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037B1 -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037B1
KR102232037B1 KR1020180133073A KR20180133073A KR102232037B1 KR 102232037 B1 KR102232037 B1 KR 102232037B1 KR 1020180133073 A KR1020180133073 A KR 1020180133073A KR 20180133073 A KR20180133073 A KR 20180133073A KR 102232037 B1 KR102232037 B1 KR 10223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roove
cover material
refrigeran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407A (ko
Inventor
정승은
Original Assignee
정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은 filed Critical 정승은
Publication of KR2020004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3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wrappers disposed one inside the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휘어짐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플렉서블 냉매봉은, 제1축냉재로 충전하고 외주면에 제1홈부를 형성한 제1튜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튜브를 심재로 제2축냉재로 충전하고 외주면에 제1홈부에 대응하는 제2홈부를 형성한 제2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coolant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의 간격에 따른 홈부를 형성하여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휘어짐이 용이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머플러는 더운 하절기 야외활동이나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장에서 더운 열기로 인해 더위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고온현상이 발생할 경우 불쾌감으로 인해 작업능률의 저하와 생리적인 변화로 인해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시간 더위를 식혀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아이스머플러는 머플러 내부에 축냉재 수납공간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축냉재를 넣어 착용함으로써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축냉재의 구조에 따라 얼게 할 때 축냉재의 모양은 달라진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0013059호에 의하면 스카프(머플러) 내부에 축냉재 수납 공간을 형성시키고 액상의 축냉재를 그대로 넣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 경우 액상의 축냉재가 보호장치 없이 머플러에 직접 넣어지므로 축냉재 액이 유출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얼게 할 경우 원하는 모양도 유지시킬 수 없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0171호에 의하면 물, 상변화물질(PCM), 흡수성폴리머, 2-하이드록시프로판올 등으로 축냉재를 만들도록 하였다.
그러나, 축냉재를 수용하는 아이스 팩이 한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경우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모양을 갖추고 얼게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는 잘 접어지거나 휘어지지 않아서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99920호에 의하면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격실에 각각 축냉재를 저장하여 축냉재팩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축냉재팩은 축냉재의 수용량이 감소되어 냉에너지를 유지하는 시간이 감소되고, 신체에 닿는 부분과 닿지 않는 부분의 격실의 열손실률이 서로 다르고, 격실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축냉재팩의 열분포도가 불균일하게 되므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본원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18947호를 통해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이하, '플렉서블 냉매봉'이라 함)를 제시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플렉서블 냉매봉은 내부에 축냉재가 수용된 축냉부재(100)와, 축냉부재(100)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축냉부재(100)는 내부의 밀폐된 수용공간에 축냉재가 수용된 제2튜브(120)와, 제2튜브(120)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져 제2튜브(120)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2튜브(120)의 축냉재와 다른 융해점을 갖는 축냉재가 수용되는 제1튜브(110)와, "C"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1튜브(110)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튜브(110)가 노출되는 개구부(131)를 형성하는 단열부재(130)와, 단열부재(130)의 외주면을 둘러싸 단열부재(130)를 보호하는 제3튜브(140) 및,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축냉부재(100)의 외주면을 감싸 링형의 주름부(102)를 형성하도록 축냉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배치되는 탄성밴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렉서블 냉매봉은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주름부(102)를 통해 쉽게 구부러질 수 있어 요구하는 신체부위에 감거나 곡면을 따라 구부려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플렉서블 냉매봉은 다수개의 튜브와 이러한 튜브를 감싸는 단열부재(130)를 포함하고 재차 튜브로 감싸도록 축냉부재(100)를 제조해야 하고, 축냉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블 타이 또는 끈 또는 고무밴드 등을 이용한 탄성밴드(150)를 하나하나 감아야 하기 때문에 그 제조가 까다롭고 공정이 많아 제조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제조과정의 까다로움은 결국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적용된다.
또한, 종래의 플렉서블 냉매봉은, 축냉부재(100)의 내부에 단열부재(130)를 이미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냉기를 오래 보존하는 효과는 있지만 사용을 위해 최초 냉각하기 위해서는 단열부재(130) 때문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불어, 이러한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하여 모자, 냉각 조끼 등의 다양한 물품에 적용할 때, 단열부재(130)를 이미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냉기를 조절하기 위해 단열부재(130)를 제거할 수 없어 적용의 한계성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8947호 (2016. 04. 29.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다수의 홈부를 형성하여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휘어짐이 용이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일 실시예로, 플렉서블 냉매봉은,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내부 밀폐된 수용공간 내 제1 축냉재를 충전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를 형성한 제1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1튜브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축냉재로 충전된 또다른 튜브를 내부에 심재로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 냉매봉은, 제1튜브를 심재로 포함할 수 있는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튜브와의 사이 수용공간을 제2 축냉재로 충전하고, 제1홈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2홈부를 형성한 제2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대응하는 위치의 제1홈부와 제2홈부는 동일 중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로, 대응하는 위치의 제1홈부와 제2홈부는 동일 파형의 주름 형상을 가진다.
한편, 플렉서블 냉매봉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의 제조방법은,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튜브를 제조하는 제1튜브 제조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튜브 제조 단계는,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를 가지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를 블로우 성형하는 제1커버재 성형 과정과, 제1커버재의 개구된 일측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과, 제1커버재의 내부 수용공간 내 제1축냉재를 충전하는 제1축냉제 주입 과정과, 제1커버재의 타측 개구된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타측 개구부 밀폐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 다음에 제1커버재의 내부로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축냉재로 충전된 또다른 튜브를 심재로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의 내부에 제1충전재를 충전한 제1튜브를 제조하는 제1튜브 제조 단계와; 제1튜브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제2튜브용 제2커버재를 성형하는 제2커버재 성형 단계와; 제2커버재의 내부에 제1홈부와 제2홈부의 중심이 동일하도록 정렬부를 조절하여 제1튜브를 위치시키는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와; 제1튜브와 제2튜브의 사이 수용공간내에 제2축냉제를 충전하는 제2축냉재 충전 단계와; 제2커버재의 개구된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시키는 개구부 밀폐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실시예로, 제1튜브 제조 단계는,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를 가지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를 블로우 성형하는 제1커버재 성형 과정과, 제1커버재의 개구된 일측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과, 제1커버재의 내부 수용공간 내 제1축냉재를 충전하는 제1축냉제 주입 과정과, 제1커버재의 타측 개구된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타측 개구부 밀폐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실시예로,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는, 제2커버재의 개구된 입구를 통해 제1튜브를 삽입하는 제2커버재 내 제1튜브 삽입 과정과, 제1커버재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정렬부를 제2커버재의 개구된 일측 입구를 통해 잡아당겨 제1홈부와 제2홈부의 중심이 동일하도록 제1튜브를 위치하는 제1홈부와 제2홈부 위치 정렬 과정과, 제1홈부와 제2홈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제2튜브의 개구된 제2커버재의 일측 입구를 정렬부와 함께 압착하여 밀폐시키는 제2튜브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의 간격으로 홈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휘어짐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튜브와 제2튜브의 커버재에 이미 홈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이 필요없어 공정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의 실시예에 따라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제조방법 상 제1튜브 제조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제조방법 상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은 냉매봉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에 대한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은, 제조가 용이하고 적용부위에 대하여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도 3(a)의 a를 참조하면,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외주면을 따라 설정에 따른 간격으로 제1홈부(13)를 형성한 제1튜브(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외형을 이루는 제1커버재(21)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을 통해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튜브(10)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냉매봉(1)은,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내부 밀폐된 수용공간(S1) 내 전체를 제1 축냉재(12)로 충전하고, 수용공간(S1)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13)를 형성한다.
이때, 제1튜브(10)에 수용된 제1축냉제(12)는 냉기를 전해 받을 수 있도록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플렉서블 냉매봉(1)은 외주면의 설정 간격을 따라 제1홈부(1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대상물의 굴곡진 표면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으며, 사용 대상물의 사람일 경우 사람의 활동부분에 대한 신체에 용이하게 휘어지면서 접함을 유지해 안정적으로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3(a)의 b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제1튜브(10)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축냉재(15a)로 충전된 또다른 튜브(15)를 수용공간(S1) 내부에 심재로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또다른 튜브(15)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휘어짐이 용이한 성질을 가지며, 제1튜브(10)가 과하게 꺾여져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또다른 튜브(15)에 채워지는 축냉재(15a)는 바람직하게 제1튜브(10)의 제1축냉재(12)와 동일한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로 이루어진다.
다만, 축냉재(15a)는 제1축냉재(12)와 서로 다른 융해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다른 융해점을 가지는 축냉재는 하기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서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또다른 튜브(15)는 수용공간(S1) 내에서 자유상태로 위치하거나 수용공간(S1) 내에서 제1커버재(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지지되어 위치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은, 상술의 제1튜브(10)를 심재로 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에 따른 간격으로 제2홈부(23)를 형성한 제2튜브(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제1튜브(10)와 제2튜브(20)의 외형을 이루는 제1커버재(11)와 제2커버재(22)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해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냉매봉(1)은, 길이를 가지는 관 또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환형의 봉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인데, 실시예에서는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냉매봉(1)을 구성하는 제1튜브(10)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제1튜브(10)는 외형을 이루는 제1커버재(11)의 내부 밀폐된 수용공간(S1)내에 제1축냉재(12)를 충전한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설정의 간격으로 오목 형상의 제1홈부(13)를 다수개 형성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튜브(10)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축냉재(15a)로 충전된 또다른 튜브(15)를 내부에 심재로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한편, 제2튜브(20)는 제1튜브(10)를 심재로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제1튜브(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튜브(20)의 외형을 이루는 제2커버재(21)는 제1튜브(10)의 외주면과 사이 간격을 가지는 수용공간(S2) 전체를 제2축냉제(22)로 충전한다.
이때, 제2튜브(20)에 수용된 제2축냉제(22) 또한 제1축냉제(12)와 동일하게 냉기를 전해 받을 수 있도록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2축냉재(22)는 제1축냉재(12)와 서로 다른 융해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축냉재(12)의 융해점이 제2축냉재(22) 보다 낮게 설정된다.
만약 제1축냉재(12)가 결빙되기 전에 제2축냉재(22)가 결빙되면 제2축냉제(22)가 이루는 고체 결빙 벽에 의하여 제1축냉재(12)에 냉에너지가 도달하기 힘들어지므로 제1축냉재(12)가 완전히 결빙될 때까지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제2축냉재(22)가 제1축냉재(12)보다 낮은 융해점을 갖도록 설정되면, 제1축냉재(12)는 외측의 제2축냉재(22)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가 되어, 냉에너지를 보다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냉매봉(1)의 냉에너지 유지시간을 단일 축냉재를 사용하는 냉매봉 보다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튜브(20)는 내부 제1튜브(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홈부(13)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2홈부(2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은 쉽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사용하는 신체부위의 곡면에 따라 자유롭게 밀착하여 사용함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은 다른 실시예로, 제2튜브(20)의 내부에 제1튜브(10)를 심재로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제1튜브(10)의 제1홈부(13)의 중심(C)과 제2튜브(20)의 제2홈부(23)의 중심(C')은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의 제1홈부(13)와 제2홈부(23)는 일정한 깊이과 크기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의 제1홈부(13)와 제2홈부(23)는 동일 파형의 주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의 형상은 플렉서블 냉매봉(1)의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한다면 다양한 홈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의 중심을 동일 중심(C=C')을 가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플렉서블 냉매봉(1)을 사용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힘을 가해 구부릴 경우, 융해점의 차이에 의해 먼저 제1튜브(10)의 제1홈부(13)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면서 제1커버재(11)의 재질적 특성상 제1커버재(11)가 늘어나면서 구부러진다.
이때, 제1커버재(11)가 휘어지면서 사이 수용공간(S2) 내의 제2축냉제(22)를 휘어지는 방향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제2커버재(21) 또한 늘어나면서 구부러진다.
이와 같이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의 대응하는 위치를 일치시킴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이완이 용이해 휘어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은,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11)의 내부에 제1충전재(12)를 충전한 제1튜브(10)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튜브 제조 단계(S1)를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튜브 제조 단계(S1)는, 도 6을 참조하면,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13)를 가지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11)를 블로우 성형하는 제1커버재 성형 과정(S11)과, 제1커버재(11)의 개구된 일측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S12)과, 제1커버재(11)의 내부 수용공간(S1) 내 제1축냉재(12)를 충전하는 제1축냉제 주입 과정(S13)과, 제1커버재(11)의 타측 개구된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타측 개구부 밀폐 과정(S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조한 제1튜브(10)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내부 밀폐된 수용공간(S1) 내 제1 축냉재(12)가 충전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13)를 형성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제1튜브 제조 단계(S1)는,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S12) 다음에 제1커버재(11)의 내부로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축냉재(15a)로 충전된 또다른 튜브(15)를 심재로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축냉재(12)를 충전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의 제1홈부(13)를 형성한 제1튜브(10)와, 제1튜브(10)를 심재로 포함하고 제2축냉재(22)로 충전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홈부(13)에 대응하는 위치로 제2홈부(23)를 형성한 제2튜브(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냉매봉(1)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크게, 제1튜브 제조 단계(S1)와, 제2커버재 성형 단계(S2)와,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S3)와, 제2축냉제 충전 단계(S4)와, 개구부 밀폐 단계(S5)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튜브 제조 단계(S1)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11)의 내부에 제1충전재(12)를 충전한 제1튜브(10)를 제조한다.
구체적인 제1튜브 제조 단계(S1)는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제1튜브(10)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내부 밀폐된 수용공간(S1) 내 제1 축냉재(12)가 충전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13)를 형성한다.
이어서, 제2커버재 성형 단계(S2)는, 제1튜브(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제2튜브용 제2커버재(21)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제1커버재(11)와 동일하게 알려진 바와 같은 블로우 성형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휘어짐이 따른 인장이 용이하도록 제1커버재(11)와 동일하게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이어서,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S3)는, 상술의 제2커버재(21)의 내부에 제1튜브(10)의 제1홈부(13)와 제2튜브(20)의 제2홈부(23) 중심이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동일하도록 정렬부(14)를 조절하여 제1튜브(10)를 위치시키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S3)는, 제2커버재(21)의 개구된 입구를 통해 제1튜브(10)를 삽입하는 제2커버재 내 제1튜브 삽입 과정(S31)과, 제1커버재(11)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정렬부(14)를 제2커버재(21)의 개구된 일측 입구를 통해 잡아당겨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의 중심이 동일하도록 제1튜브(10)를 위치하는 제1홈부와 제2홈부 위치 정렬 과정(S32)과, 제1홈부와 제2홈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제2튜브(20)의 개구된 제2커버재(21)의 일측 입구를 상기 정렬부(14)와 함께 압착하여 밀폐시키는 제2튜브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S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S3)를 통해 제1튜브(10)의 제1홈부(13)와 제2튜브(20)의 제2홈부(23)는 대응하는 위치로 동일 중심을 가지며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제2축냉재 충전 단계(S4)를 통해, 제1튜브(10)와 제2튜브(20)의 사이 수용공간(S2)내에 제2축냉제(22)를 충전한다.
그리고, 개구부 밀폐 단계(S5)를 통해 제2커버재(21)의 개구된 타측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시킨다.
이때, 제1커버재(11)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정렬부(14)를 제2커버재(21)의 개구된 타측 입구와 함께 압착하여 밀폐시킨다.
상술의 단계를 통해, 내부에 제1축냉재(12)를 충전하고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의 제1홈부(13)를 형성한 제1튜브(10)와, 제1튜브(10)를 심재로 포함하고 제2축냉재(22)로 충전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홈부(13)에 대응하는 위치로 제2홈부(23)를 형성한 제2튜브(20)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냉매봉(1)의 제조가 완료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조한 플렉서블 냉매봉(1)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의 대응에 따라 휘어짐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플렉서블 냉매봉(1)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의 간격으로 홈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축냉재가 결빙된 상태에서도 휘어짐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플렉서블 냉매봉 10 : 제1튜브
11 : 제1커버재 12 : 제1축냉재
13 : 제1홈부 20 : 제2튜브
21 : 제2커버재 22 : 제2축냉재
23 : 제2홈부 S1 : 수용공간
S2 : 사이 수용공간

Claims (10)

  1.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내부 밀폐된 수용공간(S1) 전체에 제1 축냉재(12)를 충전하고, 상기 수용공간(S1)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13)를 형성한 제1튜브(10)와;
    상기 제1튜브(10)를 심재로 포함할 수 있는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상기 제1튜브(10)의 외주면과 사이 간격을 가지는 수용공간(S2) 전체를 제2 축냉재(22)로 충전하고, 상기 제1홈부(13)와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수용공간(S2)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2홈부(23)를 형성한 제2튜브(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1홈부(13)와 상기 제2홈부(23)는 동일 중심(C, C')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냉매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10)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축냉재(15a)로 충전된 또다른 튜브(15)를 내부에 심재로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냉매봉.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1홈부(13)와 제2홈부(23)는 동일 파형의 주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냉매봉.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제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렉서블 냉매봉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11)의 내부에 제1충전재(12)를 충전한 제1튜브(10)를 제조하는 제1튜브 제조 단계(S1)와;
    상기 제1튜브(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제2튜브용 제2커버재(21)를 성형하는 제2커버재 성형 단계(S2)와;
    상기 제2커버재(21)의 내부에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의 중심이 동일하도록 정렬부(14)를 조절하여 제1튜브(10)를 위치시키는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S3)와;
    제1튜브(10)와 제2튜브(20)의 사이 수용공간(S2)내에 제2축냉제(22)를 충전하는 제2축냉재 충전 단계(S4)와;
    상기 제2커버재(21)의 개구된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시키는 개구부 밀폐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냉매봉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 제조 단계(S1)는,
    설정 간격으로 오목의 제1홈부(13)를 가지는 설정 길이의 관 또는 바 형상으로 제1커버재(11)를 블로우 성형하는 제1커버재 성형 과정(S11)과,
    상기 제1커버재(11)의 개구된 일측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S12)과,
    상기 제1커버재(11)의 내부 수용공간(S1) 내 제1축냉재(12)를 충전하는 제1축냉제 주입 과정(S13)과,
    상기 제1커버재(11)의 타측 개구된 입구를 압착하여 밀폐하는 타측 개구부 밀폐 과정(S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냉매봉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 위치 고정 단계(S3)는,
    상기 제2커버재(21)의 개구된 입구를 통해 제1튜브(10)를 삽입하는 제2커버재 내 제1튜브 삽입 과정(S31)과,
    상기 제1커버재(11)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정렬부(14)를 제2커버재(21)의 개구된 일측 입구를 통해 잡아당겨 제1홈부(13)와 제2홈부(23)의 중심이 동일하도록 제1튜브(10)를 위치하는 제1홈부와 제2홈부 위치 정렬 과정(S32)과,
    상기 제1홈부와 제2홈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제2튜브(20)의 개구된 제2커버재(21)의 일측 입구를 상기 정렬부(14)와 함께 압착하여 밀폐시키는 제2튜브 일측 개구부 밀폐 과정(S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냉매봉 제조방법.
KR1020180133073A 2018-10-31 2018-11-01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232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2218 2018-10-31
KR1020180132218 2018-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07A KR20200049407A (ko) 2020-05-08
KR102232037B1 true KR102232037B1 (ko) 2021-03-25

Family

ID=7067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073A KR102232037B1 (ko) 2018-10-31 2018-11-01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847B1 (ko) * 2021-10-13 2022-11-07 강경미 여성용 냉 찜질팩
KR102547583B1 (ko) 2022-06-03 2023-06-26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대류현상 최소화를 위한 넥 쿨링 튜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47B1 (ko) * 2014-03-19 2016-05-09 정승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31U (ja) * 1991-08-13 1993-03-02 毅 刈田 保冷材
JPH0536275U (ja) * 1991-10-18 1993-05-18 株式会社イノアツクコーポレーシヨン 蓄冷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47B1 (ko) * 2014-03-19 2016-05-09 정승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07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947B1 (ko)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KR102232037B1 (ko) 플렉서블 냉매봉 및 그 제조방법
US3483869A (en) Surgical probes
US3553976A (en) Container refrigerator
ATE520927T1 (de) Speichersystem für kryogene flüssigkeit in einem weltraumgefährt
US20110029051A1 (en) Upper body thermal relief apparatus and method
US20080312722A1 (en) Heat storage/release device
CN207536403U (zh) 一种能存放多种规格冻存管的冻存盒
KR200420032Y1 (ko) 아이스 팩
KR102108440B1 (ko) 플렉서블 냉매봉을 이용한 밴드
KR20080096739A (ko) 띠형태보냉온재꾸러미를 활용한 머플러겸용 띠
JP2013116282A (ja) 冷却器具
JP5119366B1 (ja) 保温・保冷具
KR20200057496A (ko) 셀 기능성 팩
JP4292042B2 (ja) 身体加熱冷却具及び身体加熱冷却具の製造方法
KR101325721B1 (ko)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CN215323938U (zh) 自冷式药瓶
KR20170079492A (ko) 가열롯드
CN219089888U (zh) 冷敷袋
RU2083150C1 (ru) Спиральные бигуди
CN207975353U (zh) 一种空调保温排水管
KR200424068Y1 (ko) 퍼머로드
JP6249308B2 (ja) 身体冷却加熱具
CN101315259A (zh) 储热热材
JPS62499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