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21B1 -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21B1
KR101325721B1 KR1020110008979A KR20110008979A KR101325721B1 KR 101325721 B1 KR101325721 B1 KR 101325721B1 KR 1020110008979 A KR1020110008979 A KR 1020110008979A KR 20110008979 A KR20110008979 A KR 20110008979A KR 101325721 B1 KR101325721 B1 KR 101325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cold
cold water
water containe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646A (ko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riority to KR102011000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21B1/ko
Priority to RU2011106151/12A priority patent/RU2498757C2/ru
Priority to TR2011/01672A priority patent/TR201101672A2/xx
Priority to EP11155216A priority patent/EP2362170A3/en
Priority to MYPI2011000766A priority patent/MY156620A/en
Priority to BRPI1100342-1A priority patent/BRPI1100342A2/pt
Priority to JP2011034215A priority patent/JP5462816B2/ja
Priority to TW100105765A priority patent/TWI513946B/zh
Priority to US13/032,027 priority patent/US8701437B2/en
Priority to CN201110042938.6A priority patent/CN102190271B/zh
Priority to MX2011001988A priority patent/MX2011001988A/es
Publication of KR2012008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에 구비되는 냉수통의 중앙부에 냉각관이 구비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냉수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냉각관의 기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냉수통과 냉동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의 내측에는 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시스템의 냉각관은 상기 관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수통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COOLING BUCKET OF COLDNESS AND WARMTH WATER DEVICE}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에 구비되는 냉수통의 중앙부에 냉각관이 구비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냉수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냉각관의 기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통상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냉온수기는 용량이나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다양하게 분류가 가능 하지만 실질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냉매를 이용하여 물을 냉각시키고, 히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일상 생활에 필요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한다는 데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최근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이나 관공서는 물론 일반 가정에도 냉온수기가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기의 냉수통(10) 및 냉각관(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냉수기는 냉각관(30)이 냉수통(10)의 주변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냉각관(30)은 냉수통(10)의 외벽에 다양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냉수통(10)의 외주면을 따라 냉각관(30)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구비된다. 이는 냉각관(30)을 냉수통(10)에 여러 번 감을 수 있어서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냉수통(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냉각관(30)에는 냉매가 흐르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가게 된다. 즉 모세관(미도시)을 통하여 공급된 냉매는 지름이 큰 냉각관(30)을 지나면서 단열팽창되어 기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기화에 필요한 잠열을 주변에서 빼앗으면서 주변온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통은 냉각관의 일측면이 냉수통의 외주면과 접촉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냉각관의 외측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냉각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지만 어느정도의 손실은 불가피하다. 또한 냉각관이 냉수통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관의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냉수통의 부피도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냉각관이 냉수통의 외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나 설치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직접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수통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관을 냉수통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냉수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냉각관의 기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냉수통과 냉동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의 내측에는 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시스템의 냉각관은 상기 관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냉수통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에 의하며, 냉각관이 냉수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수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냉각관의 기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기의 냉수통 및 냉각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상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상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냉동시스템이 결합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상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100) 구조는, 냉수통(100)과 냉동시스템(300)(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0)의 내측에는 관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시스템(300)의 냉각관(130)은 상기 관수용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수통(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냉수통(100)은 냉온수기에 있어서 정수된 물을 냉각시켜 저장하는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만 냉수통(100)의 형상은 반드시 원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육면체 또는 다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부적인 구성에 있어서도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통형의 냉수통(1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냉수통(100)의 내측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일측이 제1 격실(150)을 형성하고 타측이 제2 격실(160)을 형성한다.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에 유사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은 평편한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대면 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수용부(110)가 구비된다. 관수용부(110)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평편한 측면의 일부가 중공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대면 되는 면에는 냉수통(100)의 가운데 부분을 가로지르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좁고 길게 형성된 슬롯형상의 관수용부(110)가 형성되게 된다. 관수용부(110)의 내측에는 냉각관(130)이 구비되며, 냉각관(130)은 관수용부(110)의 내측에 길이방향 또는 넓이방향을 따라 최소한 1회 이상이 겹쳐지도록 구비된다. 냉각관(130)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냉수통(100)은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별개로 성형 되어 원통형상의 냉수통(100) 내부에 삽입되거나 각 격실이 직접 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냉수통(100)은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 및 관수용부(110)가 일체로 압출성형 되어 만들어 진다. 한편, 제1 결실과 제2 격실(160)의 양단에 인접한 벽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0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05)는 격실(150, 160) 벽의 일부가 절곡되면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결합돌기(105)에 의하여 후술하여 설명할 엔드피스(170)가 결합ㆍ고정된다. 또한 냉수통(100)의 내면과 외면은 아노다이징 처리 또는 방식도료 코팅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노다이징 처리는 황산과 같은 특정 용액에서 금속류가 양극으로 작용하도록 하면서 금속류의 표면의 산화작용을 촉진시켜 균일한 두께의 산화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방식도료 또는 방식수지가 피도포물는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매우 우수한 에폭시 또는 테프론 등과 같은 물질을 냉수통(100)의 내면과 외면에 코팅하는 것을 말한다.
냉수통(100)과 엔드피스(170)의 결합관계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수통(100)에는 온도센서(103)가 구비되어 냉수통(100) 내부에 유입된 물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냉수통(100) 내부에 유입된 물은 후술하여 설명할 냉동시스템(300)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때 냉수통(10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냉동시스템(300)의 가동을 중지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냉수통(100)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온도센서(103)는 냉수통(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냉수통(100)의 내부에는 항상 물이 흐르기 때문에 냉수통(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수통(100)은 내부를 흐르는 물과 열적 평형을 이루어 냉수통(100) 외부의 온도를 기준으로 냉동시스템(300)을 제어하더라도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103)는 냉수통(100)의 외측면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만나는 지점에 센서수용부(107)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수용부(107)에 온도센서(103)가 구비되도록 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은 반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출성형된다. 따라서 각 격실(150, 160)의 평면부와 곡면부가 만나는 지점은 사출성형의 특성상 곡면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만나는 지점에 센서수용부(107)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수용부(107)에 온도센서(103)를 구비함으로써 온도센서(103)를 보호함은 물론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이때 센서수용부(107)는 온도센서(103)가 수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며, 온도센서(103)가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에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도록 센서수용부(107)의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어 온도센서(103)가 탈부착 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양단은 밀폐되어 내측에 정수된 물이 수용될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냉수통(100)의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양단에 상기 제1 격실(150) 및 제2 격실(1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엔드피스(170)가 결합되어 상기 격실(150, 160)의 양단을 밀폐하고, 제1 격실(150)의 일단에 구비된 엔드피스(170)에는 입수구(190)가 구비되고, 제2 격실(160)의 일단에 구비된 엔드피스(170)에는 출수구(195)가 구비되며, 제1 격실(150)의 타단과 제2 격실(160)의 타단은 연통관(200)에 의하여 외측으로 연결되어 있다.
엔드피스(170)는 단면의 형상이 제1 격실(150) 또는 제2 격실(16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튜브형상의 몸체에, 일측면이 밀폐되어 측단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자 형상에 유사하다. 엔드피스(170)는 필요에 따라 튜브형상이 아니라 내부가 채워진 블럭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튜브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냉수통(100)과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냉수통(100)의 저수량을 최대로 할 수 있고, 후술하여 설명할 얼음망(180)을 설치하는데도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엔드피스(170)의 외주면에는 오일결합홈(171)과 통결합홈(173)이 최소한 하나 이상씩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오일결합홈(171)은 엔드피스(170)의 개방부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통결합홈(173)은 밀폐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오일결합홈(171)에는 오-링(175, O-ring)이 결합되어 엔드피스(170)가 냉수통(10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냉수통(1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통결합홈(173)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결합돌기(105)가 삽입되어 엔드피스(170)가 상기 격실의 양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제1 격실(150)의 일단에 구비된 입수구(190)는 직관 또는 엘보 등과 같은 공지의 배관 또는 접속관으로 구성되며, 정수필터(380)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제1 격실(150)로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제2 격실(160)의 일단에 구비된 출수구(195)는 냉수통(100) 내부에 수용된 냉수를 필요한 곳으로 공급하는 통로로서, 입수구(190)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배관이나 접속관으로 구성된다. 이때 입수구(190)와 출수구(195)는 별도의 배관이 결합될 수도 있고, 엔드피스(17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격실(150)의 타단과 제2 격실(160)의 타단은 연통관(2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입수구(190)을 통하여 제1 격실(150)로 유입된 물이 상기 연통관(200)을 통하여 제2 격실(160)로 흘러간 후에 출수구(19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가 된다. 연통관(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엘보(elbow)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 형상의 파이프나 ∪자 형상의 파이프 등 공지의 다양한 형상의 배관 또는 접속관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양단의 내측에는 얼음망(180)이 구비된다. 얼음망(180)은 제1 격실(150)에서 발생한 얼음이 제2 격실(160)로 이동하거나 제1 격실(150) 또는 제2 격실(160)에서 발생한 얼음이 냉수통(100) 외부로 유출되거나 냉수통(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수용부(110)에 구비되는 냉각관(130)은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변 온도를 급격히 떨어뜨린다. 특히 팽장밸브(미도시)가 구비되는 관수용부(110)의 일측은 기온이 가장 낮기 때문에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일단에는 벽면을 따라 일부 결빙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격실의 벽면에 결빙된 얼음은 냉동시스템(300)의 가동이 중지되면 쉽게 떨어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양단에 얼음망(180)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얼음덩어리가 격실 내부를 떠돌아다니거나 격실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얼음망(180)은 제1 격실(150) 또는 제2 격실(160)의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피스(170)의 개방부가 구비된 타측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냉수통(100)의 외측면에 단열재(230)가 구비되어 외부의 열기가 냉수통(100) 내부로 유입되어 냉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열재(230)는 냉수통(100)의 외주면 뿐만 아니라 양단에도 구비되어 냉수통(100)의 외측면 전체를 감싼다. 단열재(230)는 스치로폼 또는 발포재 등과 같은 공지의 단열재(230)가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측단면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냉온수기의 냉수통의 상부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100)은,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관수용부(110)는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대면 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양단은 밀폐되어 있으며, 제1 격실(150)의 일단에는 입수구(190)가 구비되고 제2 격실(160)의 일단에는 출수구(195)가 구비되되, 상기 관수용부(110)는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타단이 내측에서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100)은 관수용부(110)가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타단, 즉 냉수통(100)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타단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냉수통(100)(이하 '제1 실시예'라 함)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100)(이하 '제2 실시예'라 함)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냉수통(100) 내부에서는 완전히 격리되고 연통관(200)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냉각관(130)이 구비되는 관수용부(110)가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은 완전히 분리하여 냉수통(100) 내의 물이 교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출수구(195)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수용부(110)가 더욱 길고 넓게 형성될 수 있어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연통관(200)이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재(230)를 연통관(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거나 연통관(200)을 별도의 단열재(230)로 감싸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연통관(200)에 단열재(230)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냉기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수통(100)은 관수용부(110)의 타측 일부가 냉수통(100)의 타단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냉수통(100)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100)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통(100)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의 연결구조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수통(100)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냉동시스템이 결합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는 공지의 냉동시스템(300)과 결합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며, 이와는 별도로 온수통(350)과 상기 온수통(350)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수통(350)에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냉동시스템(300)은 압축기(310), 응축기(320)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310)는 냉매를 압축하여 포화증기상태로 만들고, 응축기(320)는 압축기(31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방열시켜 저온 고압의 포화액으로 변환시키며, 증발기는 팽창밸브와 냉각관(1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응축기(320)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팽창밸브를 통하여 단열팽창시키면서 냉각관(130) 주변의 기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외에도 응축기(320)를 지나면서 포화액 상태로 변한 냉매 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드라이어(33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100) 구조에 있어서 증발기에 구비된 냉각관(130)이 냉수통(100)의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 사이에 형성된 관수용부(110)의 내측에 최소한 1회 이상이 겹치도록 구비된다. 이때 냉각관(130)은 관수용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응축기(320)를 통하여 액체상태로 변한 냉매는 모세관(340)을 통하여 관수용부(110)에 구비된 냉각관(130)으로 공급된다. 냉각관(130)에 도달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하여 단열팽창되면서 관수용부(110)와 상기 관수용부(110)에 대면되도록 구비되는 제1 격실(150) 및 제2 격실(160)의 온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그리하여 입수구(190)를 통하여 냉수통(1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차갑게 냉각되어 출수구(195)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냉수통(100) 구조에는 정수필터(380)가 더 구비되어 원수관(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수한 다음 냉수통(100)이나 온수통(35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정수필터(380)는 공지의 구성요소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에는 냉수통(100)과 더불어 온수통(350)이 더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온수통(350)은 원통 또는 다각형통의 내측에 히터(360)가 구비되어 원수관 또는 정수필터(380)로부터 온수통(35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생활용수 또는 음용수로 공급하게 된다. 온수통(350)은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냉수통 103: 온도센서
107: 센서수용부 110: 관수용부
130: 냉각관 150: 제1 격실
160: 제2 격실 180: 얼음망
190: 입수구 195: 출수구
200: 연통관 230: 단열재
300: 냉동시스템 350: 온수통
360: 히터

Claims (12)

  1. 냉수통(100)과 냉동시스템(300)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통(100)의 내측에는 관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냉동시스템(300)의 냉각관(130)은 상기 냉수통(100) 내측의 관수용부(110)에 구비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0)은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수용부(110)는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대면 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양단은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격실(150)의 일단에는 입수구(19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격실(160)의 일단에는 출수구(195)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격실(150)의 타단과 상기 제2 격실(160)의 타단은 연통관(200)에 의하여 외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0)은 제1 격실(150)과 제2 격실(16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수용부(110)는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대면 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양단은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격실(150)의 일단에는 입수구(19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격실(160)의 일단에는 출수구(195)가 구비되되,
    상기 관수용부(110)는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타단이 내측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0)에는 온도센서(10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103)는,
    상기 냉수통(100)의 외측면으로,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이 만나는 지점에 센서수용부(107)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수용부(107)에 상기 온도센서(103)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양단의 내측에는 얼음망(1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실(150)과 상기 제2 격실(160)의 일단의 내측에는 얼음망(1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130)은 상기 관수용부(11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최소한 1회 이상 겹쳐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0)의 외면에는 단열재(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기에는,
    냉수통(100)의 일측에 온수통(350)을 연결하되, 온수통(350)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통(35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36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0)은 압출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0)의 내면과 외면은 아노다이징 처리 또는 방식도료코팅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KR1020110008979A 2010-02-22 2011-01-28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KR101325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79A KR101325721B1 (ko) 2011-01-28 2011-01-28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RU2011106151/12A RU2498757C2 (ru) 2010-02-22 2011-02-18 Диспенсер для горячей и холодной воды
EP11155216A EP2362170A3 (en) 2010-02-22 2011-02-21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MYPI2011000766A MY156620A (en) 2010-02-22 2011-02-21 Hot & cold water dispenser
TR2011/01672A TR201101672A2 (tr) 2010-02-22 2011-02-21 Sıcak ve soğuk su dağıtıcı
BRPI1100342-1A BRPI1100342A2 (pt) 2010-02-22 2011-02-21 dispensador de Água quente e fria
JP2011034215A JP5462816B2 (ja) 2010-02-22 2011-02-21 冷温水器
TW100105765A TWI513946B (zh) 2010-02-22 2011-02-22 冷熱水飲水機
US13/032,027 US8701437B2 (en) 2010-02-22 2011-02-22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CN201110042938.6A CN102190271B (zh) 2010-02-22 2011-02-22 冷热水分配器
MX2011001988A MX2011001988A (es) 2010-02-22 2011-02-22 Dispensador de agua caliente y fr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79A KR101325721B1 (ko) 2011-01-28 2011-01-28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46A KR20120087646A (ko) 2012-08-07
KR101325721B1 true KR101325721B1 (ko) 2013-11-08

Family

ID=4687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979A KR101325721B1 (ko) 2010-02-22 2011-01-28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134B1 (ko) 2021-09-16 2022-08-11 이종용 냉수와 온수의 선택 출수가 가능한 저수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863Y1 (ko) * 1997-10-16 1999-11-01 송재식 음용액체 냉각장치의 냉각구조
KR20040035224A (ko) * 2002-10-18 2004-04-29 김기호 정수냉각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863Y1 (ko) * 1997-10-16 1999-11-01 송재식 음용액체 냉각장치의 냉각구조
KR20040035224A (ko) * 2002-10-18 2004-04-29 김기호 정수냉각용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134B1 (ko) 2021-09-16 2022-08-11 이종용 냉수와 온수의 선택 출수가 가능한 저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46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2816B2 (ja) 冷温水器
CN103799860B (zh) 饮水机及饮水机的制冷控制方法
CN106288611A (zh) 制冷设备及防内胆结霜的方法
CN102753911A (zh) 蓄热装置和具有该蓄热装置的空气调节机
KR101325721B1 (ko) 냉온수기의 냉수통 구조
JP2015121371A (ja) 2重管式熱交換器
KR20100110663A (ko) 정수 장치
CN103017428B (zh) 冰箱及其制冷系统
KR101287610B1 (ko) 냉이온수기의 냉각유닛
JP2017053589A (ja) 冷蔵庫
CN102753912A (zh) 蓄热装置和具有该蓄热装置的空调
ITUB20153364A1 (it) Sistema per lo sbrinamento dell?evaporatore esterno in un impianto a pompa di calore.
KR101540667B1 (ko) 냉온정수기
CN204902302U (zh) 冰箱的制冷系统和具有其的冰箱
KR200456349Y1 (ko) 이중관이 마련된 냉온수기
RU2390124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моло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естественного холода
CN217465053U (zh) 制冷设备
CN108885045A (zh) 利用热管的净水器
KR100200981B1 (ko) 냉수기용 증발기
CN104949371A (zh) 冰箱的制冷系统和具有其的冰箱
KR102077459B1 (ko) 냉직수기 및 냉직수기 제어방법
CN210448656U (zh) 一种盘管式冷干机
KR20110096434A (ko) 열교환용 일체형 이중관
KR20130108373A (ko)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20110072609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