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016B1 -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키보드 - Google Patents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016B1
KR101613016B1 KR1020140088186A KR20140088186A KR101613016B1 KR 101613016 B1 KR101613016 B1 KR 101613016B1 KR 1020140088186 A KR1020140088186 A KR 1020140088186A KR 20140088186 A KR20140088186 A KR 20140088186A KR 101613016 B1 KR101613016 B1 KR 10161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contact
contact piece
switch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374A (ko
Inventor
카츠히라 이자와
마미코 나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78Casings containing special noise reduction means, e.g. elastic foam between inner and oute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02Raised 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S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2Casings mounted in conventional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Spiral spr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의 정음형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20)에 커버(80)를 조립하여 형성한 공간 내에, 누름버튼(70)을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장착한 스위치이다. 특히, 상기 누름버튼(70)의 슬라이드부의 측벽에 형성한 탄성 접촉편(73)의 자유단부를, 상기 누름버튼(70)을 압하한 경우에, 상기 베이스(20)에 당접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누름버튼(70)을 복귀시킨 경우에, 상기 커버(80)에 당접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키보드{SWITCH, AND KEYBOARD OF USING THIS}
본 발명은 스위치, 특히, 정음형(靜音型)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상부에 조작 노브를 구비하고, 하부에 덮개를 갖는 사각통형상의 보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디 본체에서 하나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의 상부에는, 패널 커버에 당접 가능하게 한 쌍의 제1의 스프링체를 일체로 마련하고, 하부에는 패널 커버로 덮히는 부재에 당접 가능하게 한 쌍의 제2의 스프링체를 일체로 마련한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스프링체는, 보디 본체의 외측면측으로서, 동일 측면측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각각 상기 외측면의 면에 따라 연출(延出) 형성되고, 상기 제1의 스프링체의 하방 및 제2의 스프링체의 상방에는, 각각 상기 보디 본체의 윗면과 이간하고, 성형시에 코어가 배치되어 성형되는 상하 한 쌍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한 쌍의 공간은,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을 오프닝한 때에 상기 코어가 발출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면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당해 외측면의 면으로부터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887057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스위치에서는, 그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시용 스프링부와 복귀시용 스프링부를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디 본체가 대형화하고, 스위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형의 정음형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에 커버를 조립하여 형성한 공간 내에, 누름버튼을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장착한 스위치로서, 상기 누름버튼의 슬라이드부의 측벽에 형성한 탄성 접촉편의 자유단부를, 상기 누름버튼을 압하한 경우에, 상기 베이스에 당접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누름버튼을 복귀시킨 경우에, 상기 커버에 당접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시 및 복귀시에 하나의 탄성 접촉편이 베이스 및 커버에 당접하고, 충돌음을 흡수 완화하기 때문에, 소형이고 정음형의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자형 베이스에 테두리형상 커버를 조립하여 형성한 공간 내에, 누름버튼을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장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밀폐된 공간 내에서 누름버튼이 슬라이드 이동함에 의해, 보다 한층 조용한 소형의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압하한 경우에, 상기 누름버튼의 탄성 접촉편이 당접 가능한 당접단부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고, 또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복귀시킨 경우에, 상기 누름버튼의 탄성 접촉편이 당접 가능한 위치 규제 리브를 돌설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스트로크가 짧게 되어, 보다 소형의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탄성 접촉편은 편측지지 들보형상이라도 좋고, 또한, 상기 탄성 접촉편은 정면 T자형상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탄성 접촉편이 정면 T자형상이라면, 보다 한층 조용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탄성 접촉편의 자유단부에, 상기 베이스에 당접 가능한 당접 돌기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당접면적이 작은 당접 돌기가 베이스에 당접하기 때문에, 보다 한층 조용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누름버튼에, 상기 누름버튼이 복귀한 경우에, 상기 커버의 위치 규제 리브가 감합하는 노치부을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위치 규제 리브가 누름버튼에 마련한 노치부에 감합함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구획하기 때문에, 충돌음이 누설되지 않아, 보다 한층 조용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키보드는, 전술한 스위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작시 및 복귀시에 하나의 탄성 접촉편이 베이스 및 커버에 당접하고, 충돌음을 흡수 완화하기 때문에, 소형이고 정음형의 키보드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 B는 도 2, 3에서 도시한 상자형 베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상자형 베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6의 A, B는 도 2, 3에서 도시한 접점 단자를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7의 A, B, C는 도 2, 3에서 도시한 도광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의 A, B는 도 2, 3에서 도시한 누름버튼을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9의 A, B는 도 1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동작 전을 도시하는 종단면 사시도 및 평면 단면도.
도 10의 A, B는 도 1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동작 후를 도시하는 종단면 사시도 및 평면 단면도.
도 11의 도 A, B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2 실시 형태의 동작 전후를 도시하는 종단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스위치에 관한 누름버튼을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서 도시한 스위치에 관한 테두리형상 커버를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를 도 1 내지 도 13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등의 광원(11)을 표면 실장한 기판(10)에 장착되는 상자형 베이스(20)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에 조립되는 한 쌍의 접점 단자(30, 40)와, 도광체(50)와, 복귀 스프링(60)과, 누름버튼(70)과, 테두리형상 커버(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실장한 광원(1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위치 결정구멍(12, 12)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광원(1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단자구멍(13, 13)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상자형 베이스(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사각형의 수지 성형품이고, 그 개구연부(開口緣部)에 따라 고리형상 리브(21)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고리형상 리브(21)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노치하여 계합 받이부(21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자형 베이스(20)는, 그 개구연부의 모서리부에 단면 개략 L자형의 가이드 돌기부(21b)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자형 베이스(20)는, 그 저면 중앙에 돌설한 지주대(22)에 평면 사각형의 삽입구멍(23)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지주대(22)의 외주면에 테이퍼면을 구비한 보강 리브(22a)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자형 베이스(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22)의 주위에 원환형상 리브(24)를 동심원형상으로 돌설하여 고리형상 홈(25)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환형상 리브(24)는, 그 외주면에 한 쌍의 압입용 돌기부(24a, 24b)를 측방을 향하여 평행하게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자형 베이스(20)는, 상기 압입용 돌기부(24a, 24b)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당접단부(26)를 돌설함과 함께, 상기 당접단부(26)의 내측면의 일방의 편측(片側)연부에 한 쌍의 압입용 돌기부(26a, 26a)를 돌설하고, 가이드 홈(26b)을 형성하는 한편, 그 타방의 편측연부에 빠짐방지 돌기(26c)를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자형 베이스(20)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하면에, 상기 삽입구멍(23)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부(27, 27)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한 쌍의 단자구멍(28, 28)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단자구멍(28)은 상기 가이드 홈(26b)에 연통하고 있다.
한 쌍의 접점 단자(30, 4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에 점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상기 접점 단자(30)는, 도전성 박판을 타발하여 프레스 가공한 것이고,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단자부(3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31)의 일방의 편측연부로부터는 굴곡한 가동 접촉편(32)과, 빠짐방지 설편(33)을 연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촉편(32)의 자유단부의 외향면에는 가동 접점(34)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자유단부에서 측방에 가압 받이부(35)를 연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31)의 타방의 편측연부로부터는 개략 L자형의 위치 결정부(36)를 연재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부(36)로부터 고정 접촉편(37)을 연재하고 있다. 상기 고정 접촉편(37)의 내측면 연부에는 고정 접점(38)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접점 단자(40)는, 상기 접점 단자(30)와 동일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점 단자(40)에는 접점 단자(30)에 준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접점 단자(30, 40)의 단자부(31, 41)를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가이드 홈(26b)에 따라 단자구멍(28)에 삽입하면, 상기 단자부(31, 41)의 양측이, 상기 압입용 돌기부(26a, 26a)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압입용 돌기부(24a, 24b)와의 사이에 압입되고, 판두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접점 단자(30, 40)를 압입함에 의해, 상기 접점 단자(30, 40)의 위치 결정부(36, 46)가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압입용 돌기부(24b, 24b)에 당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 단자(30, 40)의 빠짐방지 설편(33, 43)이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빠짐방지 돌기(26c, 26c)에 각각 계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34, 44)이 고정 접점(48, 38)에 각각 압접한다(도 10의 B).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접점 단자(30, 40)는 동일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부품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광체(5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수지(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로 형성된 사각주 형상이고, 그 외측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51)를 돌설하고 있음과 함께, 그 하단면인 입사면에는 오목 렌즈(52)를 형성하고 있는 한편, 그 상단면인 출사면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53)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사면의 오목 렌즈(52)로 광원(11)의 광의 휘도를 2개의 피크로 나눔에 의해, 폭넓은 휘도 분포를 확보하는 한편, 출사면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53)로 광원(11)의 광의 지향성을 완화함에 의해, 휘도 균일성이 좋은 영역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광체(50)는, 전술한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원주 형상 또는 삼각주 등의 다각주 형상이라도 좋고, 또한, 원추대 또는 다각추대라도 좋다.
상기 입사면의 오목 렌즈(52)는, 경사각도가 55도, 특히 50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5도를 초과하면, 휘도 균일성과 휘도 효율과의 양립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출사면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53)는, 직경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1㎜를 초과하면, 휘도 균일성이 악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경사각도는, 20도 이상, 6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0도 미만이면, 광의 섞임이 충분하지가 않고, 소망하는 균일성을 확보할 수가 없기 때문이고, 60도를 초과하면, 이웃하는 마이크로 렌즈 사이의 각도가 너무 작아져서, 금형의 제조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는 균일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평탄한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인접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배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격자형상, 또는, 1개의 마이크로 렌즈의 주위에 6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인접시킨, 이른바 허니컴 구조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할 뿐만 아니라, 일부가 맞겹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도광체(50)는,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에 마련한 지주대(22)의 삽입구멍(23)에 삽입하고, 그 위치 결정 돌기(51)을 상기 지주대(22)의 상단면에 계지함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복귀 스프링(6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고리형상 홈(25)에 위치 결정되고, 후술하는 누름버튼(70)을 상방으로 가세한다.
누름버튼(7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개구부로부터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슬라이드부(71)와, 상기 슬라이드부(71)의 윗면에 고리형상 단부(72)를 형성할 수 있는 평면 형상을 갖는 테두리 형상의 버튼 본체부(75)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71)는,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개구부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외형 치수를 가지며, 그 내향면의 대향하는 연부로부터 편측지지 들보형상의 탄성 접촉편(73)과 가압 리브(74)를 각각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71)는, 상기 탄성 접촉편(73)의 자유단부에 당접 돌기(73a)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탄성 접촉편(73)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고리형상 단부(72)에 노치부(72a)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버튼 본체부(75)는, 그 저면 중앙에 사각형의 감합구멍(76)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그 개구연부에 유발형상의 테이퍼면(77)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버튼 본체부(75)는, 그 대향하는 외측면에, 문자 등을 인쇄한 캡(도시 생략)을 계합하기 위한 한 쌍의 계합 리브(78)를 상하 방향에 각각 병설하고 있음과 함께, 그 하면 중앙에, 원환형상 홈(75a)을 마련하고 있다(도 8의 B).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70)은, 그 슬라이드부(71)를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개구부에 감합함에 의해, 상기 원환형상 홈(75a)에 상기 복귀 스프링(60)의 상단부를 감합함과 함께, 감합구멍(76)에 도광체(50)가 감합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70)은, 그 가압 리브(74)가 상기 접점 단자(30, 40)의 가압 받이부(35, 45)를 가압 가능하게 되고, 가동 접촉편(32, 42)을 탄성 변형시킴에 의해, 가동 접점(34, 44)이 고정 접점(48, 38)으로부터 각각 개리한다.
테두리형상 커버(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고리형상 리브(21)에 재치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누름버튼(70)의 고리형상 단부(72)에 계지하여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형상 커버(80)는, 그 내측면의 대향하는 개구연부에 위치 규제 리브(81)를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형상 커버(80)는, 그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터 탄성 계합부(82)를 각각 돌설함과 함께, 다른 대향하는 측면에 감합 노치부(83)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형상 커버(80)는,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에 감합함에 의해, 감합 노치부(83)에 상기 누름버튼(70)의 계합 리브(7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함과 함께, 상기 탄성 계합부(82)가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계합 받이부(21a)에 탄성 계합함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70)의 빠짐을 방지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점 단자(30, 40)를 점대칭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접점 단자(30)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70)이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테두리형상 커버(80)의 위치 규제 리브(81)에 누름버튼(70)의 탄성 접촉편(73)이 당접하고 있다. 한편, 상기 누름버튼(70)의 가압 리브(74)가 접점 단자(30)의 가압 받이부(35)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32)이 탄성 변형하고 있고, 가동 접점(34)이 접점 단자(40)의 고정 접점(48)으로부터 개리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70)을 복귀 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압하하면, 가압 리브(74)가 가동 접촉편(32)의 가압 받이부(35)로부터 벗어난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32)이 탄성 복귀하고, 가동 접점(34)이 접점 단자(40)의 고정 접점(48)에 접촉하여 한 쌍의 접점 단자(30, 40)가 도통하고, 조작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결과,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광원(11)이 점등하고, 상기 도광체(50)의 입사면의 오목 렌즈(52)로부터 출사면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53)를 통하여 광이 출사되고, 도시하지 않은 키 톱의 조광면을 통과한다. 이 때, 상기 누름버튼(70)의 탄성 접촉편(73)의 당접 돌기(73a)가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당접단부(26)의 상단면에 당접하지만, 상기 탄성 접촉편(73)의 탄성 변형 및 당접 돌기(73a)의 접촉면적이 작음에 의해, 큰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아, 정음형(靜音型)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70)의 가압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60)의 스프링력으로 누름버튼(70)이 압상되고, 재차, 가압 리브(74)가 가동 접촉편(32)의 가압 받이부(35)를 가압하고, 가동 접점(34)이 고정 접점(48)으로부터 개리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7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누름버튼(70)의 탄성 접촉편(73)이 테두리형상 커버(80)의 위치 규제 리브(81)에 당접하여도, 탄성 변형하여 충돌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특히, 상기 탄성 접촉편(73)이 위치 규제 리브(81)에 당접할 때에는, 상기 위치 규제 리브(81)가 누름버튼(70)의 노치부(72a)에 감합하고, 누름버튼(7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구획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작음 및 복귀음이 작은 정음형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광원(11)을 소등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조작과 마찬가지로 상기 누름버튼(70)을 가압하여 조작 신호를 출력함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상기 광원(11)을 소등시키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버튼(70)의 조작에 의해 광원(11)을 점등, 소등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누름버튼(70)의 조작에 관계없이,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상기 광원(11)을 항상 점등, 점멸시켜도 좋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누름버튼(70) 및 테두리형상 커버(80)의 형상이다.
상기 누름버튼(70)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탄성 접촉편(73)을 개략 T자 형상으로 한 점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형상 커버(8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한 쌍의 위치 규제 리브(81, 81)를 마련한 점이다. 기타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누름버튼(70)의 가압, 해제에 의한 동작, 복귀 동작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다른 점은, 누름버튼(70)이 동작, 복귀할 때에, 탄성 접촉편(73)의 양단부가 상기 상자형 베이스(20)의 당접단부(26)의 상단면 및 상기 테두리형상 커버(80)의 한 쌍의 위치 규제 리브(81, 81)에 각각 당접하는 점이다. 이 때문에, 충돌 에너지가 4점으로 분산되어,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충돌음이 작아지기 때문에, 보다 한층 조용한 정음형 스위치가 얻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키보드 스위치로서만이 아니라, 다른 스위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기판 11 : 광원(LED 등)
20 : 상자형 베이스 21 : 고리형상 리브
22 : 지주대 23 : 삽입구멍
24 : 원환형상 리브 25 : 고리형상 홈
26 : 당접단부 30, 40 : 접점 단자
31, 41 : 단자부 32, 42 : 가동 접촉편
32a, 42a : 가동 접점 33, 43 : 빠짐방지편
34, 44 : 가동 접점 35, 45 : 가압 받이부
36, 46 : 위치 결정부 37, 47 : 고정 접촉편
38, 48 : 고정 접점 50 : 도광체
51 : 위치 결정 돌기 52 : 오목 렌즈
53 :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60 : 복귀 스프링
70 : 누름버튼 71 : 슬라이드부
72 : 고리형상 단부 72a : 노치부
73 : 탄성 접촉편 73a : 당접 돌기
75 : 버튼 본체부 76 : 감합구멍
77 : 테이퍼면 78 : 계합 리브
80 : 테두리형상 커버 81 : 위치 규제 리브
82 : 탄성 계합부 83 : 감합 노치부
90 : 키 톱 수광면

Claims (9)

  1. 베이스에 커버를 조립하여 형성한 공간 내에, 누름버튼을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장착한 스위치로서,
    상기 누름버튼의 슬라이드부의 측벽에 형성한 탄성 접촉편의 자유단부를, 상기 누름버튼을 압하한 경우에, 상기 베이스에 당접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누름버튼을 복귀시킨 경우에, 상기 커버에 당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복귀시킨 경우에, 상기 누름버튼의 탄성 접촉편이 당접 가능한 위치 규제 리브를 돌설하고,
    상기 누름버튼에, 상기 누름버튼이 복귀한 경우에, 상기 커버의 위치 규제 리브가 끼우는 노치부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자형 베이스에 테두리형상 커버를 조립하여 형성한 공간 내에, 상기 누름버튼을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압하한 경우에, 상기 누름버튼의 탄성 접촉편이 당접 가능한 당접단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이, 편측지지 들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이, 정면 T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자유단부에, 상기 베이스에 당접 가능한 당접 돌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스위치를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88186A 2013-08-09 2014-07-14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키보드 KR101613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6948 2013-08-09
JP2013166948A JP5729433B2 (ja) 2013-08-09 2013-08-09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キーボ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74A KR20150018374A (ko) 2015-02-23
KR101613016B1 true KR101613016B1 (ko) 2016-04-15

Family

ID=5121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186A KR101613016B1 (ko) 2013-08-09 2014-07-14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키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05721B2 (ko)
EP (1) EP2835809B1 (ko)
JP (1) JP5729433B2 (ko)
KR (1) KR101613016B1 (ko)
CN (2) CN104347294A (ko)
TW (1) TW2015069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2854B (zh) * 2014-12-29 2017-12-15 余正明 一种薄型开关
CN105450208B (zh) * 2015-02-27 2019-03-26 东莞市长资实业有限公司 一种光电一体式机械轴键盘开关模组
CN104851727A (zh) * 2015-05-25 2015-08-19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小型机械开关的超薄复位机构及小型机械开关
DE102015215769A1 (de) 2015-08-19 2017-02-23 BSH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mit einem Lichtleiter zur Mehrzonenbeleuchtung einer Frontkappe mit unterschiedlichen Lichtintensitäten, Haushaltsgerät mit einer derartigen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CN105470005B (zh) * 2015-12-30 2018-07-03 江苏传艺科技股份有限公司 机械键盘按钮结构
US9620308B1 (en) * 2016-02-05 2017-04-11 Yong Li Membrane keyboard equipped with click generating resilient pieces
US10755877B1 (en) * 2016-08-29 2020-08-25 Apple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JP6708153B2 (ja) * 2017-03-15 2020-06-10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
JP6874607B2 (ja) * 2017-09-01 2021-05-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CN108010775B (zh) * 2017-12-06 2019-08-27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可调整按压手感的按键开关及其调整方法
CN108198722B (zh) * 2018-01-17 2024-02-02 东莞市长资实业有限公司 一种产生静音按压段落感的键盘输入开关结构
JP6874710B2 (ja) * 2018-02-13 2021-05-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1624109S (ko) * 2018-07-11 2019-02-12
JP7036055B2 (ja) * 2019-02-07 2022-03-15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入力装置
JP7236291B2 (ja) * 2019-03-07 2023-03-09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7003963B2 (ja) * 2019-04-04 2022-01-21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スイッチシステム、キー入力装置及びキー入力システム
JP7040490B2 (ja) * 2019-04-04 2022-03-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入力装置
JP2021190348A (ja) * 2020-06-02 2021-12-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及びキー入力装置
JPWO2022059256A1 (ko) * 2020-09-15 2022-03-24
JP7212850B2 (ja) * 2020-12-09 2023-01-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30039078A1 (en) * 2021-08-09 2023-02-09 Mechanical Meyboards, Llc Combined dual-conductive key switch
CN115440526B (zh) * 2022-11-07 2023-06-02 中电华骋科技有限公司 一种按钮开关用防护外壳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1174A (ko) * 1973-02-23 1974-10-23
JPH03208217A (ja) * 1990-01-10 1991-09-11 Canon Inc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H03104924U (ko) * 1990-02-14 1991-10-30
US5247143A (en) * 1990-03-09 1993-09-21 Canon Kabushiki Kaisha Key switch
US5144103A (en) * 1990-03-09 1992-09-01 Canon Kabushiki Kaisha Key switch
US5115106A (en) * 1990-04-20 1992-05-19 Honeywell Inc. Momentary "on" switch suitable for keyboards
US5199556A (en) * 1991-10-08 1993-04-06 Silitek Corporation Structure of key switch
US5907612A (en) * 1997-02-27 1999-05-25 Lucent Technologies Inc. Removable button for a keypad
JP3887057B2 (ja) 1997-03-07 2007-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押しボタンスイッチ及びその取付構造
JP3820680B2 (ja) * 1997-06-11 2006-09-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6204462B1 (en) * 2000-03-28 2001-03-20 Silitek Corporation Stable keyswitch
US6672781B1 (en) * 2000-04-27 2004-01-06 Minebea Co., Ltd. Reduced noise key unit
JP4323301B2 (ja) * 2003-01-30 2009-09-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US7812271B2 (en) * 2005-11-30 2010-10-12 Lg Electronics Inc. Complex button assembly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DE202007010003U1 (de) * 2007-07-18 2008-02-14 Richard Wöhr GmbH Tastenanordnung mit Federgelenk und mit Kegelstumpff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5402A (ja) 2015-02-19
US9305721B2 (en) 2016-04-05
EP2835809B1 (en) 2016-07-06
EP2835809A1 (en) 2015-02-11
TW201506972A (zh) 2015-02-16
US20150041298A1 (en) 2015-02-12
JP5729433B2 (ja) 2015-06-03
CN204011169U (zh) 2014-12-10
KR20150018374A (ko) 2015-02-23
CN104347294A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016B1 (ko)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키보드
KR20150018378A (ko)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키보드
JP5729498B1 (ja)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KR101602550B1 (ko) 스위치
JP2009021155A (ja) 押釦スイッチ
JP2006164711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TW201835959A (zh) 鍵切換裝置
JP200911074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9443674B1 (en) Illuminated keyboard device
JP2008034329A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TWM472882U (zh) 按鍵機構及鍵盤
JP2013026093A (ja) スイッチ装置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595043B1 (ko) 푸시버튼 스위치
WO2021220979A1 (ja) スイッチ
JP2007200737A (ja) 押釦スイッチ
WO2019176405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43518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8010162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WO2013129052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5056724A (ja) 押釦スイッチ
JP2014165157A (ja) センタープッシュ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TW201308388A (zh) 按鍵及鍵盤
JP2005129316A (ja) 二段押圧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