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84B1 -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 Google Patents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84B1
KR101616684B1 KR1020160008095A KR20160008095A KR101616684B1 KR 101616684 B1 KR101616684 B1 KR 101616684B1 KR 1020160008095 A KR1020160008095 A KR 1020160008095A KR 20160008095 A KR20160008095 A KR 20160008095A KR 101616684 B1 KR101616684 B1 KR 10161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human body
hea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모
Original Assignee
강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모 filed Critical 강영모
Priority to KR102016000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선풍기는 베이스판와 지지대로 구성된 스탠드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탠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풍기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주행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날개구동부재가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상기 날개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보호망으로 구성된 헤드부; 상기 스탠드부 또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탠드부가 사용자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추종하여 주행하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를 향해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ELECTRIC FAN HAVING USER FOLLOWING FUNCTION}
본 발명은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지능형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를 추종하도록 주행하면서 사용자에게 송풍하는 인체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전동기를 이용하여 프로펠러 날개를 회전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로서, 주로 더운 여름에 시원함을 느끼기 위해 사용되며, 공기가 탁한 곳에서 공기 순환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선풍기는 베이스부와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탠드부, 이 스탠드부의 상부에 회전운동가능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부를 구비한 헤드부로 구성된다.
베이스부에는 회전강도, 동작시간, 좌우회전 등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선풍기의 동작의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리모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베이스부의 조작부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선풍기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리모콘을 조작하여 선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선풍기들은 지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선풍기 주변에서 먼곳으로 이동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선풍기를 들고 이동하는 장소로 옮긴 후에 다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사용자가 선풍기 주변에서 선풍기의 바람이 송풍되는 위치와 다른 각도의 영역으로 위치이동하게 되면, 선풍기의 바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은 아쉬움이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선풍기는 단순히 좌우 회전을 반복하는 기능이 있기는 하나, 사용자가 자리를 옮겨 지속적으로 바람을 쐬고 싶을 경우에는 좌우 회전을 반복하는 기능으로는 사용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51927호 등록실용신안 20-0469802호 공개실용신안 20-2013-00009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창안된 것으로서, 인체를 추종하여 주행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풍기로부터 이동하더라도 사용자를 소정거리를 두고 따라다니면서 사용자에게 시원한 바람을 송풍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풍기의 송풍방향에서 벗어나도록 선풍기의 좌측이나 우측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를 따라 선풍기의 헤드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베이스판와 지지대로 구성된 스탠드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탠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풍기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주행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날개구동부재가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상기 날개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보호망으로 구성된 헤드부; 상기 스탠드부 또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탠드부가 사용자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추종하여 주행하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를 향해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내부에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주행구동부재;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주행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구동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바퀴구동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전진, 후진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적외선센서 또는 카메라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를 상기 스탠드부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헤드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회전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헤드부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탠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사용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를 추종하는 형태로 주행하면서 사용자에게 바람을 송풍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부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탠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소정 반경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날개구동부재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회전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헤드부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부와 사용자의 간격이 1.5m 내지 2m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사용자를 추종하여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2m 내지 0.3m의 반경영역 내측에 있는 경우, 상기 날개구동부재를 구동시켜 송풍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헤드로부터 2m 초과의 반경영역에 위치하거나 0.3m 미만의 반경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날개구동부재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선풍기가 사용자와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따라다니면서 사용자에게 송풍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치이동하여도 기존과 같이 선풍기를 운반하여 이동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풍기의 날개부의 송풍방향이 사용자가 좌우로 위치이동하더라도 소정각도 회전하여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저면을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향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풍기(10)는 스탠드부(100), 주행부(200), 헤드부(300), 센서부(400),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스탠드부(100)는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110)의 중심에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지지대(120)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20)의 상부에는 헤드부(3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주행부(200)는 헤드부(300)가 설치된 스탠드부(100)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측 구동바퀴(201,202), 좌/우측 주행구동부재(205,206) 및 아이들 롤러(210)를 포함한다.
좌/우측 구동바퀴(201,202) 및 아이들 롤러(210)는 베이스판(11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호 삼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좌/우측 구동바퀴(201,202)는 베이스판(110)의 저면 후방부 좌우측에 설치되고, 아이들 롤러(210)는 베이스판(100)의 저면 전방부 중간위치에 설치된다.
좌/우측 주행구동부재(205,206)는 각각 좌/우측 구동바퀴(201,20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42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좌/우측 주행구동부재(205,206)는 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42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420)가 좌/우측 주행구동부재(205,206)를 제어함에 따라, 좌/우측 구동바퀴(201,202)가 동일한 속도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탠드부(100)가 직진할 수도 있고, 좌/우 구동바퀴(201,202)의 회전속도를 달리하거나 회전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소정각도로 회전하거나 정방향으로 직진 또는 후진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헤드부(300)는 스탠드부(100)의 상부 즉 지지대(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로, 케이싱(310), 날개부(320) 및, 보호망(330)을 포함한다.
케이싱(310)은 지지대(12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날개부(3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동모터로 이루어진 날개구동부재(315)가 내장설치된다.
날개부(320)는 복수의 프로펠러 날개가 허브에 연결된 통상의 선풍기 날개형태로서, 케이싱(310)의 전방에 날개구동부재(3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날개구동부재(315)에 회전에 따라 날개부(320)가 회전하여 바람이 송풍되도록 구성된다.
보호망(330)은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날개부(320)를 감싸도록 케이싱(210)의 전단에 고정설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케이싱(310), 날개부(320), 보호망(330)은 통상의 선풍기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지대(120)의 상단 내측에는 헤드 회전구동부(318)가 설치된다. 이 헤드 회전구동부(318)는 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헤드 회전구동부(318)의 회전축은 케이싱(31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헤드회전구동부(318)의 구동에 따라, 케이싱(310)이 소정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여 날개부(320)의 송풍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회전구동부(318)는 제어부(420)에 의해 제어된다.
인체감지센서(400)는 스탠드부(100) 또는 헤드부(300)에 설치되어, 헤드부(300) 전방에 있는 사용자(인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20)에 출력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헤드부(300)에 대한 사용자의 절대좌표 또는 거리와 방위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400)는 통상의 적외선센서, 적외선 PIR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치위치적으로는 보호망(330)의 전방중앙에 형성된 원판(33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체감지센서(400)는 헤드부(300)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420)에 출력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인체감지센서(400)는 적외선, 적외선 PIR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부(300) 전방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면 키넥터 센서, 영상촬영센서(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초음파센서 등 여타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420)는 스탠드부(100) 또는 헤드부(3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전기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420)는 인체감지센서(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주행구동부재(205,206)의 구동을 제어하여, 스탠드부(100) 및 헤드부(300)가 사용자를 추종하하여 주행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420)는 날개구동부재(315)를 작동시켜 날개부(320)가 회전하여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420)는 헤드부(300)와 사용자의 거리가 1.5m 내지 2m로 유지되도록 주행부(200)의 주행구동부재(205,206)를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선풍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더라도, 선풍기(10)가 사용자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 상태로 이동하는 사용자를 따라서 주행하면서 사용자를 향해 바람을 송풍해주게 됨으로써, 기존처럼 별도로 선풍기를 운반하여 옮겨 설치하고 재가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선풍기는 제어부(420)에 의해 제1동작모드 또는 제2동작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
제1동작모드는 상기와 같이 헤어부(420)가 주행구동부재(205,206)를 제어하여, 사용자를 따라다니면서 사용자를 향해 송풍하는 모드이다,
이하에서는 제2동작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동작모드는 제어부(420)가 주행구동부재(205,206)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인체감지신호(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날개구동부재(315)를 가동하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인체감지신호(40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헤드부(300)로부터 2m 내지 0.3m 반경영역 내에 있을 경우, 날개구동부재(315)를 가동시키고, 2m 초과되는 반경영역에 있거나 0.3m 미만의 반경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날개구동부재(315)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선풍기(10)로부터 2m 초과되게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선풍기(10)를 향해 이동하여 헤드부(300)로부터 2m 영역 내로 들어가게 되면 제어부(420)가 날개구동부재(315)를 가동시켜 날개부(320)에서 송풍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바람을 쐴 수 있으며, 사용자가 헤드부(300)로부터 2m 영역 밖으로 나가게 되면 제어부(420)가 날개구동부재(315)가 정지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선풍기(10)에 점점 가까이 다가와 사용자가 헤드부(300)의 0.3m 미만의 영역내로 접근하게 되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제어부(420)가 날개구동부재(315)를 정지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어부(420)는 인체감지신호(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헤드부(300)로부터 2m 내지 0.3m 내의 영역에 위치하여 날개구동부재(315)가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인체감지신호(400)의 신호에 따라, 헤드부(300)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체감지신호(400)로부터의 사용자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헤드회전구동부(318)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헤드부(300)의 전방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어부(420)는 인체감지신호(4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헤드회전구동부(318)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헤드부(300)를 소정각도 우측으로 회전시켜, 헤드부(300)의 송풍방향이 사용자를 향하게 하고, 사용자가 헤드부(300)의 전방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어부(420)는 인체감지신호(4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헤드회전구동부(318)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헤드부(300)를 소정각도 좌측으로 회전시켜, 헤드부(300)의 송풍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를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조작부(4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설정조작부(430)는 베이스판(100)의 상면에 사용자가 누름이나 조그형태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리모컨 형태로 구성되어 무선방식으로 제어부(420)에 제1동작모드 또는 제2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탠드부(100) 또는 헤드부(300) 상에 온도센서(440)가 설치되며, 제어부(420)는 온도센서(440)로부터 선풍기(10) 주변온도를 검출하여,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모든 구성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기 설정된 온도가 20일 경우, 온도센서(440)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19이면 선풍기(10)의 모든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에 대해 설명한다.
타 실시 예에 따른 선풍기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풍기에 비해, 향기발생 악세사리(500)를 더 포함하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하므로 향기발생 악세사리(5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향기발생 악세사리(500)는 보호망(330)의 테두리에 스냅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하여 날개부(320)의 회전시 발생되는 바람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이 직진성이 향상된 송품바람에 의해 방향성분을 실내에 빠르게 퍼져 확산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기발생 악세사리(500)는 악세사리몸체(510) 및 향수용부(520)를 포함한다. 악세사리몸체(510)는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단에 대경으로 된 공기유입공(513)과, 전단에 소경으로 된 공기배출공(516)을 구비하며, 공기유입공(513)에서 공기배출공(516)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악세사리몸체(510)의 공기유입공(513)은 보호망(330)의 테두리에 스냅방식으로 억지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날개부(320)로부터 발생된 바람은 공기유입공(513)을 통해 악세사리몸체(51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배출공(516)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공기유입공(513)에서 공기배출공(516)으로 바람은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악세사리 몸체(510)을 내부를 지나면서 속도가 증가되어, 공기배출공(516)을 통해 직진성이 향상된 상태로 모아져서 배출되게 되어, 원거리까지 송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향수용부(520)는 공기유입공(531)에 근접하도록 악세사리몸체(5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악세사리몸체(510)를 통과하는 바람에 방향성분을 포함시켜 배출하도록 한다. 향수용부(520)는 브라켓(521)과, 이 브라켓(521)에 분리가능하게 교체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방향모듈(525)을 포함한다.
브라켓(521)는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522a)이 형성된 장착링(522)과, 이 장착링(52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각각의 끝단이 악세사리몸체(510) 내면에 고정연결되는 암부재(523)로 이루어진다.
방향모듈(525)은 용기부(526) 및 방향제(529)를 포함한다.
용기부(526)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함체(527)와, 이 원통 함체(527)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도어(528)로 이루어진다.
원통함체(527)의 외주면에는 장착링(522)의 고정홈(522a)에 대응되는 고정돌기(527a)가 형성되어, 용기부(526)를 장착링(522)에 끼우면, 고정돌기(527a)가 고정홈(522a)에 삽입되어, 용기부(526)가 장착링(522)에 삽입되어 고정장착되게 된다.
원통함체(527)에는 다수의 통공(h1)이 형성되고, 도어(528)에도 다수의 통공(h2)이 형성된다. 도어(528)는 원통함체(527)의 일측에 힌지되게 설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어(528) 및 원통함체(528)에는 도어(528)가 원통함체(528)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방향제(529)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겔 형태로 형성되며, 용기부(526) 내부에 수용된다. 이렇게 내부에 방향제(529)가 수용된 용기부(526)를 장착링(522)이 끼워 고정장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향기발생 악세사리(500)를 도 5와 같이 보호망(330)의 테두리에 장착하게 되면, 날개부(320)로부터 발생된 바람이 악세사리몸체(510)를 지나면서 직진성이 강해져 공개배출공(516)를 통해 원거리까지 송풍되게 되는데, 이때, 악세사리몸체(510) 내를 지나는 바람이 용기부(526)의 통공(h1,h2)의 지나면서 용기부(526) 내에 수용된 방향제(529)의 방향성분이 용기부(526)에서 빠져나와 공기배출공(516)을 통해 배출되는 송풍바람과 함께 포함되어 원거리까지 방향성분이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향기발생 악세사리(500)는 실내공간에서 조리를 하거나 고기를 구워먹어 음식냄새가 심하거나 여타의 악취가 있을 경우, 신속하게 방향성분을 실내에 퍼지게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스탠드부
110...베이스판
120...지지대
200...주행부
201,202...좌측 및 우측 구동바퀴
205,206...좌측 및 우측 주행구동부재
210...아이들 롤러
300...헤드부
310...케이싱
315...날개구동부재
320...날개부
330...보호망
400...인체감지센서
420...제어부
430...설정조작부
440...온도센서

Claims (8)

  1. 베이스판와 지지대로 구성된 스탠드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탠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풍기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주행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날개구동부재가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상기 날개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보호망으로 구성된 헤드부;
    상기 스탠드부 또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스탠드부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헤드회전구동부;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탠드부가 사용자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추종하여 주행하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사용자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를 향해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회전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헤드부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탠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사용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를 추종하는 형태로 주행하면서 사용자에게 바람을 송풍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부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탠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소정 반경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날개구동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내부에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주행구동부재;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주행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구동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바퀴구동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전진, 후진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적외선센서 또는 카메라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회전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헤드부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부와 사용자의 간격이 1.5m 내지 2m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사용자를 추종하여 주행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2m 내지 0.3m의 반경영역 내측에 있는 경우, 상기 날개구동부재를 구동시켜 송풍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헤드로부터 2m 초과의 반경영역에 위치하거나 0.3m 미만의 반경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날개구동부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KR1020160008095A 2016-01-22 2016-01-22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KR10161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95A KR101616684B1 (ko) 2016-01-22 2016-01-22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095A KR101616684B1 (ko) 2016-01-22 2016-01-22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684B1 true KR101616684B1 (ko) 2016-04-28

Family

ID=5591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095A KR101616684B1 (ko) 2016-01-22 2016-01-22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68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82B1 (ko) * 2017-07-14 2017-09-28 김석조 농업용 선풍기
KR101812734B1 (ko) * 2016-09-29 2018-01-31 권혁신 선풍기 및 서큘레이터 겸용 그릴망 구조
WO2018032895A1 (zh) * 2016-08-19 2018-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装置送风方法及风扇装置
CN108547784A (zh) * 2018-04-14 2018-09-18 佛山市粤知中创科技有限公司 风扇的运转控制
KR20180137176A (ko) * 2017-06-16 2018-12-2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부가모듈이 장착된 로봇청소기
CN109236700A (zh) * 2018-11-06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节能控制方法、节能控制系统及其风扇
KR102141187B1 (ko) * 2020-02-18 2020-08-04 김정필 에어서큘레이터
CN112922864A (zh) * 2019-12-06 2021-06-0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风扇送风调节方法、风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80859A (ko) * 2020-12-08 2022-06-15 김상진 퍼스널 선풍기 장치
CN116292375A (zh) * 2023-05-16 2023-06-23 成都苏扶软件开发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电器设备控制方法、系统、设备和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88B1 (ko) * 2007-04-16 2008-03-27 황성민 자동인체 감지기능을 갖는 선풍기
KR200451927Y1 (ko) 2009-02-04 2011-01-19 신한일전기주식회사 리모컨이 일체로 부착되는 선풍기
KR200459276Y1 (ko) * 2009-10-29 2012-03-22 강민철 자주식 선풍기
KR20130000979U (ko) 2011-08-02 2013-02-13 하진용 해충 퇴치기가 구비된 선풍기
KR200469802Y1 (ko) 2012-10-31 2013-11-07 김현준 선풍기의 전면 보호 커버
KR101470487B1 (ko) * 2012-11-23 2014-12-11 임예현 스마트 선풍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88B1 (ko) * 2007-04-16 2008-03-27 황성민 자동인체 감지기능을 갖는 선풍기
KR200451927Y1 (ko) 2009-02-04 2011-01-19 신한일전기주식회사 리모컨이 일체로 부착되는 선풍기
KR200459276Y1 (ko) * 2009-10-29 2012-03-22 강민철 자주식 선풍기
KR20130000979U (ko) 2011-08-02 2013-02-13 하진용 해충 퇴치기가 구비된 선풍기
KR200469802Y1 (ko) 2012-10-31 2013-11-07 김현준 선풍기의 전면 보호 커버
KR101470487B1 (ko) * 2012-11-23 2014-12-11 임예현 스마트 선풍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2895A1 (zh) * 2016-08-19 2018-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装置送风方法及风扇装置
KR101812734B1 (ko) * 2016-09-29 2018-01-31 권혁신 선풍기 및 서큘레이터 겸용 그릴망 구조
KR102063160B1 (ko) * 2017-06-16 2020-02-1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부가모듈이 장착된 로봇청소기
KR20180137176A (ko) * 2017-06-16 2018-12-2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부가모듈이 장착된 로봇청소기
KR101782982B1 (ko) * 2017-07-14 2017-09-28 김석조 농업용 선풍기
CN108547784A (zh) * 2018-04-14 2018-09-18 佛山市粤知中创科技有限公司 风扇的运转控制
CN109236700A (zh) * 2018-11-06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节能控制方法、节能控制系统及其风扇
CN112922864A (zh) * 2019-12-06 2021-06-0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风扇送风调节方法、风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22864B (zh) * 2019-12-06 2022-09-30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风扇送风调节方法、风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41187B1 (ko) * 2020-02-18 2020-08-04 김정필 에어서큘레이터
KR20220080859A (ko) * 2020-12-08 2022-06-15 김상진 퍼스널 선풍기 장치
KR102571655B1 (ko) * 2020-12-08 2023-08-28 김상진 퍼스널 선풍기 장치
CN116292375A (zh) * 2023-05-16 2023-06-23 成都苏扶软件开发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电器设备控制方法、系统、设备和介质
CN116292375B (zh) * 2023-05-16 2024-03-22 俞加利 基于人工智能的电器设备控制方法、系统、设备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684B1 (ko)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US5330323A (en) Ceiling fan
JP2015224603A (ja) 扇風機
JP2016176481A (ja) 扇風機
EP3626107A1 (en) Dryer
KR101868236B1 (ko) 다방향 송풍 장치
KR102049567B1 (ko) 선풍기 및 선풍기 제어방법
KR10192642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무전원 냉온풍기
KR20160083508A (ko) 360도 방향 냉온 선풍기
KR102337365B1 (ko) 다기능 스탠드형 헤어 드라이기
CN210345659U (zh) 空调器
JP2005507470A (ja) 引き戸装置
KR20200117418A (ko) 다방향 송풍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JP2009183338A (ja) 衣類乾燥装置
CN205547504U (zh) 一种可自动调节帽檐的儿童遮阳帽
JP3524612B2 (ja) 空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712088A (ja) 天井扇風機
KR200384496Y1 (ko) 온풍 겸용 선풍기
JPS62298697A (ja) 壁掛用扇風機の運転装置
KR20180091183A (ko) 초음파센서, 온도감지센서를 활용한 선풍기
KR200489279Y1 (ko) 다목적 휴대용 선풍기
JPH08219525A (ja) 空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004687B2 (ja) 送風機
KR200467930Y1 (ko) 공기조화기
KR200304506Y1 (ko) 팬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