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612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612B1
KR101604612B1 KR1020130007270A KR20130007270A KR101604612B1 KR 101604612 B1 KR101604612 B1 KR 101604612B1 KR 1020130007270 A KR1020130007270 A KR 1020130007270A KR 20130007270 A KR20130007270 A KR 20130007270A KR 101604612 B1 KR101604612 B1 KR 10160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lead wire
bush
insertion hole
tongu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332A (ko
Inventor
히사카즈 하자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마이크 부시의 끝에는, 절첩가능한 설편부가 연장 형성된다. 설편부의 근방에는, 리드선을 삽통시키는 삽통공이 형성된다. 마이크 부시가 부착된 마이크를 수용부에 수용함으로써, 설편부가 절첩되어, 삽통공을 통해 인출된 리드선을 누른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드선을 갖는 마이크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를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한 마이크 홀더로 덮고, 전자기기 내부에 마이크를 배치함으로써, 잡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 2007-194708호 공보 참조)
마이크에 접속되는 리드선이 진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잡음이 발생한다. 상기한 일본국 특개 2007-19470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사용하여, 마이크 홀더에 의해 마이크의 진동을 억제하여도 된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리드선이 진동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면은, 전자기기로서, 리드선을 갖는 마이크와,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마이크 부시와,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되는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갖는 본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부시의 끝에는 절첩가능한 설편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편부의 근방에는, 상기 리드선을 삽통시키는 삽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된 상기 마이크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설편부가 절첩되고, 상기 설편부를 절첩함으로써, 상기 삽통공을 통해 인출된 상기 리드선이 눌리는,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매우 작은 공간에서 마이크의 진동이 감소되는 동시에, 마이크에 접속되는 리드선의 진동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일례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프론트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제거한 프론트 커버를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분리한 배터리 박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배터리 박스로부터 마이크 유닛 및 메인 기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마이크 유닛의 조립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a 내지 도 5c는 도 4c의 상태에서 조립된 마이크 유닛을 배터리 박스의 수용부 내에 배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마이크 유닛과 그것의 주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일례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b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프론트 커버 및 리어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마이크 유닛이 톱 베이스에 형성된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톱 베이스로부터 마이크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마이크 유닛의 조립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마이크 유닛을, 톱 베이스의 수용부 내에 배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일례인 디지털 카메라(1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11)의 전방면은 프론트 커버(12)로 덮이고, 디지털 카메라(11)의 배면은 리어 커버(13)로 덮여 있다. 디지털 카메라(11)의 전방면에는 렌즈 유닛(14)이 배치된다. 프론트 커버(12)에는 마이크 구멍(12a)이 형성된다. 마이크 구멍(12a)은, 렌즈 유닛(14)의 광축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관통공이다. 마이크 구멍(12a)은, 렌즈 유닛(14)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2a는, 디지털 카메라(11)에서 프론트 커버(12)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분리한 프론트 커버(12)를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11)의 내부에는, 렌즈 유닛(14), 배터리 박스(22) 및 스트로보 발광 유닛(15)이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박스(22)에는, 디지털 카메라(11)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가 놓인다. 배터리 박스(22)에는, 마이크 유닛(21)을 수용하는 수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 유닛(21)은, 마이크 구멍(12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배터리 박스(22)는, 본체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론트 커버(12)의 내측에는, 마이크 구멍(12a)을 둘러싸는 리브 형상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2)를 디지털 카메라(11)에 부착했을 때, 리브 형상부(12b)는 마이크 유닛(21)에 밀착하여, 마이크 유닛(21)의 전방에 음향 공간을 형성한다.
도 3a는, 디지털 카메라(11)에서 분리한 배터리 박스(22)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터리 박스(22)에는, 수용부(22a), 슬릿(22b) 및 핀(22c)이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 유닛(21)은 수용부(22a)에 수용되어 있다. 마이크 유닛(21)은 수용부(22a)에 수용될 때, 리드선(31)은 슬릿(22b)의 상부를 통과하여, 슬릿(22b)의 하측에 배치된다. 리드선(31)은 핀(22c) 사이에 유지되어, 접착제로 고정된다. 핀(22c)의 간격은 리드선(31)이 손상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배터리 박스(22)의 이면에는, 메인 기판(32)이 부착된다. 리드선(31)은 메인 기판(32)에 납땜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배터리 박스(22)로부터 마이크 유닛(21) 및 메인 기판(32)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부(22a)는, 마이크 유닛(21)의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슬릿(22b)은, 수용부(22a)의 측면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다.
마이크 유닛(21)은, 마이크 엘리먼트(41), 리드선(31) 및 마이크 부시(42)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선(31)은 일단이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납땜되고, 타단이 메인 기판(32)에 납땜된다. 마이크 부시(42)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리드선(31)의 일단이 납땜된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부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마이크 유닛(21)은,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리드선(31)을 납땜하고, 리드선(31)이 납땜된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마이크 부시(42)를 부착한 유닛이다.
배터리 박스(22)의 전방면측(즉, 프론트 커버(12)로 덮어지는 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유닛(21)이 수용부(22a) 내부에 놓인다.
도 4a 내지 도 4c는 마이크 유닛(21)의 조립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리드선(31)을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납땜하고, 마이크 부시(42)에 마이크 엘리먼트(41)를 아직 부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엘리먼트(41)에는 집음부(41a)가 형성된다. 마이크 부시(42)는, 마이크 부시(42)를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부착했을 때에, 집음부(41a)를 노출시키는 개구부(42a)를 갖는다. 마이크 부시(42)는, 마이크 부시(42)를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부착했을 때에, 리드선(31)을 마이크 부시(4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삽통시키는 제1 삽통공(42b)을 갖는다. 마이크 부시(42)의 끝에는, 설편부(42d)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설편부(42d)의 두께는, 설편부(42d)를 절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결정된다. 이에 따라, 설편부(42d)는, 절첩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4b는, 리드선(31)을 개구부(42a)를 통해 마이크 부시(42)의 내측으로 넣고, 제1 삽통공(42b)을 통해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부시(42)는, 제1 삽통공(42b)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31)을 삽통시키는 제2 삽통공(42c)을 갖는다. 제2 삽통공(42c)은, 설편부(42d)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삽통공(42c)의 치수는, 리드선(31)의 단면적과 대략 같다. 제2 삽통공(42c)의 치수가 리드선(31)의 단면적보다 대폭 큰 경우에는, 제2 삽통공(42c) 안에서 리드선(31)이 제멋대로 움직인다. 이와 같은 상황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제2 삽통공(42c)의 치수가 리드선(31)의 단면적보다 대폭 작은 경우에는, 리드선(31)을 삽입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
마이크 부시(42)를 저면에서 보면, 제1 삽통공(42b)과 제2 삽통공(42c)이 대각선 위에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 부시(42)의 저면에는, 링 형상의 돌기(4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4c는, 마이크 엘리먼트(41)를 마이크 부시(42)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이크 부시(42)의 개구부(42a)의 개구 직경은, 마이크 엘리먼트(41)의 외경보다도 작으므로, 마이크 엘리먼트(41)를 마이크 부시(42)의 내측에 배치하려고 할 때, 마이크 부시(42)의 개구부(42a)를 벌린다. 마이크 부시(42)를 마이크 엘리먼트(41)에 부착하면, 마이크 엘리먼트(41)의 집음부(41a) 이외는 마이크 부시(42)로 덮인다.
도 4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삽통공(42b)을 통해 인출된 리드선(31)은 제2 삽통공(42c)에 삽통된다. 제1 삽통공(42b)을 통해 인출된 후 제2 삽통공(42c)에 삽통하기 전의 리드선(31)의 부분은, 링 형상의 돌기(42e)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마이크 유닛(21)은, 도 4c의 상태에서,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에 배치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c의 상태로 조립된 마이크 유닛(21)을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 내부에 배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를 슬릿(22b)이 형성되는 방향(즉, 도 3의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유닛(21)을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에 배치할 때에는, 리드선(31) 및 마이크 부시(42)의 설편부(42d)가 슬릿(22b)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마이크 유닛(21)의 방향을 조정한다. 마이크 유닛(21)을 도 5a의 상태로부터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5b의 상태가 얻어진다.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유닛(21)이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에 배치되기 시작할 때, 리드선(31) 및 마이크 부시(42)의 설편부(42d)가 슬릿(22b)의 상측을 통해 삽입된다. 슬릿(22b)은 2가지 다른 폭을 갖는다. 슬릿(22b)의 상측의 폭이 설편부(42d)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편부(42d)는,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설편부(42d)의 부분들이 겹치도록, 절반으로 접힌다. 슬릿(22b)의 상측의 폭은 설편부(42d)의 두께의 2배에 리드선(31)의 외경을 가산한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선(31) 및 마이크 부시(42)의 설편부(42d)가 슬릿(22b)을 통과할 때에는, 설편부(42d)는 절반으로 접히지만, 리드선(31)은 설편부(42d)에 눌러져 있지 않다. 마이크 유닛(21)을 도 5b의 상태로부터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도 5c의 상태가 얻어진다.
도 5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유닛(21)이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 내부에 배치되고, 리드선(31) 및 마이크 부시(42)의 설편부(42d)가 슬릿(22b)의 하측을 통해 삽입된다. 슬릿(22b)의 하측의 폭은 설편부(42d)의 두께의 2배에 리드선(31)의 외경을 가산한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선(31) 및 마이크 부시(42)의 설편부(42d)가 슬릿(22b)의 하측에 위치할 때에는, 설편부(42d)가 눌러으깨져, 리드선(31)은 슬릿 내에서 설편부(42d)에 의해 눌리게 된다.
도 5c의 상태에서는, 마이크 부시(42)는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에 압입된다. 따라서, 마이크 부시(42)에 형성되는 제1 삽통공(42b)은, 배터리 박스(22)의 수용부(22a)에 의해 밀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삽통공(42b)을 통해 잡음과 진동이 마이크 부시(42)의 유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부시(42)가 수용부(22a)에 압입되므로, 마이크 부시(42)가 눌러으깨진다. 이에 따라, 제1 삽통공(42b)을 통해 인출되는 리드선(31)이 수용부(22a)와 마이크 부시(42) 사이에 배치된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른 마이크 유닛(21)과 그것의 주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부(22a)의 배면측에는, 수용부(22a)가 샤시(61)에 당접하는 당접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2)의 리브 형상부(12b)를 마이크 부시(42)에 누르면, 당접부(22d)가 샤시(61)에 당접하고, 프론트 커버(12)의 리브 형상부(12b)가 치수 S만큼 마이크 부시(42)를 눌러으깬다. 이에 따라, 리브 형상부(12b)는 마이크 유닛(21)에 밀착하여, 마이크 유닛(21)의 전방에 음향 공간을 형성한다.
마이크 유닛(21)은, 프론트 커버(12)의 리브 형상부(12b)에 눌러지므로, 마이크 부시(42)의 저면에서 링 형상의 돌기(42e)를 가로지르는 리드선(31)은, 링 형상의 돌기(42e)에 의해 눌러진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엘리먼트(41)의 저면과 마이크 부시(42)의 내측의 저면 사이에는 간격 T가 형성되어 있다. 간격 T를 조정함으로써, 링 형상의 돌기(42e)가 링 형상의 돌기(42e)를 가로지르는 리드선(31)을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간격 T를 크게 하면, 링 형상의 돌기(42e)가 리드선(31)을 누르는 힘을 작게 할 수 있고, 간격 T를 작게 하면, 링 형상의 돌기(42e)가 리드선(31)을 누르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마이크 부시(42)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31)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실시형태
도 7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일례인 디지털 카메라(1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110)의 전방면은 프론트 커버(120)로 덮이고, 디지털 카메라(110)의 배면은 리어 커버(130)로 덮여 있다. 디지털 카메라(110)의 전방면에는 렌즈 유닛(140)이 배치된다. 리어 커버(130)의 윗면에는, 마이크 구멍(130a)이 형성된다. 마이크 구멍(130a)은, 렌즈 유닛(140)의 광축과 직교하는 관통공이다.
도 7b는, 디지털 카메라(110)에서 프론트 커버(120) 및 리어 커버(13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110)의 내부에는, 렌즈 유닛(140), 배터리 박스(220), 스트로보 발광 유닛(150) 및 톱 베이스(200)가 배치되어 있다. 톱 베이스(200)에는, 줌 링 및 릴리즈 버튼 등의 조작부재가 배치된다. 톱 베이스(200)에는, 마이크 유닛(210)을 수용하는 수용부(200a)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 유닛(210)은, 마이크 구멍(130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톱 베이스(200)는, 본체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8a는, 마이크 유닛(210)이 톱 베이스(200)에 형성되는 수용부(200a)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마이크 유닛(210)이 수용부(200a)에 수용될 때, 리드선(310)은 슬릿(200b) 내부에 배치된다. 톱 베이스(200)의 이면에는, 줌 스위치와 릴리즈 스위치 등이 실장되는 조작계 기판(320)이 부착된다. 리드선(310)은 조작계 기판(320)에 납땜되어 있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톱 베이스(200)로부터 마이크 유닛(21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부(200a)는, 마이크 유닛(210)의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슬릿(200b)은, 수용부(200a)의 측면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다.
마이크 유닛(210)은, 마이크 엘리먼트(410), 리드선(310) 및 마이크 부시(420)를 갖는다. 리드선(310)은 일단이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납땜되고, 타단이 조작계 기판(320)에 납땜된다. 마이크 부시(420)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리드선(310)의 일단이 납땜된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부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마이크 유닛(210)은,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리드선(310)을 납땜하고, 리드선(310)이 납땜된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마이크 부시(420)가 부착된 유닛이다.
톱 베이스(200)의 윗면측(즉, 리어 커버(130)로 덮이는 면측)으로부터 마이크 유닛(210)이 수용부(200a) 내부에 배치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마이크 유닛(210)의 조립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리드선(310)을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납땜하고, 마이크 부시(420)가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아직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엘리먼트(410)에는 집음부(410a)가 형성된다. 마이크 부시(420)는, 마이크 부시(420)를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부착했을 때, 집음부(410a)를 노출시키는 개구부(420a)를 갖는다. 마이크 부시(420)는, 마이크 부시(420)를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부착했을 때, 리드선(310)을 마이크 부시(4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삽통시키는 제1 삽통공(420b)을 갖는다. 제1 삽통공(420b)이 형성되는 마이크 부시(420)의 끝에는, 설편부(420d)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설편부(420d)의 두께는, 설편부(420d)가 마이크 부시(420)를 향해 절첩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설편부(420d)는, 제1 삽통공(420b)을 덮도록, 마이크 부시(420)를 향해 절첩할 수 있다.
도 9b는, 마이크 엘리먼트(410)를 마이크 부시(420)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이크 부시(420)의 개구부(420a)의 개구 직경은, 마이크 엘리먼트(410)의 외경보다도 작으므로, 마이크 엘리먼트(410)를 마이크 부시(420)의 내측에 배치하고자 할 때, 마이크 부시(420)의 개구부(420a)를 벌린다. 마이크 부시(420)를 마이크 엘리먼트(410)에 부착하면, 마이크 엘리먼트(410)의 집음부(410a) 이외는, 마이크 부시(420)로 덮인다. 리드선(310)은 개구부(420a)를 통해 마이크 부시(420)의 내측으로 넣어, 제1 삽통공(420b)을 통해 인출된다.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드선(310)을 제1 삽통공(420b)을 통해 인출하면, 리드선(310)은 설편부(420d)의 윗면으로 인출된다.
제1 삽통공(420b)의 치수는, 리드선(310)의 단면적과 대략 같다. 제1 삽통공(420b)의 치수가 리드선(310)의 단면적보다 대폭 큰 경우에는, 제1 삽통공(420b) 안에서 리드선(310)이 제멋대로 움직인다. 이와 같은 상황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제1 삽통공(420b)의 치수가 리드선(310)의 단면적보다 대폭 작은 경우에는, 리드선(310)을 삽입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
도 9c는, 설편부(420d)의 윗면에 인출된 리드선(310)을 절곡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설편부(420d)의 윗면에 인출된 리드선(310)을 마이크 부시(420)의 측면을 따라 구부린다. 그후, 리드선(310)이 톱 베이스(200)에 형성되는 슬릿(200b) 내부에 배치되도록, 리드선(310)을 더 구부린다. 슬릿(200b) 내부애 배치되도록 리드선(310)을 구부리는 위치는, 마이크 부시(420)를 향해 절첩된 설편부(420d)의 끝 근방이 되는 위치이다.
마이크 유닛(21)은, 도 9c의 상태에서, 배터리 박스(220)의 수용부(200a) 내부에 놓인다.
도 9d는, 설편부(420d)를 마이크 부시(420)를 향해 절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이크 유닛(210)이 수용부(200a) 내부에 완전히 배치되면, 마이크 유닛(210)은 도 9d의 상태가 된다.
도 10a는, 톱 베이스(200)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톱 베이스(200)의 수용부(200a) 내부에 마이크 유닛(210)이 배치된다.
도 10b 및 도 10c는, 도 9c의 상태로 조립된 마이크 유닛(210)을, 톱 베이스(200)의 수용부(200a) 내부에 배치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도 10a의 XB-XB선 및 XC-XC선에 따른 단면이다.
도 10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유닛(210)이 톱 베이스(200)의 수용부(200a) 내부에 배치될 때, 설편부(420d)의 끝 근방에서 절곡한 리드선(310)이 슬릿(200b)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마이크 유닛(210)의 방향을 조정한다. 마이크 유닛(210)을 도 10b의 상태로부터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0c의 상태가 얻어진다.
도 10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 유닛(210)이 톱 베이스(200)의 수용부(200a) 내부에 놓이기 시작하면, 마이크 부시(420)의 설편부(420d)가 마이크 부시(420)를 향해 절첩된다. 절첩된 설편부(420d)는, 마이크 부시(420)의 측면을 따라 절곡된 리드선(310)을 누른다. 마이크 부시(420)의 측면을 따라 절곡된 리드선(310)은 마이크 부시(420)와 설편부(420d) 사이에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리드선(310)의 진동이 저감된다. 또한, 마이크 부시(420)의 설편부(420d)가 마이크 부시(420)를 향해 절첩됨으로써, 절첩된 설편부(420d)가 마이크 부시(420)의 제1 삽통공(420b)을 가로막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삽통공(420b)을 통한 잡음과 진동이 마이크 부시(420)의 내측으로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마이크 부시(420)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310)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9)

  1. 리드선을 갖는 마이크와,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마이크 부시와,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되는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갖는 본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부시의 끝에는 절첩가능한 설편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편부의 근방에는, 상기 리드선을 삽통시키는 삽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된 상기 마이크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설편부가 절첩되고,
    상기 설편부를 절첩함으로써, 상기 삽통공을 통해 인출된 상기 리드선이 눌리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슬릿부를 갖고,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된 상기 마이크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될 때에, 상기 삽통공을 통해 인출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된 상기 마이크를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슬릿부 내부에서 상기 삽통공을 통해 인출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설편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설편부가 절첩되는, 전자기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부시에 의해 덮인 상기 마이크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설편부가 상기 삽통공을 가로막도록, 상기 설편부가 절첩되는, 전자기기.
  7. 리드선을 갖는 마이크와,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마이크 부시와,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된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갖는 본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부시의 끝에는 절첩가능한 설편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부시는 제1 삽통공과 제2 삽통공을 갖고,
    상기 마이크 부시가 상기 마이크에 부착될 때, 상기 리드선은 상기 제1 삽통공을 통해 상기 마이크 부시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마이크 부시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1 삽통공을 통해 인출된 상기 리드선은 상기 제2 삽통공에 삽통되고,
    상기 제1 삽통공 및 상기 제2 삽통공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편부는 상기 제2 삽통공의 근방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마이크 부시가 부착된 상기 마이크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설편부가 절첩되고,
    상기 설편부를 절첩함으로써, 상기 제2 삽통공을 통해 인출된 상기 리드선이 눌리는, 전자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부시의 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부시가 장착된 상기 마이크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삽통공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제2 삽통공에 삽통되지 않는, 상기 리드선의 한 부분을 누르는, 전자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통공은 상기 마이크 부시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삽통공은 상기 설편부에 형성되는, 전자기기.
KR1020130007270A 2012-02-03 2013-01-23 전자기기 KR101604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2149A JP5456082B2 (ja) 2012-02-03 2012-02-03 電子機器
JPJP-P-2012-022149 2012-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332A KR20130090332A (ko) 2013-08-13
KR101604612B1 true KR101604612B1 (ko) 2016-03-18

Family

ID=4890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270A KR101604612B1 (ko) 2012-02-03 2013-01-23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9423B2 (ko)
JP (1) JP5456082B2 (ko)
KR (1) KR101604612B1 (ko)
CN (2) CN103246133B (ko)
TW (1) TWI517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3865B2 (ja) * 2016-08-09 2020-08-05 株式会社ザクティ カメ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900A (ja) 2010-01-14 2011-07-28 Canon Inc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3675B2 (ja) * 1994-03-29 2003-06-03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装置
FI970409A (fi) * 1997-01-31 1998-08-0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ikrofonin suojaamiseksi ulkoisilta häiriötekijäiltä ja mikrofonin häiriösuojus
CN2497501Y (zh) * 2001-07-18 2002-06-26 功学社教育用品股份有限公司 防震麦克风夹
KR100608732B1 (ko) * 2003-12-26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2005354581A (ja) * 2004-06-14 2005-12-22 Nikon Corp 電子機器およびカメラ
JP2006295272A (ja) * 2005-04-06 2006-10-26 Sony Corp 撮像装置
JP4735277B2 (ja) 2006-01-17 2011-07-27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および電子機器
CN101076202A (zh) * 2006-05-16 2007-11-21 佳乐电子股份有限公司 麦克风的音头避震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900A (ja) 2010-01-14 2011-07-28 Canon Inc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7721B (zh) 2016-01-11
CN103246133B (zh) 2016-05-18
US8989423B2 (en) 2015-03-24
US20130202143A1 (en) 2013-08-08
CN105182657B (zh) 2017-12-05
CN103246133A (zh) 2013-08-14
JP2013162300A (ja) 2013-08-19
JP5456082B2 (ja) 2014-03-26
CN105182657A (zh) 2015-12-23
KR20130090332A (ko) 2013-08-13
TW201334571A (zh)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8542B2 (ja) イヤチ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機構
JP2019522832A5 (ko)
US8535074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6672436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0971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実装構造
KR101604612B1 (ko) 전자기기
WO2020021877A1 (ja) 音響出力装置
JP2018026650A (ja) 撮像装置
JP2017130783A (ja) ケーブルホルダ
JP200508634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装置の生産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ケース構成用ケース
JP2003249291A (ja) 電子部品用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JP2006128924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US20220206247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206365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290561A (ja) 携帯電子機器
TW201129107A (en) Electronic device
JP2004138708A (ja) 光コネクタ
US8406618B2 (en) Camera
JP6078991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6484832B2 (ja) マイクロホン、マイクロホン用筐体
WO2021166376A1 (ja) 筐体
JP2013137451A (ja) アクセサリ装着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5680474B2 (ja) ジャックを具えた電子機器
JP2006128925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KR101509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