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000B1 - 안경 렌즈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000B1
KR101610000B1 KR1020140108427A KR20140108427A KR101610000B1 KR 101610000 B1 KR101610000 B1 KR 101610000B1 KR 1020140108427 A KR1020140108427 A KR 1020140108427A KR 20140108427 A KR20140108427 A KR 20140108427A KR 101610000 B1 KR101610000 B1 KR 10161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change point
milling cutter
len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629A (ko
Inventor
하승석
이현철
심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14010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0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28Groov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36Production of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연마 휠과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원형 렌즈를 목적하는 형상의 안경 렌즈로 가공하는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의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얻어진 안경 렌즈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과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연마 가공 영역을 연마 휠로 연마 가공하고, 절단 가공 영역을 밀링 커터로 절단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을 연결한 연결선으로 이루어지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꼭지점들을 포함하는 다각형 영역인 컨벡스헐 영역(p) 외부이며, 상기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은, 상기 컨벡스헐 영역(p)과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이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가공 방법{Method for processing eyeglass lens}
본 발명은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 휠과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원형 렌즈를 목적하는 형상의 안경 렌즈로 가공하는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안경 렌즈를 안경테에 고정시키는 방식에 따라, 안경 렌즈의 전체 둘레를 안경테에 고정시키는 온테 안경, 안경 렌즈의 하단부 둘레에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과 안경테를 낚시줄로 걸어 고정시키는 반무테 안경, 안경 렌즈에 구멍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멍에 안경 부품들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무테 안경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안경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원형 렌즈(통상, 블랭크(blank) 렌즈라 한다)를 목적하는 안경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여야 한다. 안경 렌즈 가공기는, 트레이서(tracer)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형태(위치) 정보를 얻은 다음, 얻어진 안경테 형태 정보, 렌즈의 크기, 도수, 재질 등에 따라, 연마 휠(wheel), 밀링 커터(milling cutter), 드릴(drill)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안경 렌즈를 원하는 형상으로 자동으로 가공한다. 예를 들면, 무테 안경의 경우,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안경 렌즈의 임의의 위치에 수동 또는 자동 드릴로 소정 형상의 구멍을 가공하고, 가공된 구멍에 안경 부속품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도 1은 연마 휠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렌즈 가공기에는 모터(22)에 의하여 회전하는 연마 휠(20)이 장착되고, 클램프(24)에 고정된 원형 렌즈(10)가 상기 연마 휠(20)과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상기 클램프(24)는, 렌즈 가공기 내에서, 렌즈(10)를 회전시키거나(R 방향) 이동시키는(Y 방향) 회전 및 이동축의 역할을 한다. 렌즈 가공기는, 상기 연마 휠(20) 방향으로(도 1의 화살표 방향, Y 방향), 클램프(24)를 이동시켜, 회전하는 연마 휠(20)에 렌즈(10)가 맞닿도록 함으로써, 연마 휠(20)에 맞닿은 렌즈(10) 부위가 연삭되도록 한다. 상기 연마 과정을, 렌즈(10)를 회전시키면서, 렌즈(10)의 전체 둘레에 대하여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렌즈(10)을 가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26은 렌즈(10)에 부착되는 렌즈 고정용 테이프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8은 렌즈 고정용 블록을 나타내며, 상기 렌즈 고정용 블록(28)과 클램프(24)가 결합된다. 이러한 연마 휠(20)을 이용한 렌즈 가공 방법은 사용되는 장비가 간단하고, 렌즈(10) 가장자리를 단시간에 신속히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연마 휠(20)의 직경이 수십 mm 이상으로서, 수 mm 이하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 또는 작고 정교한 형상을 가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링 커터를 이용한 렌즈 가공에 있어서는, 모터(32)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진입 방향(도 2의 X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드릴 형태의 밀링 커터(30)가 렌즈(10) 전면에 위치한다. 렌즈(10) 가공에 있어서, 렌즈(1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32) 및 커터(30)가 렌즈(10) 표면으로 이동하여(도 2의 X 방향), 렌즈(10)를 연마하여, 렌즈(10)에 얕은 깊이(예를 들면, 0.25 mm 깊이)의 홈을 형을 형성한다. 동시에, 상기 렌즈(10)를 고정한 클램프(24) 또는 커터(30)가 렌즈(10)의 가공 궤적을 따라 Y 또는 Z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공 궤적을 따라, 렌즈(10)에 연속적으로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홈이 형성된 후, 커터(30)를 렌즈(10) 방향으로 조금 더 이동시켜, 렌즈(10)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안경 렌즈 부분(16)으로부터 렌즈(10) 가장자리의 불필요한 부분(18)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밀링 커터(30)를 이용한 렌즈 가공 방법은 수 mm 직경의 밀링 커터(드릴 비트)를 이용하므로, 작고 정교한 형상의 렌즈 가공이 가능하지만, 렌즈(10)의 가공 길이가 길거나 재질이 단단한 경우, 커터(30) 구동에 무리가 가거나, 커터(30)의 절삭날이 마모되어, 커터(30) 수명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고 미세한 형상을 가지거나 다양한 형상의 안경 렌즈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마 휠을 이용한 연마 가공 및 밀링 커터를 이용한 절단 가공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최소화하여, 기구적 부하 또는 진동을 최소화하고, 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의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얻어진 안경 렌즈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과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연마 가공 영역을 연마 휠로 연마 가공하고, 절단 가공 영역을 밀링 커터로 절단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을 연결한 연결선으로 이루어지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꼭지점들을 포함하는 다각형 영역인 컨벡스헐 영역(p) 외부이며, 상기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을 연결하는 연결선과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인 것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의하면, 작고 미세한 형상(수 mm 정도의 곡률)을 가지거나 다양한 형상의 안경 렌즈를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링 커터(드릴 비트)에 의한 가공 영역을 최소화하여, 기구적 부하 또는 진동을 최소화하고, 기구적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의하면, 연마 휠을 이용하여 연마 가공된 영역에 대하여, 렌즈 측면을 투명하게 가공하는 광택 휠의 이용이 가능하고, 가공된 렌즈 외곽의 날카로운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면치기)할 수 있다.
도 1은 연마 휠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따라 가공될 수 있는 미세한 형상의 안경 렌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미세 형상의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종래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있어서,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도 6의 A)과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도 6의 B)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있어서,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과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흐름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안경 렌즈 가공 장치는, 렌즈(10) 측면을 연마하여 가공하는 연마 휠(20) 및 렌즈(10)를 절단하여 가공하는 밀링 커터(30)를 모두 포함하며, 연마 휠(20)을 회전시키는 모터(22), 밀링 커터(30)를 회전시키는 밀링 커터 구동부(32), 렌즈(10)를 고정시키는 클램프(24), 상기 클램프(24)와 렌즈(10)를 회전 및 이동시키는 클램프 구동부(40)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 가공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은 각각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특허등록 10-0645779호 등 참조). 상기 밀링 커터(30)는 상기 렌즈(10)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 두께(d)에 걸쳐서, 상기 렌즈(10)의 측면과 접촉하고, 렌즈(10)의 절단 가공 궤적을 따라, 상기 렌즈(10) 측면의 접촉부를 절단하여(cutting), 렌즈(10) 중앙부의 안경 렌즈 부분과 렌즈 가장자리의 불필요한 부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링 커터(30)는,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drill)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커터(30)의 말단과 측면 모두에 절단날(cutting teeth)을 구비한다. 상기 커터(30)가 회전하면서 절단 대상물 쪽으로 전진하면, 드릴과 유사하게, 커터(34) 말단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대상물에 관통홀이 형성된다(평면 가공). 한편, 회전하는 커터(30)의 측면에 대상물이 접촉되면, 톱과 유사하게, 커터(30) 측면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대상물이 절단된다(측면 가공).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 휠(20) 및 밀링 커터(30)의 가공 특징을 결합하여, 수 mm 정도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미세한 형상의 안경 렌즈를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 휠(20) 및 밀링 커터(30)에 가해지는 작업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따라 가공될 수 있는 미세한 형상의 안경 렌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는 안경 렌즈(100)는 수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미세한 형상을 가지며, 외부로 돌출된(볼록한) 꼭지점 부분(102) 뿐 만 아니라, 오목한 부분(104)을 포함하므로, 직경이 수십 mm 이상인 연마 휠(20)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100)의 가장자리를 연마하여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경 렌즈(100)의 오목한 부분(104)을 가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연마 휠(20)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밀링 커터(30)를 이용하여, 해당 렌즈 형상 외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밀링 커터(30)를 이용하여 미세 형상의 안경 렌즈(100)를 가공하는 종래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밀링 커터(30)를 이용하더라도, 원형 렌즈(10)로부터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의 안경 렌즈(100) 외곽 부분을 한번에 절단하여 제거할 수 없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몇 개의 가공 경로(path, 106, 108)를 추가로 형성하여, 외곽 부분을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한 다음, 분리된 외곽 부분을 순차적으로 절단한다. 따라서, 밀링 커터(30)의 절단 경로가 길어지고, 밀링 커터(30)에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안경 렌즈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100)의 형상 정보, 즉 안경 렌즈(100)의 형상 데이터를 얻는다. 통상적으로, 안경 렌즈(100)의 형상 정보는 트레이서(tracer)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형상 정보를 얻음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서가 미세 또는 특수 구조의 안경테 형상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미세 구조의 렌즈 형상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프로그램이나 형상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얻는 이미지 프로세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의 형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얻어진 안경 렌즈(100)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연마 휠(20)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과 밀링 커터(30)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있어서, 연마 휠(20)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도 6의 A)과 밀링 커터(30)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도 6의 B)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휠(20)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100) 형상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50a, 50b, 50c…)을 연결한 연결선(52a, 52b, 52c…)으로 이루어지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꼭지점들을 모두 포함하는 다각형 영역(p), 즉, 컨벡스헐(convex hull) 영역의 외부이다. 여기서, 컨벡스헐(convex hull) 영역은 소정 형상을 구성하는 모든 점들을 포함하는 다각형 영역을 의미한다. 평면상의 영역이 convex 하다는 것은 그 영역에 속하는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분상의 모든 점들이 해상 영역에 속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점들의 모임에서 컨벡스헐을 찾는 것은 점들을 잇는 선분이 모두 포함되는 다각형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은 컨벡스헐을 형성할 수 있는 꼭지점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50a, 50b, 50c…)은 연마 휠(20)이 원형 렌즈 가장자리를 연마하여 도달할 수 있는 꼭지점을 의미하고, 상기 연결선(52a, 52b, 52c…)에 의하여 형성되는 영역(p)은 대체적으로 외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 큰 곡률을 가지는 연마 휠(20)에 의한 연마가 가능하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링 커터(30)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50a, 50b, 50c…)을 연결하는 연결선(52a, 52b, 52c…), 즉 상기 컨벡스헐 영역(p)과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100)에 의하여 형성되는(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절단 가공 영역(60a, 60b, 60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 가공 영역(60a, 60b, 60c,…)이 하나 뿐인 경우에는, 상기 연마 휠(20)에 의한 외부 연마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연마 가공 영역을 연마 휠(20)로 연마 가공하고, 절단 가공 영역을 밀링 커터(30)로 절단 가공한다. 따라서, 상기 밀링 커터(30)는 안경 렌즈 형상(100)을 둘러싸는 긴 구간의 절단 경로를 이동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50a, 50b, 50c…) 사이의 짧은 경로 만을 이동하면서 안경 렌즈 형상(100)을 가공한다.
도 7 및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있어서, 연마 휠(20)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과 밀링 커터(30)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흐름도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서, 기울기의 증가 방향이 변경되는 변화점(a, b, c, d, e, f), 예를 들면, 위로 볼록한 꼭지점(b, e), 아래로 볼록한 꼭지점(c, d), 끝 점(a, f)을 추출하고, 필요에 따라 추출된 점들을 x, y 좌표로 정리한다(S 10). 추출된 변화점(a, b, c, d, e, f) 중, 순차적으로 제1 변화점(a), 제2 변화점(b) 및 제3 변화점(c)의 3점(n, n+1, n+2)을 선택하고, 제1 변화점(a)과 제3 변화점(c)을 연결하는 연마 휠(20)에 의한 가공면(s, 연마 휠(20)의 곡률 보다 큰 곡면 또는 계산 편의상 직선이 될 수 있다)을 형성한다(S 20, 도 7의 A). 이때, 상기 제2 변화점(b, n+1)이 형성된 연마 휠(20)에 의한 가공면(s) 보다 외부(도 7에서는 높은 위치)에 있으면(S 30), 상기 제1 변화점(a)과 제2 변화점(b) 사이의 거리는 연마 휠(20)에 의한 가공이 가능하므로, 제2 변화점(b)은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으로 취급하고, 다음의 3점(제2 변화점(b), 제3 변화점(c) 및 제4 변화점(d), 즉, n+1, n+2, n+3)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다음(S 40), 상술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 추출 또는 판단 과정(S 20 및 S 30)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제2 변화점(b, n+1)이 형성된 연마 휠(20)에 의한 가공면(s) 보다 내부(도 7에서는 낮은 위치)에 있으면(S 30), 제2 변화점(b)은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으로 취급하지 않고 버린다(S 50). 이후, 제2 변화점(b)을 제외한 3점(제1 변화점(a), 제3 변화점(c) 및 제4 변화점(d), 즉, n, n+2, n+3)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다음(S 60), 상술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 추출 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면, 제2 변화점(b), 제3 변화점(c) 및 제4 변화점(d)의 3점에서, 제2 변화점(b)과 제4 변화점(d)을 연결하는 연마 휠(20)에 의한 가공면(s)을 형성하고(S 20), 제3 변화점(c)이 연마 휠(20)에 의한 가공면(s) 보다 내부에(도 7에서는 낮은 위치에) 있으면(S 30), 제3 변화점(c)은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으로 취급하지 않고 버린다(S 50, 도 7의 B). 이 경우, 다음 번 비교 프로세스는, 버려진 제3 변화점(c)을 제외하고, 제2 변화점(b)부터 시작된다. 즉, 제2 변화점(b), 제4 변화점(d) 및 제5 변화점(e)를 선택하여(S 60), 상술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 추출 또는 판단 과정(S 20 및 S 30)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제4 변화점(d)도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으로 취급되지 않고 버려진다. 이 후, 제2 변화점(b), 제5 변화점(e) 및 제6 변화점(f)을 선택하고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면, 제5 변화점(e)은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으로 취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연마 휠(20)에 의한 연마 경로(50a, 50b, 50c… 또는 p)가 완성된다(도 7의 C).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를 가공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는,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100)의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50a, 50b)과 안경 렌즈 형상(100)에 의하여 둘러싸인 절단 가공 영역(60a)이 하나 뿐인 경우로서, 상기 연마 휠(20)에 의한 외부 연마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상기 밀링 커터(30)에 의해 상기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50a, 50b)과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100)에 의하여 둘러싸인 하나의 절단 가공 영역(60a)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밀링 커터(30)에 의한 절단 가공 길이가 2πR(R은 안경 렌즈(100)의 반지름)인 것을 2R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밀링 커터(30)에 의한 절단 가공 길이를 약 32%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는, 안경 렌즈 형상(100)의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50a, 50b, 50c)과 안경 렌즈 형상(100)에 의하여 둘러싸인 절단 가공 영역(60a)의 길이가 더욱 짧은 경우로서, 이 경우, 밀링 커터(30)에 의한 절단 가공 길이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 가공 방법에 의하면, 연마 휠(20)을 이용하여 연마 가공된 영역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휠을 이용한 추가 가공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광택 휠을 이용하여 렌즈 측면을 투명하게 가공하거나, 면치기 휠을 이용하여 가공된 렌즈 외곽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면치기)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추가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의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얻어진 안경 렌즈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과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연마 가공 영역을 연마 휠로 연마 가공하고, 절단 가공 영역을 밀링 커터로 절단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은,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을 연결한 연결선으로 이루어지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꼭지점들을 포함하는 다각형 영역인 컨벡스헐 영역(p) 외부이며, 상기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은 연마 휠이 원형 렌즈 가장자리를 연마하여 도달할 수 있는 안경 렌즈 형상의 꼭지점이고,
    상기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은, 상기 컨벡스헐 영역(p)과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이며, 상기 밀링 커터는 상기 돌출된 꼭지점 사이의 경로 만을 이동하면서 안경 렌즈 형상을 가공하는 것인, 안경 렌즈 가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마 휠에 의한 연마 가공 영역과 밀링 커터에 의한 절단 가공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가공하고자 하는 안경 렌즈 형상에서, 기울기의 증가 방향이 변경되는 변화점(a, b, c, d, e, f)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변화점(a, b, c, d, e, f) 중, 순차적으로 제1 변화점(a), 제2 변화점(b) 및 제3 변화점(c)의 3점을 선택하고, 제1 변화점(a)과 제3 변화점(c)을 연결하는 연마 휠에 의한 가공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변화점(b)이 연마 휠에 의한 가공면(s) 보다 외부에 있으면, 제2 변화점(b)은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으로 취급하고, 다음의 3점(제2 변화점(b), 제3 변화점(c) 및 제4 변화점(d))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다음, 상술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 추출 과정을 반복하며, 상기 제2 변화점(b)이 연마 휠에 의한 가공면(s) 보다 내부에 있으면, 제2 변화점(b)은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으로 취급하지 않고 버리고, 버려진 제2 변화점(b)을 제외한 3점(제1 변화점(a), 제3 변화점(c) 및 제4 변화점(d))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다음, 상술한 외부로 돌출된 꼭지점 추출 과정을 반복하는 것인, 안경 렌즈 가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마 휠에 의한 가공면은 연마 휠의 곡률 보다 큰 곡면 또는 직선인 것인, 안경 렌즈 가공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링 커터가 회전하면서 절단 대상물 쪽으로 전진하면, 커터 말단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대상물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회전하는 커터의 측면에 대상물이 접촉되면, 커터 측면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대상물이 절단되는 것인, 안경 렌즈 가공 방법.
KR1020140108427A 2014-08-20 2014-08-20 안경 렌즈 가공 방법 KR10161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27A KR101610000B1 (ko) 2014-08-20 2014-08-20 안경 렌즈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27A KR101610000B1 (ko) 2014-08-20 2014-08-20 안경 렌즈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29A KR20160022629A (ko) 2016-03-02
KR101610000B1 true KR101610000B1 (ko) 2016-04-07

Family

ID=5558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27A KR101610000B1 (ko) 2014-08-20 2014-08-20 안경 렌즈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410A (ko)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휴비츠 안경 렌즈 가공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9583A (ja) 1999-12-27 2001-07-03 Topcon Corp レンズ加工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並びにその処理方法を用いたレンズ研削加工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06150526A (ja) * 2004-11-30 2006-06-15 Hoya Corp 光学レンズの研磨方法
JP4040920B2 (ja) * 2002-07-02 2008-01-30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の研削方法及びレンズ研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9583A (ja) 1999-12-27 2001-07-03 Topcon Corp レンズ加工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並びにその処理方法を用いたレンズ研削加工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4040920B2 (ja) * 2002-07-02 2008-01-30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の研削方法及びレンズ研削装置
JP2006150526A (ja) * 2004-11-30 2006-06-15 Hoya Corp 光学レンズの研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410A (ko)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휴비츠 안경 렌즈 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29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75B1 (ko) SiC 웨이퍼의 가공 방법
KR101752256B1 (ko)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의 처리 방법
JP2009233794A (ja) シリコンブロックの研削研磨機及びシリコンウエハの加工方法
US10843381B2 (en) LED wafer processing method
JP6198618B2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US10112280B2 (en) Method for machining optical workpieces, in particular, plastic spectacle lenses
KR101713523B1 (ko) 안경 렌즈 둘레 가공 장치 및 방법
JP2013115187A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KR101610000B1 (ko) 안경 렌즈 가공 방법
JP5976270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5313014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2009297862A (ja) 研磨用工具
US10576600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edge of eyeglass lens
CN109676810B (zh) 用于切割表镜的方法
JP5623249B2 (ja) ウェーハの面取り方法
KR101394226B1 (ko) 안경 렌즈 가공 방법
US8317571B2 (en) Grinding assembly for glass slabs and grinding head for a rectilinear grinding machine equipped with such assembly
JP2003231001A (ja) 玉型加工方法及び装置
JP6161463B2 (ja) 異物除去工具及び異物除去方法
KR101405838B1 (ko) 밀링 커터를 이용한 안경 렌즈 가공 장치 및 방법
KR101887016B1 (ko) 안경 렌즈 가장자리 가공 방법
KR101887015B1 (ko) 안경 렌즈 가장자리 가공 장치
KR20140062213A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및 방법
JP6686413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および加工制御プログラム
CN114701078A (zh) 一种镜片铣磨系统及其工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