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744A - 전력 케이블 클리트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클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744A
KR20160059744A KR1020140161652A KR20140161652A KR20160059744A KR 20160059744 A KR20160059744 A KR 20160059744A KR 1020140161652 A KR1020140161652 A KR 1020140161652A KR 20140161652 A KR20140161652 A KR 20140161652A KR 20160059744 A KR20160059744 A KR 20160059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ower cable
cleat
po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혁
김충식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744A/ko
Publication of KR20160059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 케이블 클리트는 2분할 구조를 가지며, 양단은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볼트 체결되고, 중공부에는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며, 내측면에는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반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 클리트{POWER CABLE CLEATS}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면서 온도 측정용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클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은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하 전력구 내에 설치되며, 또는 철탑을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된다. 전력구 관로 내에 포설되는 지중 전력 케이블은 일정한 길이 마다 중간 개소에 전력케이블을 접속하고, 단말측에는 전력 케이블이 입상되기도 하므로 전력 케이블은 수평부, 경사부 및 입상부 포설이 이루어진다. 전력 케이블의 포설은 3상 배열되고, 3상 배열된 전력 케이블은 트레이를 이용하여 다수층으로 포설된다. 3상 전력케이블의 포설시, 삼각 배열, 수평 배열, 수직 배열 및 오프셋 구간 등 여러 형태의 포설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3상 전력 케이블의 삼각 배열 포설 형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3상 전력 케이블(10)은 삼각 배열 형태로 포설되고, 일정한 간격마다 케이블 받침대와 케이블 클리트(20)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특히, 초고압 전력 케이블은 내구성이 강하지만 케이블 고장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전력을 송전하지 못할 경우 피해가 막대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초고압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전력 케이블의 분포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 (DTS, Distributer Temperature Sensor)이 있다. 이때, DTS 기술은 분포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광케이블을 전력 케이블에 부착하여 온도 센서로서 이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초고압 전력 케이블의 분포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로 이용되는 광케이블(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10)과 케이블 클리트(20) 위를 지나가도록 부착된다.
하지만 도 1과 같이 전력 케이블(10)과 광케이블(30)간의 이격거리가 존재하면 분포 온도 측정 장비인 DTS 장비가 전력 케이블의 표면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여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온도 측정의 정확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10)과 광케이블(30)간의 이격거리를 줄여서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분포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면서 온도 측정용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 클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 케이블 클리트는 2분할 구조를 가지며, 양단은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볼트 체결되고, 중공부에는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며, 내측면에는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반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 케이블 클리트는 2분할 구조를 가지며, 양단은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볼트 체결되고, 중공부에는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며,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온도 측정용 케이블이 전력 케이블에 부착되어 전력 케이블의 분포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전력 케이블에 대한 온도 측정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에서 케이블 클리트를 이용한 3상 전력 케이블의 삼각 배열 포설 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클리트를 이용한 3상 전력 케이블의 삼각 배열 포설 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클리트를 3상 전력 케이블의 삼각 배열 포설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온도 측정용 케이블을 전력 케이블에 부착하기 위한 케이블 클리트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클리트를 이용한 3상 전력 케이블의 삼각 배열 포설 형태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케이블(10)은 삼각 배열 형태로 케이블 클리트(20)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포설된다. 전력 케이블(10)의 표면에 광케이블(30)을 부착하기 위하여 케이블 클리트(20)의 각 모서리 부근의 내측면에 광케이블(30)이 삽입될 수 있는 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20)는 본체(21), 고정 볼트(26), 와셔(27) 및 고정 너트(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1)는 상부 클리트(22)와 하부 클리트(23)로 이루어지고, 삼각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로 전력 케이블이 삽입된다. 삼각 형태의 본체(21)는 삼각 배열로 반홀(24, 25a, 25b)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본체(21)의 모서리 부근의 내측면에 반홀(24, 25a, 25b)이 형성되어 반홀 내부로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광케이블은 전력 케이블을 가압하지 않도록 반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체(21)는 상부 클리트(22) 및 하부 클리트(23)의 체결에 의해 전력 케이블 및 광케이블을 고정하게 된다.
상부 클리트(22) 및 하부 클리트(23)의 체결은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형성된 체결구(22a, 22b, 23a, 23b)에 고정 볼트(26)가 삽입되고, 와셔(27)를 끼운 상태에서 고정 너트(28)를 끼워 체결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클리트(20)는 삼각 형태로 구성되어 3개의 전력 케이블을 삼각 배열 형태로 수용할 수 있다.
케이블 클리트(20)에는 상부 클리트(22)의 모서리 부근과 전력 케이블이 부착되는 내측면에 위치한 제1 반홀(24), 하부 클리트(23)의 모서리 부근과 2개의 각 전력 케이블이 부착되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2 반홀(25a) 및 제3 반홀(2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반홀은 상부 클리트(22)의 모서리 부근과 전력 케이블이 부착되는 내측면에 위치하고, 하부 클리트(23)의 모서리 부근과 2개의 각 전력 케이블이 부착되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력 케이블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클리트(20)의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케이블이 3개의 각 전력 케이블의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전력 케이블의 분포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클리트를 3상 전력 케이블의 삼각 배열 포설 형태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클리트(20)는 전력 케이블(10)과 광케이블(30)간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키고, 광케이블(30)이 전력 케이블(1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광케이블(3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 전력 케이블과 광케이블이 근접하여 관통하도록 케이블 클리트(20)의 각 모서리 부근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20)는 본체(21), 고정 볼트(26), 와셔(27) 및 고정 너트(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1)는 상부 클리트(22)와 하부 클리트(23)로 이루어지고, 삼각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로 전력 케이블이 삽입된다. 삼각 형태의 본체(21)는 삼각 배열로 관통홀(60, 61a, 61b)이 형성되고, 관통홀 내부에 광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관통홀(60, 61a, 61b)은 상부 클리트(22)의 모서리 부근의 내측과 하부 클리트(23)의 모서리 부근의 내측에 전력 케이블과 광케이블이 근접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는 상부 클리트(22) 및 하부 클리트(23)의 체결에 의해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게 된다.
상부 클리트(22) 및 하부 클리트(23)의 체결은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형성된 체결구(22a, 22b, 23a, 23b)에 고정 볼트(26)가 삽입되고, 와셔(27)를 끼운 상태에서 고정 너트(28)를 끼워 체결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리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 클리트(20)는 케이블 클리트(20)는 삼각 형태로 구성되어 3개의 전력 케이블을 삼각 형태로 수용할 수 있다.
케이블 클리트(20)에는 전력 케이블과 광케이블이 근접하여 관통하도록 상부 클리트(22)의 모서리 부근의 내측에서 일정 거리에 위치한 제1 관통홀(60), 하부 클리트(23)의 각 모서리 부근의 내측에서 일정 거리에 위치한 제2 관통홀(61a)과 제3 관통홀(6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관통홀은 상부 클리트(22)의 모서리 부근의 내측에서 일정 거리에 위치하고, 하부 클리트(23)의 각 모서리 부근의 내측에서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력 케이블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클리트(20)의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케이블이 3개의 각 전력 케이블의 표면에 근접하도록 관통함에 따라 전력 케이블의 분포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력 케이블 20: 케이블 클리트
30: 케이블

Claims (4)

  1. 2분할 구조를 가지며, 양단은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볼트 체결되고,
    중공부에는 전력 케이블이 삽입되며,
    내측면에는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반홀이 형성되는, 케이블 클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3상이 삼각배열 형태로 포설되며,
    상기 전력 케이블 클리트는 3각형 구조이고,
    상기 반홀은 3각 배열로 위치되는, 전력 케이블 클리트.
  3. 2분할 구조를 가지며, 양단은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볼트 체결되고,
    중공부에는 전력 케이블이 삽입되며,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력 케이블 클리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3상이 삼각배열 형태로 포설되며,
    상기 전력케이블 클리트는 3각형 구조이고,
    상기 관통홀은 3각 배열로 위치되는, 전력 케이블 클리트.
KR1020140161652A 2014-11-19 2014-11-19 전력 케이블 클리트 KR20160059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652A KR20160059744A (ko) 2014-11-19 2014-11-19 전력 케이블 클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652A KR20160059744A (ko) 2014-11-19 2014-11-19 전력 케이블 클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744A true KR20160059744A (ko) 2016-05-27

Family

ID=5610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652A KR20160059744A (ko) 2014-11-19 2014-11-19 전력 케이블 클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7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73A (ko) 2018-04-12 2019-10-22 이재걸 기역형 행거 및 아이형 행거에 모두 장착 가능하고 차화 성능이 우수한 다용도 케이블 클리트
KR20190120539A (ko) 2018-04-16 2019-10-24 이재걸 케이블 클리트용 차화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차화 시스템
US10903633B2 (en) 2018-06-07 2021-01-26 Panduit Corp. Interlocking cable cleat
KR20210119771A (ko) * 2020-03-25 2021-10-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 이상상태 점검 시스템
WO2023080467A1 (ko) * 2021-11-04 2023-05-11 엘에스일렉트릭 (주) 온도 측정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73A (ko) 2018-04-12 2019-10-22 이재걸 기역형 행거 및 아이형 행거에 모두 장착 가능하고 차화 성능이 우수한 다용도 케이블 클리트
KR20190120539A (ko) 2018-04-16 2019-10-24 이재걸 케이블 클리트용 차화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차화 시스템
US10903633B2 (en) 2018-06-07 2021-01-26 Panduit Corp. Interlocking cable cleat
KR20210119771A (ko) * 2020-03-25 2021-10-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 이상상태 점검 시스템
WO2023080467A1 (ko) * 2021-11-04 2023-05-11 엘에스일렉트릭 (주) 온도 측정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9744A (ko) 전력 케이블 클리트
US9548597B2 (en) Cable management assembli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90353285A1 (en) Clamp device for cable tray assembly
CN107949741A (zh) 管道漏水检测装置
BR112015010761A2 (pt) sistema de ressonância magnética (rm), e método para a detecção de temperatura distribuída em um sistema de ressonância magnética (rm)
JP2015004526A (ja) 構造物の損傷検出方法及び構造ヘルス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124659B1 (ko) 부스덕트 접속부
KR101317635B1 (ko) 불연속면 변위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1622548B1 (ko) 전기시험 또는 신호 검출용 연결단자함과 케이블의 접속장치
KR20160112453A (ko) 굴곡형 시험챔버를 포함하는 ac 내전압 시험설비
CN106054063A (zh) 一种电路板测试装置
KR101991350B1 (ko) 비계
KR20130107061A (ko) 연기 감지기 설치 보조유닛 및 연기 감지기 설치방법
KR101454849B1 (ko) 배관 연결 플랜지 셋팅용 지그 장치
US11821159B2 (en) Reinforcement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CN104176227B (zh) 用作飞机的不同加压的两个区域之间的系统通道的支撑板
KR20140140253A (ko) 그레이팅 위의 설비 설치 구조
US10948298B2 (en) Inertial unit with suspended inertial device
KR101860927B1 (ko) 교량 재하 시험 장치
BR102019025841A2 (pt) dispositivo de microondas de suporte e conexão
US9285499B2 (en) Device for detecting and/or monitoring optically invisible objects
ATE508491T1 (de) Fehlerdetektionsverfahren und vorrichtung dafür
US11598822B2 (en) Leakage voltage detection system and leakage voltage detection method
US8779752B2 (en) Pass through device for non-contact voltage detectors
CN107561387B (zh) 一种配网线损异常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