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967B1 -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967B1
KR101617967B1 KR1020140193378A KR20140193378A KR101617967B1 KR 101617967 B1 KR101617967 B1 KR 101617967B1 KR 1020140193378 A KR1020140193378 A KR 1020140193378A KR 20140193378 A KR20140193378 A KR 20140193378A KR 101617967 B1 KR101617967 B1 KR 10161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unit
concrete
base layer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호
정유석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vibrating st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는 기층 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 정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층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축 방향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되는 정도를 계측하는 진동현식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계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부는, 상기 기층 상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와 모듈화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기 기층 상에서의 위치 변화에 종속되어 계측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계측 장치{Measuring devices}
본 발명은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설 전에 매립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된 정도를 계측하는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주택, 도로, 다리, 초고층빌딩, 댐 등 도처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휨 파괴 및 전단 파괴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여러 가지의 센서들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휨 파괴 및 전단 파괴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휨 파괴 및 전단 파괴의 발생이 검출될 경우에 소정의 조치를 취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축조되는 기층 상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기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각종 센서들이 구조물 내에 위치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층 상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기 위하여, 센서가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미리 철근 등을 삽입하여야 하고, 이렇게 설치된 철근에 의해 공사 현장을 통행하는 인부 또는 차량 등이 통행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축조되는 기층 상에 미리 철근 등을 삽입하여 각종 센서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아닌,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기층 상에 삽입된 특정 구조물 없이도 상기 기층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계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는 기층 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 정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층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축 방향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되는 정도를 계측하는 진동현식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계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부는, 상기 기층 상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와 모듈화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기 기층 상에서의 위치 변화에 종속되어 계측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계측부의 장착을 위해 절개되어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계측부의 고정 위치가 삽입 위치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절개 방향이 적어도 2 이상이 되거나 절개 방향이 수평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상기 삽입부의 상기 고정위치의 직경은, 상기 계측부가 상기 고정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과 비교하여 확대된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계측부가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계측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계측부가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상기 계측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계측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상기 삽입부는, 축 방향 상측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계측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계측부는,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삽입부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이 축조되는 기층 상에서 매립위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층 상에 계측장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미리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계측의 신뢰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계측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에 계측부가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는 기층(P) 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매립되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C)의 변형 정도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C)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조된 건물의 하중, 온도, 습도 등에 의해 물리적/화학적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량을 측정하여 사후 보수 및 재건축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장치(10)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이 축조되는 기층(P) 상에 배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매립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콘크리트(C) 내부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는 안착부(110), 연결부(120) 및 계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기층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기층(P) 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1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연결부(120) 및 계측부(130)가 흔들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폭이 넓은 강판의 일종일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균형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안착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기층(P)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안착부(110)로부터 축 방향 상측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10)와 용접 또는 조립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 방향이란, 상기 기층(P)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110)의 수직 항력 방향일 수 있다. 즉, 만약 상기 기층(P)이 수평면과 평행 하다면, 상기 축 방향이란 중력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안착부(110)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안착부(110)에 장착되도록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계측 장치(10)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연결부(120)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120)를 연결하는 거리유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유지부(140)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120)와 용접 또는 나사결합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120)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계측부(130)는 상기 연결부(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되는 정도를 계측하는 진동현식 변형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현식 변형률 센서란,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현(일반적으로 피아노 줄)을 정착하고, 전자석에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현이 자력선에 의해 고유 진동주파수로 진동할 때, 상기 현의 장력에 따라 진동하는 주파수의 변화량과 상기 현의 장력을 기초로 구조물의 변형량을 계측하는 센서를 말한다.
다만, 상기 진동현식 변형률 센서 외의 전기저항식 센서 또는 유압식 센서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된 정도를 계측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계측부(130)는 상기 기층(P) 상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상기 안착부(110) 및 상기 연결부(120)와 모듈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10), 상기 연결부(120) 및 상기 계측부(130)는 한 쌍으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특정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건설공간으로 운반하여 상기 기층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기층(P) 상에서의 위치 변화에 종속되어 계측 범위가 가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10)가 상기 기층(P) 상에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지면, 상기 안착부(110)와 모듈화된 상기 계측부(130)가 계측하는 위치 즉, 계측 범위가 상이해질 수 있다.
이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된 정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10)의 적당한 설치 공간이 공사 진행 중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되는 장치의 개수도 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계측 장치(10)는 이러한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모듈화되어 그 개수 또는 설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계측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에 계측부가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의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계측부(130)의 장착을 위해 절개되어 형성된 삽입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연결부(1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일종의 홈일 수 있으며, 상기 계측부(130)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계측부(130)의 고정위치(123)가 삽입위치(12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절개 방향이 적어도 2 이상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121)는 절개된 형상이 굴곡 또는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위치(123)에서의 상기 삽입부(121)의 크기는, 상기 계측부(130)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계측부(13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120)로부터 상기 계측부(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상기 삽입위치(122)는 상기 계측부(130)가 상기 삽입부(121)에 진입하여 상기 고정위치(123)로 가이드하기 위한 일종의 가이드 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위치(123)는 상기 삽입위치(12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축 방향 하측이란 상기 기층을 향한 방향 즉, 중력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123)가 상기 삽입위치(12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123)에 장착된 상기 계측부(130)는 자중에 의한 힘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기 연결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삽입위치(122)와 상기 고정위치(123)의 절개된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위치(123)에 장착된 상기 계측부(130)를 상기 연결부(1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위치(123)에서와 상기 삽입위치(122)에서 가해야 하는 힘의 방향이 다르므로, 의도치 않는 힘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123)에서 이탈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123)의 직경은, 상기 계측부(130)가 상기 고정위치(123)에 도달하기 직전과 비교하여 확대된 직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고정위치(123)의 직경은 상기 계측부(130)의 단면적의 크기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계측부(130)를 상기 고정위치(123)로 가이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기 삽입위치(122)의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은 상기 고정위치(123)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측부(130)가 상기 삽입위치(122)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계측부(130)의 단면적의 직경보다 작은 상기 삽입위치(122)의 직경을 통과하면서 억지끼움이 되고, 상기 고정위치(123)에 도달함에 따라 억지끼움이 해소되면서, 상기 고정위치(123)에서 상기 삽입위치(122)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계측부(130)가 상기 고정위치(123)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계측부(130)의 제1 방향(X, 도 2 참조)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계측부(130)가 상기 고정위치(123)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X)과 수직인 제2 방향(Y, 도 2 참조)으로의 상기 계측부(130)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120)에 형성된 관통홀(h)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계측부(130)를 서로 고정시키는 조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X)이란, 상기 계측부(130)를 상기 계측부(130)와 상기 안착부(110)의 이격된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제2 방향(Y)이란, 상기 계측부(130)를 상기 계측부(130)와 상기 안착부(110)의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도록 이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위치(123)에 장착된 상기 계측부(130)를 상기 삽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이 상기 제1 방향(X)일 수 있으며, 상기 계측부(130)가 상기 고정위치(123)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방향이 상기 제2 방향(Y)일 수 있다.
상기 조임부(150)는, 유동성 있는 재질로, 상기 연결부(120)에 형성된 관통홀(h)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계측부(130)에 동시에 접촉되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여 상기 계측부(130)가 상기 연결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끈일 수 있다. 그러나, 인력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재질의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20)는 삽입부(221)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삽입부(221)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20)의 삽입부(221)는 고정위치(223)가 삽입위치(22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하되, 절개 방향이 수평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방향 하측이란 상기 기층(P, 도 1 참조)을 향한 방향 즉, 중력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위치(223)가 상기 삽입위치(22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223)에 장착된 상기 계측부(230)는 자중에 의한 힘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기 연결부(2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223)의 직경은, 상기 계측부(230)가 상기 고정위치(223)에 도달하기 직전과 비교하여 확대된 직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30)는 삽입부(321)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삽입부(321)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20)의 삽입부(321)는, 삽입위치(322)로부터 고정위치(323)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다가 상기 고정위치(323) 직전에 가장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위치(323)의 좁아지는 폭은 상기 계측부(330)가 상기 고정위치(323)로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위치(323) 직전의 상기 삽입위치(322)의 폭은 상기 계측부(33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측부(330)가 상기 고정위치(323)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계측부(33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의 상기 삽입위치(32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위치(323)에 장착된 상기 계측부(330)는, 상기 계측부(33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의 상기 삽입위치(322)에 의해 상기 연결부(3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323)가 상기 삽입위치(32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계측부(330)의 자중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323)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40)는 삽입부(421)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삽입부(421)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20)의 삽입부(421)는, 고정위치(423)가 삽입위치(42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절개 방향이 수평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 방향은 비선형적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절개되는 방향이 일정하게 변하도록 하여, 절개된 모양이 호 또는 타원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절개될 수 있다.
계측부(430)는, 비선형적인 절개 방향을 갖는 상기 삽입위치(422)를 통해 가이드되어 상기 고정위치(423)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위치(423)에 장착된 상기 계측부(430)를 상기 고정위치(423)로부터 상기 삽입위치(422)를 통해 상기 연결부(420)로부터 이탈시키려면, 힘의 크기와 방향을 달리 가하여야 하므로, 의도치 않게 상기 계측부(430)가 상기 연결부(4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423)의 직경은, 상기 계측부(430)가 상기 고정위치(423)에 도달하기 직전과 비교하여 확대된 직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50)는 연결부(5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부(52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50)의 삽입부(521)는, 축 방향 상측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계측부(530)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계측부(530)는,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C, 도 1 참조)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부(521)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521)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한 각각의 실시예의 삽입부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연결부(520)의 축 방향 상측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상기 삽입부(521a~521j)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계측부(530)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공사 진행 중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계측 위치와 필요한 계측부(530)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계측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삽입부(521a~521j)의 수는 상기 계측부(530)의 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분지어 서술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실시예 내에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실시예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거리유지부 및 조임부에 대한 구성은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고, 하지 않았으나, 어느 실시예에서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측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은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쇼트 또는 샌딩에 의한 물리적 처리나 화약약품 등에 의한 화학적 처리가 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계측 장치
110: 안착부
120: 연결부
130: 계측부
140: 거리유지부
150: 조임부

Claims (5)

  1. 기층 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 정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층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축 방향 상측으로 연결되고,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변형되는 정도를 계측하는 진동현식 변형률 센서를 포함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경우, 상기 계측부와 상기 연결부와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계측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부는,
    상기 기층 상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와 모듈화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기 기층 상에서의 위치 변화에 종속되어 계측 범위가 가변되되, 상기 삽입부에 직접 삽입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연결부에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조임부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연결부에 2차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연결부의 전방측 상면은,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연결부의 후방측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계측부의 상기 삽입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연결부의 후방측 상면은,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연결부의 전방측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계측부의 상기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계측부의 고정위치가 삽입위치보다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절개 방향이 적어도 2 이상이 되거나 절개 방향이 수평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기 고정위치의 직경은,
    상기 계측부가 상기 고정위치에 도달하기 직전과 비교하여 확대된 직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축 방향 상측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계측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계측부는,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삽입부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KR1020140193378A 2014-12-30 2014-12-30 계측 장치 KR10161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78A KR101617967B1 (ko) 2014-12-30 2014-12-30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78A KR101617967B1 (ko) 2014-12-30 2014-12-30 계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967B1 true KR101617967B1 (ko) 2016-05-04

Family

ID=5602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378A KR101617967B1 (ko) 2014-12-30 2014-12-30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829Y1 (ko) * 2001-11-29 2002-02-21 주식회사 대연 세탁물 건조대의 보조행거
KR100625193B1 (ko) * 2005-03-16 2006-09-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포장체의 변형률 계측기
KR101394240B1 (ko) 2013-05-15 2014-05-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 장착되는 센서고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829Y1 (ko) * 2001-11-29 2002-02-21 주식회사 대연 세탁물 건조대의 보조행거
KR100625193B1 (ko) * 2005-03-16 2006-09-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포장체의 변형률 계측기
KR101394240B1 (ko) 2013-05-15 2014-05-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 장착되는 센서고정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7841A1 (en) Fibre bragg grating vibration sensor and vibration measurement element thereof
KR101129692B1 (ko) 지중변위측정장치
JP7045021B2 (ja) せん断力試験装置
KR102305419B1 (ko) 수직상태 측정용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드릴링 리그
KR101972261B1 (ko) 배관 지지장치
CN205978804U (zh) 用于致动器的装置
JP2010078489A (ja) 光ファイバセンサ
KR20190078910A (ko)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9424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 장착되는 센서고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8909A (ko)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17967B1 (ko) 계측 장치
TWM628508U (zh) 光纖感測系統
KR20160059744A (ko) 전력 케이블 클리트
KR101209939B1 (ko)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기반의 구조물 변위 계측장치 및 그가 적용된 교량의 받침형 내진장치
KR101642692B1 (ko) 광섬유 격자센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시스템
US20180010339A1 (en) Concrete slab attachment device
JP2007205741A (ja) Fbg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変位測定装置
JP2014016314A (ja) 電柱傾斜測定器および電柱傾斜測定器の治具
JP6541473B2 (ja) 法枠移動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460718B2 (ja) 建築用ボードの設置方法
KR101627159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JP2022532081A (ja) トランスデューサアセンブリ
JP2017155416A (ja) トンネルの覆工コンクリートの打設管理方法
KR20170006137A (ko) 교량점검대 설치공법
KR101718411B1 (ko) 지중 변형 계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