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071A -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071A
KR20190005071A KR1020170085643A KR20170085643A KR20190005071A KR 20190005071 A KR20190005071 A KR 20190005071A KR 1020170085643 A KR1020170085643 A KR 1020170085643A KR 20170085643 A KR20170085643 A KR 20170085643A KR 20190005071 A KR20190005071 A KR 2019000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reverse
run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영
유영철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071A/ko
Publication of KR2019000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0Vehicle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passage in one direction only
    • E01F13/105Vehicle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passage in one direction only depressible by right-way traffic, e.g. pivotally; actuated by wrong-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에 있어서, 도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면보다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정주행 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된 경사턱부와, 상기 경사턱부의 전방 끝단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역주행감지부, 및 상기 경사턱부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도로의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역주행감지부가 상기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상기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역주행하는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방지막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FROM DRIVING ON REVERSE LANE}
본 발명은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휴게소 및 인터체인지 등은 진입로와 진출로가 구별되어 일방통행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로에는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이 정해져 있다. 만약 차량이 정주행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역주행하게 되면, 다른 차량과 정면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크며, 정면충돌에 따른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역주행 방지를 위한 특별한 설비가 없어, 운전자의 미숙 또는 착각 등으로 역주행하는 차량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정주행 차량과의 충돌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단지 도로면에 주행방향을 알리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주는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과속방지턱은 단지 주행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고자 고의적으로 도로면에 볼록한 구조물을 설치한 것으로서, 운전자 자신이 역주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는 과속방지턱이 역주행을 막지 못한다. 또한, 차량의 진입을 알리기 위한 경보수단이 설치된 경우에는 대부분 정방향으로 진입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경보수단이 동작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64650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운전미숙 및 착오로 역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는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에 있어서, 도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면보다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정주행 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된 경사턱부와, 상기 경사턱부의 전방 끝단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역주행감지부, 및 상기 경사턱부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도로의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역주행감지부가 상기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상기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역주행하는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방지막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턱부는 상기 전방 끝단면에 형성된 원호형 홈, 및 상기 원호형 홈과 연결되게 형성된 수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형 홈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는 일측이 상기 원호형 홈의 후방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경사부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주행감지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주행감지부는 감지센서, 중량센서, 루프코일센서, 및 피에조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지막돌출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역주행감지부가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도로의 방향으로 도로면 보다 높게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개폐도어를 구성하여 내부에 상기 돌출부재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도로의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는 정주행하는 차량이 감지되지 않고 역주행하는 차량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의 경사턱부에 설치된 역주행감지부가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역주행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방지막돌출부를 포함함으로써, 방지막돌출부의 돌출부재가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역주행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역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역주행을 인식하게 되어 운전미숙 및 착오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사턱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사턱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는 경사턱부(10), 역주행감지부(30), 및 방지막돌출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역주행감지부(30)와 방지막돌출부(50)는 도로(L)에 일정 간격 한 세트로 설치된다. 또한, 도로(L)는 주차장, 고속도로 휴게소, 인터체인지 등의 진출입로일 수 있다.
경사턱부(10)는 도로(L)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면보다 소정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경사턱부(10)는 정주행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정주행 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를 포함한다.
또한, 경사턱부(10)는 역주행하는 차량의 진행을 방해하도록, 상기 전방의 끝단면에 형성된 원호형 홈(13), 및 원호형 홈(13)과 연결되게 형성된 수직부재(15)를 포함한다.
원호형 홈(13)은 역주행 차량의 타이어가 걸리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직부재(15)는 일측이 원호형 홈(13)의 후방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경사부(11)의 전방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게 형성된다.
역주행감지부(30)는 정주행하는 차량이 감지되지 않고 역주행하는 차량만 감지될 수 있도록, 수직부재(15)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역주행감지부(30)는 감지센서, 중량센서, 루프코일센서, 피에조센서 등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방지막돌출부(50)는 경사턱부(1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도로(L)의 지하에 매설된다. 여기서, 방지막돌출부(50)는 경사턱부(10)로부터 후방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방지막돌출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주행감지부(30)가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도로(L)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역주행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킨다.
또한, 방지막돌출부(50)는 프레임(51), 및 돌출부재(53)를 포함한다.
프레임(51)은 개폐도어를 구성하여 내부에 돌출부재(53)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도로(L)의 지하에 매설된다. 여기서, 프레임(51)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51)은 수납박스일 수 있다.
돌출부재(53)는 프레임(51) 내에 위치하며, 역주행감지부(30)가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프레임(51)으로부터 도로(L)의 방향으로 도로면 보다 높게 돌출된다.
이때, 돌출부재(53)는 역주행감지부(30)와 연동되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53)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아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53)의 돌출동력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프레임(51)의 바닥부위에 위치한 탄성체의 밀어 올리는 탄성력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53)는 정주행 차량 또는 역주행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완충부재 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로(L)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53)는 돌출된 후 경사턱부(10)와 방지막돌출부(50) 사이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원상복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상복귀는 돌출부재(53)가 돌출된 후 120초 ~ 180초가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재(53)가 돌출될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주행 차량의 운전자들로 하여금 당황하지 않고 우회도로(B)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주행감지부(30)가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에는 정주행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우회도로(B) 안내를 시작할 수 있다. 우회도로(B) 안내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주행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우회도로(B) 경로안내 등 우회도로(B)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우회도로(B) 안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주행 차량의 운전자들로 하여금 당황하지 않고 안내되는 우회도로(B)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53)가 돌출될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는 정주행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잠시 멈춤 안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는 정주행하는 차량이 감지되지 않고 역주행하는 차량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의 경사턱부에 설치된 역주행감지부가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역주행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방지막돌출부를 포함함으로써, 방지막돌출부의 돌출부재가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역주행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역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역주행을 인식하게 되어 운전미숙 및 착오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는 방지막돌출부의 돌출부재가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역주행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역주행을 정확하고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교통체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경사턱부 11 : 경사부
13 : 원호형 홈 15 : 수직부재
30 : 역주행감지부 50 : 방지막돌출부
51 : 프레임 53 : 돌출부재

Claims (5)

  1.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에 있어서,
    도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면보다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정주행 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된 경사턱부;
    상기 경사턱부의 전방 끝단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역주행감지부; 및
    상기 경사턱부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도로의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역주행감지부가 상기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상기 도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역주행하는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방지막돌출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턱부는,
    상기 전방 끝단면에 형성된 원호형 홈, 및 상기 원호형 홈과 연결되게 형성된 수직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호형 홈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가 일측이 상기 원호형 홈의 후방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경사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주행감지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주행감지부는,
    감지센서, 중량센서, 루프코일센서, 및 피에조센서 중 어느 하나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지막돌출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역주행감지부가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도로의 방향으로 도로면 보다 높게 돌출되는 돌출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이 개폐도어를 구성하여 내부에 상기 돌출부재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도로의 지하에 매설되는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20170085643A 2017-07-05 2017-07-05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20190005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43A KR20190005071A (ko) 2017-07-05 2017-07-05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643A KR20190005071A (ko) 2017-07-05 2017-07-05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71A true KR20190005071A (ko) 2019-01-15

Family

ID=6503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643A KR20190005071A (ko) 2017-07-05 2017-07-05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0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65B1 (ko) 2020-07-06 2021-03-05 (주) 엠파워 역주행 사고방지장치
KR102591105B1 (ko) 2023-04-25 2023-10-19 주식회사 한국엔텍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65B1 (ko) 2020-07-06 2021-03-05 (주) 엠파워 역주행 사고방지장치
KR102591105B1 (ko) 2023-04-25 2023-10-19 주식회사 한국엔텍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54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afe parking of a vehicle
US8751142B2 (en) Method for avoiding side collision of vehicles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EP2645126A1 (en) Railroad crossing barrier estimating apparatus and vehicle
KR20160049291A (ko) 운전자 보조장치 및 그 작동 방법
ES2719417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un paso de un automóvil por un portal de señales de tráfico
JP6374787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CN108248504B (zh) 用于控制车辆的虚拟发动机声音的装置和方法
KR20190005071A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1372803B1 (ko) 스쿨존 횡단보도 안내 장치
KR20180117776A (ko)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KR20170091981A (ko)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KR20180135227A (ko) 역주행 방지 시스템
US11155274B2 (en)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US20220221869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928947B1 (ko) 역주행 방지 시스템
CN112130551A (zh) 无人驾驶车辆的行进路径和速度决策规划方法及装置
JP6475563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BR112014000047B1 (pt) veículo de transporte de passageiros compreendendo um dispositivo de segurança, método para aplicar tal dispositiv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KR200462328Y1 (ko) 차량 높이 제한 시스템
CN110065491A (zh) 车轮保护方法、装置及车辆
WO2020250938A1 (ja) 走行管理装置、走行管理方法、記録媒体
CN210348799U (zh) 一种汽车测距测速的同步拍照系统
KR20220073954A (ko) 자동차와 보행자 간 충돌 경고 장치
KR20220058894A (ko) 터닝 보조 시스템의 작동 방법, 터닝 보조 시스템, 및 이러한 터닝 보조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