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664B1 - 보냉조끼 - Google Patents

보냉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664B1
KR102262664B1 KR1020190093739A KR20190093739A KR102262664B1 KR 102262664 B1 KR102262664 B1 KR 102262664B1 KR 1020190093739 A KR1020190093739 A KR 1020190093739A KR 20190093739 A KR20190093739 A KR 20190093739A KR 102262664 B1 KR102262664 B1 KR 102262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skin
cold air
pack
refrigeran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220A (ko
Inventor
임지민
Original Assignee
(주)블루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초이스 filed Critical (주)블루초이스
Priority to KR102019009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6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냉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팩을 이용하여 높은 온도의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냉매팩으로 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내부로 원활하게 발산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는 냉기가 발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쾌적한 최적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여 여름철에 각종 운동이나 작업시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보냉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내측에 냉매팩(10)이 수용되어 냉매팩(10)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통해 항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되 착용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면서 전면 세로방향으로 길게 자크(J)가 구비되고 어깨부위는 메쉬부재(M)로 구성된 보냉조끼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조끼의 소정의 위치에 배열 형성된 수납부(20)에는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부(200)에는 냉매팩(10)을 삽입 수납하는 구성이며, 상기 수납부(20)는 일측면은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외피(210)와 상기 외피(210) 후방에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속피(22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타측면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내피(230)와 상기 내피(230) 전방에는 중앙에 냉기 관통공(241)이 천공된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중간피(24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상기 속피(220)와 중간피(240)사이에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팩(10)은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 냉매재(110)는 가장 낮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는 상기 중간 냉매재(110)보다 높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내측 냉매재(120)는 상기 외측 냉매재(100)보다 높은 융해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는 고흡수성수지를 통하여 흡수되게 구성하고, 상기 중간 냉매재(110)와 외측 냉매재(100) 사이에 내측 단열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의 외면에 외측 단열재(410)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단열재(400)와 상기 외측 단열재(410)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42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냉조끼와,
상기 외피(210)의 이면과 상기 중간피(240) 전면 상단 중앙부에는 벨크로 테이프(3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보냉조끼"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팩으로 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내부로 원활하게 발산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는 냉기가 발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쾌적한 최적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여 여름철에 각종 운동이나 작업시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냉매팩을 외측, 중간, 내측으로 구분하여 융해열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는 배합과 내부로 들어갈수록 완전 결빙으로 융해열을 많이 흡수하는 냉기를 축적가능한 배합으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서서히 방출하여 장시간 영하의 냉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배합 구조와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발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외피는 보냉성을 갖는 재질로 하고 내피는 메쉬망 구조이며 중간피에는 냉기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냉매팩의 냉기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발산토록 하면서 외부로는 냉기의 차단을 최대화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외부의 온도로 부터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토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보냉조끼{Cooling vest}
본 발명은 보냉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팩을 이용하여 높은 온도의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냉매팩으로 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내부로 원활하게 발산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는 냉기가 발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쾌적한 최적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여 여름철에 각종 운동이나 작업시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보냉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끼는 의복(衣服)의 일종으로 외부적인 기온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체의 상반신 체온을 보조적으로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조끼는 그 형태적 구조가 부담 없이 손쉽게 착용을 이룰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평상복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끼는 그 이용에 있어 편리함과 그 적용 부위의 중요함 등으로 인하여 평상복뿐만 아니라 특수한 목적의 잠수복, 방탄복, 작업복 등으로도 용도를 변경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용도 변경되어 더운 여름철에 착용자가 신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히 골프, 등산이나 축구 기타 구기종목 등의 운동시 또는 외부 또는 고온의 제철소와 같은 내부에서 작업시 착용자의 상반신을 보냉 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하여 외부적인 기온에 상관없이 착용자의 체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운동 및 작업 능률과 편의 등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서 건강의 유지를 가능하도록 한 것도 있다.
이러한 목적의 조끼 형태로 종래에는 국내공개번호 20-1999-39098에서와 같이 직물지를 안팎으로 접합해서 만들어지는 공지된 조끼의 내측에 냉매관과 열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되, 냉매관의 양쪽단부는 연결부에 고정하고 열선의 단부는 플러그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및 열선이 내장된 조끼에 의해, 착용자 상반신에 온기 및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공하였다.
첫째 온기를 공급토록 하는데 이용되는 전선과 냉기를 공급토록 하는데 이용되는 관들이 조끼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작업 동선의 한정된 제약을 초래하여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여러 가지의 불편한 문제를 제공하였고, 둘째 냉, 온기를 발생하는데 있어서는 전원과 같은 동력원이 필히 필요함에 따라 이용 공간상의 제한이 뒤따르는 문제 및 사용상에 있어 감전의 우려를 걱정해야 하는 심리적 불안감을 작업자에게 제공하였으며,
셋째 제작상의 단가가 너무 높고, 사용하는데 있어 그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되어 유지 관리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열기와 냉기를 유지 및 보존하는 보온 및 보냉 능력이 미흡하여 착용자의 체온을 항시 일정 온도로 유지 및 보존시켜주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열기와 냉기를 조끼 내로 공급하기 위한 가동을 이뤄야 함에 따른 비경제적인 문제를 제공하였고,
넷째 착용감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은 고려하지 않고 착용자의 체온 유지만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능상에만 주안점을 두어 제작하였으므로 사실상 동작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없도록 하는 불편한 착용감 등을 제공하였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조끼 형상의 작업복 상에는 전면과 후면의 피복에 복수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 주머니에 상변환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을 담은 냉각팩을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팩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함에 대하여 다시 교체할 것을 필요로 하며, 이때 작업복의 전면과 후면에 복수 주머니에 대하여 각각의 냉각팩의 인출과 새로운 냉각팩의 투입과정을 필요로 한다.
특히 후면 부위에 있는 주머니에 대하여는 다른 작업자에 의해 그 투입이 이루어지거나 해당 작업자 스스로가 작업복을 벗어 각 주머니에 대하여 일일이 냉각팩의 인출과 투입을 실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냉각팩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작업복은 냉각팩에 의한 냉기가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른 거부감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기의 직접적인 전달을 회피하도록 복수의 피복을 적층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 피복층은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활동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냉각팩의 냉각상태가 미비한 경우 그 냉기의 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 아니라 두꺼움에 의한 착용의 불쾌감 및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국내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99-3909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냉매팩으로 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내부로 원활하게 발산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는 냉기가 발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쾌적한 최적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여 여름철에 각종 운동이나 작업시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보냉조끼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냉매팩을 외측, 중간, 내측으로 구분하여 융해열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는 배합과 내부로 들어갈수록 완전 결빙으로 융해열을 많이 흡수하는 냉기를 축적가능한 배합으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서서히 방출하여 장시간 영하의 냉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배합 구조와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발산 가능하도록 한 보냉조끼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외피는 보냉성을 갖는 재질로 하고 내피는 메쉬망 구조이며 중간피에는 냉기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냉매팩의 냉기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발산토록 하면서 외부로는 냉기의 차단을 최대화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외부의 온도로 부터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토록 하는 보냉조끼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내측에 냉매팩(10)이 수용되어 냉매팩(10)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통해 항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되 착용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면서 전면 세로방향으로 길게 자크(J)가 구비되고 어깨부위는 메쉬부재(M)로 구성된 보냉조끼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조끼의 소정의 위치에 배열 형성된 수납부(20)에는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부(200)에는 냉매팩(10)을 삽입 수납하는 구성이며, 상기 수납부(20)는 일측면은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외피(210)와 상기 외피(210) 후방에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속피(22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타측면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내피(230)와 상기 내피(230) 전방에는 중앙에 냉기 관통공(241)이 천공된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중간피(24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상기 속피(220)와 중간피(240)사이에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팩(10)은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 냉매재(110)는 가장 낮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는 상기 중간 냉매재(110)보다 높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내측 냉매재(120)는 상기 외측 냉매재(100)보다 높은 융해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는 고흡수성수지를 통하여 흡수되게 구성하고, 상기 중간 냉매재(110)와 외측 냉매재(100) 사이에 내측 단열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의 외면에 외측 단열재(410)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단열재(400)와 상기 외측 단열재(410)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42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냉조끼와,
상기 외피(210)의 이면과 상기 중간피(240) 전면 상단 중앙부에는 벨크로 테이프(3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보냉조끼"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팩으로 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내부로 원활하게 발산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는 냉기가 발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쾌적한 최적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여 여름철에 각종 운동이나 작업시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냉매팩을 외측, 중간, 내측으로 구분하여 융해열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는 배합과 내부로 들어갈수록 완전 결빙으로 융해열을 많이 흡수하는 냉기를 축적가능한 배합으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서서히 방출하여 장시간 영하의 냉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배합 구조와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발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외피는 보냉성을 갖는 재질로 하고 내피는 메쉬망 구조이며 중간피에는 냉기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냉매팩의 냉기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발산토록 하면서 외부로는 냉기의 차단을 최대화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외부의 온도로 부터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토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수납부와 냉매팩을 분리한 상태에서 외측에서 본 외측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수납부와 냉매팩을 분리한 상태에서 내측에서 본 내측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수납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냉매팩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냉매팩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수납부와 냉매팩을 분리한 상태에서 외측에서 본 외측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수납부와 냉매팩을 분리한 상태에서 내측에서 본 내측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수납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냉매팩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보냉조끼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냉매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냉조끼(C)는 내측에 냉매팩(10)이 수용되어 냉매팩(10)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통해 항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되 착용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면서 전면 세로방향으로 길게 자크(J)가 구비되고 어깨부위는 메쉬부재(M)로 구성된 것으로서,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냉조끼(C)의 소정의 위치에 배열 형성된 수납부(20)에는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부(200)에는 냉매팩(10)을 삽입 수납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납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은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외피(210)와 상기 외피(210) 후방에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속피(22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타측면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내피(230)와 상기 내피(230) 전방에는 중앙에 냉기 관통공(241)이 천공된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중간피(24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상기 속피(220)와 중간피(240)사이에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피(210)의 이면과 상기 중간피(240) 전면 상단 중앙부에는 벨크로 테이프(30)가 구비된 것으로서,
즉, 상기 냉매팩(10)을 수납공간부(200)에 수납후 벨크로 테이프(30)로 냉매팩(10)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수납공간부(200)에 상기와 같이 냉매팩(10)을 수납후 착용자가 착용하면 착용자의 신체부위에 닿는 부위는 내피(230)이며 외부는 외피(210)가 위치하는 것으로서 냉매팩(10)의 냉기가 중간피(240)의 냉기 관통공(241)을 통해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내피(230)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에 냉기를 발산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냉매팩(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중간 냉매재(110)는 가장 낮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는 상기 중간 냉매재(110)보다 높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내측 냉매재(120)는 상기 외측 냉매재(100)보다 높은 융해점을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3중 복합 냉매팩(10)은 각각의 냉매재에 융해점과 융해열이 다른 냉매재로 이루어진다.
내측 냉매재(120)는 융해점은 가장 높아 외측 냉매재(100)와 중간 냉매재(110)가 결빙이 일어나기 전에 내측 냉매재(120)가 가장 먼저 결빙한다.
만약 내측 냉매재(120)가 외측 냉매재(100) 또는 중간 냉매재(110) 보다 융해점이 낮다면, 바깥 냉매재가 먼저 결빙되어 냉각시에 결빙 벽에 막혀서 냉기가 안쪽으로 들어가기가 힘들어진다.
외측 냉매재(100)와 중간 냉매재(110)는 내측 냉매재(120)보다 융해점이 낮으며, 외측 냉매재(100)가 중간 냉매재(110)보다 융해점이 낮으면, 본 발명의 냉매팩(10)을 냉각시킬 때, 내측 냉매재(120), 중간 냉매재(110) 그리고 외측 냉매재(100) 순으로 빠른 속도로 냉각이 이루어지고, 해동하면서 주위 온도를 낮출 때도 빠른 속도로 냉각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오랜시간 냉기를 유지하는데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외측 냉매재(100)가 중간 냉매재(110)보다 융해점이 높으면, 내측 냉매재(120)가 먼저 결빙되고, 외측 냉매재(100)가 다음 결빙되면서 중간 냉매재(110)를 샌드위치 상태에서 양쪽에서 냉기를 받아서 결빙되며, 시간적으로 완전 결빙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동일한 원리로 해동시에도 오랜시간 주위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오랜시간 냉각시켜서 오랜시간 냉기를 유지하면서 주위를 낮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는 고흡수성수지를 통하여 흡수된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는 자기 무게보다 수십 배에서 수백 배까지 냉기를 축적 흡수할 수 있는 수지이다.
고흡수성수지는 고분자전해질에 교량(橋梁)이나 불용부(不溶部)를 도입한 고분자일 수도 있으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분이나 셀룰로스에 아크릴로나이트릴을 그래프트혼성 중합시킨 것이나, 아크릴산과 비닐알코올의 블록혼성중합체 등이 가루 형태로나 섬유 모양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중간 냉매재(110)와 외측 냉매재(100) 사이에 내측 단열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의 외면에 외측 단열재(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단열재(400)와 상기 외측 단열재(410)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420)를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 냉매팩(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를 오래 보존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단열재는 중간 냉매재(110)와 외측 냉매재(100) 사이에 내측 단열재(400)가 추가되거나, 외측 냉매재(100) 외면에 외측 단열재(410)이 추가될 수 있다.
단열재는 중간 냉매재(110)와 외축 냉매재(100) 사이에 하나만 추가될 수도 있으며, 외축 냉매재(100) 외면에도 함께 추가될 수 있다.
단열재는 냉기가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4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냉매팩(10)에 단열재가 2 이상이 있을 때에는 개구부(420)는 동일한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420)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면, 냉각시킬 때 냉기가 안으로 유입되기 힘들며, 해동시에는 냉에너지가 밖으로 배출되기 힘들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열재는 에어캡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원하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면, 단열재를 이루는 구성 성분에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냉매팩으로 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내부로 원활하게 발산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는 냉기가 발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쾌적한 최적의 신체 온도를 유지하여 여름철에 각종 운동이나 작업시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냉매팩을 외측, 중간, 내측으로 구분하여 융해열을 가장 많이 흡수할 수 있는 배합과 내부로 들어갈수록 완전 결빙으로 융해열을 많이 흡수하는 냉기를 축적가능한 배합으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서서히 방출하여 장시간 영하의 냉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배합 구조와 많은 에너지를 보관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냉기를 발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외피는 보냉성을 갖는 재질로 하고 내피는 메쉬망 구조이며 중간피에는 냉기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냉매팩의 냉기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발산토록 하면서 외부로는 냉기의 차단을 최대화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외부의 온도로 부터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토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냉매팩 20 : 수납부
30 : 벨크로 테이프 100 : 외측 냉매재
110 : 중간 냉매재 120 : 내측 냉매재
200 : 수납공간부 210 : 외피
220 : 속피 230 : 내피
240 : 중간피 241 : 냉기 관통공
400 : 내측 단열재 410 : 외측 단열재
420 : 개구부 C : 보냉조끼
J : 자크 M : 메쉬부재

Claims (6)

  1. 내측에 냉매팩(10)이 수용되어 냉매팩(10)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통해 항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되 착용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면서 전면 세로방향으로 길게 자크(J)가 구비되고 어깨부위는 메쉬부재(M)로 구성된 보냉조끼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조끼의 소정의 위치에 배열 형성된 수납부(20)에는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부(200)에는 냉매팩(10)을 삽입 수납하는 구성이며,
    상기 수납부(20)는 일측면은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외피(210)와 상기 외피(210) 후방에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속피(22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타측면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내피(230)와 상기 내피(230) 전방에는 중앙에 냉기 관통공(241)이 천공된 폴리클로로프렌 재질의 중간피(240)가 사방으로 봉제처리되고 상기 속피(220)와 중간피(240)사이에 수납공간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팩(10)은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 냉매재(110)는 가장 낮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는 상기 중간 냉매재(110)보다 높은 융해점을 가지고 상기 내측 냉매재(120)는 상기 외측 냉매재(100)보다 높은 융해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냉매재(100), 중간 냉매재(110) 및 내측 냉매재(120)는 고흡수성수지를 통하여 흡수되게 구성하고,
    상기 중간 냉매재(110)와 외측 냉매재(100) 사이에 내측 단열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냉매재(100)의 외면에 외측 단열재(410)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단열재(400)와 상기 외측 단열재(410)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부(42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냉조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210)의 이면과 상기 중간피(240) 전면 상단 중앙부에는 벨크로 테이프(3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보냉조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93739A 2019-08-01 2019-08-01 보냉조끼 KR10226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39A KR102262664B1 (ko) 2019-08-01 2019-08-01 보냉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39A KR102262664B1 (ko) 2019-08-01 2019-08-01 보냉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220A KR20210015220A (ko) 2021-02-10
KR102262664B1 true KR102262664B1 (ko) 2021-06-09

Family

ID=7456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39A KR102262664B1 (ko) 2019-08-01 2019-08-01 보냉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529B1 (ko) * 2021-12-15 2022-09-15 주식회사 자이로블 결로가 방지되는 냉각 조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433Y1 (ko) * 2005-06-09 2005-09-14 케이웨더(주) 보냉조끼용 아이스팩 주머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98U (ko) 1998-04-06 1999-11-05 윤형완 냉매관 및 열선이 내장된 조끼
KR101618947B1 (ko) * 2014-03-19 2016-05-09 정승은 축냉재를 이용한 냉각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433Y1 (ko) * 2005-06-09 2005-09-14 케이웨더(주) 보냉조끼용 아이스팩 주머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220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254B2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6257011B1 (en) Persona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8479322B2 (en) Zoned functional fabrics
US20090264969A1 (en) Multi-mode cooling garment
US20100107657A1 (en) Apparel with heating and cooling capabilities
EP2758585B1 (en) Zoned functional fabrics
US20180070659A1 (en) Wearable Temperature Control Garment System
CN205695938U (zh) 消防头盔
KR102262664B1 (ko) 보냉조끼
CN105457179A (zh) 一种智能调节热湿传递的消防服
CN105559229B (zh) 一种制冷头盔
KR200472631Y1 (ko) 보냉용 목도리
CN114424847B (zh) 一种基于纤维冷传导及蒸发吸热的冰-水-气相变降温服
GB2504313A (en) Garment with pocket for receipt of thermal and massage means
JP6700886B2 (ja) 冷風器、および冷風器と通気性シャツとの組み合わせ
KR101655784B1 (ko) 착탈식 냉각 패드를 구비한 조끼
CN111920117A (zh) 一种适用于电场环境的降温服
CN205922987U (zh) 一体化蓄冷新型消防背心
Tate et al. Influence of garment design on elite athlete cooling
Lou et al. Thermoregulatory clothing for personal thermal management
CN107259670B (zh) 一种冷冻式防护服
CN212393908U (zh) 一种带电作业用的降温服
US20140303699A1 (en) Unibody Head Gear Personal Temperature Moderating Device
CN208590550U (zh) 一种双重复合方式的人体降温防护穿戴装备
KR102542422B1 (ko)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