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010B1 -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 Google Patents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010B1
KR101612010B1 KR1020150144597A KR20150144597A KR101612010B1 KR 101612010 B1 KR101612010 B1 KR 101612010B1 KR 1020150144597 A KR1020150144597 A KR 1020150144597A KR 20150144597 A KR20150144597 A KR 20150144597A KR 101612010 B1 KR101612010 B1 KR 10161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heelchair
handle
remote controll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청운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임청운
이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청운, 이은주 filed Critical 임청운
Priority to KR102015014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은, 무선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후방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도어잠금장치; 상기 무선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후방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개방 실린더;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을 지면으로 하강시키거나 차량의 내부공간 바닥판으로 상승시키는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는 휠체어 리프트; 상기 휠체어 리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유선리모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은, 차량의 후방도어 오픈 및 휠체어 리프트 조작이 용이하고,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운전석에 앉는 동작이나, 조향핸들, 기어봉, 제동페달, 가속페달 조작이 매우 용이하여, 장애인 혼자서도 차량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Self-driving vehicle for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휠체어 리프트가 장착된 장애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도어 개폐 및 휠체어 리프트 조작이 간편하고 장애인 혼자서도 운전이 가능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을 위해 후방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차량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용 차량에는 휠체어를 이용해야 되는 경우를 위해 휠체어 리프트가 마련된다.
그런데, 종래에 개발된 대다수의 장애인용 차량은 차체의 높이가 여유롭지 않아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의 탑승자가 뒷좌석으로 승차 및 하차할 경우 탑승자의 자유롭지 못한 신체의 움직임 또는 부주의 등에 의해 차량의 지붕에 탑승자의 신체 일부분, 특히 머리 등이 부딪히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뒷좌석에 타고 내리는 탑승자가 장애인이거나 노약자일 경우에는 후방도어가 이들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안전하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충분히 열리지 않아서 이들 탑승자가 타고 내리는 데에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의 대다수 장애인용 차량은 휠체어를 싣기 위한 휠체어 리프트에 주된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차량 운전을 위한 운전석시트, 조향핸들, 기어봉, 제동페달, 가속페달 등에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장치가 충분히 적용되고 있지 아니하여, 장애인이 혼자서 차량을 자가운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KR 10-042678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후방도어 오픈 및 휠체어 리프트 조작이 용이하고,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운전석에 앉는 동작이나, 조향핸들, 기어봉, 제동페달, 가속페달 조작이 매우 용이하도록 구성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은, 무선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후방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도어잠금장치; 상기 무선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후방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개방 실린더;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을 지면으로 하강시키거나 차량의 내부공간 바닥판으로 상승시키는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는 휠체어 리프트; 상기 휠체어 리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유선리모콘;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은, 차량 제조 시 제공되는 기본공간과, 상기 기본공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확장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 바닥판은, 차량의 후미부터 운전석까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운전석은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개방 실린더는, 하단이 차량의 내부공간 바닥판에 결합되고, 상단이 후방도어 내벽에 결합된다.
상기 휠체어 리프트가 완전히 차량 내부로 인입되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방 실린더는 상기 휠체어 리프트가 완전히 차량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에만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선리모콘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휠체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형태로 제작된다.
사용자의 손목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핸들에 장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이 차량의 핸들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 중 힌지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이 제동페달에 연결되는 제동링크와, 상기 회동바 중 힌지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이 가속페달에 연결되는 가속링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동바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동페달과 가속페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운전보조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바의 힌지축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측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비스듬히 배열되고, 상기 회동바의 좌측 끝단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밀었을 때 상기 제동페달이 가압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당겼을 때 상기 가속페달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바에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할 때 상기 회동바의 길이방향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바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링크와 가속링크는, 상기 회동바의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제동페달이나 가속페달을 가압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은, 차량의 후방도어 오픈 및 휠체어 리프트 조작이 용이하고,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운전석에 앉는 동작이나, 조향핸들, 기어봉, 제동페달, 가속페달 조작이 매우 용이하여, 장애인 혼자서도 차량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에 포함되는 운전석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에 포함되는 조향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에 포함되는 운전보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에 포함되는 기어봉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혼자서도 차량을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후방도어(110) 개폐 및 휠체어 리프트(140) 작동이 간편하고, 하지장애 및 손가락장애를 갖는 장애인도 혼자서 차량 운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무선리모콘(200)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후방도어(110)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도어잠금장치(120)와, 상기 무선리모콘(200)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후방도어(110)를 회동시키는 도어개방 실린더(130)와, 휠체어를 차량 내부로 승차 및 하차시키기 위한 휠체어 리프트(140)와,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50)와, 상기 구동부(150)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유선리모콘(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는,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안착판(142)과, 상기 안착판(142)을 지면으로 하강시키거나 차량의 내부공간(102) 바닥판(108)으로 상승시키는 승강프레임(144)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휠체어 리프트(140)의 기본 동작은 종래의 장애인 차량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의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휠체어 리프트(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도어(110)가 개방된 이후 지면에 안착되어 휠체어를 승하차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종래의 장애인 차량은 대부분 후방도어(110) 개폐 및 휠체어 리프트(140) 조작이 운전석(170)에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혼자서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석(170) 도어를 열고 운전석(170)에 올라타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후방도어(110)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도어잠금장치(120)와, 후방도어(110)를 회동시키는 도어개방 실린더(130)가 무선리모콘(200)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차량 외부에서 손쉽게 차량 후방도어(110)를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 즉, 장애인 혼자서도 차량 승하차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차량의 실내 높이는 시트에 앉은 사람의 앉은키를 기준으로 설계되는데, 휠체어는 차량용 시트에 비해 좌석이 높으므로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차량의 내부공간(102)에 들어갔을 때 장애인의 머리가 내부공간(102) 천정에 닿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공간(102)이 차량 제조 시 제공되는 기본공간(104)과, 상기 기본공간(104)의 상부에 마련되는 확장공간(106)으로 구성되도록 즉, 확장공간(106)의 높이만큼 실내 높이가 커지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102)의 상부가 확장되면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차량의 내부공간(102)에 진입하더라도 머리가 차량 천정에 닿지 아니하여 보다 쾌적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확장공간(106)의 크기는, 차량의 기본 제원이나 휠체어의 규격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승합차의 후방도어(11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므로 장애인 혼자서 후방도어(110)를 완전히 열고 닫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에는 후방도어(110)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후방도어(110)에 회동력을 인가하는 도어개방 실린더(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개방 실린더(130)는 후방도어(110)에 인가하는 회동력을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즉, 스트로크 거리가 최대한 길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하단이 차량의 내부공간(102) 바닥판(108)에 결합되고 상단이 후방도어(110) 내벽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개방 실린더(130)는 후방도어(110)를 여는 방향으로만 힘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후방도어(110)를 닫는 방향으로도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양방향 가압실린더로 적용되는데, 이와 같은 양방향 가압실린더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휠체어 리프트(140)가 완전히 차량 내부로 인입되기 이전에 도어개방 실린더(130)가 작동되면, 상기 후방도어(110)가 휠체어 리프트(140)를 타격하여 고장을 유발하거나, 상기 후방도어(110)가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이와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가 완전히 차량 내부로 인입되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방 실린더(130)는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가 완전히 차량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에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휠체어 리프트(14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면 적외선센서나 마그네틱센서, 광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리프트(140)의 동작신호 인가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휠체어 리프트(140)에 근접하였을 때에만 가능할 수 있도록 유선리모콘(16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다. 이때,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휠체어 리프트(140)의 안착판(142)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유선리모콘(16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유선리모콘(160)은 상기 승강프레임(144)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 동작 시에는 안착판(142)에 안착된 휠체어가 흔들려 장애인이 휠체어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는바, 상기 유선리모콘(16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93)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선리모콘(160)이 손잡이(193) 형태로 제작되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휠체어 리프트(140)가 동작하는 동안 유선리모콘(160)을 손으로 잡아 흔들림을 버틸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에 포함되는 운전석(170)의 사용상태도이다.
차량의 내부공간(102) 후방에 승차한 장애인이 운전석(170)까지 휠체어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102) 바닥판(108)은 차량의 후미부터 운전석(170)까지 평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전석(170)이 고정되어 있으면 장애인이 운전석(170)에 올라타는 동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운전석(170) 일측(도 3에서는 우측)에 접근한 이후 보다 간편하게 운전석(170)에 올라탈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170)이 6-way 시트와 같이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면, 상기 운전석(170)은 도 4에 도시된 6-way 시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시트로 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에 포함되는 조향핸들(18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을 사용하는 장애인(이하 '사용자'라 약칭한다)이 손가락이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손가락이 없는 장애를 갖고 있는 경우, 조향핸들(180)을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에 포함되는 조향핸들(18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아니하고서도 조작할 수 있도록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여러개 끼우거나 손목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C'자 형상의 클립(18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클립(182)은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핸들에 장착되는바,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82)에 손가락 여러개 또는 손목을 끼운 후, 팔을 돌리는 동작만으로 조향핸들(18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상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이 한꺼번에 클립(182)
즉, 조향핸들(180)에 클립(182)이 구비되면, 손가락 사용이 불편하거나 손가락이 없는 사용자라도 조향핸들(18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정상적인 운전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182)이 조향핸들(180)에 고정결합되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여러개 또는 손목을 클립(182)에 끼운 상태에서 조향핸들(180)을 18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클립(182)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조향핸들(180)에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에 포함되는 운전보조장치(19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하지가 없는 사용자도 차량의 제동페달(195) 및 가속페달(197)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페달(195) 및 가속페달(197)을 가압하는 운전보조장치(19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전보조장치(1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이 차량의 핸들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192)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바(191)와, 상기 회동바(191) 중 힌지축(192)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이 제동페달(195)에 연결되는 제동링크(194)와, 상기 회동바(191) 중 힌지축(192)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이 가속페달(197)에 연결되는 가속링크(1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바(191)가 어느 방향으로 회동되는지에 따라 제동페달(195)과 가속페달(197)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가압되므로, 사용자는 회동바(191)를 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 또는 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동바(19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가속링크(196)가 하강되면서 가속페달(197)을 가압하는바 차량이 가속되고,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동바(19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제동링크(194)가 하강되면서 제동페달(195)을 가압하는바 차량이 제동된다.
한편, 사람은 위험을 느꼈을 때 몸을 뒤로 빼는 본능이 있으므로, 회동바(191)의 좌측 끝단에 구비된 손잡이(193)를 잡고 있던 손을 앞으로 미는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93)를 밀었을 때 상기 제동페달(195)이 가압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93)를 당겼을 때 상기 가속페달(197)이 가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동바(191)의 힌지축(192)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측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비스듬히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동바(191)의 힌지축(192)이 전방으로 약간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배열되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93)를 밀었을 때 상기 제동페달(195)이 가압되는바, 사용자가 위험을 느꼈을 때 본능적으로 차량을 제동시키게 되어 사고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차량을 운전할 때에는 제동페달(195)과 가속페달(197)을 모두 가압하지 아니하는 상태가 필요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회동바(191)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191)에 인가하였던 힘을 해제시켰을 때에는 상기 회동바(191)가 중립상태 즉,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는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제동페달(195)이나 가속페달(197)이 가압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전보조장치(190)는, 상기 회동바(191)에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할 때 상기 회동바(191)의 길이방향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바(191)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보조장치(190)에 복원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제동페달(195) 및 가속페달(197) 조작을 더욱 정확하게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안한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복원수단은, 회동바(191)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만 있다면 스프링이나 탄성체 등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에 포함되는 기어봉의 측면도이다.
일반적인 차량은, 사용자가 기어봉을 드라이브 위치에서 중립 위치로 이동시킬 때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상기 기어봉이 후진 위치까지 이동하지 아니하도록, 기어봉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장치 해제버튼이 측면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기어봉 측면에 구비된 록킹장치 해제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봉(184)의 상단을 하향으로 가압시켰을 때 기어봉(184)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장치가 해제되어, 상기 기어봉(184)이 후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어봉(184)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장치를 해제하는 구조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바, 기어봉(184) 상단을 하향 가압시켰을 때 록킹장치가 해제되는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102 : 내부공간
104 : 기본공간 106 : 확장공간
108 : 바닥판 110 : 후방도어
120 : 도어잠금장치 130 : 도어개방 실린더
140 : 휠체어 리프트 142 : 안착판
144 : 승강프레임 150 : 구동부
160 : 유선리모콘 170 : 운전석
180 : 조향핸들 182 : 클립
190 : 운전보조장치 191 : 회동바
192 : 힌지축 193 : 손잡이
194 : 제동링크 195 : 제동페달
196 : 가속링크 197 : 가속페달
200 : 무선리모콘

Claims (10)

  1. 무선리모콘(200)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후방도어(110)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도어잠금장치(120); 상기 무선리모콘(200)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후방도어(110)를 회동시키는 도어개방 실린더(130);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안착판(142)과, 상기 안착판(142)을 지면으로 하강시키거나 차량의 내부공간(102) 바닥판(108)으로 상승시키는 승강프레임(144)을 구비하는 휠체어 리프트(140);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50); 상기 구동부(150)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유선리모콘(160); 을 포함하는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102)은,
    차량 제조 시 제공되는 기본공간(104)과, 상기 기본공간(104)의 상부에 마련되는 확장공간(106)으로 구성되되,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102)의 바닥판(108)은 차량의 후미부터 운전석(170)까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운전석(170)은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개방 실린더(130)는,
    하단이 차량의 내부공간(102) 바닥판(108)에 결합되고, 상단이 후방도어(110) 내벽에 결합되되,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가 완전히 차량 내부로 인입되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방 실린더(130)는 상기 휠체어 리프트(140)가 완전히 차량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에만 작동하며,
    상기 유선리모콘(160)은,
    상기 승강프레임(144)에 마련되되, 상기 안착판(142)에 안착된 휠체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93)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자의 손목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핸들에 장착되는 클립(182)을 더 포함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이 차량의 핸들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192)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바(191)와, 상기 회동바(191) 중 힌지축(192)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이 제동페달(195)에 연결되는 제동링크(194)와, 상기 회동바(191) 중 힌지축(192)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이 가속페달(197)에 연결되는 가속링크(19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동바(191)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동페달(195)과 가속페달(197)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운전보조장치(1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동바(191)의 힌지축(192)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측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비스듬히 배열되고, 상기 회동바(191)의 좌측 끝단에 손잡이(19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93)를 밀었을 때 상기 제동페달(195)이 가압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93)를 당겼을 때 상기 가속페달(197)이 가압되고,
    상기 회동바(191)에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할 때 상기 회동바(191)의 길이방향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바(191)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링크(194)와 가속링크(196)는 상기 회동바(191)의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제동페달(195)이나 가속페달(197)을 가압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44597A 2015-10-16 2015-10-16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KR10161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597A KR101612010B1 (ko) 2015-10-16 2015-10-16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597A KR101612010B1 (ko) 2015-10-16 2015-10-16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010B1 true KR101612010B1 (ko) 2016-04-12

Family

ID=5580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597A KR101612010B1 (ko) 2015-10-16 2015-10-16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0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9701A (zh) * 2017-12-16 2018-06-01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一种基于商务车的福祉车
RU217545U1 (ru) * 2021-10-07 2023-04-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бильность" Автомобиль для людей с инвалидностью и маломобильных групп населения
KR20240055913A (ko) 2022-10-20 2024-04-30 (주)대한솔루션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운전할 수 있는 모빌리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079B2 (ja) * 1999-03-18 2000-11-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機用羽根車
KR200309545Y1 (ko) * 2002-12-30 2003-04-03 (주) 신동경자동차 장애인용 차량
JP2005289106A (ja) * 2004-03-31 2005-10-20 Daifuku Co Ltd 車両用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079B2 (ja) * 1999-03-18 2000-11-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機用羽根車
KR200309545Y1 (ko) * 2002-12-30 2003-04-03 (주) 신동경자동차 장애인용 차량
JP2005289106A (ja) * 2004-03-31 2005-10-20 Daifuku Co Ltd 車両用昇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9701A (zh) * 2017-12-16 2018-06-01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一种基于商务车的福祉车
RU217545U1 (ru) * 2021-10-07 2023-04-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бильность" Автомобиль для людей с инвалидностью и маломобильных групп населения
KR20240055913A (ko) 2022-10-20 2024-04-30 (주)대한솔루션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운전할 수 있는 모빌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433A (en) Automatic braking wheelchair
US5181733A (en) Anti-tip device for wheelchair
JPH07213557A (ja) 車両シ−ト構体
KR101629101B1 (ko) 무릎관절 환자용 의자
JPH05506630A (ja) 身障者のための自動車シート
KR101612010B1 (ko)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
JP2017196408A (ja) 車椅子とカーシートとの結合機構
JP3159622U (ja) 車椅子
JP2008132255A (ja) 走行車
JPH09109604A (ja) 旋回規制・制動機構付キャスタとこのキャスタを用いた車椅子
JP5204688B2 (ja) 車椅子の自動ロッキング機構
US10471873B2 (en) Device for rotating a seat, particularly for a railway vehicle
JP7352188B2 (ja) 車椅子
JP3141048U (ja) 車いす用自動ブレーキ装置
JPS6159734B2 (ko)
JP4504176B2 (ja) 入浴用の車椅子
JP7283424B2 (ja) 車両用ドア構造、および車椅子と車両との連結構造
JPH1085260A (ja) 車椅子搭乗用輸送装置
RU180264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обиля с руч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для инвалидов
JP2015037439A (ja) 前傾する車椅子
JP4996374B2 (ja)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の固定具
JPH0312796Y2 (ko)
JP3204218U (ja) 移乗機
JP2018111439A (ja) 一人用電動車用安全装置
JP3103640U (ja) 片麻痺用ブレーキ掛け忘れ防止アーム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