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867B1 -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867B1
KR101618867B1 KR1020140077655A KR20140077655A KR101618867B1 KR 101618867 B1 KR101618867 B1 KR 101618867B1 KR 1020140077655 A KR1020140077655 A KR 1020140077655A KR 20140077655 A KR20140077655 A KR 20140077655A KR 101618867 B1 KR101618867 B1 KR 10161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ator
fixed
hole
c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365A (ko
Inventor
정순석
Original Assignee
정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석 filed Critical 정순석
Priority to KR102014007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모터 또는 재생모터의 사용 후 폐기 시에 모터의 스테이터(A)에서 코어에 감긴 코일(B)을 극히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 코일(B)의 분리장치(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분리장치(1)는 고정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0)에 의해서 상하로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작동구(2)가 구비되며, 하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일측이 절단된 스테이터(A)의 타측으로 돌출된 코일(B)에 고정 후 스테이터(A)를 뒤집어서 재차 하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하부 받침구(4)에 안치된 스테이터(A)로부터 코일(B)을 하향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코일지지구(3)가 구비되며, 작동구(2)는 하단에 하부로 경사진 경사확장부(21) 및 경사확장부(21)의 상부에 환형의 가압걸림테(22)가 형성되며, 코일지지구(3)는 몸체(31) 중앙에 내입공(32)이 형성되면서 방사상으로 수개의 입출공(33)과 입출공(33)에서 내외로 슬라이딩되는 고정간(34) 및 고정간(34)을 인입되게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5)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본 발명은 실린더(10)에 의해서 작동구(2)를 승강시키고, 코일지지구(3)가 고정된 코일(B)이 감긴 스테이터(A)를 뒤집는 작업만으로 스테이터(A)에서 코일(B)을 분리시킬 수 있어서,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율과 제조효율 및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켜서 보다 널리 보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Separating device of motor coil}
본 발명은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의 사용 후 폐기 시에 모터의 스테이터에서 코어에 권선된 코일을 극히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新)모터나 재생(齋生)모터 등을 사용하고 난 후 수명이 다하거나 사용 중 고장이 나서 폐기 처분할 시 모터의 내부에 설치된 스테이터(stator)의 코어에 다량의 코일이 감겨 있으며, 이러한 코일을 스테이터에서 분리시켜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모터의 스테이터에서 코어에 감겨진 코일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49442호(2004년 5월 10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좌우 수평실린더에 의해서 수평 이동하는 교지편과 분리편을 구비하여 분리편으로 고정자의 적층철심을 지지하면서 교지편으로 적층철심 하부로 돌출된 코일을 잡아서 분리편의 상하 폭만큼 인출한 후 수직실린더에 의해서 분리편을 상부로 슬라이딩시켜서 적층철심과 코일을 완전히 분리되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사용되는 실린더의 수가 많고, 전체적으로 자동화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고가이므로 폐모터나 재생모터 등을 주로 다루는 중소업체나 고장난 모터의 폐기 처분을 주로 하는 고물상 등에서 이러한 고가의 장치를 구비하기에는 다소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 종래의 코일 분리장치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0786호(2009년 8월 4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핑거형상의 코일클램프장치를 갖는 해체기가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 역시 다수의 실린더와 함께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였으며,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49442호에서 보다 보완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72788호(2014년 5월 26일자 공고)도 근자에 개발되었으나, 이는 종래의 장치보다 더욱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역시 중소 자영업자들이 이러한 고가의 장치를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초기 구매비나 유지 및 보수비용 등이 상당하여 어려움이 있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잦은 고장으로 코일 분리작업이 수시로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종래 코일 분리장치가 개발되기 이전부터 현재까지도 스테이터(고정자)에서 코일의 분리를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서 행하고는 있었으며, 이는 작업시간이 더디며 힘들고 어려워서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숙련도를 요구하면서도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각종 질병을 초래하게 되어 작업자를 구하기도 어렵고 인건비도 상승하게 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0349442 Y1 2004. 5. 10. KR 10-0910786 B1 2009. 8. 4. KR 20-0472788 Y1 2014. 5. 26.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완전 수작업보다는 능률이 월등하면서 자동화된 장치에 비하여는 구조를 단순화시켜서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반자동화 기술로서, 스테이터의 일측으로 돌출된 코일에 고정되도록 한 코일지지구와 코일지지구를 코일에 고정시키도록 하면서 이후 받침구에 지지된 스테이터에서 코일에 고정된 코일지지구를 밀어내어 스테이터에서 코일이 분리되도록 한 작동구가 한 세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코일의 분리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작업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도록 한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는 고정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서 상하로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작동구와, 하강하는 작동구에 의해서 일측 코일이 절단된 스테이터의 나머지 타측으로 돌출된 코일에 고정 후 스테이터를 뒤집어서 재차 하강하는 작동구에 의해서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구에 안치된 스테이터로부터 코일을 하향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코일지지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지지구는 중앙에 작동구의 하단부가 내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내입공이 형성된 환형(環形)의 몸체와, 몸체의 수평 방사상으로 내입공에서 외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개의 입출공과, 각 입출공의 내측에서 내외로 슬라이딩되어 내입공으로 인입되거나 몸체 외측으로 인출되게 구성된 고정간과, 각 입출공의 내측에 내입 설치되어 고정간이 내입공으로 인입되게 탄력 지지토록 구성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입출공 내측에서 고정간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고정간의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테와 입출공의 외측에서 고정간 및 코일스프링을 입출공으로 내입 및 입출공에서의 이탈을 방지토록 몸체에 결합 설치된 덮개판에 양단이 지지되어 고정간을 항상 내입공으로 인입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작동구는 하단에 하부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동구가 하강하여 코일지지구의 내입공으로 내입되면 몸체의 입출공에서 내입공으로 인입되어 있던 수개의 고정간을 코일지지구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경사확장부와, 경사확장부의 상부에 코일지지구의 내입공보다 직경이 크게 환형(環形)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구에 안치된 스테이터의 하부로 돌출된 코일과 코일에 결합된 코일지지구를 하강하는 작동구에 의해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압걸림테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 작동구가 관통되게 상부 중앙에 슬라이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스테이터의 외측과 상측을 덮도록 구성된 안내구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서 하강하는 작동구 하단의 경사확장부에 의해 코일지지구의 내입공으로 인입되어 있던 고정간을 몸체 외측으로 인출시켜서 스테이터에서 돌출된 코일에 고정시켜서 코일지지구가 고정되도록 한 후 코일지지구가 코일에 고정된 스테이터를 상하로 뒤집은 다음 다시 작동구를 하강시켜서 작동구의 가압걸림테에 의해 받침구에 안치된 스테이터에서 코일지지구가 고정된 코일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작동구와 코일지지구 및 받침구를 구비하면서 작동구를 승강(昇降)시키는 실린더 하나의 단순한 구조만으로도 모터의 스테이터에서 코일을 아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 코일의 분리작업 전체를 수작업으로 하는 것에 비하여 능률이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래 자동화된 코일의 분리장치에 비하여는 구조를 단순화시켜서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모터의 스테이터에서 코일을 분리해 내는 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면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이더라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도 절감시킬 수 있어서 모터의 폐기 및 재생 관련 중소 업체나 고물상 등의 영세업자들도 부담 없이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보다 널리 보급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중 작동구와 코일지지구를 발췌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 중 작동구의 정면과 코일지지구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작동구가 코일지지구 내입공에 내입되기 전과 내입된 후의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서 모터의 스테이터에서 코일을 분리하는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공정도
본 발명은 신모터나 재생모터 등의 다양한 모터가 고장이 나거나 수명을 다했을 시 폐기 처분할 때 모터의 스테이터에서 코어에 감겨 있던 코일을 분리하여 코일이 분리된 스테이터를 재생모터의 제작에 사용하거나, 분리된 코일을 다양한 분야의 원자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모터의 스테이터에서 코일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도면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의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기립된 지주프레임(11)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된 지지프레임(12)에 피스톤로드가 하향되게 고정 설치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0)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10)의 피스톤로드에 상단이 탈착(脫着)되거나 고정되게 결합 설치되어 실린더(10)에서 피스톤로드가 출몰될 때 피스톤로드와 함께 상하로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작동구(2)와, 하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스테이터(A)에서 코어에 감겨진 코일(B)을 분리하는 코일지지구(3)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코일지지구(3)는 일측으로 돌출된 코일(B)이 절단된 스테이터(A)의 나머지 타측으로 돌출된 코일(B)에 실린더(10)의 구동에 의해서 고정된 후 스테이터(A)를 뒤집어서 하부에 받침구(4)를 놓고 뒤집은 스테이터(A)를 안치시킨 다음, 재차 하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스테이터(A)로부터 코일(B)을 분리시키면서 함께 하향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일지지구(3)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작동구(2)의 하단부가 내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내입공(32)이 형성된 환형의 몸체(31)가 구비되며, 몸체(31)의 수평 방사상으로 내입공(32)에서 외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개의 입출공(33)이 구비되며, 각 입출공(33)의 내측에서 내외로 슬라이딩되어 내입공(32)으로 인입되거나 몸체(31) 외측으로 인출되게 구성된 고정간(34)이 구비되면서, 각 입출공(33)의 내측에 내입 설치되어 고정간(34)이 내입공(32)으로 인입되게 탄력 지지토록 구성된 코일스프링(35)이 구비된다.
상기 입출공(33)에 내입된 고정간(34)을 몸체(31)의 내입공(32)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5)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5)은 고정간(34)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입출공(33) 내부로 내입되며, 일단은 고정간(34)의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테(36)에 탄력 지지되며, 타단은 입출공(33)의 외측에서 고정간(34) 및 코일스프링(35)을 입출공(33)으로 내입시킬 때는 개방되며 입출공(33) 외측의 몸체(31)에 결합 설치 시에는 고정간(34) 및 코일스프링(3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판(37)에 탄력 지지되어 고정간(34)을 항상 덮개판(37)의 반대 방향인 몸체(31)의 내입공(32)쪽으로 인입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모터 코일(B)의 분리장치(1) 중 하나인 작동구(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하향되면서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확장부(21)가 구비되어 실린더(10)의 작용에 의해서 작동구(2)가 하강할 시 코일지지구(3)의 내입공(32)으로 내입되면 몸체(31)의 입출공(33)에서 코일스프링(35)에 의해서 내입공(32)으로 인입된 방사상의 고정간(34) 수개를 동시에 코일지지구(3)의 몸체(31)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작동구(2)는 경사확장부(21)의 상부에 코일지지구(3)의 내입공(32)보다 직경이 크게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걸림테(22)가 구비되어 코일지지구(3)가 하향되게 스테이터(A)를 뒤집어서 받침구(4)에 안치시킨 후 실린더(10) 작용에 의해서 작동구(2)를 하강시키면 경사확장부(21)가 코일지지구(3)의 내입공(32)에 내입된 다음 내입공(32)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가압걸림테(22)가 몸체(31)에 걸려서 코일지지구(3)를 하부로 밀어내어 코일지지구(3)가 고정된 코일(B)을 스테이터(A)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의해서 작동구(2)의 상부가 관통되게 상부 가운데에 슬라이드 가이드공(51)이 형성되며, 스테이터(A)의 외측과 상측을 덮도록 구성된 안내구(5)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안내구(5)는 작동구(2)가 실린더(10)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昇降)될 시 봉(棒) 형태의 작동구(2) 상부가 가이드공(51)에서 슬라이딩 안내되어 작동구(2)의 하단 경사확장부(21)가 코일지지구(3) 몸체(31)의 내입공(32)에서 벗어나서 승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터 코일(B)의 분리장치(1)는 실린더(10)로 상하 승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코일지지구(3)의 고정간(34)을 외측으로 인출시켜서 스테이터(A)에서 돌출된 코일(B)에 고정시킨 후 스테이터(A)를 뒤집은 후 다시 작동구(2)를 하강시켜서 받침구(4)에 안치된 스테이터(A)에서 코일(B)과 코일지지구(3)를 분리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도면과 함께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신모터나 재생모터의 폐기 시 모터에서 코일(B)이 감겨진 스테이터(A)를 적출한 후 스테이터(A)의 일측, 도면상에서는 스테이터(A)의 하측으로 돌출된 코일(B)의 일측을 절단한 다음, 스테이터(A)의 상측으로 돌출된 코일(B)의 내측으로 코일지지구(3)를 내입시키며, 이때 코일지지구(3)는 몸체(31)의 수평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33)에 고정간(34)이 코일스프링(35)에 의해서 몸체(31)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내입공(32)으로 탄력 지지되어 인입된 상태이므로 코일(B)에 고정간(34)이 걸리지 않고 돌출된 코일(B)의 내측으로 안치되어 소폭으로 돌출된 고정간(34)의 외측 단부나 몸체(31)의 외측 하부가 스테이터(A)의 코어 내측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후 도 1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2)에 피스톤로드가 하향되게 고정 설치된 실린더(10)에서 피스톤로드가 인출되면서 피스톤로드에 탈착 또는 고정되게 결합 설치된 작동구(2)를 하강시켜서 작동구(2) 하단의 경사확장부(21)가 코일지지구(3)의 내입공(32)으로 유입되면서 경사확장부(21)가 상부로 점점 넓어지므로 내입공(32)으로 깊이 내입되면 입출공(33)에서 코일스프링(35)에 탄력 지지되어 있던 수평 방사상의 고정간(34) 수개가 동시에 코일지지구(3)의 몸체(31)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각 고정간(34)이 스테이터(A)에서 상향 돌출된 코일(B)에 박히면서 고정되어 코일지지구(3)가 코일(B)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코일지지구(3)를 스테이터(A) 상부로 돌출된 코일(B)에 고정시킨 후 작동구(2)를 실린더(10)에 의해서 상승시킨 다음, 코일지지구(3)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이터(A)를 상하로 뒤집어서 돌출된 코일(B)에 고정된 코일지지구(3)가 스테이터(A)의 하부로 위치하도록 한 후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이 비어 있도록 구성된 받침구(4)의 상단에 뒤집은 스테이터(A)를 안치시키며, 이후 실린더(10)에 의해서 다시 작동구(2)를 하강시키게 되면, 코일지지구(3)의 몸체(31) 내입공(32)으로 작동구(2)의 경사확장부(21)가 관통되면서 경사확장부(21)의 상부에 내입공(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환형의 가압걸림테(22)가 몸체(31)를 가압하면서 코일지지구(3)를 하부로 밀어내게 되며, 이때 코일지지구(3) 몸체(3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코일(B)에 고정된 수개의 고정간(34)이 코일(B)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받침구(4)에 안치되어 걸려 있던 스테이터(A)에서 코일(B)을 극히 용이하게 분리시켜서 받침구(4)의 내부로 코일지지구(3)와 함께 떨어뜨려서 받침구(4) 내부로 분리된 코일(B)을 받아 내면 되는 것이다.
상기 뒤집힌 스테이터(A)를 받침구(4)에 안치시킨 후 받침구(4)의 상단에 놓이면서 스테이처의 외측과 상측을 덮도록 한 안내구(5)의 상측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공(51)을 형성하여 작동구(2)의 상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실린더(10)에 의해서 작동구(2)가 하강 시 작동구(2)의 상부가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하여 작동구(2)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확장부(21)를 코일지지구(3)의 내입공(32)으로 정확하게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작용에 의하면 코일(B) 일측의 절단과 실린더(10)에 의해 승강하는 작동구(2)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이지만, 스테이터(A)의 상측으로 돌출된 코일(B)에 코일지지구(3)를 투입하거나 상기 돌출된 코일(B)에 코일지지구(3)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이터(A)를 뒤집는 작업은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은 반자동 및 반수동으로 스테이터(A)로부터 코일(B)을 분리시키도록 하여, 전체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것에 반하여 작업효율성은 월등히 향상되면서 종래 다수의 실린더(10)를 구비하면서 전체가 기계화로 이루어져 자동을 코일(B)의 분리작업이 이루어지던 것에 반하여 구조가 극히 단순하므로 고장이 잘 일어나지 않으면서 제조원가가 매우 절감되므로 소규모의 중소업체나 고물상의 등의 영세업자들도 손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보급화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작동구(2)에서 경사확장부(21)나 가압걸림테(22)의 형상과, 코일지지구(3)의 몸체(31), 고정간(34) 등의 형상 및 입출공(33)과 고정간(34)의 개수와, 받침구(4) 및 안내구(5)의 형상 등은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도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분리장치 2:작동구 21:경사확장부
22:가압걸림테 3:코일지지구 31:몸체
32:내입공 33:입출공 34:고정간
35:코일스프링 36:지지테 37:덮개판
4:받침구 5:안내구 51:가이드공
10:실린더 11:지주프레임 12:지지프레임
A:스테이터 B:코일

Claims (4)

  1. 삭제
  2. 고정된 실린더(10)에 의해서 상하로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작동구(2)와,
    하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일측으로 돌출된 코일(B)이 절단된 스테이터(A)의 타측으로 돌출된 코일(B)에 고정 후 스테이터(A)를 뒤집어서 재차 하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구(4)에 안치된 스테이터(A)로부터 코일(B)을 하향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코일지지구(3)가 포함되며,
    상기 코일지지구(3)는, 중앙에 작동구(2)의 하단부가 내입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내입공(32)이 형성된 환형의 몸체(31)와,
    몸체(31)의 수평 방사상으로 내입공(32)에서 외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개의 입출공(33)과,
    각 입출공(33)의 내측에서 내외로 슬라이딩되어 내입공(32)으로 인입되거나 몸체(31) 외측으로 인출되게 구성된 고정간(34)과,
    각 입출공(33)의 내측에 내입 설치되어 고정간(34)이 내입공(32)으로 인입되게 탄력 지지토록 구성된 코일스프링(3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2)는, 하단에 하부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동구(2)가 하강하여 코일지지구(3)의 내입공(32)으로 내입되면 몸체(31)의 입출공(33)에서 내입공(32)으로 인입되어 있던 수개의 고정간(34)을 코일지지구(3)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경사확장부(21)와,
    경사확장부(21)의 상부에 코일지지구(3)의 내입공(32)보다 직경이 크게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구(4)에 안치된 스테이터(A)의 하부로 돌출된 코일(B)과 코일(B)에 결합된 코일지지구(3)를 하강하는 작동구(2)에 의해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압걸림테(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35)은 입출공(33) 내측에서 고정간(34)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고정간(34)의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테(36)와, 입출공(33)의 외측에서 고정간(34) 및 코일스프링(35)을 입출공(33)으로 내입 및 입출공(33)에서의 이탈을 방지토록 몸체(31)에 결합 설치된 덮개판(37)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하여 고정간(34)을 항상 내입공(32)으로 인입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KR1020140077655A 2014-06-24 2014-06-24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KR10161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55A KR101618867B1 (ko) 2014-06-24 2014-06-24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55A KR101618867B1 (ko) 2014-06-24 2014-06-24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65A KR20160000365A (ko) 2016-01-04
KR101618867B1 true KR101618867B1 (ko) 2016-05-10

Family

ID=5516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655A KR101618867B1 (ko) 2014-06-24 2014-06-24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594B1 (ko) * 2016-01-20 2016-11-22 주식회사 케이알씨 폐 드럼세탁기 내통 분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874A (ja) 1998-10-29 2000-05-12 Daikin Ind Ltd モータ巻線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JP2008167627A (ja) 2007-01-04 2008-07-17 Jep:Kk 導線の分離方法及び導線の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442Y1 (ko) 2004-01-30 2004-05-10 황치성 모터 고정자 권선코일 분리장치
KR100910786B1 (ko) 2009-02-06 2009-08-04 남호창 폐모터의 고정자 해체기
KR200472788Y1 (ko) 2013-01-23 2014-05-26 황치성 모터 고정자 권선코일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874A (ja) 1998-10-29 2000-05-12 Daikin Ind Ltd モータ巻線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JP2008167627A (ja) 2007-01-04 2008-07-17 Jep:Kk 導線の分離方法及び導線の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65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86B1 (ko) 폐모터의 고정자 해체기
KR101378528B1 (ko) 폐모터의 고정자 해체기
KR101618867B1 (ko) 모터 코일의 분리장치
CN101869942B (zh) 径向分布多孔打孔机
CN108908552A (zh) 榫槽机快速送料装置
TW200404626A (en) Mechanism for preventing scraps from rising up
CN105155538B (zh) 拔桩机构
CN207860811U (zh) 一种放置热加工管件的托盘
US2270186A (en) Film drawing and trimming machine
CN108515111A (zh) 一种钢管双刀侧向同步冲长条孔装置
CN210359238U (zh) 一种粉末冶金用陶瓷过滤装置
US3491930A (en) Riveting machine
CN211679554U (zh) 多工位压型冲孔设备
CN204770146U (zh) 一种用于led灯筒加工的侧壁冲孔模具
CN106734479B (zh) 一种轮辋内撑式旋压机
CN111604858A (zh) 一种拆卸轴和轴套的装置及方法
CN105858528A (zh) 一种结构保温板生产线及其物料托举装置
JP4006252B2 (ja) モーターステータの解体装置
CN205629883U (zh) 一种装配机
KR200447956Y1 (ko) 펌프 하우징의 부싱 취외장치
CN203664458U (zh) 一种洗衣机甩桶去芯装置
KR200487175Y1 (ko) 발전기 회전자의 유압식 인출장치
US2290627A (en) Apparatus for building tires
CN209666239U (zh) 汽车遮阳板发泡聚丙烯骨架的自动包边装置
CN204739076U (zh) 一种独立装备间的挂接拉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