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978B1 -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978B1
KR101659978B1 KR1020150054315A KR20150054315A KR101659978B1 KR 101659978 B1 KR101659978 B1 KR 101659978B1 KR 1020150054315 A KR1020150054315 A KR 1020150054315A KR 20150054315 A KR20150054315 A KR 20150054315A KR 101659978 B1 KR101659978 B1 KR 10165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member
posture
container
coil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인
Original Assignee
(주)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밴플러스 filed Critical (주)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5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floor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형 중량물과 일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로서, 상기 일반 화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바닥면;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나란한 제1 자세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자세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데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데크 부재는,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바닥면과 협력하여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V"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형 중량물과 일반 화물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재할 수 있어, 코일 전용 컨테이너와 달리 비어 있는 상태로 회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적인 화물 운송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A freight container to contain coil-shape weights}
본 발명은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형 중량물과 일반 화물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강철 따위의 금속을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압연하여 만들어 낸 핫코일(hot coil)과 같이 수 내지 수십 톤(ton)의 무게를 가진 코일형 중량물(R)은 그 무게가 규격에 따라 15 내지 30 톤(ton)에 이르므로, 육상 운송의 경우에는 코일 전용 트레일러를 이용하거나 평판 트레일러에 코일을 결속하여 운송하고 있으며, 해상 운송의 경우에는 벌크 선박을 이용하거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일반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하고 있다.
벌크 선박을 이용한 운송의 경우에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벌크 선박의 운행이 부정기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화물 운송의 납기 준수가 어렵고, 벌크 선박의 화물 운임의 변동폭이 심화되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 컨테이너 물량 증가에 따른 컨테이너 운임 인하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박을 활용하는 운송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코일형 중량물(R)을 해상 운송하는 경우도, 해상 운송 중에 발생하는 선박의 롤링 및 피칭 등의 선박 운동(Ship motion)에 의해 코일형 중량물(R)을 지지하는 짐 깔개(dunnage)가 파손되거나, 컨테이너에 손상을 주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다른 화물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져, 일반 잡화용 컨테이너인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에 목재를 짐 깔개(dunnage)로 사용하는 방법은 해운 선사로부터 선적 기피대상 품목으로까지 취급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코일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코일 전용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코일형 중량물(R)만을 운송할 수 있으므로, 다른 화물을 싣지 못하여 목적지에서 코일을 하역한 후 비어있는 컨테이너를 다시 출발지로 회수해야만 하므로, 이에 따른 운임 증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따라서, 코일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코일형 중량물(R)을 운송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일형 중량물과 일반 화물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는, 코일형 중량물과 일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로서, 상기 일반 화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바닥면;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나란한 제1 자세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자세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데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데크 부재는,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바닥면과 협력하여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V"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데크 부재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데크 부재가 수용되는 데크 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크 부재 수용부는, 상기 제1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의 외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제1 홈부; 상기 제2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의 내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제1 홈부와 제2 홈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바닥면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데크 부재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크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크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유닛은, 상기 데크 부재의 내측 단부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크 부재가 상기 제2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 유닛은, 상기 데크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닥면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 유닛은, 일단부는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데크 부재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일반 화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바닥면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나란한 제1 자세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자세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데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데크 부재는,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바닥면과 협력하여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V"자 형태를 이루므로, 코일형 중량물과 일반 화물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데크 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데크 부재가 바닥면과 나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일반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데크 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코일형 중량물(R)과 일반 화물(F)을 적재할 수 있는 플랫 랙(flat rack) 형태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로서, 베이스(10)와, 데크 부재(20)와, 제1 고정 유닛(30)과, 제2 고정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은 강철 따위의 금속을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압연하여 만들어 낸 핫코일(hot coil)과 같이 수 내지 수십 톤(ton)의 무게를 가진 원기둥형 화물을 의미하며, 상기 일반 화물(F)은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제외한 화물을 의미한다.
상기 베이스(10)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전방 프레임(11)과, 후방 프레임(12)과, 측방 프레임(13)과, 바닥면(14)과, 데크 부재 수용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11)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2)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1)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1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13)의 내측면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 쌍의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1)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13) 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2)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13) 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네 코너에는, 트레일러 샤시(Trailer Chassis) 또는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 등에 마련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잠금장치(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코너 캐스팅(17)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코너 캐스팅(17)의 구조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과 동일한 구조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닥면(14)은, 다양한 형태의 일반 화물(F)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사각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프레임(11), 후방 프레임(12) 및 측방 프레임(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데크 부재 수용부(15)는, 상기 바닥면(14)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된 공간부로서, 후술할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바닥면(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데크 부재(20)를 수용한다. 상기 데크 부재 수용부(15)는, 제1 홈부(151)과 제2 홈부(15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홈부(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자세에 있는 상기 데크 부재(20)의 외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ㅡ"자형 홈부이다.
상기 제2 홈부(152)는, 후술할 제2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20)의 내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V"자형 홈부이다.
상기 전방 프레임(11)의 상단부에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인 전면 벽체(50)가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 프레임(12)의 상단부에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인 후면 벽체(60)가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데크 부재(20)는, 사각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데크 부재 수용부(15)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데크 부재(20)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의 일종으로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데크 부재(20)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14)과 나란한 제1 자세와 상기 바닥면(14)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α1)만큼 기울어진 제2 자세 사이에서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α1)는 20도 내지 40도의 값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데크 부재(20)는,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바닥면(14)과 협력하여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V"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 중심축(C1)은, 상기 전방 프레임(11)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데크 부재(20)의 하면에 결합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닥면(14) 및 데크 부재(20)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중심축(C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부(151)와 제2 홈부(1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데크 부재(20)는, 상기 바닥면(14)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바닥면(14)들과 협력하여 상기 베이스(10)의 평평한 플로어(20, 14)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1 중심축(C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재(20)의 무게 중심(G)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재(20)의 무게 중심(G)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데크 부재(20)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시소(seesaw)"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고정 유닛(30)은,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2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지지 부재(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31)는, 원형 단면의 막대 부재로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상기 측방 프레임(13)에 형성된 관통공(16)에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데크 부재(20)의 내측 단부 하면을 받쳐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31)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재(20)의 내측 단부 하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관통공(16)의 내부로 수납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지지 부재(31)는, 상기 돌출 위치 및 수납 위치에서 각각 위치 고정되며, 그 고정 수단으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유닛(40)은,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2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2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2 지지 부재(4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 부재(41)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판형 부재로서, 일단부는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바닥면(14)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데크 부재(20)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41)는, 유공압 실린더(미도시)나 스프링(미도시) 등과 결합되어,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완충 효과 내지 감속 효과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41)가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2 자세에 있을 때,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 부재(41)의 타단부와 상기 데크 부재(20)의 하면과 이루는 각도(α2)가 90도의 각도를 가진다.
이렇게 상기 각도(α2)가 90도의 각도를 가지면, 코일형 중량물(R)이 상기 데크 부재(20)의 상면에 적재되었을 때, 상기 제2 지지 부재(41)가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구학적 구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지지 부재(41)가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2 자세에 있을 때,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41)는,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재(20)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중심축(C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부(151)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 부재(41) 및 제2 중심축(C2)은,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닥면(14)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 부재(31)를 수납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 후에, 상기 데크 부재(20)를 상기 제2 자세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지지 부재(41)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코일형 중량물(R)을 상기 "V"자 형태의 데크 부재(2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코일형 중량물(R)의 수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제2 홈부(152)가 상기 데크 부재(20)의 내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지지함으로써, 코일형 중량물(R)의 하중 일부를 감당하며, 상기 제2 지지 부재(41)도 코일형 중량물(R)의 하중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반대로, 일반 화물(F)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V"자 형태의 데크 부재(20)의 상면으로부터 코일형 중량물(R)을 제거한 후, 상기 제2 지지 부재(41)의 위치 고정을 해제한다.
이어서, 작업자가 상기 데크 부재(20)를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 자세로 위치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지지 부재(3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위치로 위치이동시키면 상기 데크 부재(20)가 제1 자세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때, 상기 데크 부재(20)와 상기 바닥면(14)들이 협력하여 상기 베이스(10)의 평평한 플로어(20, 14)를 이루게 된다.
마지막으로 포크 리프트(fork lift)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일반 화물(F)을 상기 플로어(20, 14) 위에 적재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화물(F)의 적재가 완료된다.
상술한 구성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일반 화물(F)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바닥면(14)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14)과 나란한 제1 자세와 상기 바닥면(14)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α1)만큼 기울어진 제2 자세 사이에서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데크 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데크 부재(20)는,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바닥면(14)과 협력하여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V"자 형태를 이루므로, 코일형 중량물(R)과 일반 화물(F)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바닥면(14)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바닥면(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데크 부재(20)가 수용되는 데크 부재 수용부(15)를 포함하므로, 상기 데크 부재(20)가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10)의 플로어(20, 14)를 돌출부 없이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반 화물(F)을 적재하기 용이하며, 화물 적재시에 상기 데크 부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데크 부재 수용부(15)가 상기 제1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20)의 외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제1 홈부(151)와, 상기 제2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20)의 내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제2 홈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심축(C1)은 상기 제1 홈부(151)와 제2 홈부(15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반 화물(F) 또는 코일형 중량물(R)이 적재되었을 때, 상기 데크 부재(20)를 통하여 전달되는 화물(F, R)의 하중을 상기 제1 홈부(151)과 제2 홈부(152)가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1 중심축(C1)이, 상기 바닥면(14)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데크 부재(20)가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10)의 플로어(20, 14)를 돌출부 없이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반 화물(F)을 적재하기 용이하며, 화물 적재시에 상기 제1 중심축(C1)을 구성하는 힌지 등의 부속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1 중심축(C1)이, 상기 데크 부재(20)의 무게 중심(G)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인력으로 상기 데크 부재(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2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유닛(30)을 포함하므로, 일반 화물(F)의 하중 등에 의하여 상기 데크 부재(2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되어 상기 제1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데크 부재 수용부(15)가 상기 제1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20)의 외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제1 홈부(15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 유닛(30)이 상기 데크 부재(20)의 내측 단부 하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은 상기 제1 홈부(151)와 상기 제1 고정 유닛(3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20)의 양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데크 부재(20)의 하중 감당 능력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2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2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유닛(40)을 포함하므로, 코일형 중량물(R)의 하중 등에 의하여 상기 데크 부재(2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되어 상기 제2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2 고정 유닛(40)이, 상기 데크 부재(20)가 상기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바닥면(14)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데크 부재(20)가 제1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10)의 플로어(20, 14)를 돌출부 없이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반 화물(F)을 적재하기 용이하며, 화물 적재시에 상기 제2 고정 유닛(4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2 고정 유닛(40)이, 일단부는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바닥면(14)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데크 부재(20)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지지 부재(41)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2 고정 유닛(40)을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랫 랙(flat rack) 형태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일반 잡화용 컨테이너인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 오픈 탑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사이드 오픈 컨테이너(side open container)등 다양한 형상의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규격 컨테이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10 : 베이스
11 : 전방 프레임 12 : 후방 프레임
13 : 측방 프레임 14 : 바닥면
15 : 데크 부재 수용부 16 : 관통공
17 : 코너 캐스팅 20 : 데크 부재
30 : 제1 고정 유닛 31 : 제1 지지 부재
40 : 제2 고정 유닛 41 : 제2 지지 부재
50 : 전면 벽체 60 : 후면 벽체
151 : 제1 홈부 152 : 제2 홈부
C1 : 제1 중심축 C2 : 제2 중심축
F : 일반 화물 G : 무게 중심
R : 코일형 중량물

Claims (6)

  1. 코일형 중량물과 일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로서,
    상기 일반 화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바닥면;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받침대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나란한 제1 자세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2 자세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데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데크 부재는,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바닥면과 협력하여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V"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데크 부재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면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데크 부재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데크 부재가 수용되는 데크 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부재 수용부는, 상기 제1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의 외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제1 홈부; 상기 제2 자세에 있는 데크 부재의 내측 단부의 하면을 받쳐서 수용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제1 홈부와 제2 홈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축은, 상기 바닥면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부재가 상기 제2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데크 부재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20150054315A 2015-04-17 2015-04-17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165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15A KR101659978B1 (ko) 2015-04-17 2015-04-17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15A KR101659978B1 (ko) 2015-04-17 2015-04-17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978B1 true KR101659978B1 (ko) 2016-09-26

Family

ID=5706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15A KR101659978B1 (ko) 2015-04-17 2015-04-17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91A (ko) * 2018-01-18 2019-07-26 주식회사 코엘트 컨테이너
RU2706926C1 (ru) * 2019-08-21 2019-11-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нтезРейл"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и стального металлопроката в виде рулонов и грузов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CN110980022A (zh) * 2019-12-03 2020-04-10 漳州中集集装箱有限公司 一种集装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035A (ja) * 2000-05-25 2001-12-04 Nittsu Shoji Co Ltd ケーブルドラム用搬送パレット
JP2004149178A (ja) * 2002-10-31 2004-05-27 Sumitomo Metal Logistics Service Co Ltd 重量物用パレット
KR101062925B1 (ko) * 2009-03-11 2011-09-07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컨테이너의 화물 탑재 어셈블리 및 그 적층 구조
KR101323586B1 (ko) * 2013-05-22 2013-11-04 이희삼 다목적 접이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035A (ja) * 2000-05-25 2001-12-04 Nittsu Shoji Co Ltd ケーブルドラム用搬送パレット
JP2004149178A (ja) * 2002-10-31 2004-05-27 Sumitomo Metal Logistics Service Co Ltd 重量物用パレット
KR101062925B1 (ko) * 2009-03-11 2011-09-07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컨테이너의 화물 탑재 어셈블리 및 그 적층 구조
KR101323586B1 (ko) * 2013-05-22 2013-11-04 이희삼 다목적 접이식 컨테이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91A (ko) * 2018-01-18 2019-07-26 주식회사 코엘트 컨테이너
KR102025383B1 (ko) * 2018-01-18 2019-09-25 주식회사 코엘트 컨테이너
RU2706926C1 (ru) * 2019-08-21 2019-11-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нтезРейл"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и стального металлопроката в виде рулонов и грузов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CN110980022A (zh) * 2019-12-03 2020-04-10 漳州中集集装箱有限公司 一种集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7288B1 (en) Freight pallet with detachable based sled
US8881898B2 (en) Wheel storage and transport frame
US9580236B1 (en)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
US20040247422A1 (en) Cargo roller system for cargo handling
EP1967466A1 (en) Freight container suitable for carrying coils
JP2002087150A (ja) コンテナの荷役積載装置
KR101659978B1 (ko)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1732874B1 (ko) 운반 프레임
CN103459270A (zh) 集装箱
KR100660262B1 (ko) 화물 운송 콘테이너
JP3166108U (ja) 輸送用のコンテナ
CN210140139U (zh) 运输架
JP4322811B2 (ja) コイル状搬送物用のパレット、パレットへのコイル状搬送物の積載構造体、搬送物積載パレットの段積構造体及び使用方法、輸送容器への搬送物積載段積パレットの収容構造体及び搬送方法、並びにコイル状搬送物の輸送方法
EP2357142A1 (en) A cage structure for goods transport
US20200094724A1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US7278670B2 (en) Lifting spreader for helicopter
US3580411A (en) Container having moveable wall
KR101647092B1 (ko)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FI129319B (en) Transport container, shelf arrangement for transport container and shelf plate for shelf arrangement
EP1500610A2 (en) Modified shipping container
CN211309627U (zh) 一种用于卷状货物运输的集装箱
KR20110011633U (ko) 팔레트 이송장치
KR101647093B1 (ko) 마찰 방지 유닛을 구비한 중량물 지지대
RU2518279C2 (ru) Передвижная грузовая платформа
JP3121486U (ja) 無蓋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