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380B1 -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 Google Patents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380B1
KR102533380B1 KR1020220052270A KR20220052270A KR102533380B1 KR 102533380 B1 KR102533380 B1 KR 102533380B1 KR 1020220052270 A KR1020220052270 A KR 1020220052270A KR 20220052270 A KR20220052270 A KR 20220052270A KR 102533380 B1 KR102533380 B1 KR 10253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neck
cooling tube
tube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22005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380B1/ko
Priority to PCT/KR2022/009335 priority patent/WO20232108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9Throat or neck
    • A61F2007/0011Neck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77Other details of hot water bottles, heat packs or cold pa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이 편리하고 목의 뒷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구성하여 높은 냉각 특성을 갖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와 상기 냉각튜브와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냉각재를 포함하고 변형되어 착용자의 목에 장착되고, 표면 접촉에 의하여 목을 냉각시키는 쿨링튜브; 및변형된 상기 쿨링튜브를 지지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Cooling tube set for neck cooling}
본 발명은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튜브와 냉각튜브를 감싸는 홀더를 포함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에 관한 것이다.
더운 여름철에서 실내와 활동을 하는 경우 몸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활동에 제한되고 심한 경우 열사병에 의하여 건강에 해가될 수 있다.
따라서 몸의 열을 식히기 위해서 냉방 환경에서 일정 시간 휴식을 취하고, 필요한 경우 찬 음용수나 빙과류를 섭취한다.
그리고 활동 시 또는 작업 시에는 냉각용 조끼와 같이 몸을 직접 식혀줄 수 있는 수단을 착용하기도 한다.
상과 같은 조끼는 착용자 몸을 직접 식혀주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구성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655784호에는 냉각이 요구될 때 조끼로 간편하게 결합하여 착용자의 등과 어깨 및 흉부를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냉각이 필요 없을 때에는 간단하게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끼의 각 전면판 내측면의 상부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밴드; 및 상기 냉각 패드는 고분자 함유섬유에 의해 양측이 상기 고정밴드로 삽입되어 착용자의 흉부 상부로 덮어지는 전면 패드부, 상기 전면 패드부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 어깨를 감싸는 각 어깨 패드부 및 상기 어깨 패드부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등을 덮는 등 패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착탈식 냉각 패드를 구비한 조끼 구성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냉각용 조끼는 착용자 몸체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몸을 식혀주는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나, 높은 활동성을 필요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은 활동성을 위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목에 간단히 장착하여 몸의 열을 낮추는 냉각튜브가 제안되었다.
상기 냉각튜브는 내부에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s)이 내장되어 있어, 사전에 냉각시키면 적어도 일정 시간 저온을 유지하여 착용된 목을 냉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냉각튜브는 상변환 물질을 주입한 후에는 그 형상이 고정되어 보관 등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축하여 목 주위의 접촉 면적도 대부분 동일하여 높은 냉각 특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목에 착용하는 냉각튜브는 안쪽은 목에 직접 접촉하여 냉기를 전해주지만, 바깥쪽 외면의 경우 외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외기가 고온인 경우와 또한 외면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경우 냉각튜브의 냉각 특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관이 편리하고 목의 뒷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구성하여 높은 냉각 특성을 갖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와 상기 냉각튜브와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냉각재를 포함하고 변형되어 착용자의 목에 장착되고, 표면 접촉에 의하여 목을 냉각시키는 쿨링튜브; 및변형된 상기 쿨링튜브를 지지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대칭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쿨링튜브를 감싸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단면은 상기 쿨링튜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쿨링튜브가 삽입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양말단부에 안착된 상기 쿨링튜브의 양끝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별도의 장식부재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식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금속, 가죽, 실리콘 및 복합소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쿨링튜브는: 유연성 합성수지 재질이며 평판 형태인 하단부; 유연성 합성수지 재질이며,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와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단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냉각재를 포함하고, 착용 시 'C'자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돌출부가 착용자의 목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단에 형성되는 상면과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출부 사이에 개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자로 변형되는 경우, 이웃하는 돌출부의 측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양 측면에 비하여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폭은 양측면에 비하여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부의 폭은 양 측면에 비하여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PU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0.1mm 내지 0.3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재는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및 옥탄데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테두리부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두리부는 고주파 융착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은 냉각튜브와 냉각튜브의 외면을 감싸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냉각튜브의 변형을 유지하여 높은 착용감을 제공하고, 냉각튜브 외면이 직사 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튜브의 냉각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표면에 형성되는 다양한 홀에 장식품들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꾸미기가 가능하여 독특한 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튜브 셋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쿨링튜브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단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단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돌출부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2의 쿨링튜브가 변형된 상태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홀더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며,
도 9은 도 7에 도시된 홀더의 수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쿨링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튜브(100)와 상기 냉각튜브(100)의 외면의 일부를 감싸는 역할을 하는 홀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 냉각용 쿨링튜브(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와 상기 하단부(10) 상단에 부착되는 상단부(20)와 상기 하단부(10)와 상단부(20)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단부(10)와 상단부(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그 중 PU(polyurethane) 재질이 가공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성형성을 고려하는 경우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의 두께는 0.1mm 내지 0.3mm 범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약하여 부적절하고, 0.3mm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성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여 부적절하다.
상기 하단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형 형태로 구성되고, 중앙부(11)와 양 끝단(12)에 비하여 크게 형성한다.
특히 상기 중앙부(11)는 착용 시 목 뒤편에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단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를 진공 성형 등과 같은 성형 방식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평판 형태의 테두리부(23)와 상단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30)는 평면도 상으로 각각 다른 형태가 적절한 패턴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으로, 대칭적으로 또는 반대칭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크기, 용도 또는 미감 등을 위하여 도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0)와 돌출부(30) 사이의 이격거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에 따라 증가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역삼각형 형태의 개방공간(25)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공간(25)은 쿨링튜브(100)를 돌출부(30)가 내부로 배치되는 'C'자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30)는 양 측면(31)과 상면(32)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32)은 수평으로 형성되나, 상기 양 측면(31)은 상기 개방공간(25)의 형성을 위하여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물론 상기 상면(32)과 측면(31)의 연결은 내부에 배치되는 냉각재(40) 등에 의하여 곡선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돌출부(30)의 폭은 중앙부(21)를 양 끝단(22)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30)의 폭은 양 끝단(22)에서 가장 작은 크기로 형성하고 중앙부(21) 방향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30)의 높이 역시 중앙부(21)를 양 끝단(22)에 비하여 크게 형성한다.
특히 상기 돌출부(30)의 높이는 양 끝단(22)에서 중앙부(21) 방향으로 증가되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중앙부(21)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30)의 외곽라인은 대칭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0)는 중앙부(21)에서 가장 큰 부피로 형성하여 착용 시 목 뒷편의 냉각이 가장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단부(10)와 상단부(20)는 시트 형태의 합성수지에서 절단을 통하여 일차 가공되고, 특히 상단부(20)는 절단된 부분을 추가로 성형하여 상기 돌출부(30)를 형성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절단 공정에서 종래 원형 방식에 비하여 높은 재료 활용도를 갖는 장점이 있어, 재료 소모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전체 쿨링튜브(100)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하단부(10)와 상단부(20)는 테두리부(13, 23)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테두리부(13, 23)를 일부를 제외한 부분을 고주파로 일차 융착한 후, 융착되지 않은 부분을 통하여 내부 공간에 냉각재(40)를 주입한 후 나머지 부분을 추가로 고주파로 이차 융착하여 밀봉을 완료한다.
필요한 경우 일착 융착 후, 내외부 위치를 반전시킨 후, 내부 공간에 냉각재(40)를 주입한 후 이차 융착하여 전체 밀봉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초기에 일차 융착에 의하여 형성되는 테두리부(13, 23)가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외형적으로 깔끔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하단부(10)와 상단부(2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이차 융착만을 접착제로 접착될 수도 있다.
반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차 융착한 후, 냉각재(40)를 투입하고, 이후 고주파 융착에 의하여 이차 융착하여 부착하는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재(40)는 냉장고 등에서 급속 냉동되는 것으로 저온을 비교적 오래 보관 가능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냉각재(40)는 유기계 물질인 테트라데칸(Ttetradeca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트라데칸은 녹는점이 5.5℃으로 급속 용융이 가능하여 열을 신속히 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재(40)는 유기계 물질인 헥사데칸(Hexadeca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헥사데칸은 녹는점이 18℃로 상기 데크라데칸에 비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재(40)는 유기계 물질인 옥탄데칸(Octadeca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옥탄데칸은 유기계 물질로 녹는점이 28℃ 상기한 재질들에 비하여 가장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신속하게 몸을 냉각할 필요가 있는 경우 테트라데칸 재질을 적용하고, 냉각성이 떨어지더라도 비교적 긴 시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나머지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쿨링튜브(100)는 보관과 이동 중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평면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시에는 냉동고 등에 일정시간 보관되어야 한다. 이때 다수의 쿨링튜브(100)를 펼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재하여 보관 가능하므로, 냉각 시 공간 효율이 높으며, 추가로 보관 역시 같은 방식으로 적재 가능하므로, 높은 공간 효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쿨링튜브(100)의 실제 사용 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0)가 내면에 위치하도록 라운드 형태의 'C'형으로 변형시켜 목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착용 시 변형하는 경우 중앙부(21)의 돌출부(30)가 착용자의 뒷목부분에 접촉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과 부피를 가지므로, 뒷목에 대하여 높은 냉각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쿨링튜브(100)는 평판 형태로 배치되고 착용 시에는 C형으로 변형하므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를 이용하여 쿨링튜브(100)를 C형으로 고정시킨 후, 목에 착용한다.
상기 홀더(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 상으로 C형의 형태를 갖는 몸체(210)를 기본으로 단면 역시 C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200)는 중앙에 배하여 대칭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쿨링튜브(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210)는 양측에 형성되는 말단부(211)와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부(212)는 다른 크기의 폭으로 구성되어, 상기 쿨링튜브(100)를 정교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21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안착공간(215)과 외부와 개방되는 개방부(2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튜브(100)는 상기 개방구(216)를 통하여 투입되어 상기 안착공간(215)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몸체(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에 형성되는 수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쿨링튜브(100)의 끝단(12, 22)를 수용하여 쿨링튜브(100)의 끝단(12, 22) 상기 홀더(200) 외부로 둘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홀더(200)는 몸체(210)에 형성되는 장식홀(230)을 포함한다.
상기 장식홀(230)은 사용자가 별도의 장식용 부재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210) 전면에 적절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홀(2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용 부재들의 고정을 위한 것므로, 수직선 및 수평선에 대하여 대칭성 형태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전체 몸체(210) 영역에 걸쳐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200)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금속, 가죽, 실리콘 및 복합소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개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두개 이상의 재질이 혼합된 형태, 예를 들면, 가죽 및 합성수지이 혼합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EVA, PC 또는 ABS 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적절한 경도를 갖도록 하여 유연성과 더불어 적절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구성하는 경우 내충격성, 내스트레스 크랙킹성 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두께는 2mm 내지 5mm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두께가 2mm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약해 부적절하고, 두께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 높은 강도로 인하여 냉각튜브(100)와 결합이 어려워 부적절하다.
즉, 상기와 같이 EVA 재질과 두께인 경우 상기 홀더(200)는 적절한 보온성을 제공하여 냉각튜브(100)의 냉기 유지에 유리하고, 착용 시 냉각튜브(100)로 전달되는 직사광선을 방지하고, 반복적인 냉각튜브(100)의 착용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냉각튜브(100)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또한 적절한 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은 강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상기 홀더(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을 C형으로 성형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양끝단은 절곡된 절곡부(240)를 형성하여 쿨링튜브(100)의 양 끝단(12, 22)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쿨링튜브(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상기 홀더(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고정홈(19)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19)에 상기 홀더(200)에 형성된 돌기가 안착되어 고정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9)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200)에는 상기 길이방향의 고정홈(19)에 결합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하단부 11: 중앙부
12: 끝단 13: 테두리부
19: 고정홈 20: 상단부
21: 중앙부 22: 끝단
23: 테두리부 25: 개방공간
30: 돌출부 31: 측면
32: 상면 40: 냉각재
100: 쿨링튜브 200: 홀더
210: 몸체 211: 말단부
212: 중앙부 215: 안착공간
216: 개방부 220: 수용부
230: 장식홀

Claims (17)

  1. 내부에 냉각재를 포함하고 변형되어 착용자의 목에 장착되고, 표면 접촉에 의하여 목을 냉각시키는 쿨링튜브; 및 변형된 상기 쿨링튜브를 지지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에 있어서,
    상기 쿨링튜브는:
    유연성 합성수지 재질이며 평판 형태인 하단부;
    유연성 합성수지 재질이며,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와 결합하여 하나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단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냉각재를 포함하고,
    착용 시 'C'자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돌출부가 착용자의 목에 접촉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단에 형성되는 상면과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출부 사이에 개방공간이 형성되며,
    'C'자로 변형되는 경우, 이웃하는 돌출부의 측면이 서로 접촉하며,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양 측면에 비하여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대칭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쿨링튜브를 감싸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단면은 상기 쿨링튜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쿨링튜브가 삽입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양말단부에 안착된 상기 쿨링튜브의 양끝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별도의 장식부재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식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금속, 가죽, 실리콘 및 복합소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양측면에 비하여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폭은 양 측면에 비하여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PU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0.1mm 내지 0.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는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및 옥탄데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테두리부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고주파 융착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KR1020220052270A 2022-04-27 2022-04-27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KR10253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270A KR102533380B1 (ko) 2022-04-27 2022-04-27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PCT/KR2022/009335 WO2023210870A1 (ko) 2022-04-27 2022-06-29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270A KR102533380B1 (ko) 2022-04-27 2022-04-27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380B1 true KR102533380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270A KR102533380B1 (ko) 2022-04-27 2022-04-27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3380B1 (ko)
WO (1) WO20232108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904B1 (ko) * 2023-11-30 2024-06-10 (주)코스 보강프레임을 구비한 넥밴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865A (en) * 1997-09-05 1998-09-08 The Sharper Image Evaporative personal cooler
KR20100093230A (ko) * 2009-02-16 2010-08-25 (주)오즈메이트 나노 쿨러 목 밴드
JP2013128514A (ja) * 2011-12-20 2013-07-04 Ichina:Kk 保冷バンドおよび保温バンド
KR20150088779A (ko) * 2012-11-30 2015-08-03 비져스 그룹, 엘엘씨 액세서리 소켓에 플러그를 갖는 바이저
KR20150109178A (ko) * 2014-03-19 2015-10-01 정승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KR20160026273A (ko) * 2014-08-29 2016-03-09 최영하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휴대용 쿨링팩
KR101948865B1 (ko) * 2018-10-08 2019-02-18 안지혜 온도조절이 가능한 넥 쿨링 튜브
KR101977325B1 (ko) * 2018-02-28 2019-05-13 주식회사 마이팝 넥 아이스 쿨링 패키지
KR20210001833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마이팝 웨어러블 쿨링튜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865A (en) * 1997-09-05 1998-09-08 The Sharper Image Evaporative personal cooler
KR20100093230A (ko) * 2009-02-16 2010-08-25 (주)오즈메이트 나노 쿨러 목 밴드
JP2013128514A (ja) * 2011-12-20 2013-07-04 Ichina:Kk 保冷バンドおよび保温バンド
KR20150088779A (ko) * 2012-11-30 2015-08-03 비져스 그룹, 엘엘씨 액세서리 소켓에 플러그를 갖는 바이저
KR20150109178A (ko) * 2014-03-19 2015-10-01 정승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KR20160026273A (ko) * 2014-08-29 2016-03-09 최영하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휴대용 쿨링팩
KR101977325B1 (ko) * 2018-02-28 2019-05-13 주식회사 마이팝 넥 아이스 쿨링 패키지
KR101948865B1 (ko) * 2018-10-08 2019-02-18 안지혜 온도조절이 가능한 넥 쿨링 튜브
KR20210001833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마이팝 웨어러블 쿨링튜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904B1 (ko) * 2023-11-30 2024-06-10 (주)코스 보강프레임을 구비한 넥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870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11189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4425917A (en) Heat exchange system for body skin
CA2114049C (en) Head cooling device
US20120073031A1 (en) Ice Cap Or Ice Hat
US20050193742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e and method
US5926849A (en) Baseball cap with a channeled, laminated inside head band
US5370287A (en) Divisible backpack
US20040244090A1 (en) Climate controlled glove for sporting activities
US20060005291A1 (en) Cooling helmet
KR200495995Y1 (ko) 목 쿨링밴드
US20090205107A1 (en) Cooling Headgear
US8162718B2 (en) Bra pad
CN109512089A (zh)
KR102533380B1 (ko) 목 냉각용 쿨링튜브 셋
US6727469B1 (en) Heated booty
US20050079796A1 (en) Self-adhesive fabric bra
WO2005010444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160249758A1 (en) Adjustable Bottle Holder
KR102533372B1 (ko) 목 냉각용 쿨링튜브
US20230301373A1 (en) Cooling and drinking vest
KR101713621B1 (ko)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KR20200000853U (ko) 냉각 모자
WO2005122807A1 (en) A multipurpose heating inner wear
USD497783S1 (en) Lunchbox with cooler/warmer
KR101655784B1 (ko) 착탈식 냉각 패드를 구비한 조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