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947B1 -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 Google Patents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947B1
KR101618947B1 KR1020140032298A KR20140032298A KR101618947B1 KR 101618947 B1 KR101618947 B1 KR 101618947B1 KR 1020140032298 A KR1020140032298 A KR 1020140032298A KR 20140032298 A KR20140032298 A KR 20140032298A KR 101618947 B1 KR101618947 B1 KR 10161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xial
cooling
coola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178A (ko
Inventor
정승은
Original Assignee
정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은 filed Critical 정승은
Priority to KR102014003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94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fibrou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는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튜브와, 제1튜브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축냉재가 형성된 축냉부재;와, 축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배치되고, 축냉부재의 외주면을 각각 탄력적으로 감싸 축냉부재의 외주면에 링형의 주름부를 형성하는 밴드; 및, 상기 축냉부재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축냉부재는 주름부에 의해 다수의 축냉셀로 구분되고, 다수의 축냉셀은 주름부가 형성된 부위의 중심영역을 통해 이웃하는 축냉셀과 축냉재가 연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COOL BAND USING COLDNESS-STORAGED MATERIAL}
본 발명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차가운 느낌을 요구하는 신체부위에 감거나, 곡면을 따라 구부려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 스카프는 더운 하절기 야외활동이나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장에서 더운 열기로 인해 더위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고온현상이 발생할 경우 불쾌감으로 인해 작업능률의 저하와 생리적인 변화로 인해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시간 더위를 식혀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아이스머플러는 머플러 내부에 축냉재 수납공간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축냉재를 넣어 착용함으로써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축냉재의 구조에 따라 얼게 할 때 축냉재의 모양은 달라진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0013059호에 의하면 스카프(머플러를 스카프라 칭함) 내부에 축냉재 수납공간을 형성시키고 액상의 축냉재를 그대로 넣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 경우 액상의 축냉재가 보호장치 없이 머플러에 직접 넣어지므로 축냉재 액이 유출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얼게 할 경우 원하는 모양도 유지시킬 수 없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0171호에 의하면 물, 상변화물질(PCM), 흡수성폴리머, 2-하이드록시프로판올 등으로 축냉재를 만들도록 하였다. 그러나 축냉재를 수용하는 아이스 팩이 한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경우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모양을 갖추고 얼게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는 잘 접어지거나 휘어지지 않아서 사용에 불편하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99920호에 의하면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격실에 각각 축냉재를 저장하여 축냉재팩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축냉재팩은 축냉재의 수용량이 감소되어 냉에너지를 유지하는 시간이 감소되고, 신체에 닿는 부분과 닿지 않는 부분의 격실의 열손실률이 서로 다르고, 격실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축냉재팩의 열분포도가 불균일하게 되므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체에 닿는 부분 이외의 바깥쪽 부분으로 열손실이 이루어지므로 축냉유지시간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아이스 팩은 축냉재의 결빙 후 초반에 사용하기에는 인체에 너무 차가운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축냉재의 결빙 후 바로 사용하는 것을 기피하거나 어쩔 수 없이 아이스 팩으로부터 제공되는 과도한 냉기를 견뎌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축냉재의 결빙 후 바로 인체에 사용하기 적합한 온도로 결빙될 수 있는 축냉재가 제안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아이스 팩의 축냉 시간이 너무 짧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차가운 느낌을 요구하는 신체부위에 감거나, 곡면을 따라 구부려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단열되어 불필요하게 냉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긴 시간 동안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결로현상으로 인해 착용감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튜브와, 제1튜브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축냉재가 형성된 축냉부재;와, 축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배치되고, 축냉부재의 외주면을 각각 탄력적으로 감싸 축냉부재의 외주면에 링형의 주름부를 형성하는 탄성밴드; 및, 상기 축냉부재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축냉부재는 주름부에 의해 다수의 축냉셀로 구분되고, 주름부에 의해 축냉부재가 신체부위를 따라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면서, ②축냉셀을 구분하기 위한 주름부에 의해 축냉부재의 축냉재 수용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축냉재의 수용량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냉기를 유지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③인접한 축냉셀 사이에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체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축냉부재의 열분포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다수의 축냉셀은 주름부가 형성된 부위의 중심영역을 통해 이웃하는 축냉셀과 축냉재가 연통하도록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냉재는 상변화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냉부재는 제1튜브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냉부재는 상기 단열부재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3튜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냉부재는 제1튜브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제1튜브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2튜브와, 제2튜브의 내부에 수용되는 축냉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튜브에 수용된 축냉재는 제2튜브에 수용된 축냉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융해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신축성 섬유직물로 이루어져 축냉부재의 외측을 둘러싸고, 양단부에는 서로 결속 가능한 고정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신축 가능한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단열부재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개구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차가운 느낌을 요구하는 신체부위에 감거나, 곡면을 따라 구부려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가 제공된다.
또한,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단열되어 불필요하게 냉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긴 시간 동안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가 제공된다.
또한, 결로현상으로 인해 착용감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따른 축냉부재의 제조단계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따른 축냉부재의 제조단계별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는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축냉재가 수용된 축냉부재(100)와, 상기 축냉부재(100)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냉부재(100)는, 둥글고 긴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의 밀폐된 수용공간에는 축냉재가 수용된 제2튜브(120, 도 2의 (a) 참조)와, 상기 제2튜브(120)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져 제2튜브(120)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2튜브(120)의 축냉재와 다른 융해점을 갖는 축냉재가 수용되는 제1튜브(110, 도 2의 (b)참조)와, 대략 "C"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1튜브(110)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튜브(110)가 노출되는 개구부(131)를 형성하는 단열부재(130, 도 2의 (c)참조)와, 상기 단열부재(130)의 외주면을 둘러싸 단열부재(130)를 보호하는 제3튜브(140, 도 2의 (d)참조) 및,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축냉부재(100)의 외주면을 감싸 링형의 주름부(102)를 형성하도록 축냉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배치되는 탄성밴드(150, 도 2의 (e)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축냉부재(100)는 다수 이격 배치되는 탄성밴드(150)에 의해 외경이 축소된 형태의 주름부(102)가 축냉부재(1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면서, 주름부(102)로 구분되는 다수의 축냉셀(101)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축냉셀(101)은 주름부(102)가 형성된 부위의 중심영역을 통해 이웃하는 축냉셀(101)과 축냉재가 서로 연통하게 된다.
특히, 제1튜브(110)와 제2튜브(120)가 원통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 또는 재봉선에 의해 다수의 격실로 분리된 튜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축냉재를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긴 축냉 유지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튜브(110)에 수용된 축냉재와 제2튜브(120)에 수용된 축냉재는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융해점을 갖도록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2중 구조의 복합 축냉재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편, 상기 탄성밴드(150)에 의해 형성되는 주름부(102)는 이격간격이 좁아질수록 축냉부재(100)의 곡률반경이 작아지고, 이격간격이 넓어질수록 축냉부재(100)의 곡률반경이 커진다. 따라서, 탄성밴드(150)의 배치간격은 사용환경에 따라 축냉부재(100)에 요구되는 곡률반경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부(102)의 깊이는 탄성밴드(15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므로, 탄성밴드(150)의 탄성력은 제1튜브(110)의 직경에 따라 적절한 주름부(102)의 깊이를 형성하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네오프렌(neoprene)과 같은 신축 가능한 단열재로 이루어져 상기 축냉부재(100)의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 축냉부재(100)를 용이하게 인입 인출할 수 있도록 지퍼와 같은 개폐부(202)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벨크로 패스너(velcro fastener)에 의해 서로 결속 가능한 고정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축냉부재(100)의 단열부재(130)에 형성된 개구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개구공(203)이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냉재가 수용된 제1튜브(110)의 외측으로는 단열부재(130)가 배치되어 축냉재에 저장된 냉에너지의 과도한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단열부재(130)의 외측으로는 제3튜브(140)가 배치되어 단열부재(130)를 보호한다.
또한, 제1튜브(110)의 내부에는 별도의 축냉재가 수용된 제2튜브(120)가 배치된다. 이때, 제2튜브(12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튜브(110)의 축냉재는 제2튜브(120)의 축냉재보다 낮은 융해점을 가지고, 제1튜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튜브(120)의 축냉재는 제1튜브(110)의 축냉재보다 높은 융해점을 갖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내측 축냉재(제2튜브의 축냉재)가 먼저 결빙된 후 외측 축냉재(제1튜브의 축냉재)가 결빙되므로 축냉재에 축적되는 냉에너지를 단일 축냉재를 사용하는 구조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내측 축냉재의 융해점이 외측 축냉재보다 낮게 설정되어 외측 축냉재가 먼저 결빙되면, 내측 축냉재가 결빙되기 전에 외측 축냉재가 결빙되어 고체 결빙 벽에 의하여 내측 축냉재에 냉에너지가 도달하기 힘들어지므로 내측 축냉재가 완전히 결빙될 때까지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외측 축냉재가 내측 축냉재보다 낮은 융해점을 갖도록 설정되면, 내측에 배치되는 축냉재는 외측의 축냉재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가 되어, 냉에너지를 보다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축냉부재(100)의 냉에너지 유지시간을 단일 축냉재를 사용하는 축냉부재(100)보다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축냉부재(100)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밴드(150)는 축냉부재(100)의 외측에 링형의 주름부(10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름부(102)는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 축냉부재(100)가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관절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주름부(102)가 형성된 부분은 인접한 축냉셀(101)에 비해 직경이 작기 때문에 축냉부재(100)를 구부렸을 때 주름부(102)가 형성된 부분이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축냉부재(100)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한 경우, 다수의 주름부(102)에 의해 축냉부재(100)가 신체부위의 곡면에 대응하여 구부러지므로 축냉부재(100)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축냉셀(101)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축냉셀(101)에 수용된 축냉재가 인접한 축냉셀(101)로 이동하는 것은 물론, 탄성밴드(150)에 의해 형성된 주름부(102)가 확장하게 되므로, 축냉부재(100)가 외부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름부(102)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의 축냉셀(101)들은 밀착된 신체부위의 발열량에 따라 냉에너지의 손실률이 서로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축냉셀(101)들은 주름부(102)가 형성된 부위의 중심영역을 통해 이웃하는 축냉셀(101)과 축냉재가 연통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다수의 축냉셀(101) 중 일부 축냉셀(101)에서의 열손실이 증가하더라도, 인접한 축냉셀(101)과 축냉재가 연통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축냉부재(100)의 전체 축냉셀(101)들이 비교적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신체부위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튜브(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축냉재에 저장된 냉에너지의 과도한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부재(130)는 일측에 축냉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131)가 형성되어 대략 "C"자의 단면을 이루게 되며, 개구부(131)를 통해서는 축냉재를 수용하고 있는 제1튜브(110)가 노출된다. 따라서, 제1튜브(110)는 상기 단열재의 개구부(131)를 통해 냉에너지를 외부로 배출하고, 단열재로 둘러싸인 부분은 외기와 열교환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축냉부재(100)는 고정부재(200)의 개폐부(202)를 통해 고정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단열부재(130)의 개구부(131)가 고정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공(203)에 대응하도록 삽입된다. 즉, 축냉부재(100)에서 방출되는 냉에너지는 단열부재(130)의 개구부(131) 및 고정부재(200)의 개구공(203)을 통해 외부로 제공되고, 단열재로 둘러싸인 부분은 단열되어 냉에너지의 방출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200)의 개구공(203)이 신체부위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의 양단부에 마련된 고정부(201)를 서로 고정하여 축냉부재(100)를 신체부위에 감아 냉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축냉부재(100)는 주름부(102)를 통해 쉽게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축냉부재(100)를 신체부위의 곡면에 따라 자유롭게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신체부위의 바깥쪽을 향하게 되는 부분에는 단열부재(13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에너지의 불필요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는 네오프렌과 같은 신축 가능한 단열재로 이루어져 고정부재(200)의 표면에 땀과 같은 수분이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개구공(20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단열의 기능도 제공하므로, 냉에너지가 신체부위와 접촉하지 않는 바깥쪽 부분을 통해 불필요하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축냉부재(100)가 2중 구조, 즉 제1튜브(110)와 제2튜브(120)가 중첩되고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융해점을 갖는 축냉재가 수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단가 또는 사용환경등 여러 가지 요건에 따라 도 7과 같이 단일 구조, 즉 제1튜브(110)에 축냉재가 수용된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제1튜브(110)가 원통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 또는 재봉선에 의해 다수의 격실로 분리된 튜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축냉재를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긴 축냉 유지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8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200')는 속건 및 신축 기능을 갖는 기능성 섬유직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의 고정부(201)가 매듭으로 서로 고정되거나, 양단부의 고정부(201)를 동시에 결속하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탄성링(204)에 의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1실시예의 고정부재(200)와 구성상의 차이를 갖는다. 한편, 이러한 고정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축냉부재(1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00')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부(201)를 탄성링(204)으로 고정하는 경우, 탄성링(204)의 위치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부재(200')를 신체부위에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때, 탄성링(204)는 표면마찰에 의해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01)로부터 임의로 위치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가 속건 및 신축 기능을 갖는 기능성 섬유직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땀과 같은 오염성 액체가 묻더라도 신속히 증발하므로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사이즈나 착용부위를 변경하더라도 신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축냉부재(100)가 착용위치로부터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축냉부재, 110:제1튜브, 120:제2튜브,
130:단열부재, 131:개구부, 140:제3튜브,
150:밴드, 101:축냉셀, 102:주름부,
200,200':고정부재, 201:고정부, 202:개폐부,
203:개구공, 204:탄성링

Claims (9)

  1.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제1튜브와, 제1튜브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축냉재가 형성된 축냉부재;
    축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배치되고, 축냉부재의 외주면을 각각 탄력적으로 감싸 축냉부재의 외주면에 축냉부재의 외경을 축소시키는 링형의 주름부를 형성하는 밴드; 및
    상기 축냉부재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축냉부재는 주름부에 의해 다수의 축냉셀로 구분되고, 다수의 축냉셀은 주름부가 형성된 부위의 중심영역을 통해 이웃하는 축냉셀과 축냉재가 연통하도록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재는 상변화물질로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부재는 제1튜브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부재는 상기 단열부재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3튜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부재는 제1튜브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제1튜브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2튜브와, 제2튜브의 내부에 수용되는 축냉재를 포함하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7. 제 6항에 있어서,
    제1튜브에 수용된 축냉재는 제2튜브에 수용된 축냉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융해점을 갖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신축성 섬유직물로 이루어져 축냉부재의 외측을 둘러싸고, 양단부에는 서로 결속 가능한 고정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신축 가능한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단열부재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개구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KR1020140032298A 2014-03-19 2014-03-19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KR10161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98A KR101618947B1 (ko) 2014-03-19 2014-03-19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98A KR101618947B1 (ko) 2014-03-19 2014-03-19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78A KR20150109178A (ko) 2015-10-01
KR101618947B1 true KR101618947B1 (ko) 2016-05-09

Family

ID=5433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298A KR101618947B1 (ko) 2014-03-19 2014-03-19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40B1 (ko) 2018-10-31 2020-05-07 정승은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한 밴드
KR102108441B1 (ko) * 2018-10-31 2020-05-07 정승은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한 냉방용 조끼
KR20200049407A (ko) 2018-10-31 2020-05-08 정승은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1895A (zh) * 2017-02-17 2017-06-30 张静 一种柔性人体多部位降温袋
KR102203873B1 (ko) * 2017-07-25 2021-01-15 손광오 냉각 튜브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029888B1 (ko) * 2017-07-31 2019-10-08 장지원 선풍기용 에어 쿨러
KR102306013B1 (ko) * 2019-06-28 2021-09-29 주식회사 마이팝 웨어러블 쿨링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2262664B1 (ko) * 2019-08-01 2021-06-09 (주)블루초이스 보냉조끼
KR102143981B1 (ko) * 2019-10-16 2020-08-12 주식회사 유한산업 아이스팩
KR102651833B1 (ko) * 2021-07-30 2024-03-26 정진욱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KR20230123126A (ko)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단열 넥쿨러 및 그 제조방법
KR200495995Y1 (ko) * 2022-04-14 2022-10-11 (주)코스 목 쿨링밴드
KR102533372B1 (ko) * 2022-04-27 2023-05-18 김건우 목 냉각용 쿨링튜브
KR102533380B1 (ko) * 2022-04-27 2023-05-26 김건우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KR102673904B1 (ko) * 2023-11-30 2024-06-10 (주)코스 보강프레임을 구비한 넥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58Y1 (ko) * 2007-06-19 2008-06-17 이장훈 아이스스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58Y1 (ko) * 2007-06-19 2008-06-17 이장훈 아이스스카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40B1 (ko) 2018-10-31 2020-05-07 정승은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한 밴드
KR102108441B1 (ko) * 2018-10-31 2020-05-07 정승은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한 냉방용 조끼
KR20200049407A (ko) 2018-10-31 2020-05-08 정승은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232037B1 (ko) * 2018-10-31 2021-03-25 정승은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78A (ko)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947B1 (ko)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US6904617B2 (en) Thermal lining
KR102687606B1 (ko) 발열 목 밴드
KR20140141161A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아이스 목 밴드
JP2009300070A (ja) ジャケット型個人冷房装置
KR20100093230A (ko) 나노 쿨러 목 밴드
KR102232037B1 (ko)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108440B1 (ko)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한 밴드
KR200455235Y1 (ko) 환자용 보냉팩
JP2010069275A (ja) 身体冷却装置
JP3181206U (ja) 首冷却バンド
JP3169053U (ja) 頭部冷却具
KR200415745Y1 (ko) 보냉보온 겸용 스카프
WO2009019462A1 (en) Temperature control materials
KR102673904B1 (ko) 보강프레임을 구비한 넥밴드
KR101618521B1 (ko) 아이스 머플러
KR200367770Y1 (ko) 안전모용 턱끈 커버
CN208805073U (zh) 换热组件
JP4714905B2 (ja) 体の局所用保温・保冷具
KR200345168Y1 (ko) 보온 및 보냉용 옷
KR102029888B1 (ko) 선풍기용 에어 쿨러
JP3180132U (ja) 真空断熱構造水道管
JP3207680U (ja) スカーフ
CN210384166U (zh) 化疗辅助治疗装置
JP2022181016A (ja) 着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