27 장경삼 왼나사로 된 치과용 임플란트 추출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68A (en) * 1889-10-29 Island
GB496988A (en) * 1937-04-24 1938-12-09 Peter Van Beeck Instrument for extracting roots of teeth
US3702028A (en) * 1972-11-07 1972-11-07 Alfred E Edelman Dental implant extracting tool
ES289364Y (es) * 1985-10-02 1987-06-01 Toboso Ramon Jesus Dispositivo extractor de piezas dentarias por traccion in- terna
US4834081A (en) * 1988-01-11 1989-05-30 Boehringer Mannheim Corporation Tool for removing modular joint prosthesis
ES2103196B1 (es) * 1995-08-03 1998-04-01 Cardona Labarga Carlos Fernand Sistema de extraccion de protesis cementadas de forma definitiva en implantes.
US6019602A (en) * 1998-10-05 2000-02-01 Fletcher; Tarrie Tooth root tip extractor
ATE299672T1 (de) * 1998-11-26 2005-08-15 Synthes Ag Schraube
US6733506B1 (en) * 2000-11-16 2004-05-11 Ethic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GB0108551D0 (en) * 2001-04-05 2001-05-23 Osseobiotek Ltd Implant
JP2002355768A (ja) * 2001-05-31 2002-12-10 Kaneko Seisakusho:Kk 電動回動具に付設するネジ除去具
US6923648B1 (en) * 2003-04-22 2005-08-02 Jeff Rassoli Dental implant fastener system
JP2005270334A (ja) * 2004-03-24 2005-10-06 Shoichi Saito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050250073A1 (en) * 2004-05-04 2005-11-10 Tresser Yuval A Reversible screw blockage, with application to the attachment of prosthetic abutments to dental implants
SE0401808D0 (sv) * 2004-07-08 2004-07-08 Astra Tech Ab Dental implanting system
CN101146490A (zh) * 2005-02-08 2008-03-19 生物技术研究所I+D有限公司 窄的牙科植入物及相关部件
EP1728486A1 (en) * 2005-06-03 2006-12-06 Straumann Holding AG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US20070093791A1 (en) * 2005-09-19 2007-04-26 Inion Ltd. Device for removal of fastening means from human tissue
JP2008061672A (ja) * 2006-09-05 2008-03-21 Tokyo Ootomakku Kk インプラント用回転振動付与装置
RU90981U1 (ru) * 2009-08-04 2010-01-27 Марсель Закиевич Миргазиз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травматичного удаления корней зубов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53B1 (ko) 2005-02-15 2006-06-30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0758360B1 (ko) 2006-11-06 2007-09-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마운트 장치
KR100788240B1 (ko) * 2006-12-04 2007-12-27 장경삼 왼나사로 된 치과용 임플란트 추출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4408B (zh) * 2022-02-09 2023-12-01 鈴木計芳 拔牙用具套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8147C (en) 2016-10-18
PT2283792E (pt) 2016-06-08
ES2576688T3 (es) 2016-07-08
PL2283792T3 (pl) 2016-09-30
MX2010013268A (es) 2011-02-25
US20110172673A1 (en) 2011-07-14
ES2344240B1 (es) 2011-06-13
JP2011524759A (ja) 2011-09-08
CO6321206A2 (es) 2011-09-20
KR20110033215A (ko) 2011-03-30
CA2728147A1 (en) 2009-12-23
CN102076279A (zh) 2011-05-25
RU2011101940A (ru) 2012-07-27
TW201006445A (en) 2010-02-16
TWI536972B (zh) 2016-06-11
BRPI0909924B8 (pt) 2021-06-22
CL2010001480A1 (es) 2011-05-27
BRPI0909924B1 (pt) 2019-11-05
EP2283792A4 (en) 2013-12-11
AR074154A1 (es) 2010-12-29
WO2009153372A3 (es) 2010-02-18
PE20110443A1 (es) 2011-07-15
US9241776B2 (en) 2016-01-26
EP2283792B1 (en) 2016-04-13
JP5442007B2 (ja) 2014-03-12
BRPI0909924A2 (pt) 2015-10-20
RU2476183C2 (ru) 2013-02-27
WO2009153372A2 (es) 2009-12-23
EP2283792A2 (en) 2011-02-16
ES2344240A1 (es)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329B1 (ko) 임플란트 제거 도구
FI3675769T3 (en) STEERING SCREW
KR101246265B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리무버
US20090258328A1 (en) 5 in 1 dental implant method and apparatus
US20180303520A1 (en) Methods, implants, and tools for fusion of sacroiliac joints
KR100906692B1 (ko) 상악동 내 골막 거상술용 안전드릴조립체
US20090317771A1 (en) Implant removal tool
KR100788240B1 (ko) 왼나사로 된 치과용 임플란트 추출유니트
US20100167241A1 (en) Dental implant
KR200414573Y1 (ko)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1794569B1 (ko) 임플란트 추출방법 및 이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트레핀 드릴
KR100740591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분리용 유니트
KR101834175B1 (ko) 턱뼈 크레스트 확장용 임플란트 익스팬더
KR20140113895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50138615A (ko)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 분리장치
EP3189810B1 (en) Set comprising a dental implant
KR101535255B1 (ko) 임플란트 고정체 제거장치
EP2005916B1 (en) Support device for one or more elements of a dental prosthesis
KR20210062352A (ko) 치과 교정 장치 고정용 미니 스크류
IT201800021325A1 (it) Impianto dentale avente la caratteristica di espandere l'osso in cui viene inserito e metodo di utilizz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