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213B1 - 퓨즈 유닛 - Google Patents

퓨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213B1
KR101609213B1 KR1020147000732A KR20147000732A KR101609213B1 KR 101609213 B1 KR101609213 B1 KR 101609213B1 KR 1020147000732 A KR1020147000732 A KR 1020147000732A KR 20147000732 A KR20147000732 A KR 20147000732A KR 101609213 B1 KR101609213 B1 KR 10160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fuse unit
external connection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459A (ko
Inventor
노리히로 오하시
미유키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Fuses (AREA)

Abstract

배터리 포스트(3)가 배터리(7)의 상면(15) 보다 한 단계 낮은 평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7)에 퓨즈 유닛(1)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퓨즈 유닛(1)은, 상기 배터리 포스트(3)에 접속된 배터리 접속부(21); 전기 기기에 각각 접속되는 외부 접속단자(23); 및 상기 배터리 접속부(21)와 상기 외부 접속단자(23)를 접속하는 퓨즈부(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부 접속단자(23) 및 상기 퓨즈부(25)는 상기 배터리 접속부(21)가 상기 배터리 포스트(3)에 접속될 때에, 상기 배터리(7)의 상면(15) 보다도 상측으로 위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퓨즈 유닛{FUSE UNIT}
본 발명은 퓨즈 유닛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동차등의 배터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퓨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퓨즈 유닛(200)은 배터리 접속부(202), 제1 외부 접속단자(204), 제2 외부 접속단자(206) 및 퓨즈부(208)(도 5 및 도 6 참조)를 포함하고 있고, 배터리 단자(212) 및 배터리 접속부(202)를 통해 종래의 배터리(210)(예를 들어, 자동차용 DIN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218)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퓨즈부(208)는 엘리먼트 커버(220)로 덮혀 있다.
종래의 퓨즈 유닛(200)은 수지체(216)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버스바(214)와 일체화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버스바에는 관통구멍(222, 224, 226)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222)은 배터리 접속부(202)의 일부를 구성하고, 관통구멍(224)은 제1 외부 접속단자(204)의 일부를 구성하고, 관통구멍(226)은 제2 외부 접속단자(206)의 일부를 구성한다.
관통구멍(224)에 스터드 볼트(228)가 삽입되고, 삽입된 스터드 볼트(228)는 수지체(216)에 의해 버스바(214)와 일체화되어서, 제1 외부 접속단자(204)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관통구멍(226)에 스터드 볼트(230)가 삽입되고, 삽입된 스터드 볼트(230)는 버스바(214)와 일체화되어서, 제2 외부 접속단자(206)를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접속부(202)는 퓨즈부(208)를 통하여 제1 외부 접속단자(204)와 접속되어 있지만 배터리 접속부(202)는 퓨즈부(208)를 통하지 않고 제2 외부 접속단자(206)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종래의 퓨즈 유닛(200)의 배터리(210)로의 설치는 배터리 포스트(218)에 설치된 배터리 단자(212)의 스터드 볼트(232)가 배터리 접속부(202)의 관통구멍(222)을 관통하도록 배터리 단자(212)와 종래의 퓨즈 유닛(200)을 배터리 단자(212)에 맞물리도록 한 후에 스터드 볼트(232)에 너트(234)를 나사결합하여 너트(234)를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배터리(210)의 상면(240)의 각부에는 직방형 오목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포스트(218)는 오목부(236)의 바닥면(238)으로부터 서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퓨즈 유닛(200)이 배터리 단자(212)를 통해 배터리(2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퓨즈부(208), 엘리먼트 커버(220), 및 제2 외부 접속단자(206)가 오목부(236)의 바닥면(238)과 배터리(210)의 상면(240)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고, 제1 외부 접속단자(204)가 높이 방향으로 배터리(210)의 상면(240) 위에 위치되어 있다.
전선(도시되지 않음)이 배터리 단자(212)를 통해 배터리(210)에 설치된 종래의 퓨즈 유닛(200)의 제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204, 206)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고, 이러한 접속된 전선은 실질상 수평방향으로 밖으로 뻗도록 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단자(204)가 배터리(210)의 상면(240) 위에 위치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배터리(210)의 작은 공간에 종래의 퓨즈 유닛(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외부 접속단자(204)를 배터리(210)의 상면(240)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전선을 제1 외부 접속단자(204)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및 2는 상술된 종래의 퓨즈 유닛과 관련된 문헌으로서 제시되어 있다.
JP 2005-222709 A JP 2010-192329 A
그런데, 종래의 퓨즈 유닛(2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퓨즈 유닛(200)을 배터리(210)에 설치하는 경우에 퓨즈부(208)가 배터리(210)의 오목부(236)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서, 오목부(236)에 퓨즈부(208)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오목부(236)에 대한 공간이 불충분하고 종래의 퓨즈 유닛(200)이 배터리(210)에 설치될 때, 종래의 퓨즈 유닛(200)(예를 들어, 제2 외부 접속단자(206))의 일부가 배터리(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도 4의 참조 부호 P1 참조).
상기 문제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상면 보다 한 단계 낮은 평면에 제공된 배터리 포스트를 갖는 배터리에 사용되기 위한 퓨즈 유닛에 배터리의 측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가능한 많이 감소시킬 수 있는 퓨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라, 배터리 포스트가 배터리의 상면 보다 한 단계 낮은 평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퓨즈 유닛이 제공되고,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접속부; 전기 기기에 각각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접속단자; 및 상기 배터리 접속부와 상기 외부 접속단자 각각을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퓨즈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부 접속단자 및 상기 퓨즈부는 상기 배터리 접속부가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될 때에, 상기 배터리의 상면 보다도 상측으로 위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배터리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퓨즈 유닛은 상기 배터리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퓨즈 유닛이 상기 배터리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퓨즈 유닛은 2개 이상의 퓨즈부 및 2개 이상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각 퓨즈부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외부 접속단자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외부 접속단자에 접속된 배선의 뻗음 방향은 실질상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상기 퓨즈 유닛이 상기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퓨즈부는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배선의 뻗음 방향은 상기 측면에 직교할 수 있다.
제1 특징에 따라, 배터리 포스트가 배터리의 상면 보다 한 단계 낮은 평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퓨즈 유닛에서,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될 때 배터리의 측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가능한 많이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퓨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퓨즈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퓨즈 유닛이 종래의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퓨즈 유닛의 버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종래의 퓨즈 유닛의 버스바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종래의 퓨즈 유닛의 버스바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화살표 D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의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버스바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버스바의 측면도이고, 도 12(c)는 버스바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4(c) 및 도 14(d)는 각각,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파트 E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다른 각도에서 본 도 15에 도시된 퓨즈 유닛 등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a)의 파트 F의 확대도인, 도 15에 도시된 퓨즈 유닛등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종래의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이러한 도면은 도 14(b)의 파트 G에 상응한다.
도 19(a)는 종래의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이러한 도면은 도 14(a)의 파트 F에 상응한다.
도 20은 도 16에 상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정된 예에 따른 퓨즈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9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1)(퓨즈 본체)이 설명될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1)이 상면(15) 보다 한 단계 낮은 오목부(5)에 배터리 포스트(13)가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는 (종래의 배터리(210)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DIN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7)에 사용되기 위해 장착되어 있다.
배터리(7)는 직방형의 배터리 본체(9) 및 한 쌍의 배터리 포스트(3)를 포함하고 있다. 직방형 배터리 본체(9)의 상면에 위치된 2개의 각부의 각각은 오목부(5)를 갖고 있다. 이러한 오목부(5)는 배터리 본체(9) 보다 작은 직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5)의 바닥면(13)은 사전결정된 거리 만큼 배터리 본체(9)의 상면(15) 아래에 위치되어 있고, 배터리 본체(9)의 상면(15)에 평행하도록 되어 있다.
배터리 포스트(30)의 각각은 원뿔대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오목부(5)의 각각의 바닥면(13)으로부터 서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터리 포스트(3)의 각각이 배터리 본체(9)의 상면(15) 보다 한 단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배터리 포스트(3)의 높이는 오목부(5)의 깊이와 실질상 동일하다. 배터리 포스트(3)의 각각은 사전결정된 거리 만큼 배터리 본체(9)의 측면(17)으로부터 떨어지고 제2 사전결정된 거리 만큼 오목부(5)의 측면(19)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14(a), 도 17등 참조).
퓨즈 유닛(10)은 배터리 포스트(3)중 하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유닛(1)은 배터리 접속부(21), 제1 외부 접속단자(23) 및 퓨즈부(25)를 포함하고 있다.
배터리 접속부(21)는 예를 들어, 나중에 설명되는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 포스트(3)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단자(23)에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올터네이터와 같은 전기 용량이 큰 전기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접속부(21)가 배터리 포스트(3)에 접속될 때(즉, 퓨즈 유닛(1)이 배터리(7)에 장착될 때), 도 15, 도 1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접속단자(23)가 배터리 본체(9)의 상면(15) 위에 위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퓨즈 유닛(25)은 배터리 접속부(21)와 제1 외부 접속단자(2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배터리 접속부(21)와 제1 외부 접속단자(23)가 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 접속부(21)가 배터리 포스트(3)에 접속될 때, 도 15, 도 1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25)가 배터리 본체(9)의 상면(15) 위에 위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퓨즈부(1)가 배터리(7)에 장착된 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 도 14(a), 도 1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접속부(21)는 당연히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그리고 오목부(5)에 위치되어 있고, 퓨즈 유닛(1)의 대부분은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오목부(5)의 내측에 또는 오목부(5)를 제외한 배터리 본체(9)의 상면(15)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이 배터리(7)에 장착된 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 제1 외부 접속단자(23)는 오목부(5)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고 퓨즈부(25)는 오목부(5)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제1 퓨즈부(25)는 오목부(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외부 접속단자(23)는 오목부(5)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제1 외부 접속단자(23) 및 퓨즈부(25)는 오목부(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제1 외부 접속단자(23) 및 퓨즈부(25)는 오목부(5)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퓨즈부(25)는 사전결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배터리 접속부(21)와 제1 외부 접속단자(23) 사이를 흐를 때 열에 의해 용단되도록 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유닛(1)은 배터리 포스트(3)에 일체화되어 제공된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일체화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장착된 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 도 1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27)는 배터리 본체(9)의 측면(17)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것은 배터리 단자(27)의 배터리(7)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배터리(7)에 장착된 퓨즈 유닛(1)의 돌출량 (평면에서 볼 때, 배터리 본체(9)의 측면(17)으로부터 또는 오목부(5)로부터의 돌출량)을 가능한 작게 하기 위함이다.
도 16, 도 1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27)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퓨즈 유닛 접합부(29),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 및 체결부(33)를 포함하고 있다.
퓨즈 유닛(1)의 배터리 접속부(21)는 퓨즈 유닛 접합부(29)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는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7)에 설치될 때 배터리 포스트(3)에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33)는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7)에 설치될 때 사용되고, 배터리 단자(27)의 배터리 포스트(3)로의 착탈의 기능을 갖는다.
즉, 체결부(33)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배터리 단자(27)는 배터리 포스트(3)에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고, 체결부(33)에 대하여 다르게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33)는 나사를 포함하고, 이러한 나사를 조임으로써 배터리 단자(27)는 배터리 포스트(3)에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고, 나사를 풀면 배터리 단자(27)는 배터리 포스트(3)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퓨즈 유닛 접합부(29),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 및 체결부(33)는 이러한 순서대로 배터리 단자(27)(배터리 단자 본체부(35))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퓨즈 유닛 접합부(29)는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의 제1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는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고, 체결부(33)는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의 제2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터리 단자(27)의 종방향은 수평방향으로 되어 있다.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배터리 단자(27)의 종방향은 직방형의 배터리 본체부(9)의 측면(17)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추가 설명을 위해,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직방형 오목부(5)는 배터리 본체부(9)의 하나의 각부에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포스트(3)는 오목부(5) 내부에(실질상 오목부(5)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직방형 배터리(7)의 제1 측부(하나의 측면)(17a)로부터 체결부(33)로의 거리는 배터리(7)의 제1 측부(17a)로부터 배터리 포스트(3)로의 거리 보다 작다. 즉, 체결부(33)는 직방형 배터리(7)의 하나의 각부로부터 뻗은 2개의 측부(2개의 측면)(17a)중 하나(즉, 측부(17a) 근방에 존재한다. 또한, 직방형 배터리(7)의 제2 측부(17b)로부터 체결부(33)로 뻗은 2개의 측부(2개의 측면(17a, 17b)중 제2 측부(17b)로부터 체결부(33)까지의 거리는 제2 측부(17b)로부터 배터리 포스트(3)까지의 거리보다 크도록 되어 있다.
체결부(33)의 일부로서 나사의 축(C1)은 배터리(7)의 상면(15)(오목부(5)의 바닥면(13))에 대하여 경사져 뻗어 있다. 체결부(33)가 조작될 때에 공구와 맞물리는 조작부(37)(예를 들어, 체결부(33)의 일부로서 너트)는 조작부(37) 이외의 체결부(33)의 다른 부위 보다도 상측에 위치되어 있어 제1 측부(17a) 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단자(27)의 퓨즈 유닛 접합부(29)는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스터드 볼트(39)를 포함하고 있고, 배터리 단자(27)의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는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관통구멍(배터리 포스트(3)와 동형상의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배터리 단자(27)의 체결부(33)는 스터드 볼트(45), 너트(37), 및 갭(43)을 포함하고 있다. 갭(43)은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로부터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의 타단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와 배터리 단자 본체부(35) 사이에는 제1 부위(49)와, 이러한 제1 부위로부터 갭(43)을 두고 제1 부위(49)로부터 떨어진 제2 부위(5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위(49)에는 스터드 볼트(45)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45)는 제2 부위(51)에 형성된 관통구멍(53)을 관통하고 제2 부위(5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너트(37)는 제2 부위(5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스터드 볼트(45)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너트(37)가 느슨한 상태에서는,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관통구멍(41))의 내경은 배터리 포스트(3)의 외경보다 경미하게 크다. 한편, 너트(37)가 조여지면,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관통구멍(41))의 내경은 보다 작아지고,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는 배터리 포스트(3)를 누르고 배터리 단자(27)는 배터리 포스트(3)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에서, 퓨즈 유닛 접합부(29)의 스터드 볼트(39)는 배터리(7)의 상면(15)에 수직이고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의 상방으로 서 있다. 또한,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부(33)의 스터드 볼트(45)의 축(C1)은 배터리(7)의 상면(15)에 대하여 경사져 뻗어 있다. 즉, 체결부(33)의 스터드 볼트(45)의 축(C1)은 배터리 단자(27)의 제1 부위(49)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져 뻗어 있고, 제2 부위(51)를 관통하고 제2 부위(51)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져 뻗어 있다.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체결부(33)의 스터드 볼트(45)의 축(C1)은 배터리 단자 본체부(35)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뻗어 있고, 너트(37)는 제1 부위(49)와 맞물려 있는 스터드 볼트(45)의 위치 보다 배터리 본체부(9)의 제1 측면(17a)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퓨즈 유닛(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배터리(7)나 퓨즈 유닛(1)의 수평한 사전결정된 하나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하고, 배터리(7)나 퓨즈 유닛(1)의 수평이고 횡방향에 직교하는 사전결정된 다른 방향으로 종방향으로 한다. 또한, 측방향과 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한다.
도 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유닛(1)은 버스바(55) 및 수지체(57)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55)는 금속 등의 도전성 소재로 구성된 평판을 예를 들어, 사전결정된 구성으로 펀칭한 후에, 펀칭된 가공물을 구부림으로써 크랭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바(55)는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제2 상판부(73)의 일부를 제외하고 종방향에서 볼 때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55)는 평판형의 하판부(59), 평판형의 기립부(61), 및 평판형 상판부(63)을 포함하고 있다. 하판부(59)의 횡방향의 제1 단부측에 나중에 설명되는 제1 외부 접속단자(65)의 일부로서 외부 단자 관통구멍(67)이 형성되어 있다. 하판부(59)의 횡방향의 제2 단부측에는 배터리 접속부(21)의 일부로서 배터리 단자 관통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기립부(61)는 하판부(59)에 직교하고 하판부(59)의 횡방향의 제2 단부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상판부(63)는 기립부(61)에 직교하고 하판부(59)와 평행하다. 또한, 상판부(63)는 기립부(61)의 상단부로부터 종방향의 제2 단부로 뻗어 있다. 따라서, 버스바(55)는 종방향에서 볼 때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판부(63)는 제1 상판부(71), 퓨즈부(25), 및 제2 상판부(73)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상판부(71)는 종방향의 제1 단부측에 위치되어 있고 기립부(6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상판부(73)는 종방향의 제3 단부측에 위치되어 있고 퓨즈부(25)만을 통하여 제1 상판부(7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상판부(73)에는,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일부로서 외부 단자 관통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55)를 평면에서 보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제2 외부 접속단자(65)를 구성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67), 배터리 접속부(21)를 구성하는 배터리 단자 관통구멍(69), 제1 외부 접속단자(23)를 구성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75), 및 퓨즈부(25)가 이러한 순서대로,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버스바(55)를 평면에서 보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배터리 접속부(21)를 구성하는 배터리 관통구멍(69), 제2 외부 접속단자(65)를 구성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67), 및 제1 외부 접속단자(23)를 구성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75)이 이러한 순서대로,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버스바(55)를 평면에서 보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55)는 실질상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판부(59)와 상판부(63)의 제2 상판부(73)는 함께 오목부(횡방향의 중간부에서 종방향의 제2 단부측에 형성된 오목부)(79)를 형성하고 있다.
수지체(57)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버스바(55)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각 외부 단자 관통구멍(67, 75)에 스터브 볼트(83, 81)를 설치한 상태에서 버스바(55)에 수지체(57)를 설치하면, 각 외부 단자 관통구멍(67, 75)의 스터드 볼트(83, 81)는 버스바(55)와 도통하는 상태에서, 각 스터드 볼트(83, 81)가 버스바(55)와 일체화된다.
각 외부 단자 관통구멍(67, 75)에 설치된 스터브 볼트(83, 81), 외부 단자 관통구멍(67, 75)과 그 주변부(하판부(59)의 상면의 일부 및 상판부(63)의 상면), 배터리 단자 관통구멍(69)과 그 주변부(하판부(59)와 상판부(63)의 하면의 일부), 및 퓨즈부(25)와 그 주변부에 의해 버스바(55)가 노출되도록, 수지체(57)가 버스바(55)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판부(59)의 외부 단자 관통구멍(67)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83) 및 이러한 외부 단자 관통구멍(67)의 주변부는 제2 외부 접속단자(65)를 형성하고, 상판부(63)의 외부 단자 관통구멍(75)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81) 및 외부 단자 관통구멍(75)의 주변부는 제1 외부 접속단자(23)를 형성하고, 배터리 단자 관통구멍(69)의 주변부는 배터리 접속부(21)를 형성한다.
도 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체(57)등을 버스바(55)에 제공함으로써 형성된 퓨즈 유닛(1)은 버스바(55)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실질상 U 형상(오목부(79)가 형성되어 있는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부터 볼 때 실질상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체(57)는 본체부(85), 배선 배치부(87), 보호벽부(89), 및 엘리먼트 커버 설치부(91)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체부(85)는 직접 버스바(55)에 맞물려 있어 퓨즈 유닛(1)을 실질상 U 형상으로 그리고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한다. 배선 배치부(87)의 각각은 제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23, 65)로부터 뻗은 배선(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는 부위이고, 제1 외부 접속단자(23) 및 제2 외부 접속단자(65)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배선 배치부(87)의 각각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 배치부의 하나는 제1 외부 접속단자(2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도 9 및 도 10 참조), 다른 배선 배치부는 제2 외부 접속단자(65)로부터 경미하게 경사져 뻗어 있다(배선 배치부(87)가 제2 외부 접속단자(65)로부터 떨어져 하방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져 뻗어 있다).
도 7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배선 배치부(87)는 종방향으로 제1 외부 접속단자(23)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뻗어 있다. 제2 외부 접속단자(65)의 배선 배치부(87)는 횡방향으로 제2 외부 접속단자(65)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뻗어 있다.
보호벽부(89)는 제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23, 65)로부터 뻗은 배선(예를 들어, 전선)이 다른 부분과 접촉할 때 손상되지 않도록 배선을 보호한다. 보호벽부(89)중 하나는 제1 외부 접속단자(23) 및 배선 배치부(87)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보호벽부(89)는 평면에서 볼 때 실질상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반원형상의 외주(배선 배치부(87)측에 반대인 반원형 외주)와 배선 배치부(87)의 양단부로부터 사전결정된 높이(예를 들어, 제1 외부 접속단자(23)에 접속된 외경보다 경미하게 높다) 만큼 기립되어 있다. 제2 외부 접속단자(65)의 보호벽부(89)는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보호벽부(89)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엘리먼트 커버 설치부(91)는 퓨즈부(25)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고, 엘리먼트 커버(93)(예를 들어,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고, 직방형 평판을 2개소에서 직각으로 구부림으로써 실질상 U 형상으로 형성된 엘리먼트 커버)를 엘리먼트 커버 설치부(91)에 설치함으로써 퓨즈부(25)를 덮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퓨즈 유닛(1)의 사용시에 퓨즈부(25)가 용단등에 의해 파손되어도 파손에 의해 잔해가 엘리먼트 커버(3) 외부로 흩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엘리먼트 커버(93)에 의해 퓨즈 유닛(1)의 사용시에 퓨즈 유닛(1)의 외부로부터 퓨즈부(25)로 먼지 또는 물방울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로, 배터리(7)로의 퓨즈 유닛(1)의 설치등이 설명될 것이다.
우선, 배터리(7)의 배터리 포스트(3)에 배터리 단자(27)가 설치된다.
배터리 단자(27)를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하기 전에, 배터리 단자(27)의 너트(37)는 완화되어 있다. 그래서, 배터리 포스트(3)가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에 들어가도록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와 맞물린다. 그다음, 체결부(33)의 너트(37)를 조임으로써, 배터리 단자(27)의 배터리 포스트(3)로의 설치가 종료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배터리 단자(27)는 경사진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 포스트(3)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터리 단자(27)는 배터리(7)의 오목부(5)의 바닥면(13)과 배터리(7)의 상면(14)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고, 퓨즈 유닛 접합부(29)를 구성하는 배터리 단자(27)의 스터드 볼트(39)는 배터리 단자 본체부(3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터리 단자(27)의 스터드 볼트(39)의 상단은 배터리(7)의 상면과 실질상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퓨즈 유닛(1)은 배터리 단자(27)에 설치된다.
배터리 단자(27)의 배터리 단자 관통 구멍(69)이 배터리 접속부(21)의 배터리 단자 관통 구멍(69)을 관통하도록 하여 퓨즈 유닛(1)을 배터리 단자(27)와 맞물리도록 하고, 배터리 단자(27)의 스터드 볼트(39)에 너트(47)를 나사결합시켜, 너트(47)를 단단히 조인다. 이로 인해,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도 1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27)의 모든 부분과 퓨즈 유닛(1)의 대부분은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접속단자(23),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배선 배치부(87) 및 보호 벽부(89), 퓨즈 유닛(25), 엘리먼트 커버 설치부(91), 엘리먼트 커버(93), 배터리 접속부(2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65)는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제2 외부 접속단자(65)의 배선 배치부(87)의 일부 및 보호 벽부(89)의 일부는 배터리(7)의 횡방향의 제1 단부(제1 측면(17A))로부터 배터리(7)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27)의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31)(배터리 포스트(3)) 및 배터리 단자(27)의 체결부(33)는 퓨즈 유닛(1)의 오목부(79)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퓨즈 유닛(1)의 오목부(79)에 공구를 삽입함으로써, 배터리 단자(27)의 너트(37)를 풀거나 조일 수 있다. 그래서,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퓨즈 유닛(1)이 배터리(7)에 설치된 후에, 배터리 단자(27) 및 퓨즈 유닛(1)은 배터리 단자(27)가 퓨즈 유닛(1)에 일체화된 상태에서 배터리(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에 설치된 후에, 배터리 단자(27) 및 퓨즈 유닛(1)은 배터리(7)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제2 외부 접속단자(65), 배터리 접속부(21), 제1 외부 접속단자(23), 및 퓨즈부(25)가 이러한 순서로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배터리 접속부(21), 퓨즈부(25), 제2 외부 접속단자(65), 및 제1 외부 접속 단자(23)가 이러한 순서로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접속부(21) 및 퓨즈 유닛(1)은 배터리(7)의 제2 측면(17B)(종방향으로 제1 단부측에 위치된 측면) 근방에 위치되어 있고, 제2 외부 접속단자(65)는 배터리(7)의 제1 측면(17A)(횡방향으로 제1 단부측에 위치된 측면) 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접속부(65)의 배선 배치부(87)와, 제2 외부 접속단자의 배선 배치부(87)로부터 서 있는 보호 벽부(89)는 배터리(7)의 제1 단부(제1 측면(17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배선 배치부(87) 및 보호 벽부(89)는 제1 외부 접속단자(23)로부터 종방향의 제2 단부측으로 뻗어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배선 배치부(87) 및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배선 배치부(87)로부터 서 있는 보호 벽부(89)는 배터리(7)의 오목부(5) 외측에 위치되어 있고(종방향으로 오목부(5)의 제2 단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퓨즈부(25) 및 엘리먼트 커버(93)는 배터리(7)의 오목부(5)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횡방향으로 오목부(5)의 제2 단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서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에서, 높이 방향으로, 배터리 접속부(2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65)는 배터리(7)의 상면(15)과 오목부(5)의 바닥면(13) 사이에 위치되고, 퓨즈부(25), 엘리먼트 커버 설치부(91), 엘리먼트 커버(93) 및 제1 외부 접속단자(23)는 배터리(7)의 상면(15) 위에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배터리 단자(27) 및 퓨즈부(1)가 배터리(7)에 설치된 후에, 배선(도시되지 않음)이 퓨즈 유닛(1)에 접속된다. 제1 외부 접속단자(23)로의 배선의 접속은 배선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 압착단자의 관통구멍을 통해 제1 외부 접속단자(23)의 스터드 볼트(81)를 통과시키고, 너트(도시되지 않음)를 스터드 볼트(81)에 나사결합시키고, 너트를 조여, 너트와 버스바(55)에 의해 원형 압착단자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 외부 접속단자(65)로의 배선의 접속은 제1 외부 접속단자(23)로의 배선의 접속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배선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퓨즈 유닛(1)에 접속된 상태에서, 배선은 보호 벽부(89)의 내측에서 배선 배치부(87)에 배치되고, 배선 배치부(87)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접속단자(65)로부터 뻗은 배선은 높이 방향에서, 배터리(7)의 오목부(5)의 바닥면(13)과 배터리(7)의 상면(1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외부 접속단자(65)에는 자동차의 조명등의 전기 기기가 퓨즈 박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퓨즈 유닛(1)에 의하면, 배터리(7)에 설치될 때에, 제1 외부 접속단자(23)가 배터리(7)의 상면(15) 보다도 상측에 위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면,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퓨즈부(25)가 배터리(7)의 상면(15) 보다도 상측에 위치되고, 평면에서 보면, 배터리(7)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퓨즈부(25)와 제1 외부 접속단자(23)중 적어도 하나를 평면에서 보면 배터리(7)의 오목부(5) 외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터리(7)의 오목부(5)는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어서, 배터리(7)의 측면(17)로부터의 퓨즈 유닛(1)의 돌출량을 퓨즈 유닛(1)이 배터리(7)에 설치될 때 가능한 적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퓨즈 유닛(200)이 배터리(210)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8(a)에서, 퓨즈부(208)는 오목부(236)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배터리(210)의 오목부(236)의 측면(242)으로부터 제2 외부 접속단자(206)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오목부(236)의 치수보다도 크다. 따라서, 종래의 퓨즈 유닛(200)은 치수 P1 만큼 배터리(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대조되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 유닛(10)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8(b)에서, 퓨즈 유닛(25)은 배터리(7)의 상면(1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퓨즈부(25)는 배터리(7)의 오목부(5)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배터리(7)의 오목부(5)의 측면(19)으로부터 제2 외부 접속단자(65)까지의 거리 b는 실질상 오목부(5)의 치수와 같다. 따라서, 배터리(7)의 측면(17)으로부터 퓨즈 유닛(1)이 돌출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외부 접속단자(65)에 설치되어 있는 배선 배치부(87) 및 (배선 배치부(87)의) 보호 벽부(89)는 배터리(7)의 측면(17)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하지만, 배선 배치부(87) 및 (배선 배치부(87)의) 보호 벽부(89)의 각각의 형태를 변경하여 이러한 돌출을 없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서, 제2 외부 접속단자(65)에 설치되어 있는 배선 배치부(87) 및 (배선 배치부(87)의) 보호 벽부(89)는 제2 외부 접속단자(65)의 스터드 볼트(8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퓨즈 유닛(1)에 의하면, 퓨즈부(25)가 퓨즈 유닛(1) 내부에서 배터리(7)의 상면(15) 보다도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퓨즈부(25)의 가시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퓨즈 유닛(1)에 의하면, 퓨즈 유닛(1)이 배터리 단자(27)를 통해 배터리(7)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봤을 때,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7)의 측면(17)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배터리 단자(27)의 체결부(33)(너트(37))의 주변에 공간 S1이 발생하고, 배터리 단자(27)를 배터리(7)에 장착하는 경우의 작업성이 향상되었다.
즉, 종래의 퓨즈 유닛(200)에 의하면, 배터리 단자(212)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배터리(210)를 장착한 경우에, 배터리 단자(212)의 체결부를 구성하는 너트(244)가 배터리(210)의 오목부(236)의 측면(242)에 근접하여 있어서, 측면(242)이 장해가 되고, 그래서 (너트(244)를 회전시키는) 공구를 너트(244)와 맞물리게 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 단자(27)가 배터리(7)의 측면(17)에 대해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7)와 배터리(7)의 오목부(5)의 측면(19) 사이에 공간 S1이 생겨서 공구를 너트(37)에 맞물리게 하여 너트(37)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퓨즈 유닛(1)의 퓨즈부(25)가 배터리(7)의 상면(17)에 배치되고(도 18(b) 참조), 퓨즈 유닛(1)의 퓨즈부(25)가 오목부(5)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9(b) 참조). 따라서, 배터리 단자(27)를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배터리 단자(27)의 퓨즈 유닛 접합부(29) 및 퓨즈 유닛(1)의 배터리 접속부(21)는 종래 퓨즈 유닛(200)(도 19(a) 참조) 보다도 배터리(7)의 오목부(5)의 측면(19)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19(b)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정된 예에 따른 퓨즈 유닛(1A)으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퓨즈부(25)(25A, 25B) 및 2개 이상의 제1 외부 접속 단자(23)(23A, 23B)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퓨즈부(25)(25A, 25B) 및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가 설치되어 있는 퓨즈 유닛(1A)에는, 퓨즈부(25)(25A, 25B)가 상호 사전결정된 간격으로 사전결정된 방향(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가 상호 사전결정된 간격으로 사전결정된 방향(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에 접속된 배선의 뻗음 방향은 종방향이 되고 실질상 서로 평행하다.
또한, 퓨즈부(25)(25A, 25B) 및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가 배치된 퓨즈 유닛(1A)이 배터리(7)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각 퓨즈부(25)(25A, 25B)는 배터리(7)의 제2 측면(17B)의 근방에서 배터리(7)의 제2 측면(17B)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각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는 배터리(7)의 제2 측면(17B)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배터리(7)의 제2 측면(17B)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에 접속된 배선의 뻗음 방향은 제1 측면(17B)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각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에 접속된 배선의 뻗음 방향은 제2 측면(17B)과 경사져 교차할 수 있다.
즉, 퓨즈 유닛(1A)이 배터리(7)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 퓨즈부(25)(25A, 25B)는 배터리(7)의 상면(15)의 상측에 배터리(7)의 상면(15)으로부터 경미하게 떨어져 있고, 배터리(7)의 제2 측면(17B)과 배터리(7)의 상면(15) 사이의 경계(능선)로부터 경미하게 떨어져 능선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퓨즈부(25)(25A, 25B)는 배터리 접속부(21)에 가까운 개소로부터 배터리(7)의 반대측(퓨즈 유닛(1A)이 설치된 측과 반대측)으로 향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퓨즈 유닛(1A)이 배터리(7)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는 배터리(7)의 상면(15)의 상측으로 배터리(7)의 상면(15)으로부터 경미하게 떨어져 있고, 배터리(7)의 제1 측면(17B)과 배터리(7)의 상면(15) 사이에 경계(능선)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 만큼 떨어져 능선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는 배터리 접속부(21)에 가까운 개소로부터 배터리(7)의 반대측(퓨즈 유닛(1A)이 설치된 측과 반대측)으로 향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는 각 퓨즈부(25)(25A, 25B)를 통하여 배터리 배터리 접속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접속단자(23A)는 퓨즈부(25A)만을 통해 배터리 접속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1 외부 접속단자(23B)는 퓨즈부(25B)만을 통하여 배터리 접속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단자(23A)는 배터리 접속부(21)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어 있고 제1 외부 접속단자(23B)는 제1 외부 접속단자(23A)에 인접하여 있다. 제1 퓨즈부(25A)는 배터리 접속부(21)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어 있고 퓨즈부(25B)는 퓨즈부(25A)에 인접하여 있다.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에 접속된 배선은 배터리(7)의 제2 측면(17B)에 직교하여 뻗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에 접속된 배선은 배터리(7)의 반대의 측면(제2 측면(17B)과 대향하는 측면)측으로 뻗어 있다.
퓨즈 유닛(1A)에 의하면, 퓨즈 유닛(1A)이 배터리(7)에 설치될 때에,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가 배터리(7)의 상면(15)의 상측에 위치되고 퓨즈부(25)(25A, 25B)가 배터리(7)의 상면(15)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퓨즈 유닛(1A)의 형상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 및 퓨즈부(25)(25A, 25B)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퓨즈 유닛(200)에서는, 퓨즈부(208)가 배터리(210)의 오목부(236)의 측면(242)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공간이 부족하여 퓨즈부(208)의 수를 간단히 증가시킬 수 없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의 수정된 예에 따른 퓨즈 유닛(1A)에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퓨즈부(25)(25A, 25B)의 갯수를 2로 하고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의 갯수를 2로 하는 경우에, 퓨즈부(25)(25A, 25B) 및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를 수평방향(횡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퓨즈부(25)(25A, 25B) 및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 각각을 2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유닛(1A)의 다른 부분(배터리 접속부(21) 또는 제2 외부 접속단자(65))의 형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퓨즈 유닛(1A)에 의하면,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 및 퓨즈부(25)(25A, 25B)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퓨즈 유닛(1A)에 의하면, 퓨즈 유닛(1A)이 배터리(7)에 설치된 경우에, 퓨즈부(25)(25A, 25B)는 배터리(7)의 제2 측면(17B)을 따라 배열되고, 각 제1 외부 접속단자(23)(23A, 23B)에 접속된 배선의 뻗음 방향은 배터리(7)의 제2 측면(17B)과 직교하여 있다. 따라서, 퓨즈 유닛(1A)에서, 퓨즈부(25)(25A, 25B)의 가시성이 향상되고 배선의 접속이 용이해질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배터리 포스트가 배터리의 상면 보다 한 단계 아래에 설치된 배터리에 사용되기 위해 장착된 퓨즈 유닛에서, 퓨즈 유닛이 배터리에 설치될 때 배터리의 측면으로부터의 퓨즈 유닛의 돌출량이 최대한 감소될 수 있다.

Claims (4)

  1. 배터리 포스트가 배터리의 상면 보다 한 단계 낮은 평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퓨즈 유닛으로서,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부;
    전기 기기에 각각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접속단자; 및
    상기 배터리 접속부와 상기 외부 접속단자 각각을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퓨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접속단자 및 상기 퓨즈부는 상기 배터리 접속부가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될 때에, 상기 배터리의 상면 보다도 상측으로 위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배터리의 주변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퓨즈 유닛은 배터리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단자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체결부를 구비하고 중간부에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접합되는 배터리 포스트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체결부가 조작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퓨즈 유닛이 상기 배터리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 직방형의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체결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포스트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배터리 단자의 길이방향이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유닛은 2개 이상의 퓨즈부 및 2개 이상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 퓨즈부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각 외부 접속단자는 상기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각 외부 접속단자에 접속된 배선의 뻗음 방향은 서로 실질상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유닛이 상기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퓨즈부는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배선의 뻗음 방향은 상기 측면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4. 삭제
KR1020147000732A 2011-07-11 2012-07-11 퓨즈 유닛 KR101609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3192A JP5869789B2 (ja) 2011-07-11 2011-07-11 ヒューズユニット
JPJP-P-2011-153192 2011-07-11
PCT/JP2012/004477 WO2013008460A1 (en) 2011-07-11 2012-07-11 Fus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459A KR20140027459A (ko) 2014-03-06
KR101609213B1 true KR101609213B1 (ko) 2016-04-05

Family

ID=4750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732A KR101609213B1 (ko) 2011-07-11 2012-07-11 퓨즈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32490B1 (ko)
JP (1) JP5869789B2 (ko)
KR (1) KR101609213B1 (ko)
CN (1) CN103650210B (ko)
WO (1) WO2013008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0439B2 (ja) * 2015-01-14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部品ユニット、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及び固定構造
JP6262159B2 (ja) 2015-01-14 2018-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655443B2 (ja) * 2016-03-25 2020-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US10892460B2 (en) 2016-04-12 2021-01-1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iring module for attachment to a power storage module
US10468841B2 (en) * 2016-08-22 2019-11-05 Lear Corporation Bus bar header assembly
US10374211B2 (en) 2016-09-12 2019-08-0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modules having terminal block assemblies with drainage channels
KR102508167B1 (ko) * 2018-02-23 2023-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7107034B2 (ja) * 2018-07-03 2022-07-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端子接続構造
DE102018215347A1 (de) * 2018-09-10 2020-03-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atteriepolklemme
EP3943343A1 (en) 2020-07-23 2022-01-26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for mounting a fuse box on a vehicle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7609A (en) 1998-01-23 1999-03-02 Esoteric Audio Usa Battery with multi-connection terminals and integral fus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97U (ja) * 1991-07-31 1993-02-26 マツダ株式会社 ヒユーズボツクス
US5716243A (en) * 1995-04-25 1998-02-10 The Whitaker Corporation Automotive battery connector assembly
JP3141819B2 (ja) * 1997-07-15 2001-03-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ー搭載用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7609A (en) 1998-01-23 1999-03-02 Esoteric Audio Usa Battery with multi-connection terminals and integral f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2490A4 (en) 2015-07-01
WO2013008460A1 (en) 2013-01-17
EP2732490B1 (en) 2017-08-30
CN103650210B (zh) 2018-10-12
EP2732490A1 (en) 2014-05-21
KR20140027459A (ko) 2014-03-06
CN103650210A (zh) 2014-03-19
JP5869789B2 (ja) 2016-02-24
JP2013020811A (ja)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213B1 (ko) 퓨즈 유닛
JP5681521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US7347733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20160196947A1 (en) Fuse Unit Attachment Structure
JP5698451B2 (ja) 端子台
US20160204555A1 (en) Battery direct-mounted fusible link
KR20130069858A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US9972823B2 (en) Fusible link
KR101514797B1 (ko) 퓨즈 유닛
JP6358164B2 (ja) アース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6238161B2 (ja) 電池集合体と導電路付き端子との接続構造
US9172231B2 (en)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bus bars
WO2014024793A1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6238873B2 (ja) 電気接続箱
JP6026243B2 (ja) 電気接続箱
US10014143B2 (en) Fuse unit
JP2014087182A (ja) プロテクタ
KR20100084891A (ko) 퓨즈박스
JP5264373B2 (ja) ヒューズブロック
JP5174576B2 (ja) 締結部材
WO2017110789A1 (ja) ワイヤハーネスの端子接続構造
JP7123482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753426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2017050092A (ja) バッテリ端子台
JP2014165959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