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621B1 -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 Google Patents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621B1
KR101713621B1 KR1020150116958A KR20150116958A KR101713621B1 KR 101713621 B1 KR101713621 B1 KR 101713621B1 KR 1020150116958 A KR1020150116958 A KR 1020150116958A KR 20150116958 A KR20150116958 A KR 20150116958A KR 101713621 B1 KR101713621 B1 KR 10171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cooling
temperature
cap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226A (ko
Inventor
김인자
Original Assignee
김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자 filed Critical 김인자
Priority to KR102015011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6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5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용 매체를 지닌 냉각 모자에 있어서: 몸체(10)의 내피재(11)와 외피재(12)를 분할부(21)에 의하여 다수로 분할하여 내부에 냉각재(15)를 수용하고, 각각의 분할부(21)를 압접부(22)로 융착하여 냉각재(15)의 충진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두부에 착용하여 두부의 온도, 즉 뇌의 상부, 전두부, 측두부, 후두부의 온도를 동시에 전체적으로 낮추어 뇌건강과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탈모예방에 좋은 효과를 제공하며 건설이나 산업현장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두부에 착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특정 부분에 대한 온도의 편차 조절이 용이하여 야외 활동성을 높이고 일상생활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Cooling Cap having Coolant}
본 발명은 냉각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부의 온도를 낮추어 야외 활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일상생활의 건강을 증진하는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뇌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기능이 저하되고 심하면 의식을 잃게 되므로 고온환경에 노출되는 동안 머리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간접적 냉각법으로 샤워를 하거나 목을 적시는 방안이 있지만, 적극적인 냉각법으로 냉각재가 수용된 모자를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 선호되기도 한다. 일예로, 산업현장에서는 안전모에 냉매팩을 활용하여 작업자의 서열부담을 경감하고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4952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57550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냉각모자에 있어서, 냉각재를 수용하는 냉각주머니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주머니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융착부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고,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상기 융착부를 따라 절개되어 있으며, 머리를 수용하도록 만곡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온의 환경에서 쾌적한 기분을 느끼게 하고, 환자들의 심신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모자의 외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외층;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도록 상기 외층에 구비된 공기주입구 및 공기배출구; 상기 외층에 내측으로 인접하여 모자의 내부를 형성하며 냉각재를 수용하는 내층; 및 냉각재가 주입되고 배출되도록 상기 내층에 구비되는 냉각재주입구 및 냉각재배출구;를 포함한다. 이에, 공기의 낮은 열전달율을 이용하여 냉각재의 냉각효과를 보다 장시간 지속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특정 부분에서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반대로 특정 부분의 온도 편차를 유발하고자 하는 경우 이의 해소를 위해 고비용과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므로 현실적으로 실현성이 낮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4952호 "냉각모자" (공개일자 : 2004.07.01.)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57550호 "보냉기능성 에어모자" (공개일자 : 2006.12.1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부에 착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편차 조절이 용이하여 야외 활동성을 높이고 일상생활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용 매체를 지닌 냉각 모자에 있어서: 몸체의 내피재와 외피재를 분할부에 의하여 다수로 분할하여 내부에 냉각재를 수용하고, 각각의 분할부를 압접부로 융착하여 냉각재의 충진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는 전열성을 지닌 내피재와 단열성을 지닌 외피재를 사용하고, 압접부에 공기의 출입을 위한 통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몸체의 분할부 중에서 일부는 냉각팩의 탈부착을 위한 분리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는 턱끈으로 머리 대한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밀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착수단은 몸체의 하단에 원호형으로 고정되는 레일, 턱끈을 레일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활주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부의 온도, 즉 뇌의 상부, 전두부, 측두부, 후두부의 온도를 동시에 전체적으로 낮추어 뇌건강과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탈모예방에 좋은 효과를 제공하며 건설이나 산업현장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냉각 모자를 두부에 착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특정 부분에 대한 온도의 편차 조절이 용이하여 야외 활동성을 높이고 일상생활의 건강 증진을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각 모자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냉각 모자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냉각 모자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냉각용 매체를 지닌 냉각 모자에 관하여 제안한다. 냉각 모자는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 착용이 가능한 구조를 지향한다. 냉각용 매체로 냉각재(15)와 냉각팩(16)을 제시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경우에나 냉각재(15)와 냉각팩(16)은 냉장고를 이용하여 동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0)의 내피재(11)와 외피재(12)를 분할부(21)에 의하여 다수로 분할하여 내부에 냉각재(15)를 수용하는 구조이다. 몸체(10)의 내피재(11)는 머리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외피재(12)는 외기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양산 성형의 일예로서, 몸체(10)는 마치 비치볼과 같은 형태를 반으로 접어 내피재(11)와 외피재(12)를 구성할 수 있다. 분할부(21)는 고주파 융착으로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며 각각의 공간을 연통시켜 냉각재(15)를 충진한다. 냉각재(15)를 충진하는 주입구(17)는 몸체(10)의 상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는 무독성 PVC, 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등의 수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냉각재(15)는 노멀 파라핀의 점성을 조절하여 겔 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0)는 각각의 분할부(21)를 압접부(22)로 융착하여 냉각재(15)의 충진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략 6~1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분할부(21)에 냉각재(15)가 충진되면 각각의 중간이 부풀어 올라 냉기 전달의 불균일성이 높아진다. 이에 고주파 융착 등의 방식으로 분할부(21)에 다수의 압접부(22)를 형성하면 냉각재(15)의 충진 후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냉각재(15)의 충진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몸체(10)의 손상에 의한 냉각재(15) 누출 우려를 경감하기 위해 내피재(11)와 외피재(12)의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도시 생략)를 수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10)는 전열성을 지닌 내피재(11)와 단열성을 지닌 외피재(12)를 사용하고, 압접부(22)에 공기의 출입을 위한 통기부(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피재(1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 필름을 사용하여 머리에 대한 냉각력을 높일 수 있다. 단열성 외피재(12)는 야외 활동시 태양광에 의한 전열을 차단하여 냉각재(15)의 지속시간을 늘인다. 몸체(10)에 통기부(24)가 형성되면 야외 활동시에 외기를 유입하거나 땀을 배출할 수 있다. 통기부(24)의 형성 위치를 압접부(22)로 선정하는 것이 양산의 용이성과 강도 유지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도 2에서 몸체(10)는 내피재(11)와 외피재(12) 외에 중간재(13)를 더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는 경질성의 중간재(13)로 마치 헬멧의 반구형을 형성한 다음 중간재(13)의 표면에 내피재(11)와 외피재(12)를 접합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각재(15)의 충진압력과 무관하게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하여 장시간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몸체(10)의 분할부(21) 중에서 일부는 냉각팩(16)의 탈부착을 위한 분리부(25)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하나의 분할부(21)에 분리부(25)를 구성한 상태를 예시한다. 분리부(25)는 주입구(17)를 통한 냉각재(15)의 충진과 무관하게 별도의 냉각팩(16)을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냉각팩(16)은 연질성 또는 경질성의 독립된 케이스에 수용된 냉각재(15)이다. 분리부(25)의 가장자리에 벨크로테이프(26)를 부착하고 냉각팩(16)을 수용한 포켓(28)을 탈부착한다.
이에, 머리의 특정 부분에 대한 냉각 기능을 배제하기 위해 포켓(28)을 분리하거나 냉각팩(16)을 제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특정 부분에 대한 냉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냉각팩(16)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밭에서 일하는 경우라면 태양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냉각력이 급속하게 약화되므로 새로운 냉각팩(16)으로 교체하여 냉각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만일 전두엽 부분만 냉각하려면 냉각팩(16)을 제거한 분리부(25)를 후두엽 측으로 위치시킨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온도의 편차를 조절하기 용이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10)는 턱끈(35)으로 머리 대한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밀착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착수단(30)은 몸체(10)에 부착되는 턱끈(35)을 사용하여 몸체(1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면서 가압력 변동에 의한 냉각력 조절을 수행한다. 턱끈(35)에 설치되는 조임대(36)는 가압력을 변동하고 유지한다.
이때, 상기 밀착수단(30)은 몸체(10)의 하단에 원호형으로 고정되는 레일(31), 턱끈(35)을 레일(31)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활주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일(31)은 몸체(10)의 하단에 다수의 지지대(32)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활주대(34)는 레일(31) 상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일(31)을 환봉 구조로 한다면 활주대(34)를 C형 구조로 하여 맞물리고, 레일(31)을 C형 구조로 한다면 활주대(34)는 볼 구조로 하여 맞물린다. 전자의 경우 활주대(34)는 벌어진 틈새로 지지대(32)를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고, 후자의 경우 활주대(34)는 지지대(32)와 무관하게 이동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가 몸체(10)를 머리에 쓰고 턱끈(35)을 조인 상태로 앉거나 이동하는 동안 특정 부위의 온도 편차를 조절하기 원하면 몸체(10)를 양손으로 잡아 돌리기만 하면 된다. 즉, 몸체(10)가 회전하는 동안 레일(31)과 활주대(34)의 슬라이딩으로 턱끈(35)은 원위치를 유지한다.
한편, 도 2에서 야외 활동중에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해 몸체(10)의 일측에 차양대(40)를 더 부착할 수 있다. 몸체(10)와 차양대(40)를 결합하는 고정구(45)는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을 사용한다. 몸체(10)의 고정구(45)는 기 형성된 지지대(32) 상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몸체 11: 내피재
12: 외피재 15: 냉각재
16: 냉각팩 21: 분할부
22: 압접부 24: 통기부
25: 분리부 26: 벨크로테이프
28: 포켓 30: 밀착수단
31: 레일 32: 지지대
34: 활주대 35: 턱끈
40: 차양대 45: 고정구

Claims (5)

  1. 냉각용 매체를 지닌 냉각 모자에 있어서:
    몸체(10)의 내피재(11)와 외피재(12)를 분할부(21)에 의하여 다수로 분할하여 내부에 냉각재(15)를 수용하고,
    각각의 분할부(21)를 압접부(22)로 융착하여 냉각재(15)의 충진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되,
    상기 몸체(10)는 전열성을 지닌 내피재(11)와 단열성을 지닌 외피재(12)를 사용하고, 압접부(22)에 공기의 출입을 위한 통기부(24)를 구비하며,
    상기 내피재(11)와 외피재(12)의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몸체(10)는 턱끈(35)으로 머리 대한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밀착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분할부(21) 중에서 일부는 냉각팩(16)의 탈부착을 위한 분리부(25)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30)은 몸체(10)의 하단에 원호형으로 고정되는 레일(31), 턱끈(35)을 레일(31)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활주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KR1020150116958A 2015-08-19 2015-08-19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KR10171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58A KR101713621B1 (ko) 2015-08-19 2015-08-19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58A KR101713621B1 (ko) 2015-08-19 2015-08-19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226A KR20170022226A (ko) 2017-03-02
KR101713621B1 true KR101713621B1 (ko) 2017-03-08

Family

ID=5840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958A KR101713621B1 (ko) 2015-08-19 2015-08-19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900B1 (ko) 2022-08-19 2024-02-08 이민영 냉각기능을 갖는 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53U (ko) 2018-10-22 2020-05-04 이완희 냉각 모자
KR20240063624A (ko) 2022-11-03 2024-05-10 안창근 냉각모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450A (ja) * 2006-02-23 2007-09-06 Nisshinbo Ind Inc 衣料及び帽子
JP2013028878A (ja) * 2011-07-28 2013-02-07 Satoshi Umezawa ヘルメット及びその被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7872B2 (ja) * 1998-03-18 1999-10-25 ユフ精器株式会社 冷却媒体付き帽子
JP4363709B2 (ja) 1998-09-16 2009-11-11 株式会社東芝 無線カード対応自動改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97055A (ko) * 2004-03-30 2005-10-07 김미숙 냉각모자
KR100657550B1 (ko) 2005-10-14 2006-12-19 박찬용 보냉기능성 에어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450A (ja) * 2006-02-23 2007-09-06 Nisshinbo Ind Inc 衣料及び帽子
JP2013028878A (ja) * 2011-07-28 2013-02-07 Satoshi Umezawa ヘルメット及びその被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900B1 (ko) 2022-08-19 2024-02-08 이민영 냉각기능을 갖는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226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351B2 (en) Athletic headband with removable cooling elements
US5327585A (en) Cool cap
US95918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ar protection
US6481021B2 (en) Cooling headwear
KR101713621B1 (ko) 냉매를 지닌 냉각 모자
US6185750B1 (en) Portable cooling device
US20090205107A1 (en) Cooling Headgear
US11266193B2 (en) Headwear with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US20120073031A1 (en) Ice Cap Or Ice Hat
US20160037833A1 (en) Carbon Dioxide Pellet Cooling Safety Helmet and a Flexible Carbon Dioxide Pellet Containment and Vapor Diffusion Fabric Segment
US20060005291A1 (en) Cooling helmet
KR101609927B1 (ko) 다용도 안면 마스크
KR200472631Y1 (ko) 보냉용 목도리
CN107485098A (zh) 一种安全帽
JP3169487U (ja) 冷却具
KR20200000853U (ko) 냉각 모자
CN204839905U (zh) 一种医用保温冰枕
JP5216366B2 (ja) 保冷体・保温体装着具
CN203986284U (zh) 一种手术室散热帽
KR101645592B1 (ko) 메시형 두피 냉각캡
US20140303699A1 (en) Unibody Head Gear Personal Temperature Moderating Device
JP3170363U (ja) 冷却具
CN209421023U (zh) 凉爽棒球帽
CN220255777U (zh) 一种无电能消耗的持续制冷型围脖
KR200346783Y1 (ko) 냉.온 겸용 찜질 수면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