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689B1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689B1
KR101611689B1 KR1020140046045A KR20140046045A KR101611689B1 KR 101611689 B1 KR101611689 B1 KR 101611689B1 KR 1020140046045 A KR1020140046045 A KR 1020140046045A KR 20140046045 A KR20140046045 A KR 20140046045A KR 101611689 B1 KR101611689 B1 KR 10161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late
lever
housing
enlarged opening
open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319A (ko
Inventor
노리히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대한 레버의 조립성이 양호하고 또한 레버의 조작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우징(20)의 양 측면에는, 축부(33)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축부(33)측에 내부 공간(37)을 개방시킨 확대 개방 방지벽(35)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60)는, 연결부(61)와 한쌍의 아암판(62)에 의해 도어형을 이루며, 하우징(20)에 대하여, 조립 위치, 초기 위치 및 감합 위치를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아암판(62)은, 박육부(66)와 후육부(67)를 갖는다. 아암판(62)의 박육부(66)는, 조립 위치에서 축부(33)와의 간섭에 의해 확대 개방되어 하우징(20)의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진입한다. 아암판(62)의 후육부(67)는, 초기 위치로부터 감합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진입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레버식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한쌍의 축부(회동축)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축부측에 내부 공간을 개방하여 이루어진 한쌍씩의 확대 개방 방지벽(보호벽)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는, 연결부(조작부)와 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아암판(아암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도어형을 이루고 있다. 아암판에는, 축부를 받는 베어링 구멍과, 상대 하우징의 캠핀과 결합하는 캠홈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의 조립시에는, 아암판이 축부와의 간섭에 의해 확대 개방 변형되고, 그 후, 아암판의 베어링 구멍에 축부가 탄성적으로 감합하여, 레버가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아암판의 캠홈에 캠핀이 결합한 상태로 레버가 회동되고, 그에 따라서 발휘되는 배력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이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레버에 작용하는 감합력에 의해 아암판을 확대 개방하고자 하면, 그 확대 개방 방향에서 대향하는 확대 개방 방지벽에 아암판이 접촉하여, 그 이상의 확대 개방 동작이 규제된다. 따라서, 아암판의 과잉 확대 개방에 기인하여, 아암판이 축부로부터 부주의하게 벗어나 버리는 사태가 회피된다. 이 경우, 아암판의 박육부가 확대 개방 방지벽의 후육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확대 개방 방지벽의 강성이 확보되고, 아암판과 박육부가 겹치는 부분이 지나치게 두꺼워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64115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경우, 아암판과 확대 개방 방지벽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아암판이 축부와 간섭하여 휨 변형되었을 때, 확대 개방 방지벽이 아암판에 눌려서 팽출 변형되어, 조립 저항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었다. 이에 비해, 아암판을 보다 얇게 하여 아암판과 확대 개방 방지벽의 간극을 넓히는 구성으로 하면, 조립시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아암판의 과도한 확대 개방 동작이 허용되어 버리기 때문에, 아암판이 축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하우징에 대한 레버의 조립성이 양호하고 또한 레버의 조작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측면에 축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부측에 내부 공간을 개방하여 이루어진 확대 개방 방지벽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연결부 및 그 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아암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도어형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조립 위치, 초기 위치 및 감합 위치를 순차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조립 위치에서는, 상기 아암판이 상기 축부와의 간섭에 의해 확대 개방 변형된 후, 상기 아암판이 상기 축부에 탄성적으로 감착(嵌着)되어, 상기 아암판의 일부가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의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걸쳐지도록 조립되고, 상기 초기 위치에서는, 상기 아암판이 상기 상대 하우징과 결합하고,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를 향해서 회동됨으로써, 배력 작용을 발휘하여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진행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아암판은, 상기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의 상기 내부 공간에 진입하는 박육부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의 상기 내부 공간에 진입하여, 과도한 확대 개방시에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에 접촉 가능해지는, 상기 박육부보다 판두께가 두꺼운 후육부를 갖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조립 위치에서는, 아암판의 박육부가 확대 개방 방지벽의 내부 공간에 진입하기 때문에, 아암판이 축부와의 간섭에 의해 확대 개방되었을 때, 아암판의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암판과 확대 개방 방지벽의 간섭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저항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아, 조립 작업성이 개선된다.
한편, 아암판이 초기 위치로부터 감합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는, 아암판의 후육부가 확대 개방 방지벽의 내부 공간에 진입하기 때문에, 양 하우징의 감합력을 받은 아암판을 과도하게 확대 개방하고자 했을 때, 후육부가 확대 개방 방지벽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아암판이 축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에서, 레버가 조립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레버가 감합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의 주요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5는 레버가 감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주요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레버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하우징 본체에 레버가 조립된 상태를 정면시(正面視)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조립 위치와 상기 초기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아암판의 후육부가 조립 위치에서 확대 개방 방지벽의 내부 공간에 잘못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아암판 전체 중에서 상기 박육부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후육부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크다. 이에 따라, 아암판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후육부가 상기 아암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암판의 외주 가장자리측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10)는, 상대 하우징(90)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60)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 하우징(9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도 4의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각진 통형상의 후드부(91)를 갖고 있다. 후드부(91)의 양 측벽(긴 변측의 벽)의 외면에는, 한쌍의 팔로어 핀(92)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각 팔로어 핀(92)은, 대략 원기둥형을 이루며, 양 측벽의 외면에서의 전단부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 후드부(91)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수(雄)터브가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와 전선 커버(22)를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는, 폭방향으로 긴 대략 각진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23)와, 단자 수용부(23)의 외주를 둘러싸는 대략 각진 통형상의 감합 통부(24)와, 감합 통부(24)와 단자 수용부(23)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을 따르는 연계부(25)(접촉 방지벽)를 갖고 있다. 연계부(25)의 전방이자 감합 통부(24)와 단자 수용부(23) 사이에는, 상대 하우징(90)의 후드부(91)가 진입할 수 있는 감합 공간(26)이 전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23)에는 복수의 캐비티(2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캐비티(27) 내에는, 후방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단자 금구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각 단자 금구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의 단말부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며, 양 하우징(20, 90)의 감합시에, 대응하는 수터브와 도통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연계부(25)는, 하우징 본체(2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뻗어 나온 형태로 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면에 후방으로부터 전선 커버(22)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의 후단부(28)는, 연계부(25)의 후면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그 양 측면(외주면 중 긴 변측의 면)의 폭방향 양 단부에, 연계부(25)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씩의 측면 커버 잠금부(29)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 본체(21)의 양 단부면(외주면 중 짧은 변측의 면)에는, 연계부(25)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부면 커버 잠금부(31)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전선 커버(22)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 및 폭방향 일측(도 2의 우측)이 개방된 캡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 커버(22)는, 하우징 본체(21)의 후단부(28)를 덮도록 배치되어, 연계부(25)의 후면에 접촉 방지되고, 그 상태로 폭방향 타측(도 2의 좌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단부면 커버 잠금부(31)에 걸려서 고정되고, 폭방향 일측의 측면이 측면 커버 잠금부(29)에 걸려서 고정되며, 이것에 의해 하우징 본체(21)에 유지된다. 실시예 1의 경우, 전선 커버(22)의 폭방향 일측의 개구가 도 2의 좌우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향하더라도 대응 가능하도록, 단부면 커버 잠금부(31) 및 측면 커버 잠금부(29)가 좌우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 커버(22)가 하우징 본체(21)에 부착되면, 전선 커버(22)의 내부에, 하우징 본체(21)의 후면으로부터 도출된 복수의 전선이 수용되고, 또한, 각 전선이 전선 커버(22)의 배판(背板)(32)을 따라서 굴곡되어 폭방향 일측의 개구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의 후단부(28)에서의 양 측면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는, 한쌍의 축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축부(33)는, 대략 원기둥형을 이루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또는 저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의 대부(臺部)(34)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감합 통부(24) 중 하우징 본체(21)의 양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한쌍의 확대 개방 방지벽(35)이 설치되어 있다. 각 확대 개방 방지벽(35)은 외측으로 부풀어 나온 형태로 되어 있고, 그 후측 가장자리에, 연계부(25)(후술하는 연속벽(41))와 연결되지 않고 오목하게 형성된 여유부(36)를 갖고 있다. 또한,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의 후술하는 아암판(62)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37)이 후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37)은 대략 원호형의 주면부(38)로 가장자리가 둘러져 있고,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벽(39)에 의해 외측이 폐색되어 있다. 덮개벽(39)의 후측 가장자리 중 여유부(36)와 대응하는 부분은, 폭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계부(25)에는, 각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여유부(36)의 후방에, 폭방향을 따르는 한쌍의 연속벽(4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속벽(41)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는, 축부(33)와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절결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는, 축부(33)와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도입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도입 오목부(43)에는, 양 하우징(20, 90)의 감합 개시시에, 전방으로부터 상대 하우징(90)의 팔로어 핀(92)이 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4를 참조).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33)는, 절결 오목부(42) 및 도입 오목부(43)를 통해서 전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금형을 전방으로 빼냄으로써, 절결 오목부(42) 및 도입 오목부(43)와 함께, 축부(33)의 전면(前面) 부분이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축부(33)는, 전방에 더하여 후방 및 폭방향 양쪽으로도 노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의 단자 수용부(23)의 외주면에는 시일 링(70)이 감착되어 있다. 시일 링(70)은,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제이며, 단자 수용부(23)의 외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된 고리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시일 링(70)의 외주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 나열된 외주 립(71)이 주회(周回)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시일 링(70)의 내주면에도, 전후 방향으로 복수 나열된 도시하지 않은 내주 립이 주회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 링(70)은, 단자 수용부(23)의 외주면에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연계부(25)의 전면(前面)에 접촉 방지 가능하게 배치된다. 양 하우징(20, 90)의 감합시에는, 각 내주 립이 하우징 본체(2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각 외주 립(71)이 후드부(91)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양 하우징(20, 90) 사이에 시일 링(70)이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양 하우징(20, 90) 사이의 시일이 취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70)은 시인성이 양호해지도록, 하우징(20) 및 레버(60)와는 상이한 색으로 배색되어 있다.
계속해서 레버(60)에 관해 설명하면, 레버(6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을 따르는 연결부(61)와, 연결부(61)의 높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하게 돌출된 한쌍의 아암판(62)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도어형을 이루고 있다. 각 아암판(62)에는, 한쌍의 베어링 구멍(63)이 관통되어 있다. 또, 각 아암판(62)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부러져 연장되어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에 개구된 한쌍의 캠홈(64)(후술하는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다. 캠홈(64)은,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에 개구된 입구 부분을 제외하고, 아암판(62)을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외면에는, 캠홈(64)의 입구 부분을 덮는 브릿지부(65)가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는, 하우징 본체(21)의 단자 수용부(23)에 후방으로부터 걸쳐지도록 장착되고, 베어링 구멍(63)에 축부(33)가 탄성적으로 감입됨으로써, 하우징 본체(21)에 축부(33)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레버(60)는, 하우징 본체(21)에 대하여, 연결부(61)가 도시 우측에 크게 기울어져 배치되는 조립 위치(도 1을 참조)와, 연결부(61)가 도시 좌측에 크게 기울어져 배치되는 초기 위치(도 2를 참조)와, 연결부(61)가 도시 우측에 작게 기울어져 배치되는 감합 위치(도 3을 참조)에, 순차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하우징 본체(21)에 레버(60)가 조립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아암판(62)의 내측에 연계부(25)의 연속벽(41)이 근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각 아암판(62)이 연결부(61)와의 연결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기울어져 쓰러지려 하면, 그 쓰러지는 방향에 대향하는 연속벽(41)에 각 아암판(62)이 바로 접촉하여, 각 아암판(62)이 그 이상 기울어져 쓰러지는 것이 규제되어, 각 아암판(62)이 내측으로 과도하게 휨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 아암판(62)에는, 후술하는 후육부(67)보다 얇은 박육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66)는, 도 4에서의 아암판(62) 중 해칭되지 않은 흰 바탕의 영역에 배치되며, 연결부(61)에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의 넓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판(62) 중 박육부(66)를 제외한 부분(도 4에서의 아암판(62) 중 해칭된 영역)은, 박육부(66)보다 판두께가 두꺼운 후육부(67)로서 구성된다. 각 아암판(62) 전체 중에서 후육부(67)가 차지하는 비율은, 박육부(66)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육부(67)는 각 아암판(62)의 외면측에 패딩된 형태로 되어 있고, 후육부(67)의 외면은 박육부(66)의 외면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후육부(67)의 내면은, 베어링 구멍(63)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보스부(68)를 제외하고, 박육부(66)의 내면과 거의 면일 상태로 이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육부(67)는, 브릿지부(65)와,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와 캠홈(64) 사이에 위치하여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연설부(沿設部)(69)를 가지며, 브릿지부(65)로부터 캠홈(64)의 연장 방향 도중과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육부(67)의 외면의 연장 방향 도중에는, 슬릿홈형상의 오목부(5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59)와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박육부(66)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10)의 조립 작업 및 감합 작업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에 대하여 레버(60)가 조립 위치에 조립된다. 조립시에, 전선 커버(22)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하우징 본체(21)에, 후방으로부터 레버(60)가 부착된다. 이 때,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각 아암판(62)의 박육부(66)가 삽입되고,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덮개벽(39)과 박육부(66) 사이에 비교적 큰 간극이 형성된다. 조립 과정에서, 각 아암판(62)이 축부(33)와 간섭하여 연결부(61)와의 연결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확대 개방되지만, 이 때, 각 아암판(62)의 박육부(66)가 상기 간극의 범위에서 확대 개방됨으로써, 박육부(66)가 덮개벽(39)과 간섭하는 것이 회피된다. 또, 가령 박육부(66)가 덮개벽(39)과 간섭하더라도 그 간섭량은 작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이 각별하게 커지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레버(60)가 작업성 양호하게 조립 위치에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 위치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에 전선 커버(22)가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레버(60)의 연결부(61)를 도시 우측에 크게 쓰러뜨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립 위치에서는, 후육부(67)가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여유부(36)의 직선형의 후측 가장자리 후방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또한, 조립 위치에서는, 여유부(36)의 오목부 내와 레버(60)의 캠홈(64)이 높이 방향으로 연통하여 배치되고, 하우징 본체(21)의 외주면에 감착된 시일 링(70)과 이 시일 링(70)에 접촉 방지 가능한 연계부(25)의 연속벽(41)을, 여유부(36)의 오목부 내 및 캠홈(64)을 통해서 외측으로부터 볼 수 있다. 즉, 캠홈(64)이 확인창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시일 링(70)의 전후폭 전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레버(60)가 초기 위치측을 향해서 회동되어, 하우징 본체(21)에 전선 커버(22)가 부착된다. 레버(60)가 초기 위치에 이르면, 연결부(61)가 도시 좌측에 배치되고, 캠홈(64)의 입구가 전방으로 향하게 되어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도입 오목부(43)와 연통하여 배치된다(도 4를 참조). 또, 초기 위치에서는,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각 아암판(62)의 후육부(67)가 진입하여,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덮개벽(39)과 후육부(67) 사이에 상기 조립 위치의 경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도, 시일 링(70)과 연속벽(41)을, 여유부(36)의 오목부 내 및 캠홈(64)을 통해서 볼 수 있다(도 2를 참조).
이어서, 하우징 본체(21)에 상대 하우징(90)이 얕게 감합된다. 그렇게 되면, 상대 하우징(90)의 후드부(91)가 하우징(20)의 감합 공간(26)에 진입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로어 핀(92)이 도입 오목부(43)를 통해서 캠홈(64)의 입구에 삽입된다. 이 때, 후드부(91)는 시일 링(70)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시일 링(70)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상태는 유지된다.
계속해서, 연결부(61)를 잡으면서, 레버(60)가 감합 위치를 향해서 회동된다. 그렇게 되면, 팔로어 핀(92)이 캠홈(64)의 홈면을 슬라이딩하여, 레버(60)와 상대 하우징(90) 사이에 배력이 작용하고, 상대 하우징(90)이 하우징(20)에 저감합력으로 끌어당겨진다. 또, 감합의 진행에 따라, 시일 링(70)이 후드부(91)에 서서히 덮이고, 시일 링(70)의 시인 영역이 점차 감소해 간다. 또한, 감합 과정에서는,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각 아암판(62)의 후육부(67)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각 아암판(62)이 감합력을 받아 외측으로 확대 개방하고자 하면, 후육부(67)가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덮개벽(39)에 바로 접촉하게 되어, 각 아암판(62)이 과도하게 확대 개방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60)가 감합 위치에 도달하면, 연결부(61)가 전선 커버(22)의 배판(32)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동 조작이 규제되고, 또한 팔로어 핀(92)이 캠홈(64)의 안쪽 끝에 위치한다. 그리고, 양 하우징(20, 90)이 정규 감합된 상태가 되어, 각 단자 금구가 대응하는 수터브에 정규 상태로 도통 접속된다. 레버(60)가 감합 위치에 도달하더라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각 아암판(62)의 후육부(67)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감합 위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91)가 연계부(25)에 접촉 방지 가능하게 배치되고, 시일 링(70) 전체가 후드부(91)에 피복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여유부(36)의 오목부 내 및 캠홈(64)을 통해서, 후드부(91) 및 연속벽(41)을 보는 것은 가능하지만, 시일 링(70)은 볼 수 없다. 또, 감합 위치에서는, 시일 링(70)이 후드부(91)와 하우징 본체(21)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해, 양 하우징(20, 90) 사이의 시일이 확보된다. 따라서, 시일 링(70)이 후드부(91)에 가려짐으로써, 양 하우징(20, 90)이 정규 감합 위치에 도달하여, 양 하우징(20, 90) 사이의 시일이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10)에 의하면, 다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양 하우징(20, 90)의 감합시에, 캠홈(64)을 통해서, 시일 링(70)이 후드부(91)에 가려진 상태를 보는 것에 의해, 양 하우징(20, 90)이, 정규 감합 상태이며, 시일 링(70)을 통해 적정하게 시일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에 의하면, 시일 링(70)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20)에 시일 링(70)의 외측을 덮는 벽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러한 벽이 축부(33)의 전방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전방으로 빼내는 금형에 의해, 절결 오목부(42) 및 도입 오목부(43)와 함께, 축부(33)의 전면(前面) 부분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 금형 구조가 간소화됨으로써, 축부(33)를 성형할 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축부(33)를 파손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10)에 의하면, 조립 위치에서, 아암판(62)의 박육부(66)가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진입하기 때문에, 아암판(62)이 축부(33)와의 간섭에 의해 확대 개방되었을 때, 아암판(62)의 여유 공간(상기 간극)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암판(62)과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간섭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저항이 과대해지지 않아, 조립 작업성이 개선된다. 한편, 아암판(62)이 초기 위치로부터 감합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는, 아암판(62)의 후육부(67)가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진입하기 때문에, 양 하우징(20, 90)의 감합력을 받은 아암판(62)이 과도하게 확대 개방하고자 했을 때, 후육부(67)가 확대 개방 방지벽(35)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아암판(62)이 축부(33)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60)의 조작 신뢰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조립 위치에서는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박육부(66)가 확대 개방되는 스페이스를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확대 개방 방지벽(35)을 외측으로 크게 부풀어 나오게 할 필요가 없어, 전체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고,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판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버(60)의 조립 위치와 초기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판(62)의 후육부(67)가 조립 위치에서 확대 개방 방지벽(35)의 내부 공간(37)에 잘못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아암판(62) 전체 중에서 박육부(66)가 차지하는 비율은, 후육부(67)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판(62)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고, 레버(6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후육부(67)가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판(62)의 외주 가장자리측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레버가 감합 위치에 이르렀을 때, 시일 링의 일부가 외부에서 보이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감합 위치에서의 시일 링의 시인량을 관리함으로써, 양 하우징의 감합 상태 및 시일 링의 시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캠홈이 바닥이 있는 홈으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레버에 시일 링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용 확인창을 설치해도 좋다.
(3) 경우에 따라서는, 레버의 조립 위치와 초기 위치가 동일한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4) 축부와 확대 개방 방지벽은, 전선 커버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5) 후육부는, 아암판의 내면측에 패딩되어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후육부는, 아암판의 내외 양면측에 패딩되어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6) 레버는, 캠홈을 갖지 않는 공지의 랙 앤드 피니언식 또는 지레식의 레버이어도 좋다.
10 : 레버식 커넥터 20 : 하우징
21 : 하우징 본체 23 : 단자 수용부
24 : 감합 통부 25 : 연계부(접촉 방지벽)
33 : 축부 35 : 확대 개방 방지벽
36 : 여유부 37 : 내부 공간
60 : 레버 61 : 연결부
62 : 아암판 63 : 베어링 구멍
64 : 캠홈(확인창) 66 : 박육부
67 : 후육부 70 : 시일 링
90 : 상대 하우징 91 : 후드부
92 : 팔로어 핀

Claims (4)

  1.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측면에 축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부측에 내부 공간을 개방하여 이루어진 확대 개방 방지벽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연결부 및 그 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아암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도어형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조립 위치, 초기 위치 및 감합 위치를 순차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조립 위치에서는, 상기 아암판이 상기 축부와의 간섭에 의해 확대 개방 변형된 후, 상기 아암판이 상기 축부에 탄성적으로 감착(嵌着)되어, 상기 아암판의 일부가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의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걸쳐지도록 조립되고, 상기 초기 위치에서는, 상기 아암판이 상기 상대 하우징과 결합하고,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를 향해서 회동됨으로써, 배력 작용을 발휘하여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진행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아암판은, 외주 가장자리와, 상기 아암판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의 개구로부터 상기 외주 가장자리의 내측 폐쇄 단부까지 연장하는 캠홈, 및 상기 캠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위치에서 상기 아암판을 관통하는 베어링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판은, 상기 베어링 구멍을 둘러싸는 박육부와, 상기 캠홈이 연장하는 개구에 인접하고 상기 박육부보다 판두께가 두꺼운 후육부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박육부는 상기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의 상기 내부 공간에 진입하게 되고, 상기 후육부는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의 상기 내부 공간에 진입하여, 과도한 확대 개방 전에 상기 확대 개방 방지벽에 접촉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위치와 상기 초기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판 전체 중에서 상기 박육부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후육부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는 상기 아암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40046045A 2013-04-18 2014-04-17 레버식 커넥터 KR101611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87069A JP2014211999A (ja) 2013-04-18 2013-04-18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3-087069 2013-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319A KR20140125319A (ko) 2014-10-28
KR101611689B1 true KR101611689B1 (ko) 2016-04-11

Family

ID=5170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045A KR101611689B1 (ko) 2013-04-18 2014-04-17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06329B2 (ko)
JP (1) JP2014211999A (ko)
KR (1) KR101611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7403B2 (ja) * 2016-06-17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9692153B1 (en) * 2016-08-03 2017-06-27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ion system having a U-shaped handle with legs slidably or rotatably attached to a cam lever
JP2019091609A (ja) * 2017-11-14 2019-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92712B2 (ja) * 2019-07-11 2022-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115A (ja) 2000-11-28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6185772A (ja) 2004-12-28 2006-07-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3841B1 (fr) 1993-04-05 1995-06-16 Eurocopter France Connecteur electrique pourvu d'une pluralite de modules de connexion.
JP3726638B2 (ja) * 2000-05-16 200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726641B2 (ja) * 2000-05-23 200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079377A (ja) 2002-08-20 2004-03-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多芯型ケーブルの端末接続構造
US7137825B2 (en) 2004-03-31 2006-11-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jack connector
JP4475182B2 (ja) * 2005-06-27 2010-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20718B2 (ja) 2006-10-31 2011-07-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115A (ja) 2000-11-28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6185772A (ja) 2004-12-28 2006-07-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2944A (zh) 2014-10-22
KR20140125319A (ko) 2014-10-28
US20140370733A1 (en) 2014-12-18
US9306329B2 (en) 2016-04-05
JP2014211999A (ja)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21B1 (ko) 레버식 커넥터
US9948023B2 (en) Connector
JP4523987B1 (ja) スライドカム付きコネクタ
JP4702205B2 (ja) コネクタ
JP5407959B2 (ja) コネクタ
KR101611689B1 (ko) 레버식 커넥터
JP540796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0024231B (zh) 连接器
JP2014089808A (ja) コネクタ
JP396025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7159304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0073553B (zh) 带橡胶盖的连接器
JP2000331747A (ja) コネクタ
JP2007059153A (ja) コネクタ
US11139613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utomatic connection completion detection structure
JP2018152265A (ja) 防水コネクタ嵌合構造
US9991634B2 (en) Connector
US11437750B2 (en) Connector provided with restriction portion
JP624327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7279614B2 (ja) コネクタ
CN114284776B (zh) 连接器
JP4826488B2 (ja) コネクタ
CN112688105B (zh) 连接器
US20220384987A1 (en) Connector
JP71459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