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234B1 -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234B1
KR101603234B1 KR1020140067806A KR20140067806A KR101603234B1 KR 101603234 B1 KR101603234 B1 KR 101603234B1 KR 1020140067806 A KR1020140067806 A KR 1020140067806A KR 20140067806 A KR20140067806 A KR 20140067806A KR 101603234 B1 KR101603234 B1 KR 10160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eering angle
electric bicycle
handle stem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711A (ko
Inventor
고창복
최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06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에 있어서, 바퀴의 조향각을 제어하도록 핸들튜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핸들스템에 장착되는 스토퍼부를 갖추고, 상기 스토퍼부는 핸들스템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핸들튜브 내에 형성된 내벽과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핸들스템을 회전시키는 핸들부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는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Structure for limited steering angle of electric bicycle}
본 발명은 전기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전거의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케이블이나 내부 배선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사용편리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체력소모를 줄이고자 모터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는 전기 자전거가 개발되고 있다.
전기 자전거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바퀴, 페달, 안장 및 핸들 등을 구비하여 일반 자전거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이러한 전기 자전거는 구동력 제공을 위한 모터가 전륜이나 후륜에 설치되고,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기 자전거의 구동과 관련된 전반적인 전장 부품 및 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최근의 전기 자전거의 경우 외관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장 부품을 프레임 내에 설치하고, 프레임을 감싸도록 커버를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핸들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와 연결되어 제동력 수행을 위한 브레이크 케이블이나, 전기 자전거의 변속, 배터리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자제어유닛을 연결하는 내부 배선이 프레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 자전거는 통상적으로 핸들이 무한각도로 360°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핸들이 복수회 회전되는 경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 브레이크 케이블이나 와이어링(wiring : 내부 배선)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러한 현상은 프레임 내에 브레이크 케이블과 내부 배선이 위치되어 식별되지 않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케이블이 파손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프레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지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0-152339호(1975.12.18.)에는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는 핸들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여 전기 자전거 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케이블이나 내부 배선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에 있어서, 바퀴의 조향각을 제어하도록 핸들튜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핸들스템에 장착되는 스토퍼부를 갖추고, 상기 스토퍼부는 핸들스템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핸들튜브 내에 형성된 내벽과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핸들스템을 회전시키는 핸들부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는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스템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핸들스템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핸들스템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조향 각도가 장공의 길이 만큼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벽과 접촉되며 상기 장공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된 접촉부; 및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가 장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서클립(circlip)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장착부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장공을 따라 이동시 끼임현상이 방지되도록 스페이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장착부 사이에는 웨이브 와셔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는 바퀴의 조향각을 일정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종래의 핸들이 무한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전기 자전거의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케이블이나 내부 배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전거의 운행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조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핸들스템에 장착된 장착부의 장공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장공의 길이만큼 조향 각도의 범위가 증가하여 보다 많은 조향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각도 제한 구조가 적용된 전기 자전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에 의해 조향각이 제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각도 제한 구조가 적용된 전기 자전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를 설명하기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전기 자전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전거(10)는 프레임(20)을 통해 뼈대를 이루며, 프레임(20)의 전방측에는 전륜(30) 및 핸들부(40)가 마련되고, 프레임(20)의 후방측에는 후륜(50)과 페달(60) 및 안장(70)이 마련된다. 이때, 프레임(20)은 하나의 몸체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전륜(30)과 핸들부(40)가 설치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페달(60) 및 안장(70)이 설치되는 센터 프레임 및 후륜(50)이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으로 구분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프레임(2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바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에는 핸들튜브(21)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안장(70)이 설치되는 안장튜브(27)가 마련된다. 이때, 핸들튜브(21)는 중공 형태로 마련되어 핸들스템(4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스템(41)은 핸들튜브(21) 하측으로 전륜(30)이 설치되는 전륜고정프레임(42)을 구비하고, 상측으로 핸들고정프레임(43)을 구비한다. 핸들고정프레임(43)은 바 형태의 핸들(44) 중심을 지지하며, 핸들(44)의 양 끝단에는 그립(45)과, 전륜(30) 및 후륜(50)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레버(46)가 각각 마련된다. 핸들(44)의 일측에는 전기 자전거의 변속, 배터리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47)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모터의 온/오프와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48)가 설치된다.
이때, 핸들(44)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케이블(91)과, 디스플레이장치(27) 및 변속레버(28) 등과 연결된 와이어링(wiring : 92)은 핸들부(40)를 통하여 프레임(20) 내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프레임(20)에는 전기 자전거(10)의 내부 부품을 보호함은 물론, 전기 자전거(10)의 미려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버(8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각도 제한 구조는 프레임(20) 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케이블(91)과, 와이어링(92)이 꼬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튜브(21)에 설치되는 핸들스템(4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는 바퀴 즉, 전륜(도 1의 '30' 참조)의 조향각을 제어하도록 핸들튜브(21)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핸들스템(41)에 장착되는 스토퍼부(110)와, 핸들스템(41)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스토퍼부(110)가 설치되는 장착부(1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향 각도 제한 구조는 핸들튜브(21) 내에 마련되어 핸들스템(41)에 설치된다. 이에, 핸들스템(41)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핸들튜브(21)의 측면 일부가 관통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관통공(23)의 길이는 후술할 스토퍼부(110)의 접촉부(112)가 핸들튜브(21)의 내벽(22)과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조향각의 범위가 제한되게 된다. 핸들스템(41)의 회전시 스토퍼부(110)에 의해 조향 각도가 제한되는 동작상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스토퍼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스템(41)과 함께 회전하며 핸들튜브(21)의 관통공(23)에 의해 형성된 내벽(22)과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핸들스템(41)을 회전시키는 핸들부(40)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110)는 장착부(120)의 장공(124)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축부(114)와, 상기 축부(11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접촉부(112) 및 축부(114)가 장공(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130)를 구비한다.
접촉부(112)는 축부(1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부(114)가 관통공(124)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소정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촉부(112)는 핸들스템(41)의 회전시 핸들튜브(21)의 내벽(22)과 접촉되어 핸들스템(41)의 회전을 1차적으로 제한한다. 이때, 1차적으로 제한된 상태에서 핸들스템(41)을 더 회전시키면 스토퍼부(110)가 장공(12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장공(124)의 길이만큼 핸들스템(41)이 회전됨으로써 조향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축부(114)가 장공(124)의 끝단에 접촉되며 2차적으로 핸들스템(4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축부(114)에는 고정부(130)가 설치되도록 후방측에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113)이 형성된다. 고정부(130)는 후술할 스페이서(140)와 웨이브 와셔(1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스토퍼부(110)가 장공(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부(130)는 고정홈(113)에 끼워져 설치되는 서클립(circlip)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20)는 핸들스템(41)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장착부(1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공(124)이 형성되고, 장착부(120)를 핸들스템(4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편(125)이 마련된다. 장공(124)은 핸들스템(4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결합편(125)에는 체결볼트(160)를 통해 핸들스템(41)에 장착되도록 결합공(126)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부(120)는 원호 형상을 갖추어 형성된다. 즉, 핸들스템(41)의 원주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핸들스템(41)에 긴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장착부(1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스템(41)에 스토퍼부(110)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또한, 장공(124)을 형성하여 스토퍼부(110)가 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핸들스템(41)의 조향 각도를 증가시키게 한다.
한편, 축부(114)에는 스페이서(140)와 웨이브 와셔(150)가 설치된다. 스페이서(140)는 고정부(130)와 장착부(120) 사이에 마련되어 스토퍼부(110)가 장공(124)을 따라 이동시 끼임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스페이서(140)는 스토퍼부(110)가 장착부(120)의 장공(124)을 따라 이동시 원호 형상을 갖는 장착부(120)에 의해 곡선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토퍼부(110)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에, 스페이서(140)의 가장자리는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웨이브 와셔(150)는 스토퍼부(110)가 장공(124)을 통해 장착부(120)에 장착시 흔들림 없이 긴밀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스템(41)에 장착부(120) 및 스토퍼가(110) 설치된 상태에서 핸들부(도 1의 '40' 참조)를 조작하여 전기 자전거(도 1의 '10' 참조)를 운행한다. 이 상태는 스토퍼부(110)에 의해 조향 각도가 제한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핸들부(40)의 조작에 의해 핸들스템(41)이 핸들튜브(21) 내에서 회전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110)가 핸들튜브(21)의 내벽(22)에 접촉되어 1차적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장착부(120) 및 스토퍼부(110)는 핸들스템(41)과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어서, 핸들스템(41)을 더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스템(41)이 장착부(120)에 형성된 장공(124)의 길이만큼 더 이동되게 된다. 즉, 스토퍼부(110)의 축부(114)가 장공(124)의 끝단에 지지되어 2차적으로 핸들스템(41)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핸들스템(41)이 장공(124)의 길이만큼 회전됨에 따라 조향각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향 각도 제한 구조를 통하여 핸들스템(41)이 2차적으로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프레임(20) 내부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케이블(91)과 와이어링(92)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토퍼부(110)의 접촉부(112)와 접촉되는 핸들튜브(21)의 양측 내벽(22) 간의 거리는 전기 자전거(10)의 운행시 커브길을 용이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조향각이 발생되는 거리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스토퍼부(110)와 접촉되는 양측 내벽(22)의 거리 즉, 관통공(23)의 크기를 증감시켜 조향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기 자전거 20 : 프레임
21 : 핸들튜브 22 : 내벽
40 : 핸들부 41 : 핸들스템
110 : 스토퍼부 112 : 접촉부
113 : 고정홈 114 : 축부
120 : 장착부 124 : 장공
130 : 고정부 140 : 스페이서

Claims (7)

  1.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에 있어서,
    바퀴의 조향각을 제어하도록 핸들튜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핸들스템에 장착되는 스토퍼부를 갖추고,
    상기 스토퍼부는 핸들스템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핸들튜브 내에 형성된 내벽과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핸들스템을 회전시키는 핸들부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되,
    상기 핸들스템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핸들스템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핸들스템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조향 각도가 장공의 길이 만큼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벽과 접촉되며 상기 장공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된 접촉부; 및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가 장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서클립(circlip)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장착부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장공을 따라 이동시 끼임현상이 방지되도록 스페이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장착부 사이에는 웨이브 와셔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KR1020140067806A 2014-06-03 2014-06-03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KR10160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06A KR101603234B1 (ko) 2014-06-03 2014-06-03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06A KR101603234B1 (ko) 2014-06-03 2014-06-03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11A KR20150139711A (ko) 2015-12-14
KR101603234B1 true KR101603234B1 (ko) 2016-03-15

Family

ID=5502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06A KR101603234B1 (ko) 2014-06-03 2014-06-03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2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984A (ja) * 2001-11-20 2003-05-27 Yamaha Motor Co Ltd 電動補助自転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2339U (ko) * 1973-12-05 1975-12-18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984A (ja) * 2001-11-20 2003-05-27 Yamaha Motor Co Ltd 電動補助自転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11A (ko) 201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3200B (zh) 自行車電氣控制裝置及系統
TWI743367B (zh) 自行車用輪轂單元
US10220915B2 (en) Bicycle bar end attachment
JP6633187B2 (ja) 二輪ダイナミックバランススクーター
US20180076840A1 (en) Bicycle component and communication unit
EP2712743B1 (en) Motor housing integrated-type spoke for electric bicy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eel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2110705A (zh) 自行車操作裝置
CN104689554B (zh) 电动滑板车及其控制方法
CN205396341U (zh) 一种多功能两轮电动平衡车
KR101603234B1 (ko) 전기 자전거의 조향 각도 제한 구조
CN203268284U (zh) 自行车电动助力器
JP6106238B1 (ja) 車両のアクセサリソケット
US11390353B2 (en) Operating device for human-powered vehicle
JP6254865B2 (ja) センサ収容体
US20160152299A1 (en) Bicycle control device
CN105035156B (zh) 车辆转向装置
KR20100116054A (ko) 자전거의 구동장치
KR101050295B1 (ko) 무체인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의 연결프레임
WO2009063908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204606103U (zh) 一种电动车的自断电刹把
CN104401384A (zh) 一种电动托盘车线束保护装置及电动托盘车
KR101810401B1 (ko) 전기 자전거의 잠금 장치
CN210162219U (zh) 一种自行车变速器车把
CN218400871U (zh) 刹把结构及电动滑板车
CN216185785U (zh) 儿童电动攀爬摩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