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167B1 - 복수 회수의 노광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회수의 노광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167B1
KR101604167B1 KR1020130014378A KR20130014378A KR101604167B1 KR 101604167 B1 KR101604167 B1 KR 101604167B1 KR 1020130014378 A KR1020130014378 A KR 1020130014378A KR 20130014378 A KR20130014378 A KR 20130014378A KR 101604167 B1 KR101604167 B1 KR 10160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posure
pixel data
type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495A (ko
Inventor
노부히코 자이마
도모히사 이타가키
다카히로 이시하라
야스히토 시라후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4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5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e.g. contrast, den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be reproduced, e.g. number of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감광성 부재에 대한 제1 노광 및 제1 노광에 의해 노광된 감광성 부재에 대한 제2 노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노광 유닛;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화상의 타입이 문자일 때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실행된 제1 노광과 제2 노광 사이의 노광량의 편차가, 화상의 타입이 그림일 때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실행된 제1 노광과 제2 노광 사이의 노광량의 편차보다 크도록 노광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 회수의 노광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EXPOSURE A PLURALITY OF TIMES}
본원 발명은 전자 사진식(electrophotographic) 방법 등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을 실행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5-294005호는 화상 형성을 가속하기 위해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VCSEL(수직 공동 표면 발광 레이저;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를 이용하는 복수의 광 빔에 의해 한번에 감광성 부재를 스캔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복수의 광 빔을 이용하여 스캔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 빔들이 감광성 부재를 스캔하는 스캔 방향으로 줄무늬들(stripes)이 생성되는데, 이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변동 또는 불균일한 스캔 라인 간격들로 인한 것이다. 화상 품질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9680호는 소위 다중 노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하며, 그러한 장치에서는 감광성 부재의 표면이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 회수로 노광된다.
복수 노광은 감광성 부재가 복수의 광 빔에 의해 스캔될 때 유발되는 화상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중첩되는 광 빔들의 스팟(spot) 위치가 시프트될 수 있기 때문에, 잠상이 흐릿해질 수 있고, 화상 선명도(sharpness)가 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선명하게 재생될 필요가 있는, 문자 화상의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
본원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그리고 형성된 화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 노광을 실시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성 부재;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감광성 부재에 대한 제1 노광 및 제1 노광에 의해 노광된 감광성 부재에 대한 제2 노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노광 유닛;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화상의 타입이 문자라는 것을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실행된 제1 노광과 제2 노광 사이의 노광량의 편차가, 화상의 타입이 그림(picture)이라는 것을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실행된 제1 노광과 제2 노광 사이의 노광량의 편차보다 크도록 노광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노광 유닛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노광 유닛의 일부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복수 노광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에 따른 노광 특성들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감광성 부재의 표면 상의 잠상 프로파일의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9는 현상 전위(potential) 표면 상의 잠상 프로파일의 구배(gradient) 및 출력 화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위치 시프트량과 화상 농도 사이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프로세싱의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실시예에 따른 문자 화상의 노광의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문자 화상의 잠상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프로세싱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광원 유닛의 광량(light power) 제어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제1 실시예)
이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간결함을 위해, 실시예의 이해에 필요하지 않은 구성 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들에 도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1a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블록도이고, 도 1b는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의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스캐너 유닛(101)을 포함한다. 스캐너 유닛(101)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면, 제어기(102)는 화상 데이터를 도 1b에 도시된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의 스캐너 화상 프로세싱 유닛(109)에 출력한다. 스캐너 화상 프로세싱 유닛(109)은 입력 화상에 대한 음영(shading) 보정, 영역 세그먼트화(region segmentation), 및 색채 변환 등의 미리 결정된 화상 프로세싱을 실시한다.
PDL(페이지 기술 언어; 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를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107)로부터 수신하면, 제어기(102)는 그 데이터를 도 1b에 도시된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의 프린터 화상 프로세싱 유닛(110)에 출력한다. 프린터 화상 프로세싱 유닛(110)은 입력 PDL 데이터에 포함된 명령들을 해석하고 그리고 중간 코드를 출력한다. 프린터 화상 프로세싱 유닛(110)은 또한 내부 RIP(래스터(Raster) 화상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중간 코드를 비트맵 화상으로 변환(래스터화)한다. 프린터 화상 프로세싱 유닛(110)은 또한 PDL 데이터에 포함된 명령들의 속성들(attributes)을 기초로 속성 정보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PDL 데이터는 (A) 문자 코드(텍스트), (B) 그래픽 코드(그래픽), 및 (C) 래스터 화상 데이터(비트맵 화상: 이하에서 단순하게 화상이라고 칭함)에 의해 기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린터 화상 프로세싱 유닛(110)은 기술 내용에 따른 3개의 속성들 즉, "텍스트", "그래픽", 및 "화상"을 이용하여 화상의 각각의 부분들의 속성들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속성 정보가 "텍스트"인 화상 부분들의 타입이 "문자"(제1 타입)으로서 규정되고, 그리고 나머지 화상 부분들의 타입이 "하프톤(halftone)(그림)"(제2 타입)으로 규정된다. 즉, 주로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 화상 부분의 타입은 주로 "문자"로서 규정되고, 그리고 톤들(tones)로부터 형성된 그래픽 화상 부분 또는 하프톤 화상 부분의 타입은 "하프톤"으로서 규정된다. 이하에서, 타입이 "문자"인 화상 부분이 단순히 문자 화상으로서 지칭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타입이 "하프톤"인 화상 부분이 단순히 하프톤 화상(그림 화상)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스캐너 화상 프로세싱 유닛(109)은 영역 세그먼트화의 결과로서 얻어진 각각의 화상 부분에 속성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즉, 스캐너 화상 프로세싱 유닛(109)은 각각의 화상 부분의 타입을 결정하고 그리고 속성 정보를 부가한다. 따라서,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또한, 화상의 타입을 결정하거나, 화상의 각각의 픽셀 데이터에 대해서, 그 데이터가 문자 화상의 픽셀인지 또는 하프톤 화상의 픽셀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호스트 장치(107)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화상 형성 모드를 기초로 화상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가 문자 화상 형성 모드 및 그림 화상 형성 모드를 셋팅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문자 화상 형성 모드를 호스트 장치(107) 상에서 셋팅하였을 때, 화상 타입을 "그림 화상"으로서 결정하는 PDL이 수신된 경우에도,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화상 타입을 "문자 화상"으로서 결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107) 상에서 그림 화상 형성 모드를 셋팅하였을 때, 화상 타입을 "문자 화상"으로서 결정하는 PDL이 수신된 경우에도,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화상 타입을 "그림 화상"으로서 결정한다.
화상 변형 프로세싱 유닛(111)은 스캐너 화상 프로세싱 유닛(109) 또는 프린터 화상 프로세싱 유닛(110)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토너 감소와 같은 프로세싱을 실시한다. 양자화(quantization) 프로세싱 유닛(112)은 디더(dither) 프로세싱 등을 실시하고 프로세싱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 유닛(108)에 출력한다.
저장 유닛(104)은 RAM, ROM 등을 포함한다. CPU(105)는 저장 유닛(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엔진 제어 유닛(106)은 화상 형성 유닛(108)의 화상 형성 프로세싱을 제어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유닛(108)의 개략적인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대전(charging) 유닛(202)은 감광성 부재(201)(감광성 드럼)의 표면을 약 -800V(암 전위; dark potential; Vd)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노광 유닛(203)은, 감광성 부재(201) 상에,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된 광원으로부터의 광 빔(레이저 빔)을 스캔하며, 그에 따라 감광성 부재(201) 상에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광 빔으로 조사되는 감광성 부재의 영역의 전위(명 전위; bright potential; VL)가, 예를 들어, 약 -200V이라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암 전위(Vd)와 명 전위(VL) 사이의 차가 잠상 콘트라스트(contrast) 전위로서 지칭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현상 유닛(204)은 주로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 재료를 갖고, 그리고 토너를 이용하여 감광성 부재(201) 상의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예를 들어, -500V의 현상 바이어스(bias)가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현상 슬리브(204a)로 인가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 및 현상 바이어스 셋팅들이 기준 농도를 기초로 제어된다. 현상 재료의 마찰 대전의 대전량이 대기 중의 수분 함량에 의존하기 때문에,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 및 현상 바이어스 셋팅들은 환경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검출된 값에 따라 변화된다. 전사 유닛(205)은 감광성 부재(201) 상의 토너 화상을 반송 경로(206)를 통해서 반송되는 프린팅 재료로 전사한다. 이어서, 전사된 토너 화상을 갖는 프린팅 재료는 정착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 반송되고,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노광 유닛(203)(광학적 스캐닝 장치)의 배열을 설명할 것이다. 노광 유닛(203)이 하우징(500)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여러 가지 광학적 부재들이 하우징(500) 내에 배열된다. 노광 유닛(203)은 광 빔(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광원 유닛(10)으로서 기능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구비한다. 반도체 레이저는, 예를 들어, VCSEL이다. 이하에서, 광원 유닛(10)은 VCSEL(10)로서 설명될 것이다. VCSEL(10)는 후술되는 시준기(collimator) 렌즈(11)와 함께 레이저 홀더(501)(홀딩 부재)에 부착된다. 레이저 홀더(501)는 렌즈 배럴(barrel) 유닛(503)을 포함한다. 시준기 렌즈(11)는 렌즈 배럴 유닛(503)의 말단 단부에 부착된다. 시준기 렌즈(11)는 VCSEL(10)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 빔(발산 광선들(rays))을 시준된 광 빔으로 변환시킨다. 노광 유닛(203)을 조립할 때, 특정 지그(jig)를 이용하여 VCSEL(10)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 빔의 포커스 및 조사 위치를 검출하면서, 시준기 렌즈(11)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시준기 렌즈(11)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 시준기 렌즈(11)와 렌즈 배럴 유닛(503) 사이에 도포된 UV 경화 접착제가 UV 광선들로 조사되고, 그에 따라 시준기 렌즈(11)를 레이저 홀더(501)에 접합시킨다.
VCSEL(10)는 전기 회로 보드(504)(이하에서, 보드(504)로서 지칭된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VCSEL(10)는 보드(504)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레이저 홀더(501)를 위치시키기 위한 피팅(fitting) 홀이 하우징(500)의 측벽 내에 형성된다. 레이저 홀더(501)의 렌즈 배럴 유닛(503)이 피팅 홀 내로 피팅되고, 그에 따라 레이저 홀더(501)를 하우징(500)에 대해서 위치시킨다. 감광성 부재 회전 방향을 따른 복수의 레이저 빔들 사이의 화상 형성 간격(서브(sub)-스캐닝 방향을 따른 레이저 빔들 사이의 화상 형성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레이저 홀더(501)가 하우징(500) 내에 피팅되어 미세하게 회전될 수 있다.
시준기 렌즈(11)를 통과한 레이저 빔이 원통형 렌즈(506)를 통과하고 그리고 다각형 거울(510)(회전하는 다각형 거울)로 입사되며, 다각형 거울은 레이저 빔을 조사 타겟으로서 기능하는 감광성 부재로 안내한다. 다각형 거울(510)은 미리 결정된 속력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다각형 거울(510)로 입사된 레이저 빔은 반사 표면에 의해 편향되고 그리고 미리 결정된 방향을 따라 감광성 부재(201) 상에서 이동하는 스캔 광으로 변환된다. 스캔 광은, fθ 렌즈들인 촬상 렌즈들(516 및 517)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감광성 부재(201)의 표면을 스캔하는 스캔 광으로 변환된다.
노광 유닛(203)은 동기화 검출을 위한 BD 센서(507)를 포함한다. BD 센서(507)는 다각형 거울(510)에 의해 스캐닝되는 스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열된다. BD 센서(507)는 레이저 빔을 수광하고, 그에 따라 동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동기화 신호의 발생 타이밍을 기초로, 엔진 제어 유닛(106)은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빔의 APC(자동 파워 제어; Auto Power Control) 및 레이저 빔 방출 제어를 실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노광 유닛(203)에서, 시준기 렌즈(11)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레이저 빔을 분리하기 위한 하프 미러(half mirror)와 같은 빔 분할기(508)로 입사된다. 빔 분할기(508)는 입사된 레이저 빔을 다각형 거울(510)을 향해서 투과된 광 빔(투과된 레이저 빔)과 수광 소자로서 기능하는 PD(509)를 향해서 반사된 광 빔(반사된 레이저 빔)으로 분리한다. 반사된 광 빔을 수광한 PD(509)는 수신된 광량에 상응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빔 분할기(508)는 편평형(flat) 빔 분할기이고, 그러한 편평형 빔 분할기 내에서는 광 빔을 수광하는 표면과 광 빔을 출력하는 표면이 평행하다.
엔진 제어 유닛(106)은 PD(509)로부터의 신호 출력의 전압을 타겟 광량에 상응하는 전압과 비교하고 그리고, 전압 차를 기초로, 보드(504)로부터 VCSEL(10)로 공급되는 전류 값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PD(509)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전압이 타겟 광량에 상응하는 전압보다 낮을 때, 보드(504)로부터 VCSEL(10)로 공급되는 전류가 증가되어 광 빔의 광량을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PD(509)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전압이 타겟 광량에 상응하는 전압보다 높을 때, 보드(504)로부터 VCSEL(10)로 공급되는 전류가 감소되어 광 빔의 광량을 감소시킨다. 이는 엔진 제어 유닛(106)에 의해 실행되는 자동 파워 제어이다.
도 4는 시준기 렌즈(11)에 의해 시준된 광 빔으로의 변환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 간결함을 위해, 광원 유닛(10)이 2개의 광원들(a 및 b)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유닛(10)의 광원들(a 및 b)은 각각 발산 광선들인 광 빔들(La 및 Lb)을 방출한다. 시준기 렌즈(11)는 발산 광선들(La 및 Lb)을 시준된 광 빔들(L1a 및 L1b)로 각각 변환된다.
도 5는 광원 유닛(10)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8개의 광원들이 4 x 2 어레이로 정렬된다. 8개의 광원들에 의해 8개의 광 빔들이 동시에 감광성 부재(201)를 스캔한다. 즉, 8개의 스캔 라인들이 동시에 스캔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요 방향을 따른 하나의 스캔이 완료될 때, 스캔 위치가 서브-스캐닝 방향을 따른 4개의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동되고, 다음 스캔이 실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캔이 도 6에서 참조 번호 '300'으로 표시한 8개의 광 빔들에 의해 첫 번째로 실시된다. 다음 스캔이 위치(301)에서 실시된다. 유사하게, 참조 번호들 '302' 및 '303'는 제3 및 제4 스캔에서의 광 빔들의 스캔 위치들을 나타낸다. 제1 스캔의 제4 스캔 라인들을 제외한 각각의 스캔 라인들이 2차례 스캐닝되고 노광되며, 그에 따라 픽셀들을 형성한다. 8개의 광원들 중에서 도 6의 상측의 4개의 광원들의 발광이 제1 스캔에서 차단될 때, 모든 스캔 라인들이 2차례 스캐닝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브-스캐닝 방향을 따른 이동량은 4개의 스캔 라인들에 상응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이는 단지 예에 불과하다. 보다 일반적으로, 동시에 스캐닝될 수 있는 스캔 라인들의 개수 중의 일부 정수에 상응하는 폭 만큼 서브-스캐닝 방향으로 스캔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2개의 스캔 라인들에 상응하는 거리 만큼 스캔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스캐닝 실시된다면, 각각의 스캔 라인들이 4차례 노광된다. 하나의 스캔 라인을 N회(N은 2 이상의 정수) 노광시키는 것에 의해, 광원들의 위치 및 특성에서의 변동을 그리고 또한 정전 잠상 상의 스캔 간격의 변동의 영향을 평균화할 수 있게 되고 출력 화상에서의 줄무늬들 및 불균일성(unevenne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 노광의 각각의 사이클에서의 노광 특성은 화상 데이터의 속성 정보로부터 결정된 화상 타입에 의해 변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화상" 타입의 화상 부분의 경우에, 필요한 정전 잠상이 제1 스캔에 의해 생성되고, 그리고 광원들이 제2 스캔에서 광을 방출하는 것이 차단된다. 즉, 제1 스캔은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노광량으로 실시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프톤 화상" 타입인 화상 부분의 경우에, 감광성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른 줄무늬들의 생성을 억제하고 감광성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유발되는 화상 농도의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전 잠상이 2회 노광 프로세스들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캔의 노광량 및 제2 스캔의 노광량이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그리고 필요한 노광량이 전체적으로 얻어진다. 도 7a 및 도 7b에서, 노광량이 휘도(luminance) 변조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PWM(펄스 폭 변조)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문자 화상을 형성할 때의 광 빔의 광량은 하프톤 화상을 형성할 때의 각각의 스캔에서의 광 빔의 광량의 2배가 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문자 화상 및 하프톤 화상을 각각 형성할 때의 1-픽셀 정전 잠상들을 도시한다. 정전 잠상의 프로파일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하며, 도 8a 및 도 8b는 감광성 부재에서의 노광 프로파일, 대전 캐리어 생성, 및 그 운반 프로세스를 기초로 시뮬레이션에 의해 획득된 결과를 도시한다. 도 8a는 1회 노광에 의해 형성된 문자 화상의 픽셀에 대한 잠상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8b는 주어진 픽셀에 대한 2회 노광 프로세스들에 의해 획득된 잠상 프로파일들 및 프로파일들의 합성에 의해 생성된 합성된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상적인 위치는 광 빔의 중심으로 조사되는 타겟 위치, 즉, 픽셀 형성 위치를 의미하고, 실제 위치는 광 빔의 중심으로 실제로 조사되는 위치를 의미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실험 결과에서, 이상적인 위치와 실제 위치 사이의 위치 시프트량은 약 10㎛ 이하이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에서, 이상적인 위치와 실제 위치 사이의 시프트가 5㎛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노광에서, 합성된 잠상의 범위는 각각의 스캔에서의 위치 시프트로 인해 넓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현상 전위 표면 상에서의 잠상 프로파일의 구배가 작아진다. 도 9는, 현상 전위 표면 상의 잠상 프로파일의 구배와, 출력 화상의 MTF(변조 전달 함수) 및 이상적인 위치와 실제 위치 사이의 위치 시프트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MTF가 화상의 해상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MTF가 1에 근접할수록, 선명함이 증가된다. 즉, MTF가 높을수록, 출력 화상의 선명함이 높아진다. 약 조사 위치의 위치 시프트량이 증가된다면, 주기적인 줄무늬들 또는 불균일성이 발생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 '600'은 1회 노광에서의 현상 전위 표면 상의 잠상의 프로파일의 구배를 나타내고, 그리고 참조 번호 '601'은 2회 노광에서의 현상 전위 표면 상의 잠상의 프로파일의 구배를 나타낸다. 도 9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정전 잠상이 1회 노광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 화상은, 정전 잠상이 2회 노광 프로세스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프톤 화상과 비교할 때, 보다 큰 위치 시프트량 및 보다 큰 선명함을 갖는다.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의 스캔에서의 잠상 프로파일 및 합성된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0b는, 잠상 프로파일들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동일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c는 잠상 프로파일들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한 경우를 즉, 위치 시프트들이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점선은 각 스캔의 잠상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그리고 실선은 합성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시프트가 발생될 때, 농도 차가 생성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시프트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 차가 커지기 시작한다. 복수의 노광에서, 농도 차가 다중 광 빔의 스캔 기간에 나타나고, 그리고 줄무늬/불균일한 화상이 발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잠상이 한 번의 스캔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 화상의 경우에, 깊고 좁은 잠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높은 선명도를 갖는 화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하프톤 화상의 경우에, 잠상은 개별적인 사이클들의 중첩 노광 프로세스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형성 위치는 이상적인 위치에 근접하게 되고, 그리고 위치 시프트들에 의해 유발되는 줄무늬들 및 불균일성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형성 프로세싱의 흐름도이다. 단계(S1)에서 PDL 데이터가 호스트 장치(107)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단계(S2)에서 각각의 화상 부분의 타입을 결정한다. 문자 화상의 경우에, 엔진 제어 유닛(106)은, 단계(S3)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화상에 대한 화상 형성 유닛(108)의 노광 특성을 셋팅한다. 즉, 1회 노광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노광량이 셋팅된다. 하프톤 화상의 경우에, 엔진 제어 유닛(106)은, 단계(S4)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톤 화상에 대한 화상 형성 유닛(108)의 노광 특성을 셋팅한다. 즉, 동일한 노광량들을 이용하는 개별적인 사이클들의 노광 프로세스들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노광량이 셋팅된다. 그 이후에, 단계(S5)에서, 화상 형성 유닛(108)은 셋팅된 노광 특성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그리고 프린팅 재료 상으로 화상을 프린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고-농도 라인 화상에 의해 주로 구축되기 때문에 선명함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으나 줄무늬들 및 불균일성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 문자 화상의 경우에, 잠상은 1회 노광에 의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선명도가 증가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프톤 또는 하프톤 화상에 의해 주로 구축되기 때문에 선명함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줄무늬들 및 불균일성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화상/그래픽들과 같은 하프톤 화상의 경우에, 복수의 광 빔에 의해 감광성 부재를 스캐닝함으로써 실시되는 다중 노광에서 유발되는 화상 품질의 저하를 감소시키면서 화상이 형성된다. 이는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재료의 마찰 대전의 대전량이 대기(atmosphere)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최대 농도를 출력하는데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는 화상 형성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대기에 따라 달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 중의 수분 함량이 많은 높은 습도 및 높은 온도의 분위기에서,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는 낮다. 대기 중의 수분 함량이 적은 낮은 습도 및 낮은 온도의 분위기에서,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는 높다. 제1 실시예에서, 문자 화상의 정전 잠상이 한 번의 스캔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임의 분위기에서 한 번의 스캔에 의해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를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출력을 갖는 광원을 제공하는 것은 비용 및 기술과 관련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시에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는 대기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고, 그리고 결정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에 따라 문자 화상의 경우에도 다중 노광이 실시된다. 하프톤 화상의 정전 잠상의 형성이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12a는 문자 화상을 형성할 때 필요한 정전 잠상과 각 스캔에서의 광 빔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Imax가 사용중의 광원의 최대 광량이고, 그리고 Va는 그 시간에서의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라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만약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가 Va 이하이면,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Va)가 1회 노광(제1 노광)에 의해 보장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레이저 출력이 제2 노광에서 '0'으로 셋팅된다. 그러나, 만약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가 Va보다 높다면, 스캔은 제1 노광에서 광 빔의 최대 가용 광량(Imax)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제2 노광(제2 노광)에서, 스캔은 제1 노광에서의 부족량을 보상하는 광 빔의 광량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도 12b는 PWM에 의해 변조된 화상 신호 및 노광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가 1회 노광에 의해 획득될 수 없다면, 제1 노광은 최대 광량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노광량은 제2 노광에서 얻어지는 부족량에 상응한다.
도 13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화상의 픽셀의 잠상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1 스캔의 노광에서, 비록 이상적인 잠상 형성 위치에 대한 오류가 존재하지만, 깊고 선명한 잠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캔에서의 합성된 프로파일은 제1 스캔에 의해 획득된 프로파일보다 넓다. 그러나, 제2 스캔에서의 광 빔의 광량이 제1 스캔에서의 광량보다 일반적으로 낮고, 그리고 노광이 동일한 광량을 이용하여 2차례 실시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선명함이 개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문자 화상을 형성할 때 제1 스캔에서의 노광량과 제2 스캔에서의 노광량 사이의 차는, 하프톤 화상을 형성할 때 제1 스캔에서의 노광량과 제2 스캔에서의 노광량 사이의 차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서, 하프톤 화상을 형성할 때 제1 스캔에서의 노광량 대 제2 스캔에서의 노광량의 비율이 거의 1로 셋팅된다. 문자 화상을 형성할 때 제1 스캔에서의 노광량 대 제2 스캔에서의 노광량의 비율은 하프톤 화상에 대한 비율보다 높게 셋팅된다. 이러한 구성은 문자 화상의 선명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노광은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를 보장하기 위한 노광량의 부족량을 보상하기 위해 실시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즉, 문자 화상을 형성할 때 제1 스캔에서의 노광량은 제2 스캔에서의 노광량 이상이다. 그러나, 제2 노광이 광 빔의 최대 광량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제1 노광은 부족량을 보상하기 위해 광 빔의 광량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형성 프로세싱의 흐름도이다. 단계(S10)에서 PDL 데이터가 호스트 장치(107)로부터 수신될 때, 단계(S11)에서, 엔진 제어 유닛(106)은 환경 센서의 값으로부터 환경 상태를 검출하고,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 대기 분위기 내의 수분 함량을 검출한다. 단계(S12)에서, 엔진 제어 유닛은 검출된 수분 함량으로부터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를 결정한다. 그 이후에, 단계(S13)에서,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화상의 타입을 결정한다. 문자 화상의 경우에, 단계(S14)에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유닛(106)은, 문자 화상에 대한 화상 형성 유닛(108)의 노광 특성을 셋팅한다. 즉, 단계(S12)에서 결정된 만약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가 1회 노광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면,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를 획득하기 위한 노광량이 셋팅된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S12)에서 결정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가 1회 노광에 의해 보장될 수 없다면, 2회 노광 프로세스들의 각각에 대한 노광량은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를 얻도록 셋팅된다. 이때, 개별적인 노광 프로세스들의 노광량들 사이의 차가 최대화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하프톤 화상의 경우에, 단계(S15)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유닛(106)은 하프톤 화상에 대한 화상 형성 유닛(108)의 노광 특성들을 셋팅한다. 그 이후에, 단계(S16)에서, 화상 형성 유닛(108)은 셋팅된 노광 특성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그리고 프린팅 재료 상에 화상을 프린팅한다.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 전위가 대기 중의 수분 함량 이외의 환경 상태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노광 유닛(203) 내의 광원 유닛(10)의 광량의 제어가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노광 유닛(203)은 복수(n)의 레이저 다이오드(LD1 내지 LDn)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전류원(407-1) 및 스위칭 전류원(404-1)이 LD1에 연결된다. 바이어스 전류원(407-1)은 LD1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위칭 전류를 공급할 때 LD1의 발광 응답은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증대될 수 있다.
스위칭 전류원(404-1)은 화상 데이터에 따라 LD1에 스위칭 전류를 공급한다. 노광 유닛(203)은 변조기(413)를 포함한다.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변조기(413)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화상 데이터는 복수 레벨 화상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바이너리 화상 데이터이다. 바이너리 화상 데이터는 변조기(413)에 의해 펄스 신호로 변조되고, 그리고 펄스 신호가 논리 소자(412)에 출력된다.
엔진 제어 유닛(106)은, 논리 소자(412)로, 감광성 부재의 노광을 허용하는 인에이블 신호(LD_ON signal)를 입력한다. 또한, LD_ON 신호가 스위치 소자(408-1)에 입력된다.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으로부터 엔진 제어 유닛(106)으로의 신호 입력에 따라, 엔진 제어 유닛(106)은 LD_ON 신호를 논리 소자(412) 및 스위치 소자(408-1)에 출력한다. 논리 소자(412)는 LD_ON 신호 및 펄스 신호의 OR을 스위치 소자(409-1)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LD_ON 신호가 엔진 제어 유닛(106)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에서 H 레벨(하이 레벨)의 신호가 논리 소자(412)로 입력될 때, 스위치 소자(409-1)가 턴온된다. 그에 따라, LD1은 스위칭 전류원(404-1)으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전류 및 바이어스 전류원(407-1)으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LD_ON 신호가 엔진 제어 유닛(106)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에서 L 레벨(로우 레벨)의 신호가 논리 소자(412)로 입력될 때, 스위치 소자(409-1)가 턴오프된다. 그에 따라, LD1은 스위칭 전류원(404-1)으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전류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 바이어스 전류원(407-1)으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한다. 즉, 감광성 부재 상에 픽셀을 형성할 때, PWM 신호가 H 레벨로 변화되고, 그에 따라 LD1은 감광성 부재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키기 위한 광량의 광 빔을 방출한다. 만약 감광성 부재 상에 픽셀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PWM 신호가 L 레벨로 변화되고, 그리고 스위칭 전류가 LD1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바이어스 전류만이 공급될 때, LD1에 의해 방출되는 광 빔은 감광성 부재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키지 않는 광량을 갖는 점에 주목한다. 변조기(413) 및 논리 소자(412)가 LD1 내지 LDn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그리고 발광 제어가 LDn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LD1을 예시함으로써, 이하에서, 화상 형성 동안에 실행되는 광량 제어(자동 파워 제어: 이하에서, APC 라고 지칭된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APC는 감광성 부재의 표면을 스캔하기 위한 광 빔의 광량을 타겟 광량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LD1 내지 LDn에 의해 방출된 광 빔들을 수신하는 하나의 광다이오드(PD)를 포함한다. PD는 검출된 광량에 상응하는 전류(Im)를 전류/전압 변환기(401)에 출력한다. 전류/전압 변환기(401)는 수신된 전류(Im)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그리고 그 전압을 출력한다. 증폭기(402)를 이용하여 전류/전압 변환기(401)로부터의 전압 출력의 이득을 조정한다. LD1로부터 광 빔을 검출한 PD로부터의 출력의 이득을 증폭기(402)에 의해 조정하기 위한 전압이 광량 모니터 전압(Vpd)으로서 APC 회로(403-1)에 주어진다. 엔진 제어 유닛(106)은 샘플/홀드 신호(S/H)를 APC 회로들(403-1 내지 403-n) 중 하나에 출력한다. 샘플/홀드 신호(S/H)를 수신한 APC 회로는 APC를 실행한다. PD, 전류/전압 변환기(401), 및 증폭기(402)는 LD1로부터의 광 빔 출력의 광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광 빔이 감광성 부재 상의 화상 형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 영역을 스캐닝할 때, APC가 각각의 발광 소자에 대해서 실행된다. 비-화상 영역 내에서, 엔진 제어 유닛(106)은 LD_ON 신호를 출력하고, 그리고 변조기(413)는 H 레벨의 펄스 신호를 논리 소자(412)로 공급한다. 그에 따라, 스위치 소자(409-1)가 턴온되고, 바이어스 전류 및 스위칭 전류가 LD1에 공급되고, 그리고 LD1이 광을 방출한다. LD1으로부터의 광 빔이 PD에 입사되고, LD1의 광 빔이 전술한 구성에 의해 광량 모니터 전압(Vpd)으로서 검출된다. APC 회로(403-1)는 LD1의 광 빔에 상응하는 Vpd를 엔진 제어 유닛(106)으로부터 출력된 Vref와 비교한다. 만약 비교 결과가 Vpd > Vref라면, APC 회로(403-1)는 Vpd와 Vref 사이의 차를 기초로 스위칭 전류원(404-1)을 제어하여, 현재 셋팅된 전류 값보다 작은 스위칭 전류의 전류 값이 LD1에 공급되게 한다. 만약 비교 결과가 Vpd < Vref라면, APC 회로(403-1)는 Vpd와 Vref 사이의 차를 기초로 스위칭 전류원(404-1)을 제어하여, 현재 셋팅된 전류 값보다 큰 스위칭 전류의 전류 값이 LD1에 공급되게 한다. 바로 후속하는 화상 형성 영역을 스캔하기 위해 광 빔을 방출할 때, 여기서 셋팅된 값을 갖는 스위칭 전류가 LD1으로 공급된다. 스위칭 전류가 셋팅되는 예를 앞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바이어스 전류의 현재 값이 또한 PD 검출 결과를 기초로 셋팅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타입에 상응하는 광량 제어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화상 타입에 관련된 신호를 엔진 제어 유닛(106)으로 전달한다. 즉, 만약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에 의해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또는 픽셀)가 문자인 것으로 결정된다면,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화상 타입이 "문자"라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엔진 제어 유닛(106)으로 전달한다. 엔진 제어 유닛(106)은 Vref를 문자 화상에 상응하는 값(Vc)으로 제어한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에 의해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또는 픽셀)가 그림인 것으로 결정된다면, 화상 프로세싱 유닛(103)은 화상 타입이 "그림"라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엔진 제어 유닛(106)으로 전달한다. 엔진 제어 유닛(106)은 Vref를 그림 화상에 상응하는 값(Vp)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것은, 도 15에 도시된 LD1이 제1 노광을 실시하고, 그리고 LDn이 제2 노광을 실시하는 경우를 예시함으로써,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문자 화상을 형성할 때, 엔진 제어 유닛(106)은 APC 회로(403-1)에 출력될 Vref를 Vc1로, 그리고 APC 회로(403-n)에 출력될 Vref를 Vcn으로 제어한다. 그림 화상을 형성할 때, 엔진 제어 유닛(106)은 APC 회로(403-1)에 출력될 Vref를 Vp1로, 그리고 APC 회로(403-n)에 출력될 Vref를 Vpn으로 제어한다. 이때, Vref가 광량에 상응하는 값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Vc1 - Vcn| > |Vp1 - Vpn|이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APC 회로로 입력되는 Vref의 값이 화상 타입에 따라 변경되고, 그에 따라 화상 타입에 따른 광량에 의해 감광성 부재가 노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고-파워 광원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출력 환경 상태에 따라 고-품질 출력이 얻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VCSEL은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복수의 임의의 광원들, 예를 들어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10)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문자 화상은 "문자"로서 분류되고, 그리고 문자 화상 이외의 다른 화상이 "하프톤"으로서 분류된다. 그러나, PDL 데이터의 속성 정보가 "그래픽"인 화상 부분이 주로 라인들 만으로 형성된다면, 그 화상 타입은 "하프톤"이 아니라 "문자"로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문자 화상뿐만 아니라, 품질이 선명도 저하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라인 화상도 문자 화상과 동일한 타입으로서 분류될 수 있고 그리고 문자 화상과 유사하게 노광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노광이 2번의 스캔 프로세스들에 의해 실시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또한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해서 복수의 노광이 N회수(N은 2 이상의 정수) 실시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프톤 화상의 픽셀을 형성할 때, 엔진 제어 유닛(106)은 노광을 N 차례 실시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때, 엔진 제어 유닛(106)은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며, 그에 따라 각 픽셀에 대한 노광량들이 거의 균일해지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문자 화상의 픽셀을 형성할 때, 엔진 제어 유닛(106)은, 사용되는 광원의 최대 광량을 기초로, N 이하이고 픽셀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를 보장하기에 충분한 최소 노광 카운트(count)를 획득하고, 획득된 카운트와 같은 회수로 노광을 실시함으로써 하나의 픽셀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들
본원 발명의 양태들은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 장치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 장치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타입들의 기록 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로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모든 변형 실시예들 및 균등한 구조물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가장 넓은 해석을 따를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감광성 부재;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감광성 부재를 N회(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노광시키도록 구성된 노광 유닛;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화상의 타입이 문자라는 것을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 N 이하이며 상기 화상의 농도를 보장하는 데 충분한 최소 노광 카운트를 획득하고 상기 노광 유닛을 제어하여 획득된 상기 노광 카운트와 같은 회수로 노광을 행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화상의 타입이 그림이라는 것을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 상기 노광 유닛을 제어하여 N회 노광을 행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화상 형성시 환경 상태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에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페이지 기술 언어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화상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페이지 기술 언어의 문자 코드에 의해 기술된 상기 화상의 타입을 문자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페이지 기술 언어의 문자 코드 및 그래픽 코드에 의해 기술된 상기 화상의 타입을 문자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감광성 부재;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의 픽셀에 상응하는 픽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감광성 부재에 대한 제1 노광 및 제2 노광을 행하도록 구성된 노광 유닛;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가 문자를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픽셀 데이터라는 것을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의 상기 픽셀 데이터를 기초로 행해진 상기 제1 노광과 상기 제2 노광 사이의 노광량의 편차가,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가 그림을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픽셀 데이터라는 것을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의 상기 픽셀 데이터를 기초로 행해진 상기 제1 노광과 상기 제2 노광 사이의 노광량의 편차보다 커지도록, 상기 노광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노광의 노광량과 상기 제2 노광의 노광량은 상기 픽셀 데이터의 타입에 관계없이 0이 아닌, 화상 형성 장치.
  10. 삭제
  11.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감광성 부재;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의 픽셀에 상응하는 픽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감광성 부재를 N회(N은 2 이상의 정수) 노광시키도록 구성된 노광 유닛;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가 문자를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픽셀 데이터라는 것을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 N 이하이며 상기 픽셀의 농도를 보장하는 데 충분한 최소 노광 카운트를 획득하고 상기 노광 유닛을 제어하여 획득된 상기 노광 카운트와 같은 회수로 노광을 행함으로써 픽셀을 형성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가 그림을 구성하는 픽셀에 상응하는 픽셀 데이터라는 것을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하였을 때 상기 노광 유닛을 제어하여 N회 노광을 행함으로써 픽셀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화상 형성시 환경 상태로부터 상기 픽셀 데이터에 상응하는 픽셀의 형성에 필요한 잠상 콘트라스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페이지 기술 언어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픽셀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페이지 기술 언어의 문자 코드에 의해 기술된 상기 픽셀 데이터의 타입을 문자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페이지 기술 언어의 문자 코드 및 그래픽 코드에 의해 기술된 상기 픽셀 데이터의 타입을 문자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14378A 2012-02-10 2013-02-08 복수 회수의 노광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604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7723 2012-02-10
JP2012027723A JP5984416B2 (ja) 2012-02-10 2012-02-10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495A KR20130092495A (ko) 2013-08-20
KR101604167B1 true KR101604167B1 (ko) 2016-03-16

Family

ID=4799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378A KR101604167B1 (ko) 2012-02-10 2013-02-08 복수 회수의 노광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854408B2 (ko)
JP (1) JP5984416B2 (ko)
KR (1) KR101604167B1 (ko)
CN (1) CN103246184B (ko)
DE (1) DE102013202091B4 (ko)
GB (1) GB25011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4416B2 (ja) * 2012-02-10 201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36817B2 (ja) * 2013-03-15 2017-11-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123736B2 (ja) * 2014-05-30 2017-05-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露光位置調整方法
JP6237522B2 (ja) * 2014-07-28 2017-1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44239B2 (ja) * 2015-04-13 2020-02-12 桂川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940A (ja) * 2000-03-29 2001-10-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230846A (ja) * 2003-01-31 2004-08-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2003181A (ja) * 2010-06-21 2012-01-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530A (en) * 1988-09-02 1990-04-10 Itek Graphix Corp. High resolution halftone dot generator system including LED array
JP3227226B2 (ja) 1992-02-20 2001-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142881A (ja) * 1996-11-14 1998-05-29 Canon Inc 多色画像形成装置
US5983045A (en) 1996-11-14 1999-11-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plural toner images on photosensitive member and for transferring toner images onto transfer material collectively
JP3921741B2 (ja) 1997-06-27 2007-05-30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履帯ピンのシール構造
JPH11138904A (ja) * 1997-11-14 1999-05-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463226B2 (en) 2000-03-29 2002-10-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rrects image forming conditions in low-temperature environment and at continuous image formation
JP3761416B2 (ja) * 2001-05-02 2006-03-29 株式会社沖データ アレイ状素子駆動回路、アレイ状素子駆動ヘッド、発光素子アレイ駆動回路、発光素子アレイヘッド、及び画像記録装置
JP4363015B2 (ja) 2002-09-19 2009-1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2004287069A (ja) 2003-03-20 2004-10-14 Fuji Xerox Co Ltd 変化量計算装置及び方法、及び画像形成むら補正装置
JP4386339B2 (ja) * 2003-10-10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498291B2 (ja) * 2005-03-11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196524A (ja) * 2006-01-26 2007-08-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276449A (ja) 2006-03-15 2007-10-25 Ricoh Co Ltd 設定方法、画像記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43502B2 (ja) 2007-05-14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734205B2 (en) * 2007-06-27 2010-06-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45506A (ja) 2007-12-12 2009-07-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272535B2 (ja) * 2008-06-20 2013-08-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制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99253B2 (ja) * 2009-12-10 2013-09-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984416B2 (ja) * 2012-02-10 201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940A (ja) * 2000-03-29 2001-10-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230846A (ja) * 2003-01-31 2004-08-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2003181A (ja) * 2010-06-21 2012-01-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84416B2 (ja) 2016-09-06
US8854408B2 (en) 2014-10-07
CN103246184A (zh) 2013-08-14
GB201302275D0 (en) 2013-03-27
GB2501155A (en) 2013-10-16
CN103246184B (zh) 2016-03-30
US20140363183A1 (en) 2014-12-11
GB2501155B (en) 2014-04-23
DE102013202091A1 (de) 2013-08-14
US9091956B2 (en) 2015-07-28
JP2013164517A (ja) 2013-08-22
US20130208069A1 (en) 2013-08-15
DE102013202091B4 (de) 2017-12-14
KR20130092495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494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auto light power control method
KR101890016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23856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604167B1 (ko) 복수 회수의 노광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US96650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forms latent image by irradiating photosensitive member with light
US8803938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4653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light amount during weak light emission
US2016024621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051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8654170B2 (en) Optica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device
CN107870540B (zh) 图像形成装置
JP2008012852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93467A (ja) ラスタ出力走査ステーション
JP5274139B2 (ja) 画像形成装置
JP663953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37581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複写機
JP2000118040A (ja) 画像形成装置
JP654039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01675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0120636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61684A (ja) ビーム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0695078A1 (en) Fast scan spot correction in a polygon raster output scanner
JP20022546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684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2424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