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294B1 -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294B1
KR101619294B1 KR1020140156975A KR20140156975A KR101619294B1 KR 101619294 B1 KR101619294 B1 KR 101619294B1 KR 1020140156975 A KR1020140156975 A KR 1020140156975A KR 20140156975 A KR20140156975 A KR 20140156975A KR 101619294 B1 KR101619294 B1 KR 10161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eleration
control unit
upshift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혁
신창규
손세훈
최종익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16H2059/663Road slo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구배판단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주행상태감지부 및 상기 구배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다운힐(downhill) 주행 상태이면, 상기 주행상태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up shift) 발생을 방지하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PSHIFT PREVENTION DURING DOWNHILL DRIVING}
본 발명은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 차량의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를 방지하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차량의 기어단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 변속 차량과 달리 자동 변속 차량은 차속과 엔진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기어단이 자동으로 제어된다. 즉 자동 변속 차량은 스로틀(throttle)과 차속에 대응하여 미리 설계된 변속맵(스로틀맵)을 이용하여 기어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차량이 경사로에서 다운힐 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더라도 타력주행에 의해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 차량이 변속맵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 변속 차량이라면 차속증가에 따른 업 시프트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자동 변속 차량은 다운힐 주행 시, 운전자가 일정속도 이상의 주행을 원치 않는 경우에도 업 시프트가 발생하여 빈번한 시프트(busy shift)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연료 효율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8-0044953호(1998.09.15.)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다운힐 주행 시 불필요한 업 시프트를 방지할 수 있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는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구배판단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주행상태감지부; 및 상기 구배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다운힐(downhill) 주행 상태이면, 상기 주행상태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up shift) 발생을 방지하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는 상기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 정보를 입력받는 기어단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스로틀맵(throttle map)에 의해 요청되는, 상기 기어단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기어단수를 초과하는 기어단수로의 시프트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행상태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가속페달 감지부; 및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페달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속이 제1기준값 초과이고,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가 제2기준값 초과이며, 상기 가속페달 감지부를 통해 가속페달의 미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 감지부를 통해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배판단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와 미리 설정된 이론상의 가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페달 감지부를 통해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속센서를 측정되는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인 경우 및 상기 구배판단부를 통해 상기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다운힐(downhill) 주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차량의 주행상태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up shift) 발생을 방지하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스로틀맵(throttle map)에 의해 요청되는, 상기 기어단 정보로 입력되는 기어단수를 초과하는 기어단수로의 시프트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속이 제1기준값 초과이고, 상기 측정된 가속도가 제2기준값 초과이며, 상기 가속페달의 미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가속도와 미리 설정된 이론상의 가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힐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은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측정되는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측정되는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인 경우 및 상기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다운힐 주행 시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여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업 시프트를 방지하여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는 제어부(100), 구배판단부(110), 차속센서(120), 가속도센서(130), 가속페달 감지부(140), 브레이크페달 감지부(150) 및 기어단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즉 주행상태감지부(미도시)는 차속센서(120), 가속도센서(130), 가속페달 감지부(140) 및 브레이크페달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배판단부(110)는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구배판단부(110)는 차량이 다운힐(downhill) 또는 업힐(uphill) 주행 상태인지, 아니면 평지를 주행하는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배판단부(110)는 가속도센서(130)를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가속도와 미리 설정된 이론상의 가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구배판단부(110)는 스로틀 등 차량의 상태에 따라 이론적으로 계산된 가속도보다 측정되는 가속도가 크다면 차량이 다운힐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배판단부(110)는 이와 반대로 이론적으로 계산된 가속도보다 측정되는 가속도가 작다면 차량이 업힐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배판단부(110)가 차량의 가속도를 사용하여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한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는 차량의 구배 판단을 위한 별도의 센서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차속센서(120)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속센서(120)는 트랜스미션 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30)는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가속페달 감지부(140)는 차량의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가속페달 감지부(140)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작동시키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페달 감지부(150)는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브레이크페달 감지부(150)는 운전자가 풋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기어단 입력부(160)는 차량의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변속장치는 변속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트랜스미션제어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등을 포함하여, 차량의 기어단수를 기어단입력부(160)로 보낼 수 있다.
제어부(100)는 구배판단부(110)의 판단결과 차량이 다운힐 주행 상태라고 판단되면, 주행상태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이 다운힐 주행 중인 경우에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차속센서(120)로 측정된 차속이 제1기준값 초과이고, 가속도센서(130)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가 제2기준값 초과이며, 가속페달 감지부(140)를 통해 가속페달의 미작동이 감지되고, 브레이크페달 감지부(150)를 통해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면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속도와 가속도가 일정 문턱 값(제1기준값, 제2기준값)을 초과한다면 차량이 주행 중인 경사로가 비교적 가파른 상태이어서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다면 운전자에게 차량의 타력주행을 방지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은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차량의 현재 기어단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술한 경우와 같이,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 발생을 방지하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스로틀맵(throttle map)에 의해 기어단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기어단수를 초과하는 기어단수로의 시프트 요청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방지하여 업 시프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렇게 업 시프트 방지 모드의 수행 중에, 가속페달 감지부(140)를 통해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는 경우, 차속센서(120)로 측정되는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인 경우, 가속도센서(130)를 통해 측정되는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인 경우 및 구배판단부(110)를 통해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운전자에게 가속의지가 있어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는 경우나,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나서 업힐 또는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업 시프트 방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어부(100)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나 가속도가 문턱 값(제3기준값, 제4기준값) 미만이 된다면 차량이 주행 중인 경사로가 비교적 완만한 상태이어서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고 볼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업 시프트 방지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차량의 속도나 가속도 중 하나라도 문턱 값 미만이 되는 경우에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3기준값 및 제4기준값은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3기준값 및 제4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차량의 현재 기어단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차량이 다운힐(downhill)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1).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차량의 가속도와 미리 설정된 이론상의 가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스로틀 등 차량의 상태에 따라 이론적으로 계산된 가속도보다 측정되는 가속도가 크다면 차량이 다운힐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1)의 판단결과, 차량이 다운힐 주행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차량의 차속이 제1기준값 초과인지 확인한다(S203). 여기서 제1기준값은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1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차량의 현재 기어단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S203)의 판단결과, 차량의 차속이 제1기준값 초과였다면, 제어부(100)는 차량의 가속도가 제2기준값 초과인지 확인한다(S205). 여기서 제2기준값은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 사양,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2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차량의 현재 기어단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S205)의 확인결과, 차량의 가속도가 제2기준값 초과였다면, 제어부(100)는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S207). 즉 차량의 속도와 가속도가 일정 문턱 값(제1기준값, 제2기준값)을 초과한다면 차량이 주행 중인 경사로가 비교적 가파른 상태이어서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100)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타력주행을 방지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7)의 감지결과, 가속페달의 미작동 감지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S209).
상기 단계(S209)의 확인결과,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이 감지되었다면, 제어부(100)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한다(S211). 즉 차량의 업 시프트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다면 운전자에게 차량의 타력주행을 방지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S213).
상기 단계(S213)의 감지결과, 가속페달의 미작동이 감지되었다면, 제어부(100)는 차량의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인지 확인한다(S215). 여기서 제3기준값은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3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차량의 현재 기어단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S215)의 확인결과, 차량의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이 아니었다면, 제어부(100)는 차량의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인지 확인한다(S217). 여기서 제4기준값은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4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차량의 현재 기어단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S217)의 확인결과, 차량의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이 아니었다면, 제어부(100)는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났는지 판단한다(S219).
상기 단계(S219)의 판단결과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11)로 회귀하여 업 시프트 방지 모드의 수행을 유지한다. 즉 상기 단계(S213) 내지 단계(S219)의 조건 모두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차량의 주행상태가 변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제어부(100)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의 수행을 유지한다.
반면 상기 단계(S213)의 감지결과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었거나, 상기 단계(S215)의 확인결과 차량의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이었던 경우, 상기 단계(S217)의 확인결과 차량의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이었던 경우 또는 상기 단계(S219)의 판단결과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한다(S221).
즉 운전자에게 가속의지가 있어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는 경우나,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나서 업힐 또는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업 시프트 방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어부(100)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나 가속도가 문턱 값(제3기준값, 제4기준값) 미만이 된다면 차량이 주행 중인 경사로가 비교적 완만한 상태이어서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고 볼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업 시프트 방지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차량의 속도나 가속도 중 하나라도 문턱 값 미만이 되는 경우에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다운힐 주행 시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여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업 시프트를 방지하여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구배판단부
120: 차속센서
130: 가속도센서
140: 가속페달 감지부
150: 브레이크페달 감지부
160: 기어단 입력부

Claims (10)

  1.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구배판단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주행상태감지부; 및
    상기 구배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다운힐(downhill) 주행 상태이면, 상기 주행상태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up shift) 발생을 방지하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 정보를 입력받는 기어단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스로틀맵(throttle map)에 의해 요청되는, 상기 기어단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기어단수를 초과하는 기어단수로의 시프트를 방지하며,
    상기 주행상태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가속페달 감지부; 및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페달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속이 제1기준값 초과이고,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가 제2기준값 초과이며, 상기 가속페달 감지부를 통해 가속페달의 미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 감지부를 통해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판단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와 미리 설정된 이론상의 가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페달 감지부를 통해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속센서를 측정되는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인 경우 및 상기 구배판단부를 통해 상기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6. 제어부가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다운힐(downhill) 주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차량의 주행상태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변속장치의 업 시프트(up shift) 발생을 방지하는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스로틀맵(throttle map)에 의해 요청되는, 상기 기어단 정보로 입력되는 기어단수를 초과하는 기어단수로의 시프트를 방지하며,
    상기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속이 제1기준값 초과이고, 상기 측정된 가속도가 제2기준값 초과이며, 상기 가속페달의 미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의 타력주행 방지 의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가속도와 미리 설정된 이론상의 가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경사로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측정되는 차속이 제3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측정되는 가속도가 제4기준값 미만인 경우 및 상기 차량이 다운힐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업 시프트 방지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방법.
KR1020140156975A 2014-11-12 2014-11-12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61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975A KR101619294B1 (ko) 2014-11-12 2014-11-12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975A KR101619294B1 (ko) 2014-11-12 2014-11-12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294B1 true KR101619294B1 (ko) 2016-05-11

Family

ID=5602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975A KR101619294B1 (ko) 2014-11-12 2014-11-12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050484A1 (en) * 2020-04-29 2021-10-30 Scania Cv Ab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train during engine braking
US20210362715A1 (en) * 2020-05-22 2021-11-25 Hyundai Motor Company Sudden acceleration prevention method and vehicle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050484A1 (en) * 2020-04-29 2021-10-30 Scania Cv Ab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train during engine braking
SE544084C2 (en) * 2020-04-29 2021-12-14 Scania Cv Ab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train during engine braking
US20210362715A1 (en) * 2020-05-22 2021-11-25 Hyundai Motor Company Sudden acceleration prevention method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11618447B2 (en) * 2020-05-22 2023-04-04 Hyundai Motor Company Sudden acceleration prevention method and vehicl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0574C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US20100145582A1 (en)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vehicles
JP3453269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130065428A (ko) 차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500824A (ja) 自動車における自動変速機の運転方法
KR101704274B1 (ko) 차량의 엔진토크 제어방법
KR101724475B1 (ko) 자차와 전방 차량 사이의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변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150592B2 (en) Method for preventing drive wheels from spinning
KR101619294B1 (ko)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JPH10299882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174524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토홀드 해제 제어 방법
JP6606989B2 (ja) 車両制御装置
JP4538306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US7212904B2 (en) Constant speed control method for vehicle on inclined road
JP5338468B2 (ja) 自動変速機の下り坂走行時制御方法
KR101749829B1 (ko) 타력주행 중 변속기의 중립제어방법 및 장치
KR20200062430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66602A (ko) 차량의 밀림 방지 제어방법
JP5859350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1992752B1 (ko)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7064621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200033750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993356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0112544A (ja) 制御装置及び変速制御方法
JP501812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