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356B1 -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356B1
KR100993356B1 KR1020040094074A KR20040094074A KR100993356B1 KR 100993356 B1 KR100993356 B1 KR 100993356B1 KR 1020040094074 A KR1020040094074 A KR 1020040094074A KR 20040094074 A KR20040094074 A KR 20040094074A KR 100993356 B1 KR100993356 B1 KR 10099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tage
constant speed
clutch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652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3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정속 주행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현재의 도로 구배와 목표 차속에서 주행 가능한 최상위 변속단 및 록업 클러치의 직결 조건을 변속 제어기에 설정된 변속단별 정속 주행 선도로부터 추출하여 변속단 및 록업 클러치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임의의 차속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차속을 목표 차속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선도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선도를 적용하여 현재 도로의 구배도에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 상태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의 변속 및 록 업 클러치를 결합 혹은 해제하여 정속 주행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정속 주행, 목표 차속, 도로 구배로, 변속 제어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A SHIFT CONTROL SYSTEM WHEN CRUISE CONTROL OF AUTOMATIC TRANSMISSION ON VEHICL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를 실행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현재 구배도에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직결 상태 산출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변속 제어기에 설정되는 각 단별 정속 주행 선도의 일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 예시도.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정속 주행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현재의 도로 구배와 목표 차속에서 주행 가능한 최상위 변속단 및 록업 클러치의 직결 조건을 변속 제어기에 설정된 변속단별 정속 주행 선도로부터 추출하여 변속단 및 록업 클러치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동 정속 주행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자동 정속 주행장치는 예를 들어, 고속 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등을 주행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임의의 주행 속도, 예를 들어 100KPH를 설정하게 되면 운전자의 가속페달 구동이 없이도 엔진 제어수단은 공기량 및 연료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정속 주행한다.
즉, 차량 주행중 운전자가 원하는 차속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자는 정속 주행 스위치를 선택하여 현재 차속을 원하는 정속 주행 차속으로 설정하게 되며, 이후 정속 주행 제어기에서는 목표 차속과 실제 차속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의해 스로틀 개도를 조절하여 실제 차속이 목표 차속을 추종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자동 정속 주행장치는 정속 주행 모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입력이 검출되거나 가속 페달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정속 주행모드를 해제하여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라 공기량 및 연료량을 제어하는 통상의 제어를 실행한다.
수동 변속기를 장착하는 차량의 경우는 운전자가 변속을 하지 않는 한 현재 선택되어진 변속단에서 정속 주행을 제어하나,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은 경우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변속이 일어난다.
이러한 상향 혹은 하향 변속은 정속 주행 작동중 목표 차속을 유지하기 위해 정속 주행 제어기가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일반주행 조건의 변속패턴 선도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짐에 의해 발생된다.
즉, 차량이 구배로에 진입함에 따라 차속이 줄게 되면 목표 차속 대비 실제 차속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실제 차속과 목표 차속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정속 주행 제어기는 스로틀 밸브를 점점 열게 되며 이에 따라 스로틀 밸브의 개도가 점점 커지다가 변속패턴 선도의 하향 변속 라인을 만나게 되면 하향 변속이 일어나게 된다.
이후, 차속이 목표 차속까지 도달하면 정속 주행 제어기는 스로틀 밸브를 닫게 되며 반대로 스로틀 밸브의 개도가 상향 변속 라인을 지나가면 상향 변속이 일어난다.
이 때 록 업(Lock-Up) 클러치 또한 일반 주행시 사용하는 록 업 클러치 작동 선도에 의해 직결/해제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변속기의 최상위 변속단(이하, 'TOP단' 이라 한다.)에서 직결된 상태로 운전되는 것이 변속감 및 연비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하지만, TOP단의 구동력은 다른 하위 변속단보다 낮기 때문에 가속감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어느 이상 밟는 등의 가속 의지가 있는 경우에는 하향 변속이 일어나 운전자가 만족할만한 가속감이 나오도록 변속패턴을 설정하 여야 한다.
일반 운전조건에서의 변속패턴은 이러한 운전자의 가속 의지를 포함하여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출발하여 차례로 상향 변속이 일어날 때의 리듬감 등 여러가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정속 주행 모드는 운전자의 가속 의지 등은 관계없으며 단지 운전자가 설정한 차속을 유지하기만 하면 되는 정속 상태이다.
따라서, 정속 주행모드는 변속감 및 연비에 유리하도록 현재 주행조건에서 목표 차속으로 차량이 주행 가능한 최대한 높은 단과 직결상태로 주행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정속 주행 제어시 사용되는 변속제어는 하향변속 없이 현재 변속단에서 스로틀 밸브의 개도 만 좀 더 열어 주거나, 록 업 클러치만 해제시켜도 목표 차속으로 주행이 가능한 주행조건에서도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하기 위해 설정된 일반 운전조건의 변속패턴을 사용하므로 스로틀 밸브가 열리면서 하향 변속이 일어나고 하향 변속후 급격한 차속 증가로 스로틀 밸브가 다시 닫히면서 상향 변속이 일어나는 등의 빈번한 변속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엔진의 소음이 유발되어 운전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잦은 변속으로 인해 연비가 악화되며, 빈번한 변속으로 인한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구배로 주행시 상기한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정속 주행 작동중 변속 및 록 업 클러치 직결을 일반 주행조건의 변속패 턴과 록 업 클러치 작동 선도에 의해 제어하면 적절한 시점에 상향 또는 하향 변속 및 록 업 클러치 작동 및 해제가 어려우며 이 때문에 불필요한 잦은 변속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가져오게 되며 잦은 변속으로 연비 또한 악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포인트는 3% 구배로를 120KPH의 정속 주행모드로 4단 직결하여 주행하는 운전점이라 하는 경우, 기존 변속 패턴에 의해 변속시 4→3 하향 변속라인을 지나가므로, 4단으로 주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는 4단으로 주행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3단으로 주행되며, 이후 다시 4단으로 상향 변속이 일어나 빈번한 변속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속 주행은 주행 가능한 최상위 변속단으로 록 업 클러치를 직결시켜 주행하여야 하므로, 정속 주행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현재의 도로 구배와 목표 차속에서 주행 가능한 최상위 변속단 및 록업 클러치의 직결 조건을 변속 제어기에 설정된 변속단별 정속 주행 선도로부터 추출하여 변속단 및 록업 클러치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구배로의 등판에 따라 엔진 토크가 저하되는 상황에서도 빈번한 변속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변속감과 연비 향상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 정속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현재의 주행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와; 가속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는 가속 페달 검출부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검출부와;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자동 정속 주행 모드가 선택되면, 설정 시점의 차속을 목표 차속으로 설정하고, 현재의 차속과 목표 차속을 비교하여 현재의 차속이 목표 차속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정속 주행 제어기와; 상기 정속 주행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스로틀 밸브와; 운행되는 지역의 도로 구배도를 검출하는 구배 검출부와;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선도가 설정되며, 상기 정속 주행 제어기에서 목표 차속을 읽어들여 현재의 구배도에서 설정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의 직결 상태를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선도로부터 추출하여, 변속 제어 및 록 업 클러치 제어를 실행하는 변속 제어기 및;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결합측 클러치/해방측 클러치와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차속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차속을 목표 차속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선도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선도를 적용하여 현재 도로의 구배도에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 상태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의 변속 및 록 업 클러치를 결합 혹은 해제하여 정속 주행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자동 정속 주행장치는 모드 선택 스위치(10)와, 차속 검출부(20), 가속페달 검출부(30), 브레이크 검출부(40), 정속 주행 제어기(50), 스로틀 밸브(60), 구배 검출부(70), 변속 제어기(80) 및 솔레노이드 밸브(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10)는 자동 정속 주행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 임의의 차속에서 자동 정속 주행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접점이 선택되어 자동 정속 주행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차속 검출부(20)는 PG-B 센서로 현재의 주행 차속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가속 페달 검출부(30)는 운전자가 구동하는 가속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브레이크 검출부(40)는 주행중 차속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정속 주행 제어기(50)는 모드 선택 스위치(10)에 의해 자동 정속 주행 모드가 선택되면, 설정 시점의 차속을 목표 차속으로 설정하고, 차속 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의 차속과 목표 차속을 비교하여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여 현재의 차속이 목표 차속을 추종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정속 주행 모드의 상태에서 가속 페달 혹은 브레이크의 구동이 검출되는 경우 자동 정속 주행모드를 해제한 다음 일반 주행 모드로 진입하여 가속 페달의 변위에 응답하는 주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스로틀 밸브(60)는 정속 주행 제어기(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한다.
구배 검출부(70)는 현재 운행되는 지역의 구배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변속 제어기(8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가 설정되며, 자동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면 일반 주행시 적용하던 변속 패턴과 록 업 클러치 작동 변속선도를 무시하고, 정속 주행 제어기(50)에 설정된 목표 차속을 읽어들여 현재의 구배도에서 설정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의 직결 상태를 도 4와 같이 설정되는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로부터 추출하여, 변속 제어 및 록 업 클러치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는 해당 차량에 대하여 실제 도로의 주행 저항력이 설정된 샤시 다이나모미터를 이용한 반복적인 시험을 통해 산출하여 패턴 테이블 값으로 작성을 설정한다.
이때, 각 변속단별로 구배도를 증가시켜 가면서 록 업 클러치가 직결 혹은 해제된 경우에 대하여 각각 정속 주행을 실시하여 차속 대 스로틀 밸브의 개도 선도를 구하는 것이다.
샤시 다이나모미터를 이용한 시험이 불가한 경우에는 엔진성능 및 차량 제원 으로부터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하고 실제도로에서 몇 운전점에 대하여 검증을 한 후 필요시 보정하여 패턴 테이블 값으로 작성하여 설정한다.
솔레노이드 밸브(9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변속 제어기(80)에서 인가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결합측 클러치 및 해방측 클러치에 유압을 공급 및 배출시켜 목표 변속단이 동기되도록 하며, 엔진의 입력과 선택된 변속단을 직결시키는 록 업 클러치를 결합 및 해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를 실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변속기 차량이 임의의 속도로 주행하는 과정에서(S110) 정속 주행 제어기(50)는 모드 선택 스위치(10)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정속 주행 차속으로 하는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S120에서 정속 주행모드의 설정이 검출되지 않으면 가속페달의 구동 변위에 따라 응답하는 일반 주행모드를 유지하고, 정속 주행모드의 설정이 검출되면 현재의 차속을 목표 차속으로 설정한다(S130).
이때, 변속 제어기(80)는 정속 주행 제어기(50)에서 인가되는 정속 주행모드의 설정에 대한 플래그에 따라 일반 주행변속 패턴 및 록 업 클러치 작동 선도를 무시하고(S130), 도 4와 같이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를 선택하여, 정속 주행 제어에 있어 변속 제어에 적용한다(S140).
상기와 같이 정속 주행 제어를 위한 조건이 설정되면 변속 제어기(80)는 구배 검출기(70)에서 인가되는 현재 운행되는 지역의 도로 구배도를 판독한 다음 빠 르게 변화하는 도로 구배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필터링을 적용하고(S150), 정속 주행 제어기(50)로부터 설정된 목표 차속을 판독하여 현재의 구배도에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직결 상태를 S140에서 선택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로부터 산출한다(S160).
상기 S160에서 현재의 구배도에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직결 상태가 산출되면 솔레노이드 밸브(90)를 통해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를 제어하여(S170) 잦은 변속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현재의 차속이 목표 차속을 추종하는 정속 주행을 유지하여 준다(S180).
상기 S160에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로부터 현재의 구배도에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직결상태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재의 도로 구배도와 목표 차속을 판독하여(S161) TOP단 정속 주행 변속선도에서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한 상태로 주행 가능한 차속인지를 판단한다(S162).
상기 S162의 판단에서 주행 가능한 차속이면 솔레노이드 밸브(90)를 통해 현재의 변속단에서 TOP단으로 변속한 다음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한다(S168).
그러나, TOP단 록 업 클러치의 결합 상태로 주행 가능한 차속이 아니면 보다 큰 구동력이 요구되는 상태이므로, TOP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로의 주행 가능한 차속인지를 판단한다(S163).
상기 S163의 판단에서 TOP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로의 주행 가능한 차속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변속단에서 TOP단으로 변속한 다음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를 유지한다(S168).
상기 S163에서 TOP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로도 주행 가능한 차속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TOP단에서 1단 하위단(TOP-1)의 정속 주행 변속선도에서 TOP-1 단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164).
상기 S163에서 TOP-1단 록 업 클러치 결합 상태로의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변속단에서 TOP-1단으로 변속한 다음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한다.
그러나, TOP-1단 록 업 클러치의 결합 상태로의 주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TOP-1단 록 업 클러치 해제의 상태로 주행 가능한 차속인지를 판단한다(S165).
상기 S165에서 TOP-1단 록 업 클러치 해제의 상태로 주행 가능한 차속이면 TOP-1단으로 변속한 다음 록 업 클러치의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S168).
상기한 절차의 반복으로 한 단계씩 하위단에 대한 정속 주행 변속선도를 추적하여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의 제어 상태를 찾아 현재의 도로 구배도와 목표 차속에 매칭되는 변속단을 찾아 변속 제어를 실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로 구배도 등의 주행 조건에 관계없이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가장 높은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의 직결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정속 주행 모드에서 가속페달의 구동 혹은 브레이크 페달의 구동에 따른 정속 주행모드의 해제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락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속 주행 모드에서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로부터 현재의 도로 구배도와 목표 차속에서 주행 가능한 최상위 변속단 및 록업 클러치의 직결 조건을 찾아 변속을 제어함으로써, 잦은 변속이 배제되어 안정된 승차감과 연비 향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자동 정속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현재의 주행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와;
    가속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는 가속 페달 검출부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검출부와;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자동 정속 주행 모드가 선택되면, 설정 시점의 차속을 목표 차속으로 설정하고, 현재의 차속과 목표 차속을 비교하여 현재의 차속이 목표 차속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정속 주행 제어기와;
    상기 정속 주행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스로틀 밸브와;
    운행되는 지역의 도로 구배도를 검출하는 구배 검출부와;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선도가 설정되며, 상기 정속 주행 제어기에서 목표 차속을 읽어들여 현재의 구배도에서 설정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의 직결 상태를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로부터 추출하여, 변속 제어 및 록 업 클러치 제어를 실행하는 변속 제어기 및;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결합측 클러치/해방측 클러치와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기는 자동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면 일반 주행시 적용하던 변속 패턴과 록 업 클러치 작동선도를 무시하고,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기에 설정되는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는 해당 차량에 대하여 실제 도로의 주행 저항력이 설정된 샤시 다이나모미터를 이용한 반복적인 시험을 통해 산출하며, 각 변속단별로 구배도를 증가시켜 가면서 록 업 클러치가 직결 혹은 해제된 경우에 대하여 각각 정속 주행을 실시하여 차속 대 스로틀 밸브의 개도 선도를 산출하여 패턴 테이블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기에 설정되는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는 샤시 다이나모미터를 이용한 시험이 불가한 경우에는 엔진성능 및 차량 제원으로부터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하고 실제도로에서 몇 운전점에 대하여 검증을 한 후 필요시 보정하여 패턴 테이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5. 임의의 차속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정속 주행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차속을 목표 차속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 변속선도를 적용하여 현재 도로의 구배도에서 목표 차속으로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 상태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의 변속 및 록 업 클러치를 결합 혹은 해제하여 정속 주행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가능한 변속단 및 록 업 클러치 상태의 추출은,
    현재의 도로 구배도 및 목표 차속이 설정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선도의 TOP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한 상태로의 주행이 가능한 차속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주행 가능한 차속이면 변속단을 TOP단으로 변속한 다음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하여 주행하고, 주행 불가능한 차속이면 TOP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로의 주행이 가능한 차속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TOP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차속이면 TOP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로 주행하고, 주행 불가능한 차속이면 TOP-1 단(TOP단의 바로 하위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한 상태로의 주행이 가능한 차속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TOP-1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한 상태로의 주행이 가능하면 변속단을 TOP-1단으로 변속단 다음 록 업 클러치를 결합하여 주행하고, 주행 불가능한 차속이면 TOP-1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로의 주행이 가능한 차속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TOP-1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차속이면 TOP-1단에서 록 업 클러치를 해제한 상태로 주행하는 과정 및;
    주행 불가능한 차속이면 현재 선택된 각 변속단별 정속 주행선도에서 다음 하위단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록 업 클러치의 결합 혹은 해제를 통한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변속단을 결정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검출되는 도로 구배도의 정보에 대하여 필터링을 적용하여 빈번하게 변화하는 도로 구배도에 민감하지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방법.
KR1020040094074A 2004-11-17 2004-11-17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9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074A KR100993356B1 (ko) 2004-11-17 2004-11-17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074A KR100993356B1 (ko) 2004-11-17 2004-11-17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652A KR20060053652A (ko) 2006-05-22
KR100993356B1 true KR100993356B1 (ko) 2010-11-09

Family

ID=3715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074A KR100993356B1 (ko) 2004-11-17 2004-11-17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255A (ko) 2013-07-11 2015-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39971B1 (ko) 2013-12-02 2018-03-19 주식회사 만도 수동 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의 적응 순항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082A (ja) 2000-02-23 2001-08-2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定速走行制御装置
JP2001246963A (ja) 2001-02-02 2001-09-1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定速走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082A (ja) 2000-02-23 2001-08-2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定速走行制御装置
JP2001246963A (ja) 2001-02-02 2001-09-1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定速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652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5582A1 (en)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vehicles
US7108633B2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124927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3214533A (ja)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スリップ防止装置
US6519520B2 (en) Shift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a method thereof
JP4538306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993356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정속 주행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US10865878B2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101619294B1 (ko) 다운힐 주행 중 업 시프트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20058153A (ko)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1032390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1916187B1 (ko)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81254B1 (ko) 자동 변속기의 퍼지 능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080056A (ko) 시프트 맵을 이용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방법
KR102242097B1 (ko)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114040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338427B1 (ko) 강판 주행 중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47125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JP4600291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4415310B2 (ja) 自動変速制御装置
KR20080017621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JP2023112390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220045578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20060062465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0181459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내리막길 헌팅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