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80B1 -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9780B1 KR101609780B1 KR1020150022617A KR20150022617A KR101609780B1 KR 101609780 B1 KR101609780 B1 KR 101609780B1 KR 1020150022617 A KR1020150022617 A KR 1020150022617A KR 20150022617 A KR20150022617 A KR 20150022617A KR 101609780 B1 KR101609780 B1 KR 101609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main body
- support
- heavy object
- c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용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형 중량물들을 목적지에 하역한 후 복수 개의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하고, 나머지 컨테이너들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 화물을 수납하여 회항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물류 운송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형 중량물들을 목적지에 하역한 후 복수 개의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하고, 나머지 컨테이너들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 화물을 수납하여 회항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물류 운송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형 중량물들을 목적지에 하역한 후 복수 개의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하고, 나머지 컨테이너들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 화물을 수납하여 회항할 수 있어, 전체적인 물류 운송 비용이 절감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강철 따위의 금속을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압연하여 만들어 낸 핫코일(hot coil)과 같이 수 내지 수십 톤(ton)의 무게를 가진 코일형 중량물(R)은 그 무게가 규격에 따라 15 내지 30 톤(ton)에 이르므로, 육상 운송의 경우에는 코일 전용 트레일러를 이용하거나 평판 트레일러에 코일을 결속하여 운송하고 있으며, 해상 운송의 경우에는 벌크 선박을 이용하거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일반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하고 있다.
벌크 선박을 이용한 운송의 경우에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벌크 선박의 운행이 부정기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화물 운소의 납기 준수가 어렵고, 벌크 선박의 화물 운임의 변동폭이 심화되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 컨테이너 물량 증가에 따른 컨테이너 운임 인하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박을 활용하는 운송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코일형 중량물(R)을 해상 운송하는 경우도, 해상 운송 중에 발생하는 선박의 롤링 및 피칭 등의 선박 운동(Ship motion)에 의해 코일형 중량물(R)을 지지하는 짐 깔개(dunnage)가 파손되거나, 컨테이너에 손상을 주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다른 화물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져, 일반 잡화용 컨테이너인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에 목재를 짐 깔개(dunnage)로 사용하는 방법은 해운 선사로부터 선적 기피대상 품목으로까지 취급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코일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코일 전용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코일형 중량물(R)만을 운송할 수 있으므로, 다른 화물을 싣지 못하여 목적지에서 코일을 하역한 후 비어있는 컨테이너를 다시 출발지로 회수해야만 하므로, 이에 따른 운임 증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따라서, 코일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코일형 중량물(R)을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용 코일 지지대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일형 중량물들을 목적지에 하역한 후 복수 개의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하고, 나머지 컨테이너들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 화물을 수납하여 회항할 수 있어, 전체적인 물류 운송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는,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용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의 플로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용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 하면을 각각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의 하면만이 상기 컨테이너의 플로어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컨테이너의 플로어에 대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 방지 유닛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재로서, 상기 지지홈의 좌우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 부재는, 전후좌우에서 관찰할 때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의 외부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 부재는,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측면보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쌍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는 상기 측면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보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보의 양단부는 상기 측면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기 연장 부재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면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가로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보의 하단부에는 보강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를 상기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잠금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된 결합 홈부와 결합되는 잠금 위치와 상기 결합 홈부로부터 분리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잠금 막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잠금 장치는, 상기 잠금 막대를 상기 결합 홈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막대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스토퍼가 상기 결합 홈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 잠금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잠금 장치는, 상기 전면보에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부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컨테이너의 판넬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판넬 홈부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상부 접촉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접촉면과 하부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상부 접촉면이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하부 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자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단부 좌우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본체의 좌우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므로, 코일형 중량물들을 목적지에 하역한 후 복수 개의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하고, 나머지 컨테이너들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 화물을 수납하여 회항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물류 운송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제1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마찰 방지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카세트 유닛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가이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본체의 좌측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가이드 유닛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상면에 코일형 중량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제2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2 잠금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제1 잠금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된 결합 홈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제1 잠금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제1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마찰 방지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카세트 유닛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가이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본체의 좌측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가이드 유닛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상면에 코일형 중량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제2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2 잠금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제1 잠금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된 결합 홈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제1 잠금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강철 따위의 금속을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압연하여 만들어 낸 핫코일(hot coil)과 같이 수 내지 수십 톤(ton)의 무게를 가진 코일형 중량물(R)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C)의 내부로 수용되는 지지대로서, 소위 코일 랙(coil rack)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테이너(C)가, 냉동, 액체, 통풍 등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화물수송에 이용되는 일반 잡화용 컨테이너인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C)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전방 프레임(2)과, 후방 프레임(3)과 측방 프레임(4)을 포함하는 베이스(1)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의 네 코너에는, 트레일러 샤시(Trailer Chassis) 또는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 등에 마련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잠금장치(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코너 캐스팅(6)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의 상면에는 사각 평판 형상의 플로어(F)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본체(10)와, 제1 잠금 장치(20)와, 제2 잠금 장치(30)와, 가이드 유닛(40)과, 마찰 방지 유닛(50)과, 카세트 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사각 프레임 구조물로서, 측면보(11)와, 전면보(12)와, 후면보(13)와, 가로보(14)와, 지지 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보(11)는,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보(11)는 "I"자형 단면의 강제 보(beam)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중앙부 외측면 각각에는,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fork)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하는 구멍인 한 쌍의 포크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보(11)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나 쇠사슬을 이용하여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라싱용 부재(18)가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면보(12)는, 상기 측면보(11)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한 좌우 방향(C2)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1)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보(12)는 "S"자형 단면의 강제 보(beam)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면보(13)는, 상기 측면보(11)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한 좌우 방향(C2)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1)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보(13)는 "S"자형 단면의 강제 보(beam)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면보(13)의 중앙부 외측면에는,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fork)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하는 구멍인 한 쌍의 포크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4)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길게 연장된 보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나열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나 쇠사슬을 이용하여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라싱용 부재(18)가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4)의 중간부 하단에는 "ㄴ"자형 단면을 가진 강제 보인 보강 부재(141)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4)의 상단부에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의 외주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지지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15)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V"자형 단면의 금속판 부재로서, 하면이 상기 지지홈(142)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최상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15)의 바닥면에는 빗물 등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는 배수구(19)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19)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나열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의 외주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재로서, 상기 지지 부재(15)의 좌우 외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 쌍의 연장 부재(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장 부재(16)는, 복수 쌍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측면보(11)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상기 연장 부재(1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에서 관찰할 때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의 외부 표면(161, 162, 163, 164)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연장 부재(16)의 양 측면(163)은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부재(16)의 내면(161, 162)과 외면(164)은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져 뾰족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장 부재(16)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공간(166)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 공간(166)은 상기 연장 부재(16)의 외부 표면(161, 162, 163, 16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연장 부재(16)가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연장 부재(16)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R)과 접촉가능한 제1 경사면(161)과, 상기 제1 경사면(161)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α)만큼 내측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일형 중량물(R)과 접촉가능한 제2 경사면(16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경사면(16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경사면(162)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경사면(161)의 경사각이 상기 제2 경사면(162)의 경사각보다 상기 각도(α)만큼 더 크다.
상기 연장 부재(16)의 외면(164)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막대 부재인 보호 부재(165)가 돌출된 상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호 부재(165)는,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배치된 8개의 연장 부재(16)에 1개씩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장 부재(16)의 외면(164)에는 상기 수용 공간(166)과 연통되어 있는 관통공(16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4)의 양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기 연장 부재(16)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측면보(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잠금 장치(20)는,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10)를 상기 컨테이너(C)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후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잠금 장치(20)는, 잠금 막대(21)와, 제1 가이드 부재(22)와, 제2 가이드 부재(23)와, 컨넥팅 로드(24)와, 고정 부재(25)와, 탄성 부재(26)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 막대(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축(C2)을 따라 길게 연장된 사각 단면의 막대 부재로서, 상기 컨테이너(C)에 형성된 결합 홈부(9)와 결합되는 잠금 위치(도 4의 우측 잠금 막대(21) 참조)와 상기 결합 홈부(9)로부터 분리되는 해제 위치(도 4의 좌측 잠금 막대(21) 참조)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 홈부(9)로서, 상기 컨테이너(C)의 베이스(1)의 네 코너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베이스 포스트(5)의 내면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포스트 홈부(9)가 사용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2)는, 상기 잠금 막대(21)의 왕복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잠금 막대(21)가 관통하는 사각형 모양의 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2)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상기 측면보(11)의 외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3)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2)의 후방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컨넥팅 로드(24)가 관통하는 원형 모양의 관통공(23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23)는 상기 컨넥팅 로드(24)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컨넥팅 로드(24)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형의 막대 부재로서, 일단부는 상기 잠금 막대(21)에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재(25)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 부재로서, 일단부는 상기 후면보(13)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컨넥팅 로드(24)의 "ㄴ"자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 막대(21)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넥팅 로드(24)의 "ㄴ"자 타단부가 상기 고정 부재(25)에 걸려서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전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탄성 부재(26)는, 코일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잠금 막대(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막대(21)를 상기 결합 홈부(9)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C)의 결합 홈부(9)에는,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막대(21)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스토퍼(27)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잠금 장치(30)는,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10)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장치로서, 도 1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보(12)의 전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잠금 장치(30)는, 제1 결합 부재(31)와 제2 결합 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31)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 블럭 부재로서, 후단부는 상기 전면보(12)의 앞면에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경사진 상부 접촉면(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접촉면(311)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의 전방 프레임(2) 상단부에 마련된 판넬(7)에 가까워지는 방향인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의 평면 형상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C)의 판넬(7)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에 많이 사용되는 물결 무늬 형상의 코로게이트 판넬(corrugate panel)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된 복수 개의 판넬 홈부(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결합 부재(32)는, "ㄱ"자형 블럭 부재로서, 하단부는 상기 판넬 홈부(8)에 수용된 상태로 용접결합되어 있고, 상단부는 상기 제1 결합 부재(31)를 향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 결합 부재(32)의 상단부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31)의 상부 접촉면(311)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 접촉면(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결합 부재(32)의 하부 접촉면(321)은, 상기 제1 결합 부재(31)를 향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형태의 평면 형상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접촉면(321)은 상기 상부 접촉면(311)과 나란하다.
따라서, 상기 제2 잠금 장치(3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31)의 상부 접촉면(311)이 상기 제2 결합 부재(32)의 하부 접촉면(321)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자동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 유닛(40)은,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본체(10)의 좌우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40)은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상기 측면보(11)의 외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4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컨테이너(C)의 내벽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한 롤러(4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롤러(41)는, 상기 측면보(11)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용접된 한 쌍의 브라켓(42) 사이에 배치되며, 제3 중심축(C3)을 따라 길게 연장된 핀(4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42)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중심축(C3)은, 상기 제1 중심축(C1) 및 제2 중심축(C2)과 수직하게 교차한다.
상기 롤러(41)의 전방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41)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판인 보호판(44)이 상기 측면보(11)의 외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호판(44)은, 상기 측면보(11)의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측면보(11)의 외측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마찰 방지 유닛(50)은,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대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51)와, 제1 패드 고정부재(52)와, 제2 패드 고정부재(53)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51)는, 금속에 비하여 연질이며 미끄러운 재질로 제조된 판형 부재로서, 상기 측면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비교적 납작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패드(51)는 복수 개 마련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3개씩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패드(51)의 하면은,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만이 코일형 중량물(R)의 전체 하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높이만큼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가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51)의 하면만이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코일형 중량물(R)의 전체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패드(51)에는,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의 결합공(511) 및 결합홈(5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511)은 상기 패드(51)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이며, 상기 결합홈(512)은 상기 패드(51)의 하면에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형성된 일자형 홈이다.
상기 결합홈(512)은, 금속 밴드(미도시) 등에 의하여 상기 패드(51)를 상기 측면보(11)에 결합시키기 위한 홈으로서, 내부에 금속 밴드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금속 밴드(미도시)는 상기 측면보(11)와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나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 고정부재(52)는, 상기 측면보(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원형의 돌기로서, 상기 패드(51)의 결합공(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패드 고정부재(52)는, 상기 패드(51)의 결합공(511)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2 패드 고정부재(53)는, 상기 측면보(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직선형 돌기로서, 상기 패드(51)의 전단 및 후단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패드 고정부재(53)는, 상기 패드(51)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후로 위치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세트 유닛(60)은,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미리 수용되는 장치로서, 레일(61)과, 레일 연결 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61)은,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판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측면보(11)의 하면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61)은, 상기 패드(51)의 하면을 각각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부재로서, 상면에는 상기 패드(51)가 접촉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U"자형 가이드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61)은 복수 개의 레일 연결 부재(62)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유닛(60)은, 상기 본체(10)를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로 수납하기 전에 미리,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 위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카세트 유닛(60)을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 위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용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이 적재되지 않은 본체(10)의 전단부를 상기 카세트 유닛(60)의 위에 걸쳐 놓는다. 이때, 적어도 한대 이상의 포크 리프트가 상기 측면보(11) 및 후면보(13)에 형성된 포크 삽입구(17)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를 지지한다.
이렇게 포크 리프트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코일형 중량물(R)을 상기 지지 부재(15) 위에 적재하고, 로프 및 라싱용 부재(18)을 이용하여 코일형 중량물(R)을 단단히 본체(10)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코일형 중량물(R)이 상기 본체(10)에 적재된 후, 상기 후면보(13)에 형성된 포크 삽입구(17)에 결합된 포크 리프트가 전진하게 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가 전진하면서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된다. 이때, 상기 제2 잠금 장치(30)의 제1 결합 부재(31)와 제2 결합 부재(32)가 서로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잠금 장치(20)의 잠금 막대(21)를 컨테이너(C)의 포스트 홈부(9)에 삽입하면,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의 수납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상기 컨테이너(C)의 외부로 인출하는 작업은 상기 수납 작업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전후 방향(C1)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11)와, 상기 측면보(11)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12)와, 상기 측면보(11)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13)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홈(142)을 포함하며, 코일형 중량물(R)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므로, 코일형 중량물(R)들을 목적지에 하역한 후 복수 개의 컨테이너(C)들 중 하나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하고, 나머지 컨테이너(C)들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 화물을 수납하여 회항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물류 운송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로 수용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 하면을 각각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61)을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60)을 포함하므로, 상기 본체(10)를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로 전진시켜 수납할 때, 육중한 코일형 중량물(R)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하면이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를 긁어서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만이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직간접적으로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므로, 상기 플로어(F)의 중앙부 근처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아, 상기 컨테이너(C)의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고려할 때 컨테이너(C)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대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 방지 유닛(5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도 상기 본체(10)를 전방으로 전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재로서, 상기 지지홈(142)의 좌우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연장 부재(16)를 포함하므로, 코일형 중량물(R)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연장 부재(16)가, 전후좌우에서 관찰할 때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의 외부 표면(161, 162, 163, 164)을 구비하므로, 다단으로 적층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하측에 위치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의 위로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며, 하측에 위치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의 위에 안착된 후에는 전후좌우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연장 부재(16)가,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공간(166)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경우에 전체적인 적층 높이가 감소되어, 코일형 중량물(R)의 하역 후 회항시에 다량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가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연장 부재(16)가 상기 측면보(11)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쌍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는 상기 측면보(11)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보(14)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보(14)의 양단부는 상기 측면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기 연장 부재(16)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경우에 전체적인 적층 높이가 감소될 수 있어, 코일형 중량물(R)의 하역 후 회항시에 다량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가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측면보(11)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보(14)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홈(142)은 상기 가로보(1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보(14)의 하단부에는 보강 부재(14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코일형 중량물(R)에 의한 하중으로 엄청난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가로보(14)의 하단부의 구조 강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10)를 상기 컨테이너(C)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잠금 장치(20)를 포함하므로, 운송 중에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위치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제1 잠금 장치(20)가, 상기 컨테이너(C)에 형성된 결합 홈부(9)와 결합되는 잠금 위치와 상기 결합 홈부(9)로부터 분리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잠금 막대(21)를 구비하므로, 별도의 외부 잠금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상기 본체(10)를 상기 컨테이너(C)에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제1 잠금 장치(20)가, 상기 잠금 막대(21)를 상기 결합 홈부(9)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26)를 구비하므로, 코일형 중량물(R)의 운송 중에 상기 본체(10)가 좌우로 움직이더라도, 잠금 위치에 있는 상기 잠금 막대(21)가 항상 상기 결합 홈부(9)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막대(21)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스토퍼(27)가 상기 결합 홈부(9)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운송 중에 상기 본체(10)가 상기 플로어(F)의 위쪽으로 들썩거리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본체(10)의 전단부에는,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10)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 잠금 장치(3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운송 중에 상기 본체(10)의 전단부가 상기 플로어(F)의 위쪽으로 들썩거리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제2 잠금 장치(30)가, 상기 전면보(12)에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부 접촉면(311)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부재(31)과, 상기 컨테이너(C)의 판넬(7)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판넬 홈부(8)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31)의 상부 접촉면(311)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 접촉면(321)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부재(3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접촉면(311)과 하부 접촉면(321)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31)의 상부 접촉면(311)이 상기 제2 결합 부재(32)의 하부 접촉면(321)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자동적으로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제2 잠금 장치(30)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본체(10)의 전단부 좌우에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본체(10)의 좌우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40)을 구비하므로,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전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세트 유닛(60)이 단순히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 위에 올려져 있으나, 상기 카세트 유닛(60)이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C)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61)이 상기 패드(51)가 접촉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U"자형 가이드 홈(63)을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측면보(11)가 상기 레일(61)로부터 상방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홈(63)의 양쪽 상단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레일(61)이 상기 측면보(11)의 하단부 양단을 "⊂____⊃" 형태로 감싸도록 하는 구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10: 본체
11: 측면보 12: 전면보
13: 후면보 14: 가로보
15: 지지 부재 16: 연장 부재
17: 포크 삽입구 18: 라싱용 부재
19: 배수구 20: 제1 잠금 장치
21: 잠금 막대 22: 제1 가이드 부재
23: 제2 가이드 부재 24: 컨넥팅 로드
25: 고정 부재 26: 탄성 부재
27: 스토퍼 30: 제2 잠금 장치
31: 제1 결합 부재 32: 제2 결합 부재
40: 가이드 유닛 41: 롤러
42: 브라켓 43: 핀
44: 보호판 50: 마찰 방지 유닛
51: 패드 52: 제1 패드 고정부재
53: 제2 패드 고정부재 60: 카세트 유닛
61: 레일 62: 레일 연결 부재
63: 가이드 홈 141: 보강 부재
142: 지지홈 161: 제1 경사면
162: 제2 경사면 163: 측면
164: 외면 165: 보호 부재
166: 수용 공간 167: 관통공
221: 관통공 231: 관통공
311: 상부 접촉면 321: 하부 접촉면
511: 결합공 512: 결합홈
1: 베이스 2: 전방 프레임
3: 후방 프레임 4: 측방 프레임
5: 베이스 포스트 6: 코너 캐스팅
7: 판넬 8: 판넬 홈부
9: 결합 홈부, 포스트 홈부 C1: 제1 중심축
C2: 제2 중심축 C3: 제3 중심축
R : 코일형 중량물
100 :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10: 본체
11: 측면보 12: 전면보
13: 후면보 14: 가로보
15: 지지 부재 16: 연장 부재
17: 포크 삽입구 18: 라싱용 부재
19: 배수구 20: 제1 잠금 장치
21: 잠금 막대 22: 제1 가이드 부재
23: 제2 가이드 부재 24: 컨넥팅 로드
25: 고정 부재 26: 탄성 부재
27: 스토퍼 30: 제2 잠금 장치
31: 제1 결합 부재 32: 제2 결합 부재
40: 가이드 유닛 41: 롤러
42: 브라켓 43: 핀
44: 보호판 50: 마찰 방지 유닛
51: 패드 52: 제1 패드 고정부재
53: 제2 패드 고정부재 60: 카세트 유닛
61: 레일 62: 레일 연결 부재
63: 가이드 홈 141: 보강 부재
142: 지지홈 161: 제1 경사면
162: 제2 경사면 163: 측면
164: 외면 165: 보호 부재
166: 수용 공간 167: 관통공
221: 관통공 231: 관통공
311: 상부 접촉면 321: 하부 접촉면
511: 결합공 512: 결합홈
1: 베이스 2: 전방 프레임
3: 후방 프레임 4: 측방 프레임
5: 베이스 포스트 6: 코너 캐스팅
7: 판넬 8: 판넬 홈부
9: 결합 홈부, 포스트 홈부 C1: 제1 중심축
C2: 제2 중심축 C3: 제3 중심축
R : 코일형 중량물
Claims (16)
-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용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홈을 포함하며,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재로서, 상기 지지홈의 좌우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연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측면보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쌍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는 상기 측면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보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보의 양단부는 상기 측면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기 연장 부재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플로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용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 하면을 각각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의 하면만이 상기 컨테이너의 플로어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컨테이너의 플로어에 대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 방지 유닛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는, 전후좌우에서 관찰할 때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의 외부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는,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면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가로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보의 하단부에는 보강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를 상기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된 결합 홈부와 결합되는 잠금 위치와 상기 결합 홈부로부터 분리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잠금 막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장치는, 상기 잠금 막대를 상기 결합 홈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막대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스토퍼가 상기 결합 홈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본체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 잠금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장치는,
상기 전면보에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부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컨테이너의 판넬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판넬 홈부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상부 접촉면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접촉면과 하부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상부 접촉면이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하부 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자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단부 좌우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본체의 좌우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2617A KR101609780B1 (ko) | 2015-02-13 | 2015-02-13 |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2617A KR101609780B1 (ko) | 2015-02-13 | 2015-02-13 |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9780B1 true KR101609780B1 (ko) | 2016-04-06 |
Family
ID=5579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2617A KR101609780B1 (ko) | 2015-02-13 | 2015-02-13 |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9780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706926C1 (ru) * | 2019-08-21 | 2019-11-21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нтезРейл" |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и стального металлопроката в виде рулонов и грузов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
RU198898U1 (ru) * | 2020-04-10 | 2020-07-31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А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 Контейнер |
RU201886U1 (ru) * | 2015-12-10 | 2021-01-20 | ЛЯУДЕ СМАРТ ИНТЕРМОДАЛЬ Спулка Акцыйна | Платфор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зделий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
CN112357609A (zh) * | 2020-11-11 | 2021-02-12 | 福州国化智能技术有限公司 | 一种背开门集装箱的货物自动装卸系统 |
KR20210033188A (ko) * | 2019-09-18 | 2021-03-26 | 주식회사 동방 | 코일 운반용 팔레트 |
CN112572278A (zh) * | 2020-12-30 | 2021-03-30 | 北京科达合鑫高新材料有限公司 | 一种可调间距金属卷材运输座架 |
CN114194629A (zh) * | 2022-01-05 | 2022-03-18 | 上海新阳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 引线框架料盒收纳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5616B2 (ja) * | 1994-10-05 | 2000-03-27 | 信知 江頭 | 防ダニ環境形成方法 |
JP2004149178A (ja) * | 2002-10-31 | 2004-05-27 | Sumitomo Metal Logistics Service Co Ltd | 重量物用パレット |
KR101062925B1 (ko) * | 2009-03-11 | 2011-09-07 |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컨테이너의 화물 탑재 어셈블리 및 그 적층 구조 |
-
2015
- 2015-02-13 KR KR1020150022617A patent/KR1016097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5616B2 (ja) * | 1994-10-05 | 2000-03-27 | 信知 江頭 | 防ダニ環境形成方法 |
JP2004149178A (ja) * | 2002-10-31 | 2004-05-27 | Sumitomo Metal Logistics Service Co Ltd | 重量物用パレット |
KR101062925B1 (ko) * | 2009-03-11 | 2011-09-07 |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컨테이너의 화물 탑재 어셈블리 및 그 적층 구조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01886U1 (ru) * | 2015-12-10 | 2021-01-20 | ЛЯУДЕ СМАРТ ИНТЕРМОДАЛЬ Спулка Акцыйна | Платфор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зделий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
RU2706926C1 (ru) * | 2019-08-21 | 2019-11-21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нтезРейл" |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и стального металлопроката в виде рулонов и грузов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
KR20210033188A (ko) * | 2019-09-18 | 2021-03-26 | 주식회사 동방 | 코일 운반용 팔레트 |
KR102314704B1 (ko) * | 2019-09-18 | 2021-10-19 | 주식회사 동방 | 코일 운반용 팔레트 |
RU198898U1 (ru) * | 2020-04-10 | 2020-07-31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А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 Контейнер |
CN112357609A (zh) * | 2020-11-11 | 2021-02-12 | 福州国化智能技术有限公司 | 一种背开门集装箱的货物自动装卸系统 |
CN112572278A (zh) * | 2020-12-30 | 2021-03-30 | 北京科达合鑫高新材料有限公司 | 一种可调间距金属卷材运输座架 |
CN114194629A (zh) * | 2022-01-05 | 2022-03-18 | 上海新阳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 引线框架料盒收纳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9780B1 (ko) |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
US8881898B2 (en) | Wheel storage and transport frame | |
US20040247422A1 (en) | Cargo roller system for cargo handling | |
US8002128B2 (en) | Decking beam rack apparatus and method | |
EP1907288B1 (en) | Freight pallet with detachable based sled | |
FI125787B (fi) | Kuljetusteline | |
EP1670662B1 (en) |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goods | |
CN106536359A (zh) | 输送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 |
US6637351B1 (en) | Shipping pallet with retractable rails | |
US9440769B2 (en) | Platform for use in a logistic system | |
JP5332415B2 (ja) | コイル状重量物保持器 | |
CN210140139U (zh) | 运输架 | |
KR101659978B1 (ko) |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 |
JP4322811B2 (ja) | コイル状搬送物用のパレット、パレットへのコイル状搬送物の積載構造体、搬送物積載パレットの段積構造体及び使用方法、輸送容器への搬送物積載段積パレットの収容構造体及び搬送方法、並びにコイル状搬送物の輸送方法 | |
CN209834574U (zh) | 一种集装箱 | |
JP2004352363A (ja) | 輸送装置 | |
US20090317205A1 (en) | Decking beam support bracket | |
KR101647092B1 (ko) |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
US20210047107A1 (en) | Shipping container | |
US11377019B1 (en) | Container truckload restraint feature (CTRF) incorporated in extruded side wall (ESW) ordnance containers | |
KR101647093B1 (ko) | 마찰 방지 유닛을 구비한 중량물 지지대 | |
US11214436B2 (en) | Transport platform | |
KR101473974B1 (ko) | 코일 운송용 컨테이너 | |
US2007023545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goods | |
US8113753B1 (en) | Dunnage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