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006B1 -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 Google Patents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006B1
KR101613006B1 KR1020140045152A KR20140045152A KR101613006B1 KR 101613006 B1 KR101613006 B1 KR 101613006B1 KR 1020140045152 A KR1020140045152 A KR 1020140045152A KR 20140045152 A KR20140045152 A KR 20140045152A KR 101613006 B1 KR101613006 B1 KR 101613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horizontal
transvers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605A (ko
Inventor
전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흥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흥토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흥토건
Priority to KR102014004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0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 건물의 기초공사 또는 절개공사구간 및 지하구축 공사물의 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철제빔의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면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형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나무판과; 상기 나무판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L’자 앵글형상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프레임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 간에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양단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이 각각 체결되는 것이 특징인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류판은 토류판 간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시공이 간편하며, 공사마감 후 토류판을 수거할 수 있는 구조로서 지반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 친환경적이며, 금속재질로 흙막이공사를 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며, 또한 프레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에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Squre shaped frame type retaining pannel easy width adjustment}
본 발명 건물의 기초공사 또는 절개공사구간 및 지하구축 공사물의 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철제빔의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면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토류판은 흙막이판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건물의 기초공사 또는 절개공사구간 및 지하구축 공사물의 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철제빔의 사이에 설치되는 판으로서, 경사면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하는 판이다.
이러한 토류판의 종래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2718호에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양단에서 연장된 측면판으로 이루어진 H빔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H빔 설치단계와; 인접한 H빔의 중앙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 적층토류판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적층토류판의 양단이 상기 H빔의 중앙판에 접촉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적층토류판의 상면이 위쪽을 향하고 정면이 앞쪽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적층토류판 설치단계와; 상기 적층토류판과 상기 H빔의 측면판 사이에 고정토류판을 직립시켜 설치하되, 상기 고정토류판의 상면이 상기 적층토류판의 정면에 접촉되고 하면이 상기 H빔의 측면판에 접촉되며 배면이 상기 H빔의 중앙판에 접촉되도록 설치하는 고정토류판 설치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165662호에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H-파일과, 상기 H-파일들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를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넣어 가며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류판을 포함하는 토류벽에 있어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 사이 공간 입구에 걸려지며 상기 입구를 막음 처리하는 수직판부로 구성한 제 1고무지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지는 토류판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토류판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이 끼워지는 H-파일의 삽입홈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기밀 처리하는 전면판부로 구성한 제 2고무지수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토류판은 대체로 공사가 끝난 후에 그대로 지반에 묻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후일, 지반에 묻힌 목재가 썩어 지반침하의 우려가 있으며, 목재와 같은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수거가 가능한 토류판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토류판 간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금속재질의 토류판으로 흙막이공사를 시행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흙막이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지반침하방지 및 공사시행 후 토류판의 수거도 편리하도록 하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흙막이공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한 토류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은 H형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나무판과; 상기 나무판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L’자 앵글형상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프레임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 간에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양단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이 각각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류판은 토류판 간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시공이 간편하며, 공사마감 후 토류판을 수거할 수 있는 구조로서 지반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 친환경적이며, 금속재질로 흙막이공사를 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며, 또한 프레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에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일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일부분 상세사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결합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6과 도 7은 도 7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에 구성된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다른 실시상태도.
도 9는 토류판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 건물의 기초공사 또는 절개공사구간 및 지하구축 공사물의 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철제빔(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면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100)은 H형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세로프레임(112)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나무판(120)과; 상기 나무판(120)이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L’자 앵글형상의 지지부재(130);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프레임(111)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111) 간에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재(300)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300)의 양단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111)이 각각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가로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몸체(310)와, 적어도 상기 몸체(310)의 네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는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10)에 형성된 관통홀(320)에 대응하도록 가로프레임(111)에도 관통홀(111a)이 형성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11)을 몸체(310)의 중공부분으로 삽입시킨 후, 몸체(310)에 형성된 관통홀(320)과 가로프레임(111)에 형성된 관통홀(111a)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로써 서로 체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관통홀(320)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320)은 가로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일부분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일부분 상세사진이다.
토류판(100)은 건물의 기초공사 또는 절개공사구간 및 지하구축 공사물의 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철제빔(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면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토류판(100)은 H형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세로프레임(112)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나무판(120)과; 상기 나무판(120)이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L’자 앵글형상의 지지부재(130)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프레임(111)은 수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111) 간에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재(300)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300)의 양단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111)이 각각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체프레임(110)은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프레임(111)은 측부에서 H형상이 보이도록 가로놓이고, 세로프레임(112)은 H형상이 상부에서 보이도록 직립시켜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을 고정볼트(140)와 고정너트(150)를 이용한 결합 내지는 용접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세로프레임(112) 사이에는 H형상의 특성상 공간이 형성되므로, 한 쌍의 세로프레임(112) 사이에 나무판(120)을 가로놓이게 하여 수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으로 인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메우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112) 간에 적층된 나무판(120)은 세로프레임(112)에 형성된 공간에 비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세로프레임(112) 내에서 불안정하게 적층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130)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130)로서 가로프레임(111) 사이에 억지끼움을 함으로써 나무판(120)을 고정하는 것으로 적층되는 토류판(100)의 하중에 의해 지지부재(130)는 가로프레임(111) 사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금속재의 지지부재(130)의 경우는 용접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금속재질의 단면형상이 ‘L’자형 앵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111)에는 후술할 상하로 적층되는 토류판(100) 간의 결속을 위해 상하로 관통된 결속공(16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1)이 접촉하는 세로프레임(112)의 외측 모서리에는 단면형상이 직각삼각형인 보강판(170)이 구성되어 토류판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1)이 이루는 직각면에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보강판(170)의 직각부분이 위치하도록 하고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1)과 접촉하는 부분에 용접을 함으로써 사각프레임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결합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로프레임(11)간을 결합하는 결합부재(300)는 가로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몸체(310)와, 적어도 상기 몸체(310)의 네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는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10)에 형성된 관통홀(320)에 대응하도록 가로프레임(111)에도 관통홀(111a)이 형성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11)을 몸체(310)의 중공부분으로 삽입시킨 후, 몸체(310)에 형성된 관통홀(320)과 가로프레임(111)에 형성된 관통홀(111a)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로써 서로 체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관통홀(320)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320)은 가로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6과 도 7은 도 7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에 구성된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도이다.
도 6은 결합부재(300)에 롤러(330)를 설치한 것으로, 결합부재(300)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10)의 양단부 내측 입구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40)를 설치한 것으로, 롤러(330)는 원통형으로서 원주면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롤러(330)의 단부 중심부분이 몸체(310)의 내측면에 힌지(도면부호 미도시)결합됨으로써 H빔이 몸체(3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매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즉, 몸체(310)의 양단부 내측 입구에 서로 마주보는 롤러(330)를 다수개 장착함으로써 결합부재(300) 내에서 H빔의 롤러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토목공사 등에 사용되는 H빔은 철제이기 때문에 하중이 많이 나간다.
이에 롤러(330)구성이 없으면 작업자의 힘만으로 H빔을 결합부재(300)의 내부로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매우 작업이 힘들지만 결합부재(300)의 롤러(330)를 장착함으로써 롤러이송이 가능하여 훨씬 쉽게 H빔을 결합부재(300)에 삽입가능하게 된다.
도 7은 결합부재(300)에 경첩(340)을 설치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를 4개의 금속판재를 서로 경첩(340)으로 연결하여 절첩이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보관 등이 유리하도록 하였다.
도 8은 본 발명 너비조절이 용이한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다른 실시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을 대체하여 프리스트레스 보강판(500)과 턴버클 지지봉(400)을 구성하여 토류판(10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였다.
프리스트레스 보강판(500)은 길이방향으로 곡선이 형성된 것으로, 곡선의 상부면을 상부측에 위치한 가로프레임(111)의 하면에 접하도록 하고, 양단을 각각 세로프레임(112)에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여 용접 또는 볼트체결로 세로프레임(112)과 결속시킨다.
상기 프리스트레스 보강판(500)은 철판 또는 유리섬유판재로 프리스트레스처리한 것으로, 프리스트레스처리 방법은 철판 또는 유리섬유판재를 상부롤러와 철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하부롤러 사이에 넣고,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관용의 프리스트레스처리방법으로 제작한 것이다.
또한, 턴버클 지지봉(400)을 구성하여 토류판(100)이 상하로 적층될 때,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턴버클 지지봉(400)은 턴버클을 응용한 것으로서, 턴버클 지지봉(400)은 길이방향의 양단에 너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410)와, 상기 회전체(410)의 양단에 너트홀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막대(420)로 구성된 것으로, 한쪽의 나사결합은 오른나사 결합이고, 다른 쪽 나사결합은 왼나사 결합으로 되어 있어, 회전체(410)를 회전시키면 양단의 나사막대(420)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체(410)의 회전을 반대로 하면 나사막대(420)는 서로 멀어지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회전체(410)를 회전시켜 일측 나사막대(420)의 끝단을 상기 프리스트레스 보강판(500)의 하면에 접하도록 하고, 타측 나사막대(420)의 끝단을 하부 가로프레임(111)의 상면에 접하도록 하여 토류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는 토류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공사로 건물의 기초공사 또는 절개공사구간 및 지하구축 공사물의 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철제빔(20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토류판(100)을 H형상의 철제빔(200) 사이에 삽입하여 안치시키고 상부에 또 다른 토류판(100)을 철제빔(200) 사이에 삽입하여 안치시킨다.
이때, 가로프레임(111)에 형성된 결속공(160)을 서로 일치시킨 후 체결부재(도면 미도시)로서 결속함으로써 상·하로 적층된 토류판(100)은 일체가 되므로 작업이 끝나면 최상부에 적층된 토류판(100)을 기중기와 같은 장치로 들어올림으로써 작업시 사용된 토류판(100)은 모두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나 핀 등 체결에 용이한 관용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류판은 토류판 간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시공이 간편하며, 공사마감 후 토류판을 수거할 수 있는 구조로서 지반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 친환경적이며, 금속재질로 흙막이공사를 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며, 또한 프레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에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토류판 200. 철제빔 300. 결합부재
400. 턴버클 지지봉 500. 프리스트레스 보강판
110. 본체프레임 111. 가로프레임 112. 세로프레임
120. 나무판 130 지지부재 140. 고정볼트
150. 고정너트 160. 결속공 170. 직삼각형 보강판
310. 몸체 320. 관통홀 330. 롤러
340. 경첩
410. 회전체 420. 나사막대
111a. 관통홀

Claims (3)

  1. H형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세로프레임(112) 사이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나무판(120)과; 상기 나무판(120)이 가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2)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L’자 앵글형상의 지지부재(130);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프레임(111)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111) 간에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재(300)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300)의 양단으로 분할된 가로프레임(111)이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건물의 기초공사 또는 절개공사구간 및 지하구축 공사물의 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철제빔(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면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가로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몸체(310)와, 적어도 상기 몸체(310)의 네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는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10)에 형성된 관통홀(320)에 대응하도록 가로프레임(111)에도 관통홀(111a)이 형성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11)을 몸체(310)의 중공부분으로 삽입시킨 후, 몸체(310)에 형성된 관통홀(320)과 가로프레임(111)에 형성된 관통홀(111a)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로써 서로 체결하되,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관통홀(320)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320)은 가로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300)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10)의 양단부 내측 입구에 롤러(340)를 설치한 것으로, 롤러(330)는 원통형으로서 원주면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롤러(330)의 단부 중심부분이 몸체(310)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됨으로써 H빔이 몸체(3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매우 용이하며,
    또한, 본체프레임(110_상기 가로프레임(111)은 측부에서 H형상이 보이도록 가로놓이고, 세로프레임(112)은 H형상이 상부에서 보이도록 직립시켜 결합되고, 상기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1)이 이루는 직각면에는 직각 삼각형 형상의 보강판(170)의 직각부분이 위치하도록 하고 세로프레임(112)과 가로프레임(111)과 접촉하는 부분에 용접을 함으로써 사각프레임 형상의 본체프레임(11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특징인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2. 삭제
  3. 삭제
KR1020140045152A 2014-04-16 2014-04-16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KR101613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52A KR101613006B1 (ko) 2014-04-16 2014-04-16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52A KR101613006B1 (ko) 2014-04-16 2014-04-16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05A KR20150119605A (ko) 2015-10-26
KR101613006B1 true KR101613006B1 (ko) 2016-04-15

Family

ID=5442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152A KR101613006B1 (ko) 2014-04-16 2014-04-16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0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35B1 (ko) 2010-11-29 2012-01-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흙막이용 합성 토류판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재사용 시공방법
KR101182820B1 (ko) 2012-06-04 2012-09-13 윤종혁 관로공사용 자립식 흙막이 패널
KR101205900B1 (ko) 2012-05-08 2012-11-28 주식회사 신양건설 토류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35B1 (ko) 2010-11-29 2012-01-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흙막이용 합성 토류판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재사용 시공방법
KR101205900B1 (ko) 2012-05-08 2012-11-28 주식회사 신양건설 토류벽체
KR101182820B1 (ko) 2012-06-04 2012-09-13 윤종혁 관로공사용 자립식 흙막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05A (ko)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535B1 (ko)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강판 전단벽 구조
CN110905085B (zh) 一种预制构件与建筑主体承插连接结构
KR100929440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09993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K1748119T3 (en) Prefabricated foundation and support for building structures
JP5730728B2 (ja) 柱脚構造
KR100951869B1 (ko) 리모델링 건물 및 리모델링 공법
JP5697480B2 (ja) 推進工法の支圧壁及び支圧壁の施工方法並びに積層用ピース
KR101670576B1 (ko) 소규모 조립식 창고의 바닥 기초 베이스의 시공 방법
KR101613006B1 (ko)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KR101615005B1 (ko)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의 제작방법
KR102036648B1 (ko) 흙막이 안전공사를 위한 다중 토류벽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JP3452600B2 (ja) 型枠パネル
KR20190046336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CN210738436U (zh) 工地组合式大门
CN210216748U (zh) 预制件连接节点及支撑结构
JP6102614B2 (ja) 建物の基礎構造
JP6368758B2 (ja) 基礎の構造および基礎構造体
CN108468386B (zh) 一种模块化房屋建筑结构及其建造方法
KR20210125404A (ko)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CN111424917A (zh) 一种预制装配式集成地面及工艺方法
KR101979895B1 (ko) 조립식 토류판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2397376B1 (ko) C형강을 이용한 복공판 및 그 제조 방법
CN220037635U (zh) 一种顶管用可调节组合式后背墙
KR10246195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