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012B1 - 이차전지 구조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012B1 KR101602012B1 KR1020130006033A KR20130006033A KR101602012B1 KR 101602012 B1 KR101602012 B1 KR 101602012B1 KR 1020130006033 A KR1020130006033 A KR 1020130006033A KR 20130006033 A KR20130006033 A KR 20130006033A KR 101602012 B1 KR101602012 B1 KR 1016020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tab
- upper insulator
- hole
- positive electrode
- negative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3978 infusion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UJCRWPEOMXPAD-UHFFFAOYSA-N lithium oxide Chemical compound [Li+].[Li+].[O-2] FUJCRWPEOMXP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47 lith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되고, 양극탭과 음극탭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의 개방된 상단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캔과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탭을 위한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을 위한 음극탭홀 및 주액 함침을 위한 주액 함침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홀 및 상기 주액 함침홀은 각각,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폭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a), 또는 상기 상부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길이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에 적용된 상부 절연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휨 저항력 및 조립성을 증대시킨 이차전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이러한 이차전지는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6V로서, 전자장비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전지나, 니켈-수소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리튬이차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폴리머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그리고 파우치형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기술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과, 캔의 내부에 수용되고 양극탭 세퍼레이터 음극탭으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와, 캔의 개방된 상단과 결합하여 캔 상단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고 양극탭 및 음극탭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상부 절연체(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절연체(10)는 각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음극탭을 위한 음극탭홀(11)과, 주액을 합침하기 위한 주액 함침홀(12), 및 양극탭을 위한 양극탭홀(13)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부 절연체(10)는 음극탭홀(11), 양극탭홀(13) 및 주액 함침홀(12)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외부의 힘 저항력이 약한 부분에 집중되면서 불량이 발생되고, 더욱이 상부 절연체(10)의 앞뒤 또는 좌우를 동일하게 맞추지 않을 경우 조립이 되지 않으며, 이에 동일한 방향으로 맞춘 상태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종래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부 절연체(10)는 주액 합침홀(12)과 음극탭홀(11)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조립성과 휨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켰으나, 주액 합침홀(12)의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더욱이 양극탭홀(13)이 편심되게 형성되어 종래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조립성이 떨어진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부 절연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휨응력에 대한 강성 증대와 함께 앞뒤 또는 좌우 상관없이 조립이 가능한 이차전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이차전지 구조는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되고, 양극탭과 음극탭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의 개방된 상단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캔과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탭을 위한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을 위한 음극탭홀 및 주액 함침을 위한 주액 함침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홀 및 상기 주액 함침홀은 각각,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폭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a), 또는 상기 상부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길이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홀 및 상기 주액 함침홀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두께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c)에 대해 더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극탭홀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주액 함침홀은 상기 음극탭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양극탭홀은 주액 함침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양쪽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절연체의 상하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보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편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두께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c)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탭홀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탭홀에는 양극탭홀을 마감하는 절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재는 일부가 양극탭홀에 절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재는 상부 절연체 제작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극탭홀은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액 함침홀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칭되게 개선된 상부 절연체를 이차전지에 적용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휨 저항력과 지지 반력을 극대화하여 상부 절연체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상부 절연체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상부절연체 구조는 폭, 길이 및 두께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하며, 이에 제작성, 조립성 및 호환성을 증대시킨 발명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구조는 도면에서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상부가 개방된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되고 양극탭과 음극탭이 마련된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의 개방된 상단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캔과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양극탭을 위한 양극탭홀(130) 음극탭을 위한 음극탭홀(110) 및 주액 함침을 위한 주액 함침홀(120)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체(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절연체(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탭홀(110), 주액 함침홀(120) 및 양극탭홀(130)이 상부 절연체(100)의 폭방향, 길이방향 및 두께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대칭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음극탭홀(110), 주액 함침홀(120) 및 양극탭홀(130)은 각각, 상부 절연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부 절연체(100)를 폭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a) 또는 상부 절연체(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100)를 길이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된다(도 3 참조).
즉, 음극탭홀(110)은 상부 절연체(10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도 3에 표시된 a선 또는 b선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음극탭홀(110)은 상부 절연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보다 넓은 면적의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주액 함침홀(120)은 음극탭홀(110)을 사이에 두고 상부 절연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에 복수개가 형성되고, 도 3에 표시된 a선 또는 b선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주액 함침홀(120)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즉, 주액 함침홀(120)을 원형으로 형성하면 대칭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타원형으로 형성하면, 보다 넓은 폭을 확보하여 작업성을 증대시키고 더욱이 원형에 대비하여 타원형으로 배열할 경우 동일 면적에 대해 주액 함침홀(120)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작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양극탭홀(130)은 주액 함침홀(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연체(100)의 폭 방향으로 양쪽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도 3에 표시된 a선 또는 b선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양극탭홀(130)은 사용의 편의성과 휨에 대해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액 함침홀(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연체(100)의 폭 방향으로 양쪽에 각각 2개씩, 도합 4개를 형성한다.
또한, 양극탭홀(130)은 상부 절연체(100)의 폭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에 양극탭(130) 통과시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음극탭홀(110), 주액 함침홀(120) 및 양극탭홀(130)을 상부 절연체(100)에 표시된 a선 또는 b선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도 조립이 가능하다.
한편, 음극탭홀(110), 주액 함침홀(120) 및 양극탭홀(130)은 상부 절연체(100)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부 절연체(100)를 두께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c)에 대해서도 대칭되게 형성된다(도 4 참조).
즉, 상부 절연체(100)는 앞면과 뒷면을 대칭되게 형성하며, 이에 상부 절연체(100)의 앞면 또는 뒷면 구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상부 절연체(100)의 뒤집힘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 축소와 수율을 개선한다.
한편, 상부 절연체(100)의 상하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보강편(140)이 형성되며, 이 보강편(140)에 의해 상부 절연체(10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여기서 보강편(140)은 상기 상부 절연체(100)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두께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c)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며, 이에 상부 절연체(100)의 조립시 좌우 바뀜 또는 뒤집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부 절연체(100)는 도 3에 표시된 a선, b선 c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선에 대해 대칭되게 음극탭홀(110), 주액 함침홀(120) 및 양극탭홀(130)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절연체(100)의 좌우 바뀜 또는 뒤집힘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키고, 상부 절연체(100)의 사면의 휨응력이 동일하여 상부 절연체가 휘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양극탭홀(130')을 주액 함침홀(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연체(100')의 폭 방향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형성하며, 이에 제작의 용이성과, 보다 넓은 면적을 확보하여 양극탭 통과시 작업성과 호환성을 증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양극탭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절연체(100")에 형성된 양극탭홀(130")에는 양극탭홀(130")을 마감하는 절개부재(150)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절개부재(150)는 일부가 양극탭홀(130")에 연결되는 절개부(151)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151)를 절단함에 따라 절개부재(150)를 양극탭홀(130")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구조는 양극탭홀(130")에 절개부재(150)를 형성하여 휨 저항으로부터 강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양극탭 통과시 그에 해당하는 부분의 양극탭홀(130")에 형성된 절개부재(150) 만 절개하여 휨 저항에 의한 강성 감소를 최소화한다.
여기서 절개부재(150)는 상부 절연체(130") 제작시 일체로 성형되며, 이에 제작의 용이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부 절연체 110: 음극탭홀
120: 주액 함침홀 130: 양극탭홀
140: 보강편 150: 절개부재
120: 주액 함침홀 130: 양극탭홀
140: 보강편 150: 절개부재
Claims (9)
-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되고, 양극탭과 음극탭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의 개방된 상단을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캔과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탭을 위한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을 위한 음극탭홀 및 주액 함침을 위한 주액 함침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홀 및 상기 주액 함침홀은 각각,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폭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a), 또는 상기 상부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길이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양극탭홀, 상기 음극탭홀 및 상기 주액 함침홀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두께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c)에 대해서도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극탭홀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주액 함침홀은 상기 음극탭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양극탭홀은 주액 함침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양쪽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체의 상하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보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절연체를 두께 방향으로 균분하는 선(c)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홀은 상기 상부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홀에는 양극탭홀을 마감하는 절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재는 일부가 양극탭홀에 절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재는 상부 절연체 제작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음극탭홀은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액 함침홀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6033A KR101602012B1 (ko) | 2013-01-18 | 2013-01-18 | 이차전지 구조 |
CN201380003911.3A CN104067401B (zh) | 2013-01-18 | 2013-12-17 | 二次电池结构 |
EP13838064.7A EP2933858B1 (en) | 2013-01-18 | 2013-12-17 |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
JP2015517208A JP6038303B2 (ja) | 2013-01-18 | 2013-12-17 | 二次電池の構造 |
PCT/KR2013/011725 WO2014112723A1 (ko) | 2013-01-18 | 2013-12-17 | 이차전지 구조 |
TW103100362A TWI479722B (zh) | 2013-01-18 | 2014-01-06 | 二次電池結構體 |
US14/293,540 US9590214B2 (en) | 2013-01-18 | 2014-06-02 | Secondary battery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6033A KR101602012B1 (ko) | 2013-01-18 | 2013-01-18 | 이차전지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3519A KR20140093519A (ko) | 2014-07-28 |
KR101602012B1 true KR101602012B1 (ko) | 2016-03-17 |
Family
ID=5120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6033A KR101602012B1 (ko) | 2013-01-18 | 2013-01-18 | 이차전지 구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590214B2 (ko) |
EP (1) | EP2933858B1 (ko) |
JP (1) | JP6038303B2 (ko) |
KR (1) | KR101602012B1 (ko) |
CN (1) | CN104067401B (ko) |
TW (1) | TWI479722B (ko) |
WO (1) | WO201411272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283B1 (ko) * | 2014-08-25 | 2021-04-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
KR102264700B1 (ko) * | 2016-07-25 | 2021-06-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JP7119837B2 (ja) * | 2018-09-26 | 2022-08-17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素子 |
US12102832B2 (en) * | 2021-05-19 | 2024-10-01 | Medtronic, Inc. | Folded headspace insulator |
CN113675510B (zh) * | 2021-08-17 | 2023-01-24 | 厦门海辰储能科技股份有限公司 | 电芯的端部连接结构、电芯、动力电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0384A (ja) | 2000-01-26 | 2001-08-03 | Sony Corp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2001273932A (ja) | 2000-03-28 | 2001-10-0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円筒形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KR100867929B1 (ko) * | 2007-10-02 | 2008-11-1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80598B2 (ja) * | 2004-09-29 | 2011-09-28 |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 密閉角形電池 |
KR100614389B1 (ko) * | 2004-10-18 | 2006-08-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JP2007066612A (ja) * | 2005-08-30 | 2007-03-15 | Toyota Motor Corp | 電池構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
JP2007188711A (ja) * | 2006-01-12 | 2007-07-26 | Nec Tokin Corp | 密閉型電池 |
KR100739968B1 (ko) * | 2006-02-16 | 2007-07-1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JP2008273233A (ja) * | 2007-04-25 | 2008-11-1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バッテリ及びバッテリの固定構造 |
KR100816218B1 (ko) * | 2007-05-02 | 2008-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JP5236210B2 (ja) * | 2007-05-10 | 2013-07-17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バッテリの電池モジュール構造 |
TWM340564U (en) * | 2007-10-12 | 2008-09-11 | Shian Shin Entpr Co Ltd | Battery structure improvement |
KR101023878B1 (ko) * | 2008-06-16 | 2011-03-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TWM366179U (en) * | 2008-12-26 | 2009-10-01 | Phoenix Silicon Int Corp |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
TWM370837U (en) * | 2009-07-13 | 2009-12-11 | Yesa Company Hong Kong | Improved structure of battery |
JP5237253B2 (ja) * | 2009-12-24 | 2013-07-1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
TWM385096U (en) * | 2010-01-08 | 2010-07-21 | Phoenix Silicon Int Corp | Battery barrel body |
JP2011204469A (ja) * | 2010-03-25 | 2011-10-13 | Sanyo Electric Co Ltd | 角形密閉二次電池 |
US20120208054A1 (en) * | 2011-02-16 | 2012-08-16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Battery system and battery structure |
TWM431450U (en) * | 2011-06-17 | 2012-06-11 | Simplo Technology Co Ltd | Battery structure |
TWM433641U (en) * | 2012-01-17 | 2012-07-11 | Td Hitech Energy Inc | Heat dissipation type battery structure |
-
2013
- 2013-01-18 KR KR1020130006033A patent/KR1016020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7 EP EP13838064.7A patent/EP2933858B1/en active Active
- 2013-12-17 CN CN201380003911.3A patent/CN104067401B/zh active Active
- 2013-12-17 JP JP2015517208A patent/JP6038303B2/ja active Active
- 2013-12-17 WO PCT/KR2013/011725 patent/WO201411272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
- 2014-01-06 TW TW103100362A patent/TWI479722B/zh active
- 2014-06-02 US US14/293,540 patent/US959021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0384A (ja) | 2000-01-26 | 2001-08-03 | Sony Corp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2001273932A (ja) | 2000-03-28 | 2001-10-0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円筒形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KR100867929B1 (ko) * | 2007-10-02 | 2008-11-1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038303B2 (ja) | 2016-12-07 |
US9590214B2 (en) | 2017-03-07 |
KR20140093519A (ko) | 2014-07-28 |
EP2933858B1 (en) | 2019-08-14 |
CN104067401B (zh) | 2016-12-07 |
WO2014112723A1 (ko) | 2014-07-24 |
TWI479722B (zh) | 2015-04-01 |
EP2933858A1 (en) | 2015-10-21 |
JP2015523691A (ja) | 2015-08-13 |
TW201503466A (zh) | 2015-01-16 |
CN104067401A (zh) | 2014-09-24 |
US20140272548A1 (en) | 2014-09-18 |
EP2933858A4 (en) | 2016-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2012B1 (ko) | 이차전지 구조 | |
US9537177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EP2752916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 |
US9219268B2 (en) |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 |
EP3113272B1 (en) | Frame body, cell frame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 |
JP2007184260A (ja) | 導電性プレート及びパック電池 | |
KR102018256B1 (ko) |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JP6350865B2 (ja) | 電池 | |
KR101683974B1 (ko) |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 |
KR102002511B1 (ko) | 전지 | |
US10135057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 |
KR101787636B1 (ko) |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
KR100362277B1 (ko) | 보호 케이스를 가지는 이차 전지 | |
KR101736543B1 (ko) | 전극 조립체 | |
WO2019004296A1 (ja)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
KR101645475B1 (ko) | 전해액 젖음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 |
KR101719396B1 (ko) |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 |
JP2016039022A (ja) | 電池モジュール | |
EP2894691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263199B1 (ko) | 이차 전지 | |
KR101643585B1 (ko) | 플렉서블 전극조립체 | |
KR102125433B1 (ko) |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 |
CN211376781U (zh) | 一种快充型高容量纽扣电池用隔离膜 | |
KR102245122B1 (ko) | 전극조립체 | |
KR20140109694A (ko) | 이차 전지 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