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833B1 -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833B1
KR102651833B1 KR1020210101309A KR20210101309A KR102651833B1 KR 102651833 B1 KR102651833 B1 KR 102651833B1 KR 1020210101309 A KR1020210101309 A KR 1020210101309A KR 20210101309 A KR20210101309 A KR 20210101309A KR 102651833 B1 KR102651833 B1 KR 10265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refrigerant
neck
cushion
ph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961A (ko
Inventor
정진욱
안정현
Original Assignee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21010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41D2023/002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with cool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는 냉매를 내장하여 제작되는 목걸이용 냉매를 채울 수 있는 쿠션밴드의 제작방법인데 그동안 목 부위에 대한 안전성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못하고 방임을 해 왔으나 차츰 차량 운전이 일상화되면서 충돌만 되면 목 디스크를 우려하게 됨으로서 자연히 목에 걸치는 목 보호용 넥밴드 겸 쿠션용을 생각하게 되었고 이를 실천에 옮겨 보급되고 있는 것을 아예 여름철 운전을 할 때 목 쿠션용과 함께 냉매를 담은 목 냉매 쿠션밴드로 제작하여 열기와 목 보호를 겸하는 다중기능성으로 착용하도록 목에 걸치는 종합기능을 지닌 의류분야의 안전제품에 관한 제조기술에 속한다,
최근에 새로운 냉매재료를 발명하여 새로운 냉매 의복으로 사용되는 신소재가 개발되어 Phase Change Material이라며 간단하게 PCM으로 불리는 재료를 냉매로 사용하며 상변화물질이라 불리는 재료로서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거나 액체에서 고체로 변하는 상변화 과정에 열기를 뿜거나 뺏거나 하는 기능성을 이용한 소재로 합성하여 제작하면서 쿠션밴드 내면에 끼워 목을 보호하며 열기도 식히는 기능성 목에 두르는 냉매 착용 겸 쿠션밴드로 제작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 유통되는 간단한 둥근 수지제작 목 착용 넥밴드에 냉매밴드도 담아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목 디스크 상해예방과 열기를 막는 목 냉매 쿠션밴드의 출시로 운전자나 동승자나 보행 중에 차량이나 각종 장애물로 상해를 피하면서 열기도 식힐 수 있어서 열기와 위험을 동시에 예방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색인어]
넥밴드, 다중기능성, 쿠션밴드, 상변화재료, 반원 스펀지, 이중주머니, 냉매밴드, Phase Change Material (PCM),

Description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The multiple functional neck band for cooling with cushion thereof its method of products}
다중이란 용어는 기능이 많다는 단어로서 이제는 한 가지만 택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저것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시대인데 예 들어 옛날과 달리 간단한 휴대전화의 글자판도 버튼이 아니라 터치 판으로 변하여 다양한 글자와 부호를 자유자재로 표시할 수 있게 되었고 심지어 복잡한 아랍어도 쉽게 기재할 수 있게 됨과 같이 목 밴드도 쿠션과 보온과 보냉(保冷)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게 내재시켜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부가기능 제작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본 발명의 다중기능성 목 쿠션밴드는 목을 보호하며 충돌 등에 의한 목 디스크 보호용 쿠션과 냉매를 삽입시켜 더운 여름철 더위를 식히며 겨울철은 추위로부터 보은으로 동상을 피하는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목 밴드 제작 분야에 현대적인 기술을 접목한 의류분야의 제작기술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배경으로 하는 제작기술은 종래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일부 제품에서 새로운 PCM 재료를 주입하여 단순하게 목 주변만 식혀주는 목 밴드도 있으나 차가운 목 밴드를 목에 끼우면 한기를 느끼기도 하고 숨쉬기도 불편하여 장시간 착용이 어려워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는데 발명품으로는 넥 아이스 쿨링 패키지로 국내 특허공보 제10-1977325호(2019.05.13.)와 국내 특허출원 된 온도조절이 가능한 넥 쿨링 튜브인 제10-2018-0119869호(2018.10.08.)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인 제10-2015-0109178호(2015.10.01.)와 찜질용 벨트인 제20-2013-0006804호(2013.11.27.)와 다수 출원을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하였다,
또한 각종 분야 중에 의류분야에서 국내출원 제20-2005-0017199호(2005.06.15)의 PCM을 이용한 보냉 조끼와 국내공개번호 제20-2000-0005021호(2000.03.15)의 결로가 방지되는 얼음조끼도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하면서 상변화물질인 Phase change material(PCM)에 관한 자료를 배경으로 본 다중기능성 목 쿠션밴드의 제작방법에 대한 배경기술로 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될 중요 기술로는 상변화물질 또는 잠열저장물질로 불리는 PCM(phase change materials)을 이용한 냉기를 보존하는 기존의 기술을 보면 여름철 또는 더운 지역이나 구역에서의 활동이나 작업을 하는 이들에게 더위를 덜어주며 쾌적함과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공지된 피씨엠(PCM)을 팩으로 만들어 의복과 각종 목 밴드 등에 적용함에 있어 냉기를 충분히 활용하면서도 피씨엠 팩의 재생 시에 피씨엠 팩용 목 밴드가 쉽게 분리되며 냉장고에 보관하여 재차 동결시키는 방식인데 보온과 관련하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56410호(2004.07.06)의 전열 피씨엠 팩을 이용한 보온조끼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67818호(2004.11.04.)의 피씨엠을 이용하는 보냉 조끼 및 특허공개 제2004-0092924호(2004.11.04.)의 축열제를 이용한 보냉 의류용 쿨 팩 및 냉동용 의류를 배경기술로 하였다,
그동안 개발된 많은 목 밴드에 대한 보냉(保冷)이나 보온(保溫)방법은 다양하면서도 최근에 수입되어 거의 황무지에 가까운 PCM에 대한 이해가 아직도 미흡하여 서늘한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열기를 없애는 방법이며 목 피부를 상하지 않게 하는 것이므로 냉매로 사용되는 PCM의 종류가 다양하고 기능이 다양하여 선뜻 재료선택에서 온도에 관한 지식을 더 많이 연구하여 상변화물질로 인한 인체의 부위별 위험성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새로운 수입재료이기도 하여 PCM이란 재료의 선택을 온도별로 차등을 주는 것을 연구하는 과제도 선택하여 해결시키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상변화재료(PCM)는 위상 전이 시 충분한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흡수하여 유용한 열을 발생시키거나 냉각을 제공하는 물질이란 점을 이용하여 상변화로 전환되는 물질의 처음 두 가지 기본 상태가 되는 고체와 액체, 또는 다른 위상 전이하는 것을 이용하는 과제연구로 해결하는 점이다,
상변화물질에는 주요 클래스(Class)가 있다고 하며 석유에서 파생되는 탄소함유 유기재료와 식물 또는 동물에서 유래하는 소금의 수화물로 보통 바다 또는 미네랄 퇴적물인 천연염을 사용하는 공정상의 부산물로서 솔리드(solid) 위상으로 변경되면 견고하게 굳는다는 점을 응용하는 과제로 해결하려는 점이다,
상변화물질인 PCM은 에너지 저장과 안정적인 온도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용 응용 분야 중에 의류에 적용되는 제품용으로 사용할 때 조끼와 앞치마로 제작하는 과제를 목 밴드용의 응용과제로 확대하면서 중점적인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열 간이조끼 개발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확대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물질에 대한 목 부위 보호를 연구하다가 새로운 목 보호용에 더불어 운전용으로 확대하여 합리적인 열저장 재료처럼 열을 흡수할 때 온도가 상승하지만, 기존의 재료와 달리 PCM이 종류별 각각의 상변화온도에 도달하면 모든 재료가 녹을 때까지 거의 일정한 온도에서 다량의 열을 흡수하는 점을 연구과제로 택하여 해결수단으로 한다,
액체재료의 PCM은 주변 온도가 떨어지면 PCM이 고체화되어 저장된 잠재 열의 방출하는 우리 일상생활의 온도 범위를 고려하여 인간에게 안락한 온도를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의 PCM 종류를 구분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도 과제로 채택하여 해결수단으로 한다,
일부 상변화재료는 물에 혼합되어 상대적으로 독성이 없다고 하지만 탄화수소 또는 기타 인화성 물질이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어서 화재나 위생에 따르는 관행에 의해 PCM의 종류를 선택하고 매우 신중하게 적용해야 하는데 화재위험 증가와 화염 확산이나 재료보관 할 때 폭발 가능성을 우려하여 주거용 또는 기타 정기적으로 점유된 건물 내에서 인화성 PCM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과제도 해결수단으로 한다,
넥밴드용 냉매밴드 제작은 목둘레가 생각보다 길어서 소량으로 분리된 냉매 셀(Cell)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셀로 이어지도록 연결해 굽어져서 두를 수 있게 제작하는 과제로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는 장시간 운전을 하는 자나 동승자들도 목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나 가정에서 목을 보호할 필요가 있거나 무더운 여름 열기를 덜기 위해서는 목 부위만 차가워도 더위를 잊을 수 있으므로 많은 이들이 목 보호와 열기를 식히는 수단으로 쿠션밴드로 사용한다면 더위를 해소하는 효과와 차 사고 등에서 목을 보호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새로운 PCM을 최대한 생활에 적용시키므로 인해 생활의 풍요로움과 발명물질을 우리의 의류계통에도 적용시켜 새로운 목 보호대로 제공되어 이로 인해 침체된 의류분야에 활성화를 주면서 수익증대에 기여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 전개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를 착용한 가상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의 구성부품 상세도,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냉매밴드, 12 : 가장자리, 14 : 유색 상판,
16 : 무색하판, 20 : 쿠션밴드, 22 : 냉매밴드 입구,
24 : 스펀지 자리, 26 : 냉매 자리, 30 : 원통 스펀지,
32 : 반원 스펀지 A, 34 : 반원 스펀지 B, 36 : 삼각 절개 부위,
40 : 훅 밴드, 42 : 루프밴드, 50 : 냉매 쿠션밴드,
60 : 냉매 셀, 70 : 착용자, 가 : 냉매밴드 삽입 방향,
나 : 냉매 쿠션밴드의 측면도, 다 : 이중주머니형 밴드 중간 단면도,
라 : 조립 직전 냉매밴드 배열도, 마 : 냉매밴드의 분해 전개도,
우레탄 재질의 냉매밴드(10)는 목둘레를 감을 수 있는 길이로 재단할 때 표준길이를 500mm에 폭 50mm 및 두께 5mm로 하고, 대·중·소로 나누어 차별화하고, 색상은 유색의 유색 상판(14)과 상기 유색 상판(14)과 같은 크기로 무색의 무색하판(16)을 제작하고, 다수개의 냉매 셀(60)들을 일렬로 길게 연결된 모든 냉매 셀(60)에 5℃, 또는 10℃, 또는 15℃ 중에 선택된 상변화물질인 PCM 재료를 채우고,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을 합체하고 가장자리(12)를 따라 봉합시켜 생긴 내면 공간을 만들고 상기 공간에 들어갈 크기로 제작된 냉매 셀(60)에 일정온도에서만 상변화 하는 PCM을 채우면 냉대밴드(10)가 제작된다,
다른 한 편에는 길이 500mm에 지름 50mm의 원통 스펀지(30)를 반으로 절단하여 두 개로 나누면 일 측은 반원 스펀지 A(32)가 되고 다른 일 측도 반원 스펀지 B(34)가 되어 두 개의 반원 스펀지가 되지만 하나의 반원 스펀지 A(32)와 다른 하나의 반원 스펀지 B(34)로 지정할 뿐 똑같이 사용되고 모두 자체 길이의 중앙부에 삼각 절개 부위(36)를 형성시키는데 이 방법은 중앙부위와 상기 중앙부위의 좌우 두 곳에 각각 삼각 절개 부위(36)를 형성시키게 되어 총 5개소가 되고 이들의 공간을 이용하여 굽히면 둥근 목을 두를 수 있게 굽혀져 단단하던 스펀지가 무리 없이 휘어져 목을 감싸게 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 편에서는 상기 냉대밴드(10)와 상기 반원 스펀지 A 또는 B(32,34)를 삽입할 쿠션밴드(20)을 제작하는데 쿠션밴드(20)는 목에 닿는 내측에 냉매밴드(10)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냉매밴드 입구(22)가 형성된 냉매 자리(20)가 구성되고 쿠션밴드(20)의 외측은 반원 스펀지 A(32) 또는 B(34) 모두 삼각 절개 부위(36)를 형성시키면서 내장시킬 스펀지 자리(24)를 만들어 미리 준비한 반원 스펀지 A 또는 B(32,34) 중의 하나를 집어넣고 넣은 자리를 봉합하여 쿠션밴드(20)로 제작한다.
쿠션밴드(20)의 색상은 여름철을 위한 푸른색의 융 또는 겨울철을 위한 자색의 융으로 반원 스펀지 A(32) 또는 B(34)를 넣을 스펀지 자리(24)와 냉매 자리(26)와 냉매밴드 입구(22)로 구성한 이중주머니의 일 측 말미는 훅 밴드(40)를 부착시키고 다른 일 측 말미는 루프밴드(42)를 부착시켜 냉매밴드(10)가 들어가지 않은 상태의 이중주머니라는 쿠션밴드(20)를 제작한다.
쿠션밴드(20)로 완성되는 이중주머니는 목에 돌리는 형상인데 목 부위에 닿는 곳은 냉매밴드(10)가 삽입되도록 냉매밴드 입구(22)를 마련하면서 냉매밴드(10)가 들어가도록 폭 50mm에 길이 500mm와 두께 5mm의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의 내면에 PCM 재료가 삽입된 냉매 셀(60)들로 구성된 장대 형상 냉매 셀(60)들을 넣고 냉매밴드(10)로 제작하기 위해 가장자리(12)만 봉합하면 상변화물질인 PCM이 함유된 냉매 셀(60)로 인해 지정온도에서만 냉매 기능을 하는 일명 냉매 쿠션밴드(50)가 냉매밴드(10)와 쿠션밴드(20)로 합성되어 제작된다.
쿠션밴드(20)는 융으로 직조된 원단을 스펀지 자리(24)와 냉매밴드(10)가 들어갈 수 있는 냉매 자리(26)로 제작되도록 크기는 길이 550mm와 폭 60mm로 재단해야 장대 밴드형상의 냉매밴드(10) 집과 반원형의 스펀지 자리(24)로 구성되어 두 칸으로 나뉜 쿠션밴드(40)로 완성시키려면 먼저 내면에 직경 50mm에 반쪽 25mm가 차지하는 칸과 냉매밴드(10)가 차지할 높이 50mm에 폭이 5mm가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게 25mm와 5mm로 제작된 이들이 수용되려면 조금씩 커야 하므로 27에서 30mm와 5에서 10mm로 재단하고 봉제로 봉합하여 목이 닫는 면은 평평하고 반대 면인 목이 닫지 않는 쪽은 원형을 이루는 쿠션밴드(20)로 제작한다,
냉매재료 PCM은 실외온도나 실내 온도에서 큰 차이가 없도록 10 내지 20℃ 내에서 선택하는데 15℃의 상변화물질인 PCM 재료를 택하는 것이 일반적 제작방법이다,
냉매밴드(10)를 제작할 때 쿠션밴드(20)의 냉매밴드 입구(22)로 삽입시키기 좋도록 냉매밴드(10)의 중앙부위보다 좌우 말미 중 먼저 삽입되는 냉매 머리는 둥글게 하지만 삽입할 때 PCM의 상태는 고체라 큰 어려움은 없으나 그래도 쿠션밴드(20)가 부드러운 융이므로 냉매 머리를 참작해서 둥글게 제작해야 할 것이다,
융으로 재단할 때 착용자(70)들의 취향과 시장성을 고려하여 색상을 선택하고 일반적으로 때가 덜 타는 희색이나 자주색이 많아야 하지만 서늘함과 시원함을 위해 푸른 색상이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므로 쿠션밴드(20), 즉 냉매밴드(10)가 삽입된 복합적인 넥밴드인 냉매 쿠션밴드(50)를 제작할 때 색상도 신중히 검증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목의 바깥쪽으로 향할 쿠션밴드(20)의 안쪽은 반원 스펀지 A(32) 또는 B(34) 중 한 개를 담으면 원형으로 굽혀지는데 이는 반으로 잘려져 내측 면이 편편하나 원으로 굽혀지려면 적어도 5곳 이상을 삼각형상으로 도려내어야 원으로 굽혀지므로 비록 부드러운 스펀지라도 긴 길이에서 여러 곳을 삼각형상으로 도려내어 삼각 절개 부위(36)를 형성시켜야 한다.
목에 닿는 안쪽은 냉매밴드(10)가 삽입되어 완전하게 평면을 띄우지는 못하지만, 목에 대므로 평면이라 하기보다는 목의 형상에 따라 접촉될 것이므로 이로 인하여 목 부위는 찬 느낌으로 시원하면서 목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유색색상의 유색 상판(14)의 규격은 다양하겠지만 시작품은 중간치를 택하여 길이는 500mm로 하고 폭은 50mm로 하면서 두께 5mm를 표준규격으로 정하여 무색하판(16)과 둘 사이에 들어갈 냉매 셀(60)들의 장대 밴드도 이들의 규격에 따라 제작하였다,
또한,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 사이에 끼울 냉매밴드(10)의 핵심이 되는 다수개의 냉매 셀(60)로 구성된 장대 밴드로 연결되는 각각의 냉매 셀(60) 내부에 20℃의 PCM 재료를 채우고 봉합한 후에 두 개의 판인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의 가장자리(12)만 봉합하여 냉매밴드(10)로 제작하였다,
융으로 재단하여 제작되는 쿠션밴드(20)의 내면은 목 부위에 둘리고 바깥쪽도 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반원 스펀지 A(32) 또는 B(34)가 삽입되도록 하고 목 부위 내측은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냉매밴드(10)가 쉽게 삽입되도록 재봉 처리하였으며 쿠션밴드(20)의 좌우 끝에서 일 측의 위는 훅 밴드(40)를 부착하고 다른 일 측의 저면은 루프밴드(42)를 부착하여 쿠션밴드(20)가 좌우에서 훅 밴드(40)와 루프밴드(42)로 결합으로 쉽게 목에 두를 수 있는 쿠션밴드(20)에 냉매밴드(10)를 삽입한 넥밴드인 냉매 쿠션밴드(50)로 제작하였다,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으로 다수개의 냉매 셀(60)들을 연결하여 제작되는 장대 밴드를 수용하고 봉합하여 제작되는 냉매밴드(10)의 일 측 말미를 다소 작게 형성시켜 제작되는 냉매 머리를 냉매밴드 입구(22)로 밀어 넣는 것을 보여주는 "냉매밴드 삽입 방향(가)"과 같이 쿠션밴드(20)도 색상을 정해 융의 원단으로 재단하여 상기 냉매밴드(10)를 삽입할 수 있게 이중주머니형상으로 제작할 때 목 바깥쪽은 원형으로 제작하여 반원 스펀지 A(32) 또는 B(34) 모두 삼각 절개부위(36)를 만들어 그중 한 개를 넣고 목이 닿는 내측에 냉매밴드(10)가 삽입되도록 직사각형의 냉매 자리(26)가 있게 제작한 쿠션밴드(20)의 좌우 말미마다 일 측의 상면은 훅 밴드(40)를 부착하고 일 측의 하면은 루프밴드(42)를 부착하여 서로 목 앞쪽에서 교차시켜 냉매 쿠션밴드(50)로 착용 되도록 하였다.
착용 전 냉매 쿠션밴드(50)의 결합상태를 본다면 '냉매 쿠션밴드의 측면도(나)'와 같은데 최근의 차량용 안전을 위한 목 밴드를 참조하여 제작되는 쿠션밴드(20)의 내면으로 '이중주머니형 밴드 중간 단면도(다)'와 같이 제작하여 반원 스펀지 A(32) 또는 B(34)가 삽입되는 부위와 다수개의 냉매 셀(60)로 제작되는 냉매밴드(10)는 유색 상판(14)과와 무색하판(16) 사이에 다수개의 냉매 셀(60)로 구성된 장대 밴드는 '조립직전 냉매밴드 배열도(라)' 또는 '냉매밴드 분해 전개도(마)' 같이 제작되는데 기존의 것과 달리 목 안전용 쿠션밴드와 처음부터 원형으로 사출하지 않고 넥밴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삼각 절개 부위(36)로 인하여 펼쳐지고 굽혀지는 쿠션밴드(20), 또는 냉매 쿠션밴드(50)로 제작되는 점이 특징이라 하겠다,
냉매밴드(10)가 쿠션밴드(20)에 삽입되어 제작되는 냉매 쿠션밴드(50)는 착용자(70)에게 목 보호와 더위를 식혀주는 냉매밴드(10)의 기능은 냉매밴드(10)의 내면에 다수개의 냉매 셀(60)이 형성되고 냉매 셀(60) 내에 함유되는 PCM이 다 녹았으면 차량 에어컨에 잠시 놔두거나 찬 공기에 노출시키면 다시 굳어지는데 이미 삽입시켜 녹은 냉매밴드(10)를 꺼내고 다른 새것을 채우려면 '냉매밴드 삽입 방향(가)'을 통해 냉매밴드 입구(22)로 넣고 빼야 한다.
유색 상판(14)의 규격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시작품은 여성용, 또는 아동용을 위해 크기에서 길이는 450mm로 하고 폭은 45mm와 두께 4mm로 규격을 정하고 무색하판(16)도 이와 같은 크기로 제작하였다,
또한, 유색 상판(14)과 무색상판(16) 사이에 끼울 냉매밴드(10)의 핵심이 되는 다수개의 냉매 셀(60)로 구성된 장대 밴드도 각각의 냉매 셀(60) 내부에 15℃의 PCM 재료를 채우고 봉합한 후 두 판으로 구성되는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이 결합 되는 가장자리(12)만 봉합하여 냉매밴드(10)로 제작하였다,
유색 상판(14)의 규격은 다양하겠으나 본 발명의 시작품은 여성용, 또는 아동용을 위해 크기에서 길이는 600mm로 하고 폭은 60mm와 두께 6mm로 규격을 정하고 무색하판(16)도 이와 같은 크기로 하였다,
또한,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 사이에 끼울 냉매밴드(10)의 핵심이 되는 다수개의 냉매 셀(60)로 구성된 장대 밴드도 각각의 냉매 셀(60) 내부에 10℃의 PCM 재료를 채우고 봉합한 후 두 개의 판인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이 결합은 가장자리(12)만 봉합하므로 냉매밴드(10)가 제작되었다,

Claims (2)

  1. 냉매 쿠션밴드(50)의 좌우 양 끝에서 일 측의 상면은 훅 밴드(40)를 부착하고 다른 일 측의 저면은 루프밴드(42)를 부착하여 목에 둘러 착용하는 다중기능성 넥밴드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목둘레에 맞게 재단된 수지재료의 유색 상판(14)과 무색하판(16)을 상하로 겹친 후 가장자리(12)를 봉합하여 장대 밴드로 형성되는 긴 부위를 다수개의 냉매 셀(60)로 일렬로 막아 배열된 상기 냉매 셀마다 지정온도로 상변화를 일으키는 상변화물질을 채워 제작되는 냉매밴드(10)와,
    원통 스펀지(30)를 반으로 잘라 제작된 반원 스펀지 A(32) 또는 반원 스펀지 B(34) 중 하나를 담을 스펀지 자리(24)와 상기 냉매밴드를 수시로 입출 할 냉매밴드 입구(22)와 냉매 자리(26)를 갖추며 융의 직물로 제작되는 쿠션밴드(20)와,
    상기 쿠션밴드의 스펀지 자리에 상기 반원 스펀지 A 또는 B를 삽입하여 봉합하고 상기 냉매밴드 입구로 상기 냉매밴드를 삽입하여 상기 냉매 자리에 넣으면 상기 냉매 쿠션밴드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다중기능성 넥밴드의 제작방법
  2. 삭제
KR1020210101309A 2021-07-30 2021-07-30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KR10265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309A KR102651833B1 (ko) 2021-07-30 2021-07-30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309A KR102651833B1 (ko) 2021-07-30 2021-07-30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961A KR20230018961A (ko) 2023-02-07
KR102651833B1 true KR102651833B1 (ko) 2024-03-26

Family

ID=8525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309A KR102651833B1 (ko) 2021-07-30 2021-07-30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8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804U (ko) * 2012-05-17 2013-11-27 김정운 찜질용 벨트
KR101618947B1 (ko) * 2014-03-19 2016-05-09 정승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961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7807A (en) Headwear including coolant means
US4425917A (en) Heat exchange system for body skin
US6904617B2 (en) Thermal lining
US20130152274A1 (en) Cool cap
US20020068152A1 (en) Thermal comfort liner for helmets
US20110029051A1 (en) Upper body thermal relief apparatus and method
US20120073031A1 (en) Ice Cap Or Ice Hat
US20090036960A1 (en) Icey Wrap
KR20210001833A (ko) 웨어러블 쿨링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2651833B1 (ko) 다중기능성 냉매 쿠션 넥밴드와 이의 제작방법
KR200495995Y1 (ko) 목 쿨링밴드
KR200472631Y1 (ko) 보냉용 목도리
US20130000874A1 (en) Body Temperature Regulating Garment
CN201733927U (zh) 火灾安全防护服面料
US20060156449A1 (en) Articles for providing heating and cooling benefit to a person
US20050223465A1 (en) Article of apparel for temperature moderation
JP3208980U (ja) 頭部冷却用具
JP6654313B2 (ja) 頭部冷却用具
US20180318129A1 (en) Temperature controlled therapeutic plush toy assembly
JP3146465U (ja) 保冷具
KR102339105B1 (ko)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CN207252885U (zh) 防暑凉帽
JPH06257003A (ja) 温度調節衣服
JP3033348U (ja) 携帯用蓄冷・蓄熱材のための温度調節容器
JP3108465U (ja) 蓄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