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615B1 -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615B1
KR101570615B1 KR1020140117567A KR20140117567A KR101570615B1 KR 101570615 B1 KR101570615 B1 KR 101570615B1 KR 1020140117567 A KR1020140117567 A KR 1020140117567A KR 20140117567 A KR20140117567 A KR 20140117567A KR 101570615 B1 KR101570615 B1 KR 10157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remover
screw
rotational forc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덕수
Original Assignee
허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덕수 filed Critical 허덕수
Priority to KR102014011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615B1/ko
Priority to US14/487,900 priority patent/US97505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는, 일측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식(埋植)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타측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무버 스크류;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된 상기 리무버 스크류에 위치 가변적으로 삽입되는 리무버 드라이버; 및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어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가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드라이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Fixture remover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매식(埋植)된 픽스츄어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이식물, 삽입물 또는 소실된 생물학적 조직을 대체하거나 조직으로서 동작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공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치과용 임플란트란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지칭하거나 또는 나사 형상의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체결하여 대략 3~8개월 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접합부인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인공치아 관(Crown) 등의 보철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치과시술을 말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을 살펴보면 크게 임플란트 식립을 위하여 연조직의 절개 및 박리 수술과 골삭제 수술과, 임플란트 식립 수술과, 상부 보철물 완성으로 대별되며, 연조직의 절개 및 박리 수술은 일반 수술의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여기서 골삭제 수술은 크게 피질골을 삭제하고 망상골을 삭제하는 과정인데 기본 원리는 식립할 주위의 골을 다듬고 식립부위를 표시한 뒤 피질골에 구멍을 작게 내고 차례로 넓혀 식립하고자 하는 임플란트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크기까지 확대를 한 다음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다.
한편,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토크로 인하여 픽스츄어 연결부가 손상되어 더 이상 삽입하거나 돌려 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골에 삽입되어 성공적으로 뼈와 골융합된 픽스츄어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유발되어 임플란트 주위골의 소실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경우 픽스츄어를 제거 또는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골 유착이 된 임플란트를 돌려 빼기 위하여는 100~500Ncm의 리무빙 토크가 필요하나 종래에는 이 같은 토크를 적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기구가 없었으므로 픽스츄어 주변의 골을 광범위하게 파손시킨 후 픽스츄어를 분리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렇게 주위골을 삭제하여 픽스츄어를 제거한 경우 주위골의 광범위위한 소실로 인하여 픽스츄어를 재식립할 수 없거나 손상된 주위골의 재건을 위하여 또 다른 골이식을 시행해야 하는 등 시술을 크고 복잡하게 하여 환자에게 불편함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치료 기간이 연장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픽스츄어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토크로 인하여 픽스츄어 연결부가 손상되어 더 이상 삽입하거나 돌려 뺄 수 없는 경우 주위 치조골 삭제 없이 안전하게 픽스츄어를 제거하여 시술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는, 일측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식(埋植)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타측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무버 스크류;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된 상기 리무버 스크류에 위치 가변적으로 삽입되는 리무버 드라이버; 및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어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가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드라이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는,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가 상기 픽스츄어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가 상기 제2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기 이전에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는, 외부로부터 외력을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발생부 및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회전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력발생부를 서로 연동이 되도록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력발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회전력발생부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제2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가 가고정이 되어 서로 연동이 되도록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는 제1 탄성링 및 제2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회전력전달부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픽스츄어가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척력으로 작용하여 상기 회전력전달부가 상기 픽스츄어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은, 적어도 2이상의 법선벡터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에 대한 외측단은, 삼각파 또는 사인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는, 상기 픽스츄어와의 접촉력이 증대되도록 접촉면에 요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는, 드라이버 고정부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채 회전되어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를 상기 제2 나산산과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는, 일측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식(埋植)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타측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무버 스크류;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된 상기 리무버 스크류에 위치 가변적으로 삽입되는 리무버 드라이버; 및 상기 리무버 스크류 상에서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의 위치 가변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드라이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의하면,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토크로 인하여 픽스츄어 연결부가 손상되어 더 이상 삽입하거나 돌려 뺄 수 없는 경우 주위 치조골 삭제 없이 안전하게 픽스츄어를 제거하여 시술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픽스츄어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가 픽스츄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픽스츄어 포함).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전달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제공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가 픽스츄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픽스츄어 포함).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절개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전달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제공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24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가 픽스츄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픽스츄어 포함)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절개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전달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제공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10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나사산(112) 및 제2 나사산(114)이 형성된 리무버 스크류(110),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에 위치 가변적으로 삽입되는 리무버 드라이버(120) 및 상기 제2 나사산(114)과 체결되는 드라이버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임플란트 픽스츄어(F, 이하 픽스츄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픽스츄어(F)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뼈와 골융합되는 것으로, 치밀골과 해면골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오른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왼 나사산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오른 나사산은 광폭 오른 나사산(F1) 및 상기 광폭 오른 나사산(F1)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광폭 오른 나사산(F1)의 피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소폭 오른 나사산(F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픽스츄어(F)의 식립 시 식립시간을 단축시켜 본 스트레스(bone stress)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우수한 초기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식립시간은 소폭 오른 나사산(F2)에 의해 단축될 수 있으며, 초기 고정력은 광폭 오른 나사산(F1)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F)의 광폭 오른 나사산(F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 에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팅 에지부(미도시)로 인해 상기 픽스츄어(F)를 상기 치조골에 식립하는 경우 날카로운 선단으로 인하여 식립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F)는 상측으로 인공치아 관 등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되면서 일정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을 규정하는 내면에서 나사산, 즉, 암나사부(F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암나사부(F3)의 나사산은 동일한 방향일 수 있으며, 일예로, 오른 나사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리무버 스크류(1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더블 스크류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제1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식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F)의 암나사부(F3)에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제2 나사산(11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나사산(112)과 상기 제2 나사산(11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나사산(112)이 오른 나사산일 경우, 상기 제2 나사산(114)은 왼 나사산일 수 있고, 상기 제1 나사산(112)이 왼 나사산일 경우, 상기 제2 나사산(114)은 오른 나사산일 수 있다.
여기서, 픽스츄어(F)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F1, F2),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F3)의 나사산, 리무버 스크류(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12) 및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114)의 방향은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픽스츄어(F)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F1, F2),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F3)의 나사산 및 리무버 스크류(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12)은 동일한 오른 나사산이고,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114)의 방향은 왼 나사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리무버 드라이버(120)는 상기 픽스츄어(F)에 나사 체결된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에 위치 가변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외력을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제공부(122) 및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회전력전달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의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는 상기 제2 나사산(114)과 나사 체결되는 드라이버 고정부(130)에 의해 위치의 가변이 제한되어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120)가 상기 제2 나사산(114)에 나사 체결되기 이전에 상기 픽스츄어(F)와 자중에 의해 접촉되는데,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는 드라이버 고정부(130)가 상기 제2 나사산(114)과 나사 체결되도록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를 향하여 가압되어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무버 고정부(130)와 상기 제2 나사산(114)이 나사 체결되도록 회전됨에 따라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가 상기 픽스츄어(F)를 향하여 가압되는 이유는 상기 리무버 고정부(130)가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의 내부에서 접촉되기 때문이며, 다시 말해, 상기 리무버 고정부(130)가 상기 제2 나사산(114)과 나사 체결됨에 따라 픽스츄어(F)를 향하여 이동되면 그에 따라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에 상기 픽스츄어(F)를 향한 가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 고정부(130)가 상기 제2 나사산(114)과 나사 체결되도록 회전됨에 따라 픽스츄어(F)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면,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130)와 접촉하는 회전력제공부(122)는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를 가압하게 되고, 결국,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는 픽스츄어(F)와 접촉한 채 상기 픽스츄어(F)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에 슬라이딩 삽입되기 이전에 서로 연동이 되도록 연결부(160)에 의해 서로 연결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는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와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제공부(122)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124)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127) 및 제2 함입부(126)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160)에 의해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가 가고정이 되어 서로 연동이 되도록 상기 제1 함입부(127) 및 상기 제2 함입부(126)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160)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링(E1) 및 제2 탄성링(E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링(E1) 및 상기 제2 탄성링(E2)은 일종의 오링(고무링)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60)는 상기 제1 탄성링(E1) 및 제2 탄성링(E2)과 각각 접촉하는 제1 밀착부(162) 및 제2 밀착부(164), 상기 제1 밀착부(162)와 상기 제2 밀착부(164)를 연결시키는 밀착연결부(16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연결부(166)는 상기 제1 밀착부(162)와 상기 제2 밀착부(164) 사이에 상기 대향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인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S)로 인해 상기 연결부(160)로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를 서로 연결시켜 가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향면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가고정 시의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의 회전력전달부(124)는 상기 픽스츄어(F)와의 접촉력이 향상되도록 접촉면에 요철(12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F)는 상기 요철(125)이 삽입되도록 상기 요철(125)과 대응되는 형상(F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픽스츄어(F)를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리무버 드라이버(1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요철(125)은 픽스츄어(F)의 상측에 밀착되어 파고드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픽스츄어(F)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에 형성되는 상기 요철(125)은 톱니 형상 또는 사각파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버 고정부(130)의 제2 나사산(114)과의 나사 체결은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130)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부(140, 도 14 및 도 15 참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130)는 일측에 상기 제2 나사산(114)과의 나사 체결을 위해 암나사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140)와 맞물리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 착탈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착탈부(134)와 대응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착탈대응부(144, 도 14 참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130)는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에 삽입된 후 상기 착탈부(134)를 착탈대응부(144)에 삽입하여 맞물리도록 한 후 상기 체결부(134)의 왼나사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나사산(114)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체결부(1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의 요철(125)은 픽스츄어(F)의 상측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부(134)의 회전에 의해 드라이버 고정부(130)가 제2 나사산(114)에 나사 체결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력전달부(124)가 상기 픽스츄어(F)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체결부(134)를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130)로부터 분리한 후 렌치부(150, 도 16 및 도 17 참조)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력제공부(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렌치부(150)는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의 회전력제공부(122)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채 회전되어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120)의 회전력전달부(1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픽스츄어(F)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회전력제공부(122)는 렌치부(F)가 결속되도록 하는 결속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123)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 상기 렌치부(150)의 돌기(152, 도 16 참조)가 삽입되는 구성에 의해 상기 렌치부(150)와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결속부(123)의 형상은 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치부(150)의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력제공부(122)도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는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픽스츄어(F)를 향한 힘을 제공 받아 상기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채 상기 픽스츄어(F)를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시켜 치조골로부터 추출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124)가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픽스츄어(F)를 향한 힘의 발생은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의 대향면에 대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의 대향면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의 대향면은 적어도 2이상의 법선벡터(V1, V2)로 규정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의 대향면에 대한 외측단은 삼각파 또는 사인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의 대향면의 구성으로 인해, 렌치부(15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제공부(122)의 회전력은 상기 대향면에 척력으로 작용하여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를 픽스츄어(F)를 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를 상기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채 상기 픽스츄어(F)를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시켜 치조골로부터 추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100)에 의한 픽스츄어(F)의 추출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치조골에 매식(埋植)된 픽스츄어(F)의 암나사부(F3)에 리무버 스크류(110)의 제1 나사산(112)을 나사 체결한다.
이때, 상기 암나사부(F3)와 상기 제1 나사산(112)은 오른 나사 방향(D1)일 수 있으므로,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를 오른 나사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나사산(112)을 상기 암나사부(F3)에 나사 체결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에 리무버 드라이버(120)를 슬라이딩 삽입하기 위해 회전력전달부(124)와 회전력제공부(122)를 가고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리무버 드라이버(120)의 회전력제공부(122)의 제1 함입부(127)에 제1 탄성링(E1)을 삽입하고, 회전력전달부(124)의 제2 함입부(126)에 제2 탄성링(E2)을 삽입한다.
제1 탄성링(E1) 및 제2 탄성링(E2)을 각각 제1 함입부(127) 및 제2 함입부(126)에 삽입한 이 후 연결부(160)로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를 서로 가고정시킨다.
이때, 연결부(160)의 제1 밀착부(162)는 제1 탄성링(E1)과 접촉되도록 하고, 제2 밀착부(164)는 제2 탄성링(E2)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간부(S)를 통해 대향면이 서로 맞춰졌는지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60)에 의해 가고정된 회전력전달부(124) 및 회전력제공부(122)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에 삽입되고 나면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124)의 요철(125)은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에 상기 회전력전달부(124) 및 상기 회전력제공부(122)를 삽입하고 나면,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에 리무버 고정부(130)를 삽입한다.
상기 리무버 고정부(130)가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에 삽입되고 나면, 리무버 고정부(130)의 착탈부(134)를 체결부(140)의 착탈대응부(144)에 삽입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한 후, 상기 체결부(140)를 왼나사 방향(D2)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체결부(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무버 고정부(130)의 암나사부(132)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110)의 제2 나사산(114)과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전력전달부(124)는 리무버 스크류(110) 상에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 픽스츄어(F)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124)가 상기 픽스츄어(F)를 가압하여 상기 픽스츄어(F)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체결부(140)를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130)로부터 분리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력전달부(124)가 상기 픽스츄어(F)에 접촉되고 나면, 후 렌치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력제공부(122)를 왼나사 방향(D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력전달부(124)는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픽스츄어(F)를 향한 가압력을 제공 받아 상기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채 상기 픽스츄어(F)를 가압하고 왼나사 방향(D2)으로 회전시켜 치조골로부터 추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제공부(1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124)가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픽스츄어(F)를 향한 힘의 발생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가 픽스츄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픽스츄어 포함)이다.
또한,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절개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전달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에 제공되는 회전력제공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20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나사산(212) 및 제2 나사산(214)이 형성된 리무버 스크류(210),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회전력전달부(224)와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회전력제공부(222)를 구비하는 리무버 드라이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는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로 설명한 리무버 스크류(110)와 비교하여 제1 나사산(212) 및 제2 나사산(214)의 총 길이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220)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회전력전달부(224)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의 상기 제2 나사산(214)과 나사 체결되어 상기 회전력전달부(224)가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전력제공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제공부(222)가 상기 제2 나사산(214)과 나사 체결된 후,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의 대향면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회전력전달부(224)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F)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픽스츄어(F)가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척력으로 작용하여 상기 회전력전달부(224)가 상기 픽스츄어(F)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력전달부(224)는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의 암나사부(221)가 상기 제2 나사산(214)과의 나사 체결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정도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와 상기 회전력제공부(222)는 연결부(260)에 의해 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60)는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와 상기 회전력제공부(222)를 서로 연동이 되도록 한 채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와 상기 제2 나사산(214)이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와 상기 회전력제공부(222)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력제공부(222)가 상기 제2 나사산(214)에 나사 체결되기 이전에 상기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제공부(222)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224)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227) 및 제2 함입부(2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함입부(227) 및 상기 제2 함입부(226)에는 상기 연결부(260)에 의해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224)가 가고정이 되어 서로 연동이 되도록 상기 연결부(260)와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는 제1 탄성링(E1) 및 제2 탄성링(E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링(E1) 및 상기 제2 탄성링(E2)은 일종의 오링(고무링)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60)는 상기 제1 탄성링(E1) 및 제2 탄성링(E2)과 각각 접촉하는 제1 밀착부(262) 및 제2 밀착부(264), 상기 제1 밀착부(262)와 상기 제2 밀착부(264)를 연결시키는 밀착연결부(26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연결부(266)는 상기 제1 밀착부(262)와 상기 제2 밀착부(264) 사이에 상기 대향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인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S)로 인해 상기 연결부(260)로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224)를 서로 연결시켜 가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향면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가고정 시의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회전력제공부(2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의 대향면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2 이상의 법선벡터로 규정되고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향면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경사도를 갖는 제1 대향면(P1) 및 상기 제1 대향면(P1)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도보다 큰 경사도인 제2 경사도를 갖는 제2 대향면(P2) 및 상기 제2 대향면(P2)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2 경사도보다 큰 경사도인 제3 경사도를 갖는 제3 대향면(P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대향면(P3)은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대향면(P1), 상기 제2 대향면(P2) 및 상기 제3 대향면(P3)은 각각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대향면(P3)의 개수는 상기 제1 대향면(P1) 및 상기 제2 대향면(P2)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력전달부(224)는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부(223)에 결속되는 렌치부(250, 도 30 및 도31 참조)의 회전에 의해 픽스츄어(F)를 치조골로부터 추출하는 경우 상기 픽스츄어(F)와의 접촉력이 향상되도록 접촉면에 요철(22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픽스츄어(F)를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제공부(222)를 렌치부(250)에 의해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요철(225)은 픽스츄어(F)의 상측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므로,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픽스츄어(F)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에 형성되는 상기 요철(225)은 톱니 형상 또는 사각파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우선 치조골에 매식(埋植)된 픽스츄어(F)의 암나사부(F3)에 리무버 스크류(210)의 제1 나사산(212)을 나사 체결한다.
이때, 상기 암나사부(F3)와 상기 제1 나사산(212)은 오른 나사 방향(D1)일 수 있으므로,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를 오른 나사 방향(D1)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나사산(212)을 상기 암나사부(F3)에 나사 체결시킬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의 제2 나사산(214)에 리무버 드라이버(220)를 나사체결하기 위해 회전력전달부(224)와 회전력제공부(222)를 가고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리무버 드라이버(220)의 회전력제공부(220)의 제1 함입부(227)에 제1 탄성링(E1)을 삽입하고, 회전력전달부(224)의 제2 함입부(226)에 제2 탄성링(E2)을 삽입한다.
제1 탄성링(E1) 및 제2 탄성링(E2)을 각각 제1 함입부(227) 및 제2 함입부(226)에 삽입한 이 후 연결부(260)로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와 상기 회전력전달부(224)를 서로 가고정시킨다.
이때, 연결부(260)의 제1 밀착부(262)는 제1 탄성링(E1)과 접촉되도록 하고, 제2 밀착부(264)는 제2 탄성링(E2)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간부(S)를 통해 대향면이 서로 맞춰졌는지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8및 도 29를 참조하면, 연결부(260)에 의해 회전력제공부(222)와 회전력전달부(224)가 가고정된 리무버 드라이버(220)를 리무버 스크류(210)에 나사 체결한다.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220)를 리무버 스크류(210)에 나사 체결하면 할수록 상기 회전력전달부(224)는 픽스츄어(F)의 상단부를 향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의 요철(225)이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210)를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220)의 왼나사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224)의 요철(225)이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리무버 스크류(210) 및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220)의 픽스츄어(F)에 대한 체결이 완료되며, 이후에는 픽스츄어(F)를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렌치부(25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력제공부(222)를 왼나사 방향(D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력전달부(224)는 상기 회전력제공부(2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픽스츄어(F)를 향하도록 가압력을 제공 받아 상기 상기 픽스츄어(F)와 접촉된 채 상기 픽스츄어(F)를 왼나사 방향(D2)으로 회전시켜 치조골로부터 추출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즉, 대향면에 대한 특정 구성은 해당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100, 200: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110, 210: 리무버 스크류
120, 220: 리무버 드라이버
122, 222: 회전력제공부
124, 224: 회전력전달부
130 : 드라이버 고정부
140: 체결부
150, 250: 렌치부

Claims (14)

  1. 일측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식(埋植)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타측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무버 스크류;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된 상기 리무버 스크류에 위치 가변적으로 삽입되는 리무버 드라이버; 및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어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가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드라이버 고정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는,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가 상기 픽스츄어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는,
    상기 리무버 스크류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가 상기 제2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기 이전에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는,
    외부로부터 외력을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발생부 및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픽스츄어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회전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력발생부를 서로 연동이 되도록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력발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발생부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제2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가 가고정이 되어 서로 연동이 되도록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어 탄성변형되는 제1 탄성링 및 제2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회전력전달부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픽스츄어가 상기 치조골로부터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척력으로 작용하여 상기 회전력전달부가 상기 픽스츄어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은,
    적어도 2이상의 법선벡터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대향면에 대한 외측단은,
    삼각파 또는 사인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는,
    상기 픽스츄어와의 접촉력이 증대되도록 접촉면에 요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13.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고정부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채 회전되어 상기 드라이버 고정부를 상기 제2 나산산과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14. 일측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식(埋植)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타측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무버 스크류;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된 상기 리무버 스크류에 위치 가변적으로 삽입되는 리무버 드라이버; 및
    상기 리무버 스크류 상에서 상기 리무버 드라이버의 위치 가변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드라이버 고정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KR1020140117567A 2014-09-04 2014-09-04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KR10157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67A KR101570615B1 (ko) 2014-09-04 2014-09-04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US14/487,900 US9750583B2 (en) 2014-09-04 2014-09-16 Fixture remover for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67A KR101570615B1 (ko) 2014-09-04 2014-09-04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615B1 true KR101570615B1 (ko) 2015-11-19

Family

ID=5484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67A KR101570615B1 (ko) 2014-09-04 2014-09-04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50583B2 (ko)
KR (1) KR101570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309A (ko) * 2018-07-18 2020-01-30 이광훈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
KR20210085496A (ko) *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픽스쳐 리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7507B (zh) * 2012-05-07 2015-06-11 Univ Nat Cheng Kung 具有緩衝的牙科植入物
TWI611796B (zh) * 2013-11-01 2018-01-21 捷鈦生醫股份有限公司 具有雙重緩衝的牙科植入物
IL242699B (en) * 2015-11-19 2019-10-31 Honig Iulian Dental implant system to save dental implants
USD817493S1 (en) * 2016-02-23 2018-05-08 EBI Inc. Removing apparatus of abutment for dental implant
IL249634A0 (en) * 2016-12-19 2017-03-30 Berger Uzi Dental lock
CA3056220A1 (en) 2017-03-22 2018-09-27 Alan Brown Dental implant system
CN112190351B (zh) * 2020-09-17 2021-06-04 四川大学 一种用于拔牙的固定装置
EP4151177A1 (en) * 2021-09-17 2023-03-22 Elos Medtech Pinol A/S A dental abutment for inter-oral scanning or for extra-oral scanning
KR102689192B1 (ko) * 2022-09-06 2024-07-2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 커넥터용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5B1 (ko) 2009-05-30 2013-03-2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임플란트 픽스츄어 리무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6216B (sv) * 1987-04-22 1988-09-19 Astra Meditec Ab Verktyg for en protesdel
US5073111A (en) * 1989-10-20 1991-12-17 Fereidoun Daftary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US5106300A (en) * 1990-09-26 1992-04-21 Voitik Anton J Dental implant attachment structure and method
US5927979A (en) * 1994-12-15 1999-07-27 Biohorizons Implants Systems, Inc. Abutment-mount system for dental implants
US6068480A (en) * 1996-07-18 2000-05-30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Abutment-mount with square driving surface
US5944525A (en) * 1997-03-11 1999-08-31 Ura; Robert S. Dental impla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US5951287A (en) * 1997-04-17 1999-09-14 Hawkinson; Roy T. Dental implant failed fastener recover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6454567B1 (en) * 2001-04-23 2002-09-24 Ace Surgical Supply Co., Inc. Dental implant delivery and drive tool
US7160109B2 (en) * 2001-09-17 2007-01-09 Sulzer Dental Inc. Torque limiting implant drive system
US7137816B2 (en) * 2001-09-17 2006-11-21 Zimmer Dental Inc. Impression post and temporary abutment and method of making dental restoration
IL158789A (en) * 2002-11-13 2009-11-18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SE526666C2 (sv) * 2002-12-30 2005-10-25 Nobel Biocare Ab Anordning och arrangemang för fixturinstallation
US6923648B1 (en) * 2003-04-22 2005-08-02 Jeff Rassoli Dental implant fastener system
KR100594753B1 (ko) * 2005-02-15 2006-06-30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US7632095B2 (en) * 2007-08-13 2009-12-15 Biomet 3I, Inc.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EP2060240A3 (en) * 2007-11-16 2009-08-12 Biomet 3i, LLC Components for use with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ES2344240B1 (es) 2008-06-20 2011-06-13 Biotechnology Institute, I Mas D, S.L. Herramienta para permitir la extraccion de un implante.
JP2010188062A (ja) * 2009-02-20 2010-09-02 Gc Corp 歯科用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KR101029065B1 (ko) * 2009-02-24 2011-04-15 (주) 시원 치과용 임플란트
EP2255746B1 (en) * 2009-05-30 2014-08-06 Young Ku Heo Implant fixture remover
ES2388549B1 (es) * 2010-03-10 2013-09-13 Biotechnology Inst I Mas D Sl Metodo de extraccion de implantes y broca de trefina para facilitar la extraccion.
KR101190888B1 (ko) 2010-07-01 2012-10-17 이나경 식립과 제거가 쉽도록, 임플란트를 강하게 고정하는 기구
US8902355B2 (en) * 2012-06-06 2014-12-02 Edmond Louis Dudkowski Prompting system
GB2512067B (en) * 2013-03-18 2015-08-26 Daniel Sanders A precision surg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delivery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5B1 (ko) 2009-05-30 2013-03-2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임플란트 픽스츄어 리무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309A (ko) * 2018-07-18 2020-01-30 이광훈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
KR102386908B1 (ko) * 2018-07-18 2022-04-13 이광훈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
KR20210085496A (ko) *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픽스쳐 리무버
KR102373269B1 (ko) * 2019-12-30 2022-03-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픽스쳐 리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50583B2 (en) 2017-09-05
US20160067016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15B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리무버
KR101718464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101246265B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리무버
EP2255746B1 (en) Implant fixture remover
EP3326557A1 (fr) Ensemble sur mesure comprenant au moins deux plaques d'osteosynthese qui suivent chacune la future anatomie du patient
US20120156647A1 (en) Dental implant fixture
CN108135704A (zh) 髋臼杯提取器
KR200470574Y1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KR101493509B1 (ko) 임플란트 고정체 제거장치
KR101720605B1 (ko) 치과용 평탄화 드릴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160008887A (ko)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드릴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장치
KR20200084676A (ko)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180078396A (ko)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101604910B1 (ko)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 분리장치
KR101977127B1 (ko)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10152539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101405828B1 (ko) 치과용 토크 렌치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CN108601631B (zh) 外科手钻
KR101535255B1 (ko) 임플란트 고정체 제거장치
KR20160008322A (ko) 임플란트 보철물의 고정스크류
KR10162363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9819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