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039B1 -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039B1
KR101509039B1 KR20130140970A KR20130140970A KR101509039B1 KR 101509039 B1 KR101509039 B1 KR 101509039B1 KR 20130140970 A KR20130140970 A KR 20130140970A KR 20130140970 A KR20130140970 A KR 20130140970A KR 101509039 B1 KR101509039 B1 KR 10150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ircuit board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콘
Priority to KR2013014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과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프레임과 회로 기판의 분리가 가능하여 각 부재의 교체 및 수리를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구조는 음향 관련 소자가 장착된 프레임; 프레임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음향 관련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표면에 전자 요소가 실장되고,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회로 기판과 터미널 간의 접촉에 의하여 회로 기판의 전자 요소와 프레임의 음향 관련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Speaker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미널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을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스피커 장치이다. 스피커 장치는 입력된 음향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요소,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요소, 증폭된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요소 및 변환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요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 장치를 구성하는 수신 요소, 증폭 요소, 변환 요소 등과 같은 전자 요소들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변환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요소, 이어폰 잭이 삽입되는 장치 등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회로 기판은 남땜 등과 같은 공정을 통하여 프레임에 장착되며, 결과적으로 프레임과 회로 기판은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 또는 회로 기판을 수리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프레임과 회로 기판 간의 연결 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해야 하며, 이는 프레임과 회로 기판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와 함께, 소형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소형의 프레임과 회로 기판의 연결 후에 프레임에 장착된 전자 요소와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 요소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기 때문에 연결 공정에 많은 공간적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장착되는 소형의 스피커 구조가 갖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회로 기판의 분리가 가능하여 각 부재에 대한 교체 및 수리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구조는 음향 관련 소자가 장착된 프레임; 프레임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음향 관련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표면에 전자 요소가 실장되고,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회로 기판과 터미널 간의 접촉에 의하여 회로 기판의 전자 요소와 프레임의 음향 관련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터미널과 프레임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종단이 프레임의 전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향 만곡진 만곡부, 만곡부에서 하향 연장된 접촉부 및 접촉부에서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접촉부는 회로 기판의 선단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접촉한다.
여기서, 터미널의 체결부의 자유 종단은 상향 절곡되어 체결편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전방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 부재가 형성되고, 수평 부재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회로 기판의 가압에 의하여 눌려진 터미널의 체결편이 절개부 내로 삽입된다.
한편, 터미널은 접촉부의 외측 표면에서 돌출되어 회로 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구조는 회로 기판을 프레임의 선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미는 과정만을 통해서 터미널을 통하여 프레임과 회로 기판을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과 회로 기판의 전기적인 연결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또는 회로 기판의 교체/보수를 위해서는 회로 기판을 잡아당겨 프레임과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만으로 프레임으로부터 회로 기판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프레임에 회로 기판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프레임에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구조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구조(100)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120) 및 터미널(12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회로 기판(13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이동 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 내에 장착되는 부재로서, 변화되고 증폭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요소, 이어폰 잭이 삽입되는 장치 등과 같은 전기적, 기계적인 요소가 장착된다.
터미널(120)은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 재료로 프레임(1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몰드 내에 금속 재료의 터미널(120)의 종단 일부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몰드 내에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터미널(120)과 프레임(110)은 일체로 성형된다(인서트 사출 방식).
여기서, 프레임(110)의 일부 영역에 터미널(120)의 종단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위에서 설명한 전기적, 기계적 요소를 장착함으로써 전기적 기계적 요소는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회로 기판(130)은 프레임(110)과 분리된, 독립적인 부재이며, 그 상부 표면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피커 장치를 구성하는 수신 요소, 증폭 요소, 변환 요소 등과 같은 전자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실장되며, 또한 이 전자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패턴(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한 측면, 예를 들어 선단부 (즉, 프레임(110)과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는 상부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연결된 도전성 패턴(후술할 도 3의 131)이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120)의 세부 구조 및 기능을 도 2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선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프레임에 회로 기판이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20)은 종단이 프레임(110)의 전방부(1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향 만곡진 만곡부(121), 만곡부(121)에서 하향 연장된 접촉부(122), 접촉부(122)에서 프레임(110)을 향하여 연장된 체결부(123)를 포함한다.
터미널(120)의 체결부(123)의 자유 종단은 상향 절곡되어 체결편(124)으로 형성된다. 한편, 접촉부(122)의 외부 표면의 소정 영역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접촉편(12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10)의 전방부(111)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 부재(1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평 부재(111-1)에는 절개부(1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프레임(110)에 회로 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도 1,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프레임(110)에 회로 기판(1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회로 기판(130; 물론, 후방 일부는 도시되지 않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임)을 프레임(110)에 고정된 터미널(120)을 향하여 수평 가압한다. 가압되는 회로 기판(130)의 선단면은 터미널(120)의 접촉부(122)에 형성된 접촉편(122-1)과 접촉하며, 따라서 터미널(120), 특히 접촉부(122)는 만곡부(121)를 중심으로 회로 기판(130)에 의하여 프레임(110)을 향하여 눌려진다.
이러한 상태, 즉 터미널(120)에서 만곡부(121)를 중심으로 눌려져 접촉부(122)에는 최초 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터미널(120)의 접촉부(122; 실질적으로는 접촉편(122-1))과 외부 부재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지지된 회로 기판(130) 간에는 견고한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30)의 선단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131)과 터미널(120)의 접촉편(122-1)은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터미널(120)과 회로 기판(130) 간의 정렬 상태가 어느 정도 틀어진 상태일지라도 터미널(120)의 접촉부(122)에서 돌출된 접촉편(122-1)과 회로 기판(130)의 도전성 패턴(131) 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촉부(122)가 회로 기판(130)에 의하여 프레임(110)을 향하여 눌려짐으로써, 접촉부(122)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123)는 프레임(110)을 향하여 이동하며, 특히 체결부(123)의 종단에 형성된 체결편(124)은 프레임(110)의 수평 부재(111-1)에 형성된 절개부(111-2)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회로 기판(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도 터미널(120)의 탄성에 의하여 회로 기판(130)과 터미널(120) 간의 접촉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장착되는 스피커 구조에 있어서,
    음향 관련 소자가 장착된 프레임;
    종단이 프레임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음향 관련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표면에 전자 요소가 실장되고, 프레임에 대응하는 한 측면에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터미널은 프레임의 전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향 만곡진 만곡부, 만곡부에서 하향 연장된 접촉부 및 접촉부에서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접촉부는 회로 기판의 한 측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접촉하여 회로 기판의 전자 요소와 프레임의 음향 관련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터미널과 프레임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터미널의 체결부의 자유 종단은 상향 절곡되어 체결편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전방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 부재가 형성되고, 수평 부재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터미널의 체결편이 절개부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터미널은 접촉부의 외측 표면에서 돌출되어 회로 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구조.
KR20130140970A 2013-11-19 2013-11-19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KR10150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970A KR101509039B1 (ko) 2013-11-19 2013-11-19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970A KR101509039B1 (ko) 2013-11-19 2013-11-19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039B1 true KR101509039B1 (ko) 2015-04-08

Family

ID=5303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970A KR101509039B1 (ko) 2013-11-19 2013-11-19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0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141Y1 (ko) 2000-02-25 2000-07-15 김익원 단자 일체형 스피커
JP2002209295A (ja) * 2000-12-08 2002-07-26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マイクロスピーカー
KR200335670Y1 (ko) * 2003-09-04 2003-12-11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전자음향변환기의 케이스와 터미널의 결합 구조
KR20050043158A (ko) * 2003-11-05 2005-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피커 및 이에 사용되는 접점용 스프링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141Y1 (ko) 2000-02-25 2000-07-15 김익원 단자 일체형 스피커
JP2002209295A (ja) * 2000-12-08 2002-07-26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マイクロスピーカー
KR200335670Y1 (ko) * 2003-09-04 2003-12-11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전자음향변환기의 케이스와 터미널의 결합 구조
KR20050043158A (ko) * 2003-11-05 2005-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피커 및 이에 사용되는 접점용 스프링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355B2 (en) Device having snaps with soldered snap members
US8678859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8535074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TWI614643B (zh) 用於頭戴式耳機之配件和配件按鈕控制器、及用於製造配件按鈕控制器的方法
US9148711B2 (en) Micro-speaker
US7260233B2 (en) Hearing aid or similar audio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earing aid
US7258571B1 (en) Battery connector with retaining board
JP2009193770A (ja) 押釦スイッチ
KR100955133B1 (ko)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JP2004533144A (ja) アンテナ装置
KR20150076961A (ko) 보호 커버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101509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스피커 구조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US20130313097A1 (en) Accessory Controller with Switch Module
JP2017076499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2019083164A5 (ko)
JP625296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800228B1 (ko) 음향출력장치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KR1011066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 접속 구조
KR101496191B1 (ko) 안테나가 내장된 보호케이스
JP6281418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6078991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CN210224334U (zh) 音频插座连接器
US9209574B2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