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404A -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404A
KR20210125404A KR1020200153539A KR20200153539A KR20210125404A KR 20210125404 A KR20210125404 A KR 20210125404A KR 1020200153539 A KR1020200153539 A KR 1020200153539A KR 20200153539 A KR20200153539 A KR 20200153539A KR 20210125404 A KR20210125404 A KR 20210125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rame
corner
guide hole
prefabricated build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317B1 (ko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이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엽 filed Critical 이정엽
Publication of KR2021012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복잡한 유닛 없이 프레임들이 직각 또는 건축평면에 따른 필요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을 용이하게 중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건축유닛의 제작 및 이동 후 상하좌우 건축유닛간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공기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너연결몸체가 육면체로 형성되므로, 코너연결몸체에 결합되는 프레임들이 직각 또는 건축평면에 따른 필요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이 상호 결합될 때, 코너연결부재의 결합돌출부가 프레임의 끼움홈을 따라 중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건축유닛의 제작 및 이동 후 상하좌우 건축유닛간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공기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Frame Overlaid System for Prefabricated Buildings}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들이 직각 또는 건축평면에 따른 필요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을 용이하게 중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건축유닛의 제작 및 이동 후 상하좌우 건축유닛간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공기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분야는 국가 오염 총량의 1/3을 차지하고, 이 가운데 주택 및 상업건축물이 국가에너지 소비의 25.7%(2000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을 폐기하거나 개보수를 통하여 수명을 연장하여 폐기량을 줄이고, 재생 활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자원축적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건축분야에서 환경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서, 폐기물 처리에 관한 문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은 매립처분 또는 소각 처분된다. 바다 또는 해안선을 파괴하고, 산간지역의 토양이나 지하수 등의 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으며, 처분장소의 만성적인 부족이나 허용수입량의 한계성이 사회문제화되고 있으며, 특히 건설폐기물의 불법투기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또 한 편에서는 소각처분은 CO2 발생에 따른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 다이옥신 등의 환경오염물질이 인류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강력하게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처리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대책으로는,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는 것,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는 경우라 할지라도 가급적이면 폐기물 발생량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건축분야에서도 순환형 건축을 위해 폐자재의 발생을 억제(Reduce)하고, 재사용(Reuse)하고, 재생하여 활용(Recycle)하는 3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주 52시간 근로제', '미세먼지저감 특별법' '건설노동력 부족 및 임금상승' 등 건설시장에서의 노동력 확보 및 건설사업 환경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건설 환경개선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립식 주택이 개발되고 있다. 조립식주택은 철골부재로 이루어진 3차원 입체 구조모듈과, 모듈의 내부를 구성하는 건축설비 및 내장재 등의 70% 이상을 공장에서 생산하고, 개별 모듈이 건설현장에서 수평, 수직으로 적층되고 연결되어 하나의 건축물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식 주택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공장생산으로 표준화 및 부품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조립식 주택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0213호는 이동용 조립주택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과 프레임 및 외벽, 천장, 바닥면을 개별로 제작하여, 콘과 프레임을 체결하여 골격을 세우고, 바닥면, 천장, 외벽을 차례로 체결도구로 조립하고, 주택 용도에 맞게 내부를 인테리어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공장에서 유닛을 제작하기 위한 프레임을 절단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부터 오차가 발생되므로, 현장에서 프레임을 다시 절단하거나 또는 폐기 처분해야 하며, 이는 공기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021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들이 직각 또는 건축평면에 따른 필요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을 용이하게 중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건축유닛의 제작 및 이동 후 상하좌우 건축유닛간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공기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너연결부재와, 상기 코너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골격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갖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재는,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모서리를 향하는 3개의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3개의 연결면부를 갖는 코너연결몸체와, 각각의 상기 연결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코너연결부재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중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결합돌출부가 중첩되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상기 연결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2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면부에 십자 형상으로 크로스 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2개 또는 4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연결면부의 변 또는 꼭짓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4개의 상기 결합돌출부를 구비하되, 각각의 상기 결합돌출부의 꼭짓점은 상기 연결면부의 모서리에서 상기 연결면부의 중앙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의 양 단부는 상기 연결면부의 모서리 사이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끼움홈에서 중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여 발생가능한 오차를 보정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끼움홈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끼움홈에 중첩되어 삽입된 이후, 상기 결합돌 출부와 상기 끼움홈 사이는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복수 개가 상기 연결면부의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중첩되어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면에 중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연결면부의 변 또는 꼭짓점에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몸체 내부는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보강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면,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일측에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코너연결부재 중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와 마주보도록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부재는 제 1 코너연결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도록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부재는 제 2 코너연결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되는 제 1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2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되는 제 2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에 형성되는 제 2 안내홀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안내홀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도록 양끝이 원뿔 형상인 고정볼트, 상기 제 1 안내홀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에 볼트 결합되는 제 1 너트 및 제 2 안내홀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의 타측에 볼트 결합되는 제 2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제 1 지지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제 2 지지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면부 또는 상기 제 2 지지면부에 관통 형성되는 회전안내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너트 또는 상기 제 2 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도구의 헤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안내홀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안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가 차단된 경우, 상기 헤드부가 상기 헤드안내홀을 통하여 상기 제 1 너트 또는 상기 제 2 너트에 맞물리도록 위치된 후, 상기 회전도구의 손잡이부가 상기 회전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안내홀의 직경은 상기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1 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안내홀의 직경은 상기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안내홀은 상호 크로스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 또는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1 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내홀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내홀은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안내홀의 상측에 상기 제 1 안내홀의 길이방향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가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 보다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이 상기 제 1 가이드홀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타측이 상기 제 2 안내홀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타측에 상기 제 2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홀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이 상기 제 1 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 1 너트가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간격조절부가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 1 안내홀, 상기 간격조절부 및 상기 제 2 안내홀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와 복수 개의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보강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제 1 결합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2 결합관통홀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 중 일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1 결합관통홀에 관통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 중 타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2 결합관통홀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관통홀 및 상기 제 2 결합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 1 결합관통홀 또는 상기 제 2 결합관통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와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위치가 이동 및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중첩되어 볼팅 또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연결면부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상기 결합돌출부에 면 접촉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가 중첩되어 볼팅 또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2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면부에 십자 형상으로 크로스 되어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 중 상기 프레임의 단면부는 2개의 상기 결합돌출부 중 일 결합돌출부에 면 접촉한 상태로 중첩되어 볼팅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 중 상기 프레임의 단벽부는 2개의 상기 결합돌출부 중 타 결합돌출부에 중첩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이 형성되어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너연결몸체가 육면체로 형성되므로, 이들 연결면부에 결합되는 프레임들은 상호 90° 또는 건축평면에 따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각도로 정확하게 구현되므로, 프레임들이 별도의 복잡한 유닛 없이 직각 또는 건축평면에 따른 필요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이 상호 중첩되어 결합될 때, 코너연결부재의 결합돌출부가 프레임의 끼움홈을 따라 중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공기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가 한 쌍의 코너연결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고정부재의 고정볼트가 각각의 코너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안내홀을 따라 이동 및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한 쌍의 코너연결부재 간의 무게 중심이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됨은 물론, 한 쌍의 코너연결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코너연결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간격조절부가 채워지므로, 오차 또는 표면장력 등으로 인하여 상호 벌어진 한 쌍의 코너연결부재 사이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코너연결부재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에 중첩되어 결합된 프레임이 지그에 가이드된 상태로 중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 사이가 중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벌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1, 2 안내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결합부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격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격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가 결합 위치를 잡은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가 결합 위치를 잡은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에 결합된 고정볼트의 너트에 회전도구가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에 결합된 고정볼트의 너트에 회전도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너트에 회전도구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제 2 결합돌출부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 및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코너연결부재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은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모서리마다 코너연결부재(100, 200)가 위치되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코너연결부재(100, 200) 사이에 장형의 프레임(500)이 수직, 수평으로 중첩되어 끼움 결합되어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골격을 완성한다. 이어서, 바닥면, 천장, 외벽을 차례로 조립하고 내부를 인테리어하여 조립식 건축물을 완성한다. 이때,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부재는 제 1 코너연결부재(100)로 구분되고,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부재는 제 2 코너연결부재(200)로 구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코너연결부재(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코너연결몸체(110)와, 제 1 코너연결몸체(110)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결합돌출부(120)를 포함한다.
제 1 코너연결몸체(110)는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모서리를 향하는 3개의 프레임(50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3 개의 제 1 연결면부(112), 제 1 코너안내면부(114), 제 1 지지면부(116) 및 제 1 개방부(118)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코너연결몸체(110)는 대략 정육면체로 구성되어 측방을 따라 제 1 연결면부(112), 제 1 연결면부(112), 제 1 지지면부(116) 및 제 1 개방부(118)가 차례로 위치되고, 이들의 상측과 하측에 제 1 코너안내면부(114) 및 제 1 연결면부(112)가 각각 위치된다. 제 1 개방부(118)는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해당 측방을 모두 개방하도록 하여, 제 1 개방부(118)를 통하여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내부의 빈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개방부(118)는 프레임(500)과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코너안내면부(114)에는 제 1 안내홀(114a)이 관통 형성된다. 제 1 안내홀(114a)은 도 9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결합돌출부(120)는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각각의 제 2 연결면부(212)를 가로지르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각각의 제 1 연결면부(112)에 2개의 제 1 결합돌출부(120)가 제 1 연결면부(112)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결합돌출부(120)는 제 1 연결면부(112)에 십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결합돌출부(120)에 프레임(500)이 결합되며, 이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코너연결부재(100)와 제 2 코너연결부재(200)는 그 구조가 상호 동일한 것으로, 제 1 코너연결부재(100)의 상하가 뒤집히도록 회전시키면 제 2 코너연결부재(200)가 된다.
제 2 코너연결부재(200)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육면체 형상의 제 2 코너연결몸체(210)와, 제 2 코너연결몸체(210)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결합돌출부(220)를 포함한다. 제 2 코너연결몸체(210)는 측방을 따라 제 2 연결면부(212), 제 2 연결면부(212), 제 2 지지면부(216) 및 제 2 개방부(218)가 차례로 위치되고, 이들의 상측과 하측에 제 2 연결면부(212) 및 제 2 코너안내면부(214)가 각각 위치된다. 제 2 코너안내면부(214)에는 제 2 안내홀(214a)이 관통 형성된다.
제 2 결합돌출부(220)는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각각의 제 2 연결면부(212)를 가로지르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각각의 제 2 연결면부(212)에 십자 형상으로 배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코너연결부재(100)와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형태는 동일하도록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 2 코너연결부재(200)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500)은 길이방향을 따리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 또는 목조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500)은 I빔, H빔, ㄷ빔, ㄴ빔, 사각빔,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코너연결부재(200)에는 3개의 제 2 연결면부(212)가 구비되고, 각각의 제 2 연결면부(212)에 제 2 결합돌출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20)에 프레임(500)의 단부가 중첩되어 끼움 결합된다. 즉,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 2 코너연결부재(200) 사이에 한 개의 프레임(500)이 위치되는데, 일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제 2 연결면부(212)에 프레임(500)의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제 2 연결면부(212)에 프레임(500)의 타단부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500)의 양 단부가 각각의 제 2 연결면부(212)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돌출부(220)에 중첩되어 끼움 결합된다. 이때, 프레임(500)의 단부는 제 2 결합돌출부(220)가 중첩되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502)이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2 코너연결몸체(210)가 대략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므로, 3개의 제 2 연결면부(212)는 상호 90°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제 2 연결면부(212)에 결합되는 프레임(500)들은 상호 90° 또는 건축평면에 따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각도로 정확하게 구현되므로, 프레임(500)들이 별도의 유닛 없이 직각 또는 건축평면에 따른 필요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코너연결부재에 중첩되어 결합된 프레임이 지그에 가이드된 상태로 중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코너연결부재와 프레임 사이가 중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벌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제 2 결합돌출부(220)에 프레임(500)의 끼움홈(502)이 중첩되어 끼움 결합될 때, 제 2 결합돌출부(220)가 끼움홈(502)에서 중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2 결합돌출부(220)의 돌출되는 길이는 끼움홈(502)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결합돌출부(220)에 끼움홈(502)이 임시로 중첩되어 끼움 결합된 후, 미리 규격화된 지그(J)에 맞도록 제 2 코너연결부재(200) 또는 프레임(500)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제 2 결합돌출부(220)가 끼움홈(502)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부재들은 생산과정에부터 각각의 오차들이 존재한다. 특히, 코너재의 경우 어떠한 생산 과정을 거치든지 미세하게 전체 규격에서 생산 오차가 발생하며, 금속 재질의 프레임(500)의 경우에도 공장에서 절단할 때부터 오차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 2 결합돌출부(220)가 끼움홈(502)을 따라 중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제 2 코너연결부재(200)와 프레임(500) 간의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2 코너연결부재(200)와 프레임(500)의 중첩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공기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2 결합돌출부(220)가 끼움홈(502)에 중첩되어 삽입된 이후에는 제 2 결합돌출부(220)와 끼움홈(502) 사이가 용접 결합되도록 하여, 제 2 결합돌출부(220)와 끼움홈(502) 사이는 용접에 의하여 형성되는 용접부(W)가 형성된다. 이때, 용접 열로 인한 변형 오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지그(J)에 의하여 제 2 코너연결부재(200)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이므로, 프레임(500)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미세하게 이동된 후 제 2 결합돌출부(220)와 끼움홈(502) 사이가 견고하게 용접된다. 또한, 제 2 결합돌출부(220)와 끼움홈(502) 사이는 용접이외에 볼팅 또는 나사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면,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의 상부에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B)가 위치된다. 이때,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코너연결부재(100)와, 제 1 코너연결부재(100)와 마주보도록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B)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코너연결부재(200)는 고정부재(30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코너연결부재(100)의 제 1 코너안내면부(114)는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제 2 코너안내면부(214)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 1 코너안내면부(114) 및 제 2 코너안내면부(214)에는 제 1 안내홀(114a) 및 제 2 안내홀(21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안내홀(114a) 또는 제 2 안내홀(214a)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고정볼트(310), 제 1 너트(320) 및 제 2 너트(330)를 포함한다. 고정볼트(310)는 예를 들면 양 끝이 원뿔 형태를 갖는 원 기둥 형상 등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볼트(310)는 제 1 안내홀(114a) 및 제 2 안내홀(214a)에 일체로 관통 삽입된다. 이때, 고정볼트(310)의 양 단부는 원뿔 형태로 첨예하도록 형성되므로, 고정볼트(310)의 양 단부는 제 1, 2 안내홀(114a, 214a)은 물론, 후술하는 제 1, 2 너트(320, 330)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제 1 너트(320)는 제 1 안내홀(114a)의 하부로 돌출된 고정볼트(310)의 하부에 볼트 결합된다. 제 2 너트(330)는 제 2 안내홀(214a)의 상부로 돌출된 고정볼트(310)의 상부에 볼트 결합된다. 이때, 고정볼트(310)의 양 단부에는 고정볼트(31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전안내홀(3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회전안내홀(312)에 연장이 삽입되어 고정볼트(31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300)는 제 1, 2 개방부(118, 218)를 통하여 제 1, 2 코너연결부재(100, 2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 B)의 경우, 자체 중량이 보통 작게는 5톤에서 많게는 20톤까지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 B)를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의 양중기기를 이용하여 양중 할 경우 제 1,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 B)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제 1,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 B)를 최종 설치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오차로 인하여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제 1,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 B)를 조립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 코너안내면부(114) 및 제 2 코너안내면부(214)는 이들 사이의 표면장력 때문에 일정한 간격이 발생된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제 1 코너안내면부(114)와 제 2 코너안내면부(214) 사이는 이격 공간이 발생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는 간격조절부(340)가 채워진다. 그리고 이들 이격 공간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도 있다. 간격조절부(340)는 예를 들면 원 또는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코너안내면부(114, 214) 사이에는 간격조절부(340) 이외에 보조조절부(34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안내홀(114a), 간격조절부(340), 보조조절부(342) 및 제 2 안내홀(214a)에 고정볼트(310)가 일체로 관통 삽입된다. 이처럼 제 1, 2 코너연결부재(100, 2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간격조절부(340) 및 보조조절부(342)가 채워지므로, 오차 또는 표면장력 등으로 인하여 상호 벌어진 제 1, 2 코너연결부재(100, 200) 사이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1, 2 안내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 B)의 경우, 내부 벽체 및 기타 구성요소로 인하여 양중기기를 이용하여 양중시 이들의 무게 중심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 1,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 B)는 차량, 열차, 선박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송을 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되어, 그 형상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형상 변형이 발생된 경우, 제 1 안내홀(114a)과 제 2 안내홀(214a)의 위치 또한 임의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여러 사정으로 인하여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제 1, 2 코너안내면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 1 코너안내면부(114)와 제 2 코너안내면부(214) 사이는 미세하게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안내홀(114a) 및 제 2 안내홀(214a)의 직경은 고정볼트(310)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안내홀(114a) 및 제 2 안내홀(214a)은 상호 크로스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볼트(310)가 제 1, 2 안내홀(114a, 21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코너연결부재(100) 또는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고정볼트(310)가 제 1 안내홀(114a) 또는 제 2 안내홀(2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제 1, 2 너트(320, 330)가 고정볼트(3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고정볼트(310)가 제 1, 2 안내홀(114a, 2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코너연결부재(100)와 제 2 코너연결부재(200) 간의 무게 중심이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 1 코너연결부재(100)와 제 2 코너연결부재(20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와 복수 개의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B)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보강결합부(400)가 구비된다. 즉, 보강결합부(400)는 한 쌍의 고정부재(300)를 상호 결합시켜서 상호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와 복수 개의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B)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보강결합부(400)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제 1 결합관통홀(4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2 결합관통홀(4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고정부재(300) 중 일 고정부재(300)에 구비되는 고정볼트(310)가 제 1 결합관통홀(410)에 관통되도록 위치되고, 한 쌍의 고정부재(300) 중 타 고정부재(300)에 구비되는 고정볼트(310)가 제 2 결합관통홀(420)에 관통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볼트(310) 간의 이격 간격에 따라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와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B)의 간격이 조절되고,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A)와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B)의 위치가 적절하게 이동 및 조정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결합부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보강결합부(400)에 1개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1개의 고정볼트(31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보강결합부(400)에 각각 2개로 구성되되,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고정볼트(310)가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보강결합부(400)에 각각 1개로 구성되되, 고정볼트(310)가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보강결합부(400)에 각각 2개로 구성되되, 고정볼트(310)가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보강결합부(400)에 각각 4개로 구성되되, 고정볼트(310)가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보강결합부(400)에 상호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보강결합부(400)에 각각 2개로 구성되되, 고정볼트(310)가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관통홀(410) 및 제 2 결합관통홀(420)은 상호 마주보지 않도록 보강결합부(400)에 일렬로 배열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격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내부는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보강격벽(219)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격벽(219)은 제 2 코너연결몸체(210)를 견고하게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2개의 보강격벽(219)이 십자 형상으로 크로스 되어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보강격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보강격벽(219)은 1 개로 구성되며, 제 2 코너연결몸체(210) 내부에 세로로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2 안내홀(214a)은 제 2 코너안내면부(214)에 보강격벽(219)을 사이에 두고 2개가 구비된다. 제 2 안내홀(214a)은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보강격벽(219)은 1 개로 구성되고, 2개의 제 2 안내홀(214a)은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보강격벽(219)은 2 개로 구성되고, 3개의 제 2 안내홀(214a)은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가 결합 위치를 잡은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가 결합 위치를 잡은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복수의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좌우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23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코너연결부재(100)의 제 1 코너연결몸체(110)가 좌측에 위치되고,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제 2 코너연결몸체(210)가 우측에 위치되며,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는 고정부재(30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한편, 도 23 내지 도 27은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와 고정부재(30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므로, 제 1, 2 결합돌출부(120, 220)는 생략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우측에 제 1 코너안내면부(114)가 형성되고,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전방에 제 1 개방부(118)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좌측에 제 2 코너안내면부(214)가 형성되고,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전방에 제 2 개방부(218)가 위치된다.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 즉,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제 1 안내홀(114a)이 형성되고,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중앙에는 수평 방향 즉, 지면과 수평하도록 제 2 안내홀(214a)이 형성된다. 제 1 안내홀(114a)의 상측에는 제 1 안내홀(114a)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가이드홀(114b)이 형성되고, 제 2 안내홀(214a)의 일측에는 제 2 안내홀(214a)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가이드홀(21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의 조립을 위하여 먼저, 제 1 코너연결몸체(110)와 제 2 코너연결몸체(210)가 상호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어, 제 1 코너안내면부(114)와 제 2 코너안내면부(214)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때, 현장 상황에 따라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제 2 코너안내면부(214)가 제 1 코너연결몸체(110)보다 약간 상부에 위치되어, 제 1 코너연결몸체(110)와 제 2 코너연결몸체(210) 사이에 결합 과정에서 단차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차에 의하여 상기 고정볼트(310)의 일측이 상기 제 1 가이드홀(114b)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볼트(310)의 타측이 상기 제 2 안내홀(214a)에 관통된다. 그 후, 상기 고정볼트(310)의 타측에 상기 제 2 너트(330)가 결합되어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가 결합 과정에서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잡게된다.
도 2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도 23에서 고정볼트(310)의 타측에 상기 제 2 너트(330)가 결합되어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가 결합 위치를 잡은 이후, 제 2 코너연결몸체(21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1 가이드홀(114b)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310)의 일측이 상기 제 1 안내홀(114a)의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가 상호 정 위치로 안내되고, 결합과정에서 무게중심 차이로 인한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무게 중심이 수직으로 수정되어 제 1 코너연결몸체(110)와 제 2 코너연결몸체(210) 간의 수직이 상호 일치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 1 너트(320)가 상기 고정볼트(3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안내홀(114a)의 상부에 제 1 안내홀(114a)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가이드홀(114b)이 형성되므로, 고정볼트(310)가 제 1 가이드홀(114b)로 용이하게 안내되는 효과가 있고, 제 1 가이드홀(114b)로 안내된 고정볼트(310)는 제 1 안내홀(114a)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에 결합된 고정볼트의 너트에 회전도구가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1 코너연결몸체와 제 2 코너연결몸체에 결합된 고정볼트의 너트에 회전도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너트에 회전도구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복수의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좌우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25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코너연결부재(100)의 제 1 코너연결몸체(110)가 좌측에 위치되고, 제 2 코너연결부재(200)의 제 2 코너연결몸체(210)가 우측에 위치되며,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는 고정부재(30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우측에 제 1 코너안내면부(114)가 형성되고,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전방에 제 1 개방부(118)가 위치되며, 제 1 코너연결몸체(110)의 하측에 제 1 지지면부(116)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좌측에 제 2 코너안내면부(214)가 형성되고,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전방에 제 2 개방부(218)가 위치되며, 제 2 코너연결몸체(210)의 하측에 제 2 지지면부(216)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면부(116) 또는 상기 제 2 지지면부(216)에 회전안내홀(214a)이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고, 회전안내홀(214a)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안내홀(214b)이 관통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2 안내홀에 고정볼트(310)가 삽입되면, 제 1, 2 너트(320, 330)를 고정볼트(310)에 체결한다. 이때, 작업자는 제 1, 2 개방부(118, 218)를 통해 회전도구(T)를 제 1, 2 코너연결몸체(110, 210) 내부로 진입시킨 후, 회전도구(T)의 헤드부(T1)가 제 1, 2 너트(320, 330)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 후, 작업자는 회전도구(T)의 손잡이부(T2)를 회전시켜서 헤드부(T1)가 제 1, 2 너트(320, 330)를 조이도록 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어느 현장에서는 제 1, 2 개방부(118, 218)가 물건 등에 의하 폐쇄되거나 다른 코너연결부재가 위치되어, 제 1, 2 개방부(118, 218)가 외부로 개방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개방부(218)가 차단된 경우, 도 25와 같이, 회전도구(T)의 헤드부(T1)가 헤드안내홀(214b)을 통하여 제 2 코너연결부재 내부로 진입한다. 그 후 도 26과 같이 헤드부(T1)를 회전시켜서 제 2 너트(330)에 맞물리도록 한다. 그 후, 도 27과 같이 회전도구(T)의 손잡이부(T2)가 상기 회전안내홀(2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부(T1)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즉, 헤드안내홀(214b)이 헤드부(T1)가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고, 회전안내홀(214a)이 손잡이부(T2)가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전안내홀(214a) 및 헤드안내홀(214b)을 구비하므로, 제 1, 2 개방부(118, 218)가 차단되어 있다 하더라도, 회전도구(T)를 이용하여 제 2 너트(33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개의 제 2 결합돌출부(230)를 구비한다. 제 2 결합돌출부(230)는 제 2 연결면부(212)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500)의 단부가 제 2 연결면부(212)의 사각형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500)의 단부 중 제 2 결합돌출부(23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결합돌출부(230)가 중첩되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502)이 형성된다. 이하에서 프레임(500) 및 끼움홈(50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2 개의 제 2 결합돌출부(230)를 구비한다. 2개의 제 2 결합돌출부(230)는 상호 평행한 상태로 제 2 연결면부(212)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도 30을 참조하면,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4개의 제 2 결합돌출부(232)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32)의 꼭짓점은 각각의 제 2 연결면부(212)의 꼭짓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 2 결합돌출부(232)의 양 단부는 제 2 연결면부(212)의 변에 위치된다.
도 31을 참조하면,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4개의 제 2 결합돌출부(232)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32)의 꼭짓점은 제 2 연결면부(212)의 꼭짓점에 위치되고, 제 2 결합돌출부(232)의 양 단부는 제 2 연결면부(212)의 변에 위치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제 2 결합돌출부에 프레임이 중첩되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40)는 복수 개, 예를 들면 2개로 구성되며 제 2 연결면부(212)의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500)의 단부는 복수 개의 제 2 결합돌출부(220) 사이의 공간 또는 제 2 결합돌출부(220)의 일면에 중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도 34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40)는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4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4개의 제 2 결합돌출부(240)는 제 2 연결면부(212)에 구비되는 4개의 가장자리 중앙에 각각 구비되되, 제 2 연결면부(212)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연결면부(212)의 중앙에는 프레임(500)이 위치되므로, 제 2 결합돌출부(240)는 프레임(50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변을 가압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40)는 4개로 구성되며,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40)는 제 2 연결면부(212)의 꼭짓점에서 프레임(50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꼭짓점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42)는 4개로 구성되며 "ㄷ"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42)는 제 2 연결면부(212)의 가장자리에서 프레임(50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변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44)는 4개로 구성되며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44)는 제 2 연결면부(212)의 꼭짓점에 위치되되 프레임(50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꼭짓점 주변을 가압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46)는 1개로 구성되며 "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결합돌출부(246)는 제 2 연결면부(212)의 테두리보다 안쪽에 위치되고, 프레임(500)의 테두리에 제 2 결합돌출부(246)가 중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39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50)는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2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2개의 제 2 결합돌출부(250)는 제 2 연결면부(212)에 구비되는 4개의 테두리 중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의 중앙에 각각 구비되되, 제 2 연결면부(212)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면부(212)의 테두리에 프레임(520)이 위치될 때, 프레임(520)의 단부에는 제 2 결합돌출부(250)에 삽입되도록 끼움홈(522)이 형성된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52)는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4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4개의 제 2 결합돌출부(252)는 제 2 연결면부(212)에 구비되는 4개의 꼭짓점에 각각 구비되되, 제 2 연결면부(212)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면부(212)의 테두리에 프레임(520)이 위치될 때, 프레임(520)의 단부에는 제 2 결합돌출부(252)에 삽입되도록 끼움홈(522)이 형성된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54)는 4개로 구성되며,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54)는 제 2 연결면부(212)의 꼭짓점에서 제 2 연결면부(212)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면부(212)의 테두리에 프레임(520)이 위치될 때, 프레임(520)의 단부에는 제 2 결합돌출부(254)에 삽입되도록 끼움홈(522)이 형성된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56)는 4개로 구성되며 "ㄷ"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56)는 제 2 연결면부(212)의 2개의 테두리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면부(212)의 테두리에 프레임(520)이 위치될 때, 프레임(520)의 단부에는 제 2 결합돌출부(256)에 삽입되도록 끼움홈(522)이 형성된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돌출부(258)는 4개로 구성되며 "
Figure pat00002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결합돌출부(258)는 제 2 연결면부(212)의 각각의 꼭짓점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면부(212)의 테두리에 프레임(520)이 위치될 때, 프레임(520)의 단부에는 제 2 결합돌출부(258)에 삽입되도록 끼움홈(522)이 형성된다.
도 44 및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의 제 2 결합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제 2 연결면부(212)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제 2 결합돌출부(220)에 프레임(510)의 단부가 볼팅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510)은 길이방향의 수직 단면이 "ㄷ", "ㄴ", "I", "H" “ㅁ”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510)의 길이방향 단부는, 제 2 결합돌출부(220)에 면 접촉되는 접촉면부(510a)와, 제 2 연결면부(212)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단벽부(51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촉면부(510a)가 제 2 결합돌출부(220)에 면 접촉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접촉면부(510a)와 제 2 결합돌출부(220) 사이가 중첩되어 볼트(B)에 의하여 볼팅 결합된다.
도 45를 참조하면, 제 2 연결면부(212)에 십자 형태로 형성되는 2개의 제 2 결합돌출부(220)에 프레임(510)의 단부가 중첩되어 볼팅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510)의 접촉면부(510a)가 2개의 제 2 결합돌출부(220) 중 일 제 2 결합돌출부(220)에 면 접촉한 상태로 중첩되어 볼트(B)에 의하여 볼팅 결합되고, 프레임(510)의 단벽부(510b)는 2개의 제 2 결합돌출부(220) 중 타 제 2 결합돌출부(220)에 중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512)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결합돌출부(220)와 끼움홈(512) 사이는 용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제 1 코너연결부재
110: 제 1 코너연결몸체 112: 제 1 연결면부
114: 제 1 코너안내면부 114a: 제 1 안내홀
114b: 제 1 가이드홀 116: 제 1 지지면부
118: 제 1 개방부 120: 제 1 결합돌출부
200: 제 2 코너연결부재
210: 제 2 코너연결몸체 212: 제 2 연결면부
214: 제 2 코너안내면부 214a: 제 2 안내홀
214b: 제 2 가이드홀 216: 제 2 지지면부
216a: 회전안내홀 216b: 헤드안내홀
218: 제 2 개방부 219: 보강격벽
220: 제 2 결합돌출부
230: 제 2 결합돌출부 232: 제 2 결합돌출부
240: 제 2 결합돌출부 242: 제 2 결합돌출부
244: 제 2 결합돌출부 246: 제 2 결합돌출부
250: 제 2 결합돌출부 252: 제 2 결합돌출부
254: 제 2 결합돌출부 256: 제 2 결합돌출부
258: 제 2 결합돌출부
300: 고정부재
310: 고정볼트 312: 회전안내홀
320: 제 1 너트 330: 제 2 너트
340: 간격조절부 342: 보조조절부
400: 보강결합부
410: 제 1 결합관통홀 420: 제 2 결합관통홀
500: 프레임 502: 끼움홈
510: 프레임
510a: 접촉면부 510b: 단벽부
512: 끼움홈
520: 프레임
522: 끼움홈

Claims (22)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너연결부재와, 상기 코너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골격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갖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재는,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모서리를 향하는 3개의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3개의 연결면부를 갖는 코너연결몸체와, 각각의 상기 연결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코너연결부재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중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결합돌출부가 중첩되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상기 연결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2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면부에 십자 형상으로 크로스 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2개 또는 4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연결면부의 변 또는 꼭짓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끼움홈에서 중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여 발생가능한 오차를 보정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끼움홈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끼움홈에 중첩되어 삽입된 이후,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끼움홈 사이는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복수 개가 상기 연결면부의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중첩되어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면에 중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연결면부의 변 또는 꼭짓점에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몸체 내부는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보강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면,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일측에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코너연결부재 중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와 마주보도록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부재는 제 1 코너연결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도록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부재는 제 2 코너연결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되는 제 1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2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지 않도록 위치되는 제 2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에 형성되는 제 2 안내홀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안내홀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도록 양끝이 원뿔 형상인 고정볼트, 상기 제 1 안내홀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에 볼트 결합되는 제 1 너트 및 제 2 안내홀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의 타측에 볼트 결합되는 제 2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제 1 지지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의 상기 코너연결몸체는, 제 2 지지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면부 또는 상기 제 2 지지면부에 관통 형성되는 회전안내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너트 또는 상기 제 2 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도구의 헤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안내홀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안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가 차단된 경우, 상기 헤드부가 상기 헤드안내홀을 통하여 상기 제 1 너트 또는 상기 제 2 너트에 맞물리도록 위치된 후, 상기 회전도구의 손잡이부가 상기 회전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안내홀의 직경은 상기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1 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안내홀의 직경은 상기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홀 및 상기 제 2 안내홀은 상호 크로스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너연결부재 또는 상기 제 2 코너연결부재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1 안내홀 또는 상기 제 2 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홀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내홀은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안내홀의 상측에 상기 제 1 안내홀의 길이방향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가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 보다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이 상기 제 1 가이드홀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타측이 상기 제 2 안내홀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타측에 상기 제 2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홀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이 상기 제 1 안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 1 너트가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너안내면부와 상기 제 2 코너안내면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간격조절부가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 1 안내홀, 상기 간격조절부 및 상기 제 2 안내홀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와 복수 개의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보강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결합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제 1 결합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2 결합관통홀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 중 일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1 결합관통홀에 관통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 중 타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제 2 결합관통홀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관통홀 및 상기 제 2 결합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 1 결합관통홀 또는 상기 제 2 결합관통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와 제 2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의 위치가 이동 및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중첩되어 볼팅 또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연결면부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상기 결합돌출부에 면 접촉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가 중첩되어 볼팅 또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2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면부에 십자 형상으로 크로스 되어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 중 상기 프레임의 단면부는 2개의 상기 결합돌출부 중 일 결합돌출부에 면 접촉한 상태로 중첩되어 볼팅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 중 상기 프레임의 단벽부는 2개의 상기 결합돌출부 중 타 결합돌출부에 중첩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이 형성되어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KR1020200153539A 2020-04-08 2020-11-17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KR102574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2907 2020-04-08
KR1020200042907 2020-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404A true KR20210125404A (ko) 2021-10-18
KR102574317B1 KR102574317B1 (ko) 2023-09-11

Family

ID=7827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539A KR102574317B1 (ko) 2020-04-08 2020-11-17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55B1 (ko) * 2022-06-02 2023-09-04 주식회사 협신 간이 이동식 고정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191A (ko) * 2007-10-23 2009-04-28 김기웅 조립식 주택의 골조 연결구조
KR101020213B1 (ko) 2010-07-23 2011-03-08 스타코 주식회사 이동용 조립주택 및 조립방법
KR20130016637A (ko) * 2011-08-08 2013-02-18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목구조용 다방향 접합철물
KR20170128941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듀칸 조립식 건축물용 모서리부재 및 유틸리티 개방구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
KR20190050412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듀칸 조립식 건축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191A (ko) * 2007-10-23 2009-04-28 김기웅 조립식 주택의 골조 연결구조
KR101020213B1 (ko) 2010-07-23 2011-03-08 스타코 주식회사 이동용 조립주택 및 조립방법
KR20130016637A (ko) * 2011-08-08 2013-02-18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목구조용 다방향 접합철물
KR20170128941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듀칸 조립식 건축물용 모서리부재 및 유틸리티 개방구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
KR20190050412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듀칸 조립식 건축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55B1 (ko) * 2022-06-02 2023-09-04 주식회사 협신 간이 이동식 고정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317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2424B (zh) 用于预制的体积建筑模块的连接系统和方法
JP5932404B2 (ja) コンテナハウスの結合構造
KR101278983B1 (ko)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모듈러 구조물
KR20210125404A (ko)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중첩 결합 시스템
US20130259563A1 (en) Universal construction bracket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77197A (ko) 기둥-보 연결구조
CN105369890A (zh) 抗震民居钢构架及其安装方法
CN213709883U (zh) 一种模块化钢结构建筑连接结构
CN213358949U (zh) 一种装配式建筑物
US8646230B2 (en) Flat roof support structure
CN216973760U (zh) 一种外环式梁柱刚性连接节点
CN113605541A (zh) 一种外环式梁柱刚性连接节点
KR20210154595A (ko)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CN103882949B (zh) 多高层装配式钢结构咬合钢梁预应力中心支撑体系
JP2007284918A (ja) 横架体および木造構造物
JP3210453U (ja) コンテナ固定部材およびコンテナ
CN103899021A (zh) 一种刚性节点的装配式钢框架咬合拼接体系
CN211899528U (zh) 拆卸式的简易工作平台
CN103882984A (zh) 一种节点刚接的装配式钢结构咬合拼接体系
JP6091367B2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CN218758739U (zh) 一种立柱模板用支撑机构
KR102708949B1 (ko) 계단실 모듈 및 계단실 모듈 어셈블리
KR20220117788A (ko)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 시스템
JP2003013498A (ja) 鉄骨構造建物の柱体
CN114753510B (zh) 基于套筒连接的钢木组合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