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981A -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1981A KR20170091981A KR1020160012949A KR20160012949A KR20170091981A KR 20170091981 A KR20170091981 A KR 20170091981A KR 1020160012949 A KR1020160012949 A KR 1020160012949A KR 20160012949 A KR20160012949 A KR 20160012949A KR 20170091981 A KR20170091981 A KR 201700919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 door
- unit
- opening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67—Bu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출입문이 개방되기 직전에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이륜차 등의 물체를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방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케 한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은 버스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버스 후방 및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200)과; 상기 버스의 출입문을 자동 개폐하는 출입문개폐부(300)와; 상기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동작을 최종 제어하는 안전제어부(400)와;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안내하는 안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이륜차 등 각종 외부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만 출입문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케 되며, 버스를 추월하는 이륜차 운전자는, 버스가 이륜차를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이륜차 운전자 역시 안전하게 버스를 추월할 수 있게 되어 추돌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은 버스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버스 후방 및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200)과; 상기 버스의 출입문을 자동 개폐하는 출입문개폐부(300)와; 상기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동작을 최종 제어하는 안전제어부(400)와;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안내하는 안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이륜차 등 각종 외부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만 출입문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케 되며, 버스를 추월하는 이륜차 운전자는, 버스가 이륜차를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이륜차 운전자 역시 안전하게 버스를 추월할 수 있게 되어 추돌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의 출입문이 개방되기 직전에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이륜차 등의 물체를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방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케 한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버스는 한꺼번에 많은 수의 승객을 운송하는 대표적인 교통수단으로써 도심지 주요 구간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시내버스와, 주요 도시 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또는 고속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버스뿐만 아니라, 통학버스, 통근버스, 학원버스 등과 같이 특정인을 운송하는 버스 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한편, 버스는 차체 구조상 승객이 승하차 하는 출입문이 통상 한 개 내지 두 개이며, 모든 자동차가 도로의 우측으로 통행하는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에 따라 대형 버스는 상기 출입문이 버스의 정면에서 볼 때, 버스 좌측면 앞 부분과 중간 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소형버스는 버스 좌측면 중간 부분에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통행량이 많이 증가하면서 버스 승객이 버스에 승하차 하는 과정에서 이륜차와 충돌하면서 부상을 입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통상의 이륜차는 도로의 맨 우측 차선으로 운행하도록 도로교통법으로 규정하기 있는데, 버스가 승객을 승하차 시키기 위해서는 인도와 접하고 있는 맨 우측 차선에 정차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도 도로의 맨 우측 차선을 운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버스는 차체가 큰 반면에, 이륜차는 차체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버스의 후방에서 이륜차가 운행을 하게 되면, 버스에 의해 이륜차 운전자의 시야 상단 부분이 가려짐으로써 버스 운전자가 정류장을 보고 버스를 정차하더라도, 버스 후방을 따라가던 이륜차 운전자는 버스가 교통 정체로 인해서 정차하는 것인지,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서 정류장에 정차한 것인지 확인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이륜차 운전자는 차체가 큰 버스가 도로의 맨 우측 차선을 운행하다가 갑자기 정차하게 되면, 정차한 버스와 인도 사이의 공간이 이륜차의 통과가 가능한 경우에, 이륜차 운전자들은 상기 버스와 인도 사이의 공간을 통해 버스를 추월하려는 경향이 많은데, 이처럼 이륜차가 버스와 인도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버스 운전자가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게 되면, 승하차를 위해 대기 중이던 승객은 이륜차가 버스와 인도 사이의 공간을 진입한 것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승하차를 시도하는 경우에, 버스 승하차 승객과, 이륜차가 충돌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기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699호에는 통상의 각종 버스(2)에 설치되어 개폐 작동실린더의 작동으로 개폐 작동되는 하차문(3)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스 하차문용 안전장치(1)에 있어서; 상기 버스 하차문용 안전장치(1)는 버스(2)의 하차문(3) 외측 공간(S) 일측으로 고정되는 슬로트(4)를 갖는 케이싱(5)과, 상기 케이싱(5) 내부에는 하차문(3) 개폐용 작동실린더와 연동할 수 있는 작동실린더(6)를 설치하여 피스톤로드(7) 단부를 케이싱(5)내에 축핀(8)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차단부재(9)의 일단과 축핀(8)으로 연결된 작동레버(10)와 축핀(8)으로 연결하며; 상기 작동실린더(6)의 작동에 따라 차단부재(9)가 케이싱(5)의 슬로트(4)를 통하여 각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객이 버스에서 하차를 할 시에 후방에서 주행하여 하차문 측으로 돌진하는 이륜차이나 자전거 등과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버스 하차문용 안전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71651호에는 일면에 경고문구가 배시되는 안전안내판(2)이 일단에 결합된 차단바아(1)의 타단을 터닝모터(3)의 모터축에 설치하여 이를 승합차량(100)의 후방저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터닝모터(3)를 측면도어의 컨트롤러(4)와 연결하여 측면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상기 차단바아(1)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승합차량(100)과 보도블록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승합차량의 정차시 측면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승합차량과 보도블록 사이의 통로를 용이하게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함으로써 승합차량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한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버스가 정차하면, 버스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차단바아나, 차단부재와 같은 이륜차 차단수단이 출입문과 연동하여 버스 차체에서 외측면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버스가 정차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이륜차 차단수단이 출입문 후방에서 버스 차체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버스 후방에서 접근중인 이륜차 운전자로 하여금 버스 승객의 승하차를 인지시켜 승객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승하차시 이륜차와의 충동 방지를 통해 버스 승객의 안전성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데 반하여,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 운전자는 버스의 인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버스에서 갑작스럽게 이륜차 차단수단이 돌출되는 경우에, 그와 충동하면서 이륜차 운전자가 부상을 입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버스의 차체에서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륜차 차단부재가 출입문과 연동하여 버스 차체에서 외측면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기 때문에 버스가 정류장으로 진입하는 것을 확인한 버스 이용객이 버스를 탑승하기 위하여 멀리서 정류장 쪽으로 급하게 달려오는 과정에서 버스에서 갑작스럽게 돌출되는 이륜차 차단부재에 부딪혀 넘어지면서 큰 부상을 입을 가능성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결점인 이륜차 운전자나 버스 이용객의 부상 위함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를 가능케 하기 위한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버스의 운행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버스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버스 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버스 후방 및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200)과;
상기 버스 운전자의 계기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버스의 출입문을 자동 개폐하는 출입문개폐부(300)와;
상기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동작을 최종 제어하는 안전제어부(400)와;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입문 개폐 여부를 음성, 영상, 조명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안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버스의 출입문이 개방되기 직전에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이륜차 등의 물체를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방을 자동 제어하여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를 가능케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은 버스가 정차한 직후 출입문을 개방하기에 앞서,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이륜차 등 각종 외부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만 출입문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버스의 승하차 승객과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외부물체와의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가 도로의 맨 우측 차선에 정차한 직후, 버스와 인도 사이로 진입하여 버스를 추월하는 이륜차 운전자는, 버스가 이륜차를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이륜차 운전자 역시 안전하게 버스를 추월할 수 있게 되어 추돌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이하,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은 버스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버스 후방 및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200)과; 상기 버스의 출입문을 자동 개폐하는 출입문개폐부(300)와; 상기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동작을 최종 제어하는 안전제어부(400)와;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안내하는 안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속도감지수단(100)은 상기 버스의 운행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버스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속도계, GPS수신기,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속도계는 버스 내에 자체적으로 설치된 계기판에 부착되어 버스의 진행 속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버스의 속도정보를 상기 안전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GPS수신기는 3개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버스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GPS수신기를 통해 버스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이를 상기 안전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GPS 수신기는 GPS 위성에서 송신하는 주파수에 동조된 안테나, 수정발진기 등을 이용한 정밀한 시계,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수신기 위치의 좌표와 속도 벡터 등을 계산하는 처리장치, 계산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서 GPS 수신기는 상업적으로 다양한 방식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이미 주지된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속도센서는 상기 버스의 진행 방향을 포함하는 진행속도를 산출한다.
상기 가속도센서(acceleration sensor)는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물체의 운동 상태를 상세하게 감지할 수 있어 버스 운행시 버스의 속도를 검출하여 그 값을 상기 안전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가속도센서는 검출 방식에 따라서 적당한 질량을 가진 가동(可動) 부분이 움직인 양을 자석과 코일의 기전력(起電力)에 의하여 측정하는 전자식(電子式) 가속도센서와, 압력을 가하면 전압을 발생하는 압전(壓電) 소자를 사용하여, 가해진 압력으로써 가속도를 측정하는 전압식 가속도센서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버스의 가속도, 속도, 방향, 거리 등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3차원 가속도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은 상기 버스 후방 및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버스의 출입문이 설치되는 차체 측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버스의 운행 속도가 시속 10~15㎞ 이하일 때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은 버스 차체의 후측방 10~30m 내외의 근거리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등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사람이나 이륜차 등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카메라방식, 레이더로 주변에 전파를 방사하여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레이더방식, 적외선레이저를 방사하여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는 적외선레이저를 분석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레이저방식, 초음파를 발사하여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방식 등이 있는데, 그 중 물체 감지 정확도와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버스 후방에 설치되는 물체감지수단(200)은 버스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버스 전방에 설치되는 또 다른 물체감지수단(200)은 버스 후방에서 접근한 물체가 버스를 지나쳐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출입문개폐부(300)는 상기 버스 운전자의 계기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버스의 출입문을 자동 개폐하기 위하여 버스 차체 측면에서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케 설치되는 출입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문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출입문의 상하부에 롤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제어부(400)는 상기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동작을 최종 제어한다.
즉,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상기 버스의 속도정보를 제공받아 버스가 즉각 정지할 수 있는 시속 10~15㎞ 이하의 속도로 운행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이 작동함과 동시에 물체감지정보를 안전제어부(400)에 제공하게 된다.
그리하여 속도감지부에서 제공받은 버스의 속도가 시속 0㎞이고,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물체감지정보에 물체 감지가 확인되지 않으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안내부(500)로 전달하게 된다.
반면에, 속도감지부에서 제공받은 버스의 속도가 시속 0㎞이고,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물체감지정보에 물체 감지가 확인되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안내부(50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출입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작동을 차단함으로써 버스운전자가 계기조작을 통해서 출입문을 개방하더라도, 출입문의 개방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버스 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수단(200)을 통해 감지된 물체가 버스 전방에 설치된 또 다른 물체감지수단(200)에 의해 버스를 지나쳐 통과한 것이 확인되면, 안전제어부(400)는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구동부 작동을 가능케 하여 출입문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안내부(500)는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입문 개폐 여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음성, 영상, 조명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된 출력수단을 구비한다.
즉, 상기 음성 출력수단은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성신호 또는 음향신호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출입문 최종 개폐 신호가 "위험" 신호인 경우에는 "후방에서 위험물이 접근중이오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경고성 음성신호데이터나, "삐~삐~삐~"와 같은 경고성 음향신호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반면에,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출입문 최종 개폐 신호가 "안전" 신호인 경우에는 "출입문을 개방합니다."와 같은 안내성 음성신호데이터나, "딩~동~댕~"과 같은 안내성 음향신호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버스 내부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차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영상 출력수단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와, 상기 영상신호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출입문 최종 개폐 신호가 "위험" 신호인 경우에는 모니터에 "후방에서 위험물이 접근중이오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경고성 영상신호데이터를 모니터에 출력한다.
반면에,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출입문 최종 개폐 신호가 "안전" 신호인 경우에는 "출입문을 개방합니다."와 같은 안내성 영상신호데이터를 모니터에 출력함으로써 버스 내부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차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조명 출력수단은 조명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두 가지 색상, 바람직하게는 청색과, 적색의 표시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출입문 최종 개폐 신호가 "위험" 신호인 경우에는 적색 표시등가 점등되고,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출입문 최종 개폐 신호가 "안전" 신호인 경우에는 청색 표시등가 점등됨으로써 버스 내부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차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음성 출력수단이나, 영상 출력수단, 조명 출력수단은 어느 한 가지만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음성 출력수단과 또 다른 두 출력수단 중 한 가지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B)가 운행을 시작하면, 속도감지수단(100)은 버스의 운행 속도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안전제어부(400)에 제공한다.
그리하여 버스의 운행 속도가 시속 10~15㎞ 이하가 되면, 버스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 물체감지수단(200)이 동작하여 버스의 후측방으로 사람이나, 자전거, 오토바이 등 외부 물체(A)가 접근하는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안전제어부(4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스의 운행 속도가 시속 10~15㎞ 이하로 떨어지면서 물체감지수단(200)이 동작을 시작한 이후, 버스가 최종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물체감지수단(200)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없으면, 버스운전자가 출입문(D) 개방을 위한 계기 조작을 하였을 때, 안전제어부(400)는 안내부(500)에 "안전"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안내부(500)가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출입문을 개방합니다."와 같은 안내성 음성신호데이터를 출력케 함과 동시에 영상 출력수단을 통해 "출입문을 개방합니다."와 같은 안내성 영상신호데이터를 모니터에 출력하거나,
조명 출력수단을 통해 안전한 상태임을 표시하는 청색 표시등가 점등함으로써 버스 탑승객으로 하여금 안전한 하차가 가능한 상태임을 인지시킴과 동시에 출입문개폐부(300)의 작동을 허용함으로써 출입문(D)이 개방되어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케 된다.
반면, 상기와 같이 버스의 운행 속도가 시속 10~15㎞ 이하로 떨어지면서 물체감지수단(200)이 동작을 시작한 이후, 버스가 최종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물체감지수단(200)에 의해 외부 물체가 감지되면, 버스운전자가 출입문 개방을 위한 계기 조작을 하였을 때, 안전제어부(400)는 안내부(500)에 "위험"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안내부(500)가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후방에서 위험물이 접근중이오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경고성 음성신호데이터를 출력케 함과 동시에 영상 출력수단을 통해 "후방에서 위험물이 접근중이오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경고성 영상신호데이터를 모니터에 출력하거나,
조명 출력수단을 통해 위험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적색 표시등가 점등함으로써 버스 탑승객으로 하여금 외부 물체의 접근으로 인해 출입문 개방이 지연됨을 인지시키고, 출입문개폐부(300)의 작동을 불허함으로써 출입문이 개방이 지연된다.
이후, 차체 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수단(200)을 통해, 버스 후방에서 접근한 물체가 버스를 지나쳐 통과하였음이 확인되면, 안전제어부(400)는 출입문개폐부(300)의 작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출입문 개방에 관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안내부(500)에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출입문이 개방되어 버스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외부 물체 B: 버스
D: 출입문 100: 속도감지수단
200: 물체감지수단 300: 출입문개폐부
400: 안전제어부 500: 안내부
D: 출입문 100: 속도감지수단
200: 물체감지수단 300: 출입문개폐부
400: 안전제어부 500: 안내부
Claims (1)
- 버스의 운행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버스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버스 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버스 후방 및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수단(200)과;
상기 버스 운전자의 계기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버스의 출입문을 자동 개폐하는 출입문개폐부(300)와;
상기 속도감지수단(100)과, 상기 물체감지수단(2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300)의 동작을 최종 제어하는 안전제어부(400)와;
상기 안전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입문 개폐 여부를 음성, 영상, 조명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안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949A KR20170091981A (ko) | 2016-02-02 | 2016-02-02 |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949A KR20170091981A (ko) | 2016-02-02 | 2016-02-02 |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1981A true KR20170091981A (ko) | 2017-08-10 |
Family
ID=5965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949A KR20170091981A (ko) | 2016-02-02 | 2016-02-02 |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1981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39625A (zh) * | 2018-06-06 | 2018-11-20 | 上海景华消防工程有限公司 | 一种汽车安全门的自动控制系统 |
KR20190044727A (ko) * | 2017-10-21 | 2019-05-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5045585A (zh) * | 2021-03-08 | 2022-09-13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控制装置、系统、车辆以及控制方法 |
KR20230021966A (ko) | 2021-08-06 | 2023-02-14 | 박완규 | 버스 하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30147283A (ko) | 2022-04-14 | 2023-10-23 | 박완규 | 교통카드 인식 모니터링 시스템 |
-
2016
- 2016-02-02 KR KR1020160012949A patent/KR20170091981A/ko unkno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4727A (ko) * | 2017-10-21 | 2019-05-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08839625A (zh) * | 2018-06-06 | 2018-11-20 | 上海景华消防工程有限公司 | 一种汽车安全门的自动控制系统 |
CN115045585A (zh) * | 2021-03-08 | 2022-09-13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控制装置、系统、车辆以及控制方法 |
KR20230021966A (ko) | 2021-08-06 | 2023-02-14 | 박완규 | 버스 하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30113712A (ko) | 2021-08-06 | 2023-08-01 | 박완규 | 버스 하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30147283A (ko) | 2022-04-14 | 2023-10-23 | 박완규 | 교통카드 인식 모니터링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91981A (ko) | 버스 안전 승하차 시스템 | |
CN105741610B (zh) | 避免碰撞辅助装置 | |
US7528704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injuries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motor vehicle doors | |
CN209904702U (zh) | 用于门碰撞检测的装置及系统 | |
US7729858B2 (en) | Travel safety apparatus for vehicle | |
US8362922B2 (en) | Intersection driving support apparatus | |
CN1990321B (zh) | 智慧型车辆侧边防撞警示系统及其方法 | |
US10127817B2 (en)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US20130289801A1 (en) | Vehicle remote operating system and in-vehicle device | |
US20150130607A1 (en) | Rear Brake Light System | |
US2014024716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signal warning | |
CN107444406A (zh) | 车辆辅助驾驶系统及方法 | |
CN107399290A (zh) | 安全驾驶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 |
JP5408344B2 (ja) | 駐車支援装置 | |
WO2018163459A1 (ja) | 搭乗者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10847033B2 (en) | Method and obstacle assistance device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n obstacle detection device of a motor vehicle | |
CN109455139A (zh) | 一种基于汽车开门的警示保护装置 | |
CN108128304A (zh) | 驾驶辅助系统和方法 | |
JP2015212115A (ja) | 車両制御装置 | |
KR20200058642A (ko)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
KR100644813B1 (ko) |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 |
CN109476305B (zh) | 存在后部碰撞风险的处于停止的运输工具的安全装置 | |
CN115366796A (zh) | 车门防撞系统、车门防撞方法、计算机程序产品和车辆 | |
US11195029B2 (en) | Driver assistance system | |
US20230175304A1 (en) | Vehicle for recognizing road sign using at least one sensor and method thereo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