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04B1 -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04B1
KR101606904B1 KR1020140053417A KR20140053417A KR101606904B1 KR 101606904 B1 KR101606904 B1 KR 101606904B1 KR 1020140053417 A KR1020140053417 A KR 1020140053417A KR 20140053417 A KR20140053417 A KR 20140053417A KR 101606904 B1 KR101606904 B1 KR 10160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sensor
bu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164A (ko
Inventor
안형창
Original Assignee
안형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창 filed Critical 안형창
Priority to KR102014005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0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Abstract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과속여부에 따라 차량을 통과시켜 차량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하거나,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규정속도 이하일 때 회전범프가 회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이탈되므로 차량이 도로를 통과할 때 회전범프를 타고 넘어가지 않고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규정 속도를 초과할 때, 회전범프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차량이 회전범프를 타고 넘어가게 됨에 따라,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같이 차량의 속도를 저감하여 과속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과속여부에 따라 차량을 통과시켜 차량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하거나,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속방지턱(speed bump)은 도로 위에 운행되는 차량이 과속하지 못하도록 도로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공공시설물로서, 일반적으로 주거 환경이나 보행자 보호를 위하여 설치하며, 일정한 규정에 따라 설치된다.
과속방지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30km/hr로 제한하는 곳을 대상으로 하며, 표준형상은 원호형 좌우대칭으로 높이 10cm, 길이 3.6m로 규정된다.
또한, 국지도로 중 폭 6m 미만의 소로 등에서는 길이 2.0m, 높이 7.5cm를 적용할 수 있고, 단지 내 도로 등 민간 설치자가 차량의 주행속도를 10km/시 이하로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길이 1.0m, 높이 7.5cm의 범프를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과속방지턱은 규정된 사이즈를 초과하여 더 길고 높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과속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차량이 이러한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에는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 차량과 차량의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병원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에는 통행하는 환자의 보호를 위해 다수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과속방지턱도 규정된 사이즈를 초과한 크기로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신속하게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는 구급차의 입장에서는 과속이 필요한 상황이나, 과속으로 과속방지턱을 넘을 경우에는 환자에게 큰 충격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과속방지턱에 의해 과속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과속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의 충격이 환자에게 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28826호
본 발명은 차량의 과속여부에 따라 차량을 통과시켜 차량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하거나,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와,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하강시켜 고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및 상기 회전범프에 대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며, 차량의 통과 이후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하강된 회전범프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대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의 하강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제 1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 2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신호는 녹색발광 신호이며, 상기 제 2 신호는 적색발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와,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상승시킨 후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규정속도 이하일 때 회전범프가 회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이탈되므로 차량이 도로를 통과할 때 회전범프를 타고 넘어가지 않고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둘째,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규정 속도를 초과할 때, 회전범프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차량이 회전범프를 타고 넘어가게 됨에 따라,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같이 차량의 속도를 저감하여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가 구성된 과속 방지턱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의한 회전범프의 회전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의한 회전범프의 승하강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차량 속도 감지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차량 속도 감지에 따른 회전범프의 회전 동작 제어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센서를 통한 차량의 통과 여부 확인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차량 속도 감지에 따른 회점버프의 승하강 동작 제어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회전범프에 대한 승하강 동작에 따른 차량 통과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접촉 또는 충격 센서를 통한 차량 감지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이 차로에 적용된 다양한 형태에 대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가 구성된 과속 방지턱의 정면도 및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은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100)와, 메인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도로의 표면에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도로의 표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에 삽입되는 지지파일(80)이 구성되어, 상기 지지파일(80)이 함몰부에 삽입되어 도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도로의 가장자리, 차선, 중앙선, 또는 일 도로의 중앙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범프(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배리어 바디(210)와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배리어 바디(210)를 연결하는 브리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로의 폭 방향이란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의 길이 방향이 아닌,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범프(200)는 메인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메인바디(100)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로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범프(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회전시 상기 메인바디(10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범프(200)는 도로의 표면을 기준으로 도로의 표면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미세하게 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 구동에 대한 상세 구성은 이미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회전범프(200)는 하면에 원활한 회전 구동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이동부는 배리어 바디(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과 접촉되는 휠(20)과, 휠(20)과 배리어바디(21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범프(200)의 회전시 휠(20)을 통해 회전범프(200)가 도로와 마찰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할 수 있으며, 완충부재(미도시)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넘어서 통과하는 차량에 대하여 회전범프(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회전범프(200)는 도로를 지나가는 차량의 바퀴 중 어느 한 측의 바퀴에만 접촉될 수 있다. 회전범프(200)의 길이는 차량의 우측 바퀴와 좌측 바퀴 중, 어느 한 측의 바퀴에만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차량의 우측 바퀴 또는 좌측 바퀴에만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우측이 차량의 진행차로인 경우에, 회전범프(200)는 이 진행차로의 우측 차선(R)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범프(200)의 길이는 차량의 우측바퀴까지만 간섭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차량의 좌측바퀴에는 간섭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범프(200)에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면에 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충격센서(12) 및 접촉 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인바디(100) 또는 상기 회전범프(200)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어부(300)는 메인바디(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어부(30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메인바디(100)에 전원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도로 또는 도로의 함몰부에 구비될 수 있는 전원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 및 센서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회전범프(200)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속도를 전달받아 차량의 실제 속도로 환산한 후, 환산된 차량의 실제 속도와 기설정된 속도를 비교한다.
이때, 기설정된 속도는 일반적으로 규정된 30km/h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도로의 폭, 도로의 차량 통행량, 도로에 연결된 시설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 구동부(310)는 메인바디(100)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의 실제 속도와 기설정된 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판단되면, 회전구동부(310)를 통해 메인바디(100)로부터 회전범프(20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메인바디(100)를 회전시켜 회전범프(200)가 메인바디(10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거나, 메인바디(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범프(200)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회전범프(200)가 회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회전범프(200)가 이탈되면, 차량이 도로를 통과할 때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게 된다. 차량이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고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차량이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의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회전범프(200)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범프(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 구동부(320)는 회전범프(200)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상기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하강시킨 후 메인바디(100)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차량은 고정된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같이 차량의 속도를 저감하여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 회전 구동부(310), 승하강 구동부(320), 제어부(300) 및 표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이하 도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는 도플러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 등과 같은 속도 센서(11) 및 상기 속도 센서(1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기초로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관리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센서(11)는 차량(1)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회전범프(20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차량(1)을 향해 송출된 신호가 차량(1)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 후 센서관리부(14)로 제공하며, 상기 센서관리부(14)는 상기 반사신호를 기초로 속도에 대한 센싱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는 센서부(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 속도를 환산하며, 차량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회전시키며, 이를 통해 차량(1)이 회전범프(200)와의 접촉 없이 통과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범프(200)가 회전되어 차량(1)의 진행방향에서 회전범프(200)가 이탈되면, 차량(1)이 도로를 통과할 때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게 된다. 즉, 차량(1)이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고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차량(1)이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어부(300)는 회전 구동부(310)를 통한 회전범프(200)의 회전 이후 소정의 지연 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으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를 통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센서부(10)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1)의 통과가 확인되거나 소정의 지연 시간 동안 차량(1)이 통과되지 않는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310)를 제어하여 회전범프(200)를 복귀(원위치)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센서부(10)로부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환산된 차량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하강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회전범프(200)의 일측면에 충격센서(12) 또는 접촉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차량(1)이 회전범프(200)와 접촉시 접촉 여부를 측정하거나 충격에 따른 충격량을 측정한 측정신호를 센서관리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관리부(14)는 접촉센서(13) 또는 충격센서(12)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기초로 센싱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센서관리부(14)는 센싱신호의 종류를 구분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300)가 센싱신호를 기초로 속도 센서(11), 충격 센서(12), 접촉 센서(13) 중 어느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접촉센서(13)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여 차량(1)의 통과대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충격센서(12)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충격량을 연산하여 이를 기초로 차량(1)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접촉센서를 통해 카운트되는 물체 중 차량(1)만을 카운트하거나, 차량(1)의 종류(자전거, 모터 사이클, 트럭, 승합차, 승용차 등) 또는 사람을 구분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0)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를 함께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나,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여 차량(1)의 통과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측정신호로부터 센서관리부(14)를 통해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1)의 통과가 확인된 경우 승하강 관리부(320)를 제어하여 회전범프(200)를 원위치(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센서부(10)로부터 속도센서(11)를 기초로 생성된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차량(1)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하강된 상태의 회전범프(200)를 상기 승하강 관리부(320)를 통해 승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상술한 구성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속도에 대한 센싱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S1).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차량(1)이 감지되는 경우(S2)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S3)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도로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며(S4), 이에 따라 차량(1)이 회전범프(200)와의 충돌 없이 통과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된 상태로 회전범프(200)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S4), 센서부(10)를 통해 차량의 통과여부를 측정하여 차량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S5)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S6).
한편, 제어부(300)는 센서부(10)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S3)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하강시키며(S7), 속도센서(11),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의 통과를 확인한 이후(S8)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승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S9).
도 12는 상술한 구성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는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최초 회전범프(200)를 하강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센서부(10)를 통해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S11) 감지된 차량(S12)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S13) 현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이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도록 하여 차량의 속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센서부(10)를 통해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S11) 감지된 차량(S12)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S13)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승강시킨 후(S14)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도로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S15).
이를 통해,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운행하는 차량이 회전범프(200)와의 충돌 없이 통과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된 상태로 회전범프(200)를 유지시키며, 센서부(10)를 통해 차량의 통과여부를 측정하여 차량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S16)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된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복귀시킨 후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하강시켜 고정함으로써 원위치시킬 수 있다(S17).
이와 같이,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최초 회전범프를 하강시킨 상태로 유지하다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회전범프(200)와의 충돌없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제어부(300)와 연결되며 차량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회전범프(200)의 일측면에 표시부(33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표시부(330)를 통해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여 운행하는 차량에 대한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이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 과속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속도를 낮추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3을 통해 설명하면, 제어부(300)는 최초 초기화 이후(S21) 센서부(10)를 구동하여(S22)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어(S23)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S24) 과속에 따른 제 1 신호를 표시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S25).
이때, 상기 제 1 신호는 적색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330)는 적색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센서부(10)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S24) 정상운행에 따른 제 2 신호를 표시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S27).
이때, 상기 제 2 신호는 녹색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330)는 녹색신호에 따라 녹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표시부(330)를 통해 제 1 및 제 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 후 센서부(10)의 속도 센서(11)에 따른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과 과속방지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S26), 측정된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이면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며, 기설정된 기준거리 미만인 경우 표시부(330)를 통한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과속방지턱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과속 여부를 알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이 과속방지턱 근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 이하로 속도를 줄여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이 차로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된 예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은, 메인바디(100)에 복수개의 회전범프(200)가 메인바디(10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범프(200)는 메인바디(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도로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도로가 2차로로 형성된 경우, 메인바디(100)는 중앙선(M) 상에 배치되며, 회전범프(200)가 각 차로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각 회전범프(200)는 각 차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별적으로 작동된다.
도 15와 같이, 하나의 차로인 경우, 메인바디(100)가 차로의 중앙에 설치되고, 메인바디(100)의 양측으로 회전범프(200)가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우측 회전범프(200)는 차량의 우측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고, 좌측 회전범프(200)는 좌측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여,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작동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 10: 센서부
11: 속도센서 12: 충격센서
13: 접촉센서 14: 센서 관리부
20: 휠 80: 지지파일
100: 메인바디 200: 회전범프
210: 배리어 바디 220: 브리지
300: 제어부 310: 회전 구동부
320: 승하강 구동부 330: 표시부

Claims (9)

  1.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범프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하강시켜 도로 표면에 고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및
    상기 회전범프에 대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및 접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여 차량의 통과대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충격센서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충격량을 연산한 후, 연산된 충격량을 기초로 차량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상기 접촉센서를 통해 카운트되는 물체 중 차량만을 카운트하거나 차량의 종류 또는 사람을 구분하여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며, 차량의 통과 이후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하강된 회전범프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의 하강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제 1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 2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녹색발광 신호이며, 상기 제 2 신호는 적색발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9.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상승시킨 후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및
    상기 회전범프에 대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및 접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여 차량의 통과대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충격센서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충격량을 연산한 후, 연산된 충격량을 기초로 차량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상기 접촉센서를 통해 카운트되는 물체 중 차량만을 카운트하거나 차량의 종류 또는 사람을 구분하여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KR1020140053417A 2014-05-02 2014-05-02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KR10160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17A KR101606904B1 (ko) 2014-05-02 2014-05-02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17A KR101606904B1 (ko) 2014-05-02 2014-05-02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64A KR20150126164A (ko) 2015-11-11
KR101606904B1 true KR101606904B1 (ko) 2016-04-01

Family

ID=5460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417A KR101606904B1 (ko) 2014-05-02 2014-05-02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591B (zh) * 2016-07-24 2018-08-24 马千里 一种伸缩滚轮
CN106120592B (zh) * 2016-07-24 2019-03-12 朱增伟 一种活动减速带
CN106120593A (zh) * 2016-07-24 2016-11-16 朱增伟 能平移转动90°的公路减速带
CN109162216B (zh) * 2018-11-09 2023-12-08 山东建筑大学 一种地下车库防逆行减速带及其工作方法
ES2794198A1 (es) * 2019-05-14 2020-11-17 Franco Vazquez Juan Sistema de guiado, información y prevención de colisiones en carreteras/autopistas bajo condiciones adversas de visibilidad, como niebla, humo, lluvia y ot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64A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904B1 (ko)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US8751142B2 (en) Method for avoiding side collision of vehicles
CN107000746B (zh) 用于车辆路径预测的系统及方法
JP6294335B2 (ja) 可変長緩衝器を有するエレベータ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CN106980315B (zh) 一种自动导引车的巡航报警方法及系统
KR20110115197A (ko) 속도감지형 과속방지턱
JP2004314942A (ja) 自動車の水平位置調整装置の運転方法
KR101964063B1 (ko) 역주행 방지 시스템
KR20090087614A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CN106740834B (zh) 一种辅助车辆会车的方法及装置
CN102999948B (zh) 一种自动靠近车辆的收费装置
KR102399951B1 (ko) 도로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10031589A (ko) 터널 내부 차량 사고 방지시스템
JP4711116B2 (ja) 天井走行車
KR101928947B1 (ko) 역주행 방지 시스템
JP7390817B2 (ja) 進行方向状態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台車
KR101328018B1 (ko) 저속 근거리에서의 차량용 충돌방지방법 및 장치
KR101731341B1 (ko) 과적 차량 무인 단속 시스템
KR101096806B1 (ko) 교통 신호 통과 구간 안내 시스템
CN105862623B (zh) 一种强制限定机动车通行的路障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90005071A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20160045455A (ko) 오경보 방지 기능을 갖는 주차 보조 장치 및 그의 경보 제어 방법
JP6914104B2 (ja) 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