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673B1 -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673B1
KR101601673B1 KR1020150024180A KR20150024180A KR101601673B1 KR 101601673 B1 KR101601673 B1 KR 101601673B1 KR 1020150024180 A KR1020150024180 A KR 1020150024180A KR 20150024180 A KR20150024180 A KR 20150024180A KR 101601673 B1 KR101601673 B1 KR 10160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uction
cup
unit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5392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16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15002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673B1/ko
Priority to US15/551,473 priority patent/US20180027920A1/en
Priority to MX2017010483A priority patent/MX2017010483A/es
Priority to SG11201706344XA priority patent/SG11201706344XA/en
Priority to CN201590001366.9U priority patent/CN207531969U/zh
Priority to RU2017132398A priority patent/RU2677403C1/ru
Priority to JP2017561214A priority patent/JP6687643B2/ja
Priority to PCT/KR2015/002301 priority patent/WO2016133237A1/en
Priority to AU2015383268A priority patent/AU2015383268A1/en
Priority to EP15882771.7A priority patent/EP3258804B1/en
Priority to CN201510137135.7A priority patent/CN106136447B/zh
Publication of KR10160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IL253744A priority patent/IL253744A0/en
Priority to PH12017501485A priority patent/PH12017501485A1/en
Priority to US16/807,285 priority patent/US2020019670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8Bathing shoes ; Aquatic sports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특히 수분이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상 쾌적함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신발에 관련된 것으로,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 상기 갑피의 하측을 연결하는 인솔부 및 상기 인솔부 및 갑피와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창부는, 외주측에서 바닥면과 밀착되고 압축되어 흡착력을 제공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중심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가 배열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AQUA SHOES HAVING NON-SLIP STRUCTURE}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특히 수분이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상 쾌적함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보행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외부로부터 보행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행시 착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은 통상 발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저부에 중창을 형성하고 상측에 발을 덮을 수 있도록 갑피를 배치하여 중창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패션은 물론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유형, 형상 또는 재질의 신발들이 제안되고 있다. 신발의 대표적인 재질로서, 가죽, 섬유나 합성수지 등이 활용된다.
가죽재질로 이루어진 구두와 같은 경우 비교적 형상을 잘 유지하기 때문에 착용에 따라서도 모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지만, 착용에 어려움이 있고 보행에 따라 뒤꿈치나 발가락 부위에 손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통풍성에도 약점을 가지게 된다.
비교적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화나 운동화와 같은 경우 착용시의 편안함이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고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을 가진다.
위와 같은 다양한 신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으나, 착용시의 편리성과 내구성 및 보행시의 발의 편안함이라는 과제를 모두 충족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비교적 두께가 얇고 연성이 높은 재질로서 신발을 구성하여 수영장이나 해변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신발들의 경우 방수성에만 초점을 두어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면 착용감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많은 장소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땀과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면서도 물기가 많은 바닥면에서의 보행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과 착용의 편리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량신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 상기 갑피의 하측을 연결하는 인솔부 및 상기 인솔부 및 갑피와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창부는, 외주측에서 바닥면과 밀착되고 압축되어 흡착력을 제공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중심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가 배열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를 제공한다. 따라서, 수분이 많은 장소에서 활동상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바닥창부의 결합은 접착방식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재봉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흡착부는, 컵부의 외주가 돌기부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부는, 바닥면에의 접촉과정에서 컵부의 외주가 접촉되면서 압축되어 흡착력을 제공하고, 발의 하중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돌기부가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흡착력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바닥창부는, 흡착부의 상측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성이 향상된다.
상기 바닥창부는,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으로 복수의 가지부들이 연장되는 인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레이부의 저면은 흡착부의 하단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바닥창부는, 흡착부의 배열의 테두리를 이루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레이부에 인접되는 연결부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벽부에 인접되는 연결부 사이에는 충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성과 견고성이 양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창부는, 하나의 흡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 등간격으로 6개의 연결부가 6개의 흡착부들을 연결하여 육각 형태의 바닥부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균일한 흡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갑피와 인솔부는, 상호간에 모서리가 마주보는 상태로 보니스 재봉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창부의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중에서 물살을 밀어낼 수 있는 갈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생산공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발의 모양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신발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이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시 미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착력을 이용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발의 보행과정에서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흡착력이 해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은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에서 갑피와 바닥창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개방부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깔창부의 실시예에 대한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쿠아슈즈는 특히 물이 많은 개천, 수영장, 해변 등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도록 유연하여 발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후술될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를 위한 구조와 배수를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발에 밀착되는 형태의 신발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개념은 수분이 많은 공간에서의 상면 방수성, 저부 배수성, 저면 흡착성을 동시에 구비하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물을 의미하는 "아쿠아"의 용어를 사용하여 기능적인 의미로서 아쿠아슈즈로 정의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는 기본적으로, 저부에 배치되고 바닥면과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흡착구조를 구비하는 바닥창부와, 상기 바닥창부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와, 상기 갑피와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저면측에서 바닥창부의 상면과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인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창부는 신발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다면 후술될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양 발이 마주보도록 서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측을 내측으로, 그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용도는 반드시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측으로부터 크게 갑피(100), 인솔부 및 바닥창부(300)로 이루어진다.
바닥창부(300)는 상측으로는 발의 저부를 지지하고 하측으로는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러한 바닥창부(300)는 마찰력의 향상을 위하여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전체적인 신발을 이루는 재질들이 종래의 신발에 비하여 경량화되는 개념을 제시하므로, 상기 바닥창부(300)는 사출성형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 TPE(Thermo plastic elastomers) 소재,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재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바닥창부(300)는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고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된 갑피(100)와 인솔부(200)보다 그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창부(300)는 크게 지면을 지지하는 바닥부위와 갑피(100)의 하측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의 측벽부위로 구분될 수 있는데, 경량신발의 보강성을 위하여 측벽부위에 상하로 융기 및 함몰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분이 많거나 미끄러운 바닥면에서의 활동성과 안전성의 향상을 위하여 바닥창부(300)가 저부에 흡착을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흡착 구조는 일종의 진공 흡착컵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4 이하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갑피(100)는 전체적으로 발등 및 발볼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는 발이 입출될 수 있는 개방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신발의 개념을 만족하기 위하여 이러한 갑피(100)의 소재는 신축성이 우수한 경량의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신축성을 고려하여 네오프렌(Neoprene) 소재나, 폴리스판(Polyspan)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갑피(100)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발등 및 발볼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며, 보행간에 발의 변형에 따라 자연스럽게 갑피(100)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발과의 일체감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갑피(100)는 대략 바닥창부(300)에 바로 결합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인솔부(200)와 먼저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도 2에서는 갑피와 인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경량성과 결합의 견고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갑피(100)와 인솔부(200)가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바닥창부(300)에 대해 인솔부(200)의 저면이 함께 접착되면서 바닥창부(300)의 측벽부위의 내면에서 갑피(100)의 하측 외면이 함께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갑피(100)의 하단측은 인솔부(200)의 외주연을 따라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종래에는 덧버선을 생산함에 있어서, 갑피의 내면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인솔부에 해당되는 바닥부를 반전시키고 갑피의 하단측 외주면과 바닥부의 저면의 외주측을 면접한 상태에서 재봉을 한 이후에 재봉면이 바깥으로 보이지 않도록 갑피를 다시 뒤집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갑피와 바닥부의 결합방식은 외측의 마감은 큰 문제가 없으나 내면에서 재봉된 모서리부위가 돌출되기 때문에 착용감에 문제가 있고 경우에 따라 발바닥이나 볼에 대한 신체손상의 우려가 존재하였다. 또한, 생산공정이 복잡한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갑피(100)와 인솔부(200)를 보니스 방식으로 재봉하는 결합방법이 제안된다. 즉, 갑피(100)의 하측단부의 모서리와 인솔부(200)의 외주 모서리를 인접시키도록 배치하고 평면상 인접된 부위를 상하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재봉사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한 번의 재봉 공정으로 갑피(100)와 인솔부(200)를 결합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단순화됨은 물론 발에 착용시 연결부위에 단차나 돌출부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착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갑피(100)와 인솔부(200)가 재봉되는 연결 부위를 연결부(210)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210)는 후술될 바와 같이 바닥창부(300)의 내주측에 접착되어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인솔부(200)는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한 재질이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솔부(200)는 땀이나 수분의 흡습 또는 배수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공극 또는 관통홀이 형성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메쉬 형태를 가지는 합성섬유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쉬 형태는 발바닥의 감촉과 배수 또는 흡습의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쉬 형태는 후술될 바와 같이 바닥창부(300)의 개구부(330)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깔창부의 연통부와 함께 배수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창부(300)와 갑피(100) 및 인솔부(200)가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고, 경량의 재질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창부(300)에 의한 전체적인 지지의 성능의 향상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창부(300)는 바닥부위와 측벽부위를 포함하되, 측벽부위가 융기 또는 함몰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부(300)의 측벽부위는 앞꿈치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와, 뒤꿈치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닥창부(300)의 융기부와 함몰부를 통하여 경량신발에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신체의 자연스러운 변화에 따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착용감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내구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갑피(100)에는 전방갑피(참조번호 미표시)와 후방갑피(12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갑피와 후방갑피(120)는 갑피(100)가 신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힘을 받는 부위에서 신축성을 어느 정도 억제하면서 외부의 충격에 저항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능하는데, 전방갑피와 후방갑피는 갑피(100)보다 더 경성(傾性)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갑피(100)가 네오프렌 재질로서 이루어질 때 전방갑피 및 후방갑피(120)는 천, 가죽이나, 합성섬유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갑피는 제3발가락뼈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전방측으로 만곡진 만곡부를 구비하게 되며, 전방갑피의 후방측 라인은 태극모양의 일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발의 폭의 기준으로 볼 때 엄지발가락의 폭이 다른 발가락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므로 만곡부는 외측으로 치우친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후방갑피(120)는 신발의 착탈시에 후방측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뒤꿈치에 하중이 실렸을 때 이를 보강할 수 있도록 기능하며, 전방갑피는 특히 보행시 앞꿈치가 들리는 현상과 외부의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후방갑피(120)는 대략 바닥창부(300)에서 갑피(100)의 개구부측까지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갑피(120)의 상단측에는 상측으로 더욱 돌출된 연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9)는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며 신발 착탈의 용이성을 향상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39)는 후방갑피(120)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전방갑피와 같이 갑피(100)의 상면에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되는 방식 또는 열융착되는 방식 등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후방갑피(120)는 전방갑피와 마찬가지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갑피(100)의 후방측을 지지하게 되며, 내구성을 고려하여 하측에서 좌우로의 폭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갑피(120)는 상단측에 연장부(139)가 배치되어 파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갑피(1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방식으로 후방재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갑피와 후방갑피(120)는 갑피(100)가 인솔부(200)와 결합되기 전에 미리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연결부(210)에 의한 결합시 함께 재봉 특히, 보니스재봉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갑피(100)에서 발이 입출되는 개구부측에서는 반복사용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도록 개구부의 상단측을 감싸는 형태로 링부(도 7의 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량신발의 단면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전방측에서 대략 제2융기부가 배치되는 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갑피(100)와 인솔부(200)가 상호간 모서리가 인접된 상태로 보니스공법과 같은 재봉방식의 연결부(210)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면, 인솔부(200)의 저면과 갑피(100)의 하측 외주에 접합부(400)가 도포되고, 상기 접합부(400)는 접착제와 같은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접합부(400)는 바닥창부(300)의 상측에 도포되거나, 갑피(100)와 인솔부(200)와 바닥창부(300)에 함께 도포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접합부(400)를 통하여 인솔부(200)와 바닥창부(300), 갑피(100)와 바닥창부(300)가 결합되며, 또한 인솔부(200)와 갑피(100)의 연결부(210)에서의 연결상태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융기부들의 내면에는 접합부(400)가 형성되므로, 각각의 융기부들에서 갑피(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인솔부(200)의 상측에는 완충성능과 감촉의 향상을 위하여 깔창부(50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깔창부(500)는 발의 저면과 직접 접촉되고 배수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갑피(100)는 외면측에 결합되어 반복적인 변형에 대해 발의 구조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보강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는 외면에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면서 전후 또는 상하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골격으로 기능할 수 있는데, 합성수지재질로서 미리 형성되어 갑피(100)의 외면에 재봉되거나, 접착되거나, 융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는 소정의 요철면으로서 갑피(100)에 배치될 수 있는데, 미관적인 향상과 보강성능을 고려하여 발포식 나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포식 나염은 폴리우레탄 폼(Poly Urethane Foam)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갑피(100)가 인솔부(200)와 결합되기 전의 공정에서 갑피(100)에 대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부는 갑피(100)를 이루는 섬유의 표면에 대해 나염처리면을 형성하고 이에 대해 금형을 덮어 씌운 상태에서 나염재를 주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발포잉크가 주입되면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게 되고 이를 프레스를 통하여 균일한 두께 또는 원하는 형상의 두께로 형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된 보강부는 신발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모양과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모양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구간은 상하보강구간으로서 상하방향으로의 인장을 지지하고, 전후방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전후방 두께를 가지는 전후보강구간에서는 전후방향으로의 인장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갑피(100)가 신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밀착성과 일체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강한 운동에는 적절하지 않은 문제를 가지기 때문에 보강부를 통하여 활동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편의상 저면도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1과 같이 발에 착용되어 바닥면에 바닥창부(300)가 접촉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영장과 같은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활동되는 특성상 소정의 마찰구조를 가지는 것이 안전성과 활동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며, 이러한 마찰력을 진공 흡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창부(300)는 저부에 복수의 흡착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310)는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컵으로서 진공흡착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신체의 하중이 발바닥에 제공되면, 압력에 의하여 흡착부(310)가 외주측으로 신장되면서 하방으로 압축되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이에 따라 흡착부(310) 내부에서 음압에 의하여 흡착력이 제공되어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흡착력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수막에 의하여 더욱 강화될 수 있다.
그런데, 흡착력이 지속되는 경우 보행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흡착부(310)는 흡착력의 해소를 위한 구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흡착부(310)들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저면의 도시상태에서 상호간에 연결부(32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320)들의 사이에는 내부의 인솔부(200) 및 깔창부로부터의 수분의 배출을 위한 개구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310)와 연결부(320)들의 배열은 선택적일 수 있는데, 균일한 흡착력의 제공과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신발에의 대응을 고려하여 하나의 흡착부(310)에 인접되는 흡착부(310)들은 정육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적절하다.
즉, 하나의 흡착부(310)는 등간격으로 여섯개의 방향으로 연결부(320)가 외주방향으로 방사상 형성되고 이에 각각 흡착부(310)들이 결합되며, 이렇게 하나의 흡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흡착부들 상호간에도 각각 정육각형의 한 변을 이루도록 연결부(320)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하나의 흡착부(310)에서 방사상 여섯 개의 연결부(320)가 연장되고 이에 여섯 개의 흡착부가 배열되고 하나의 바닥부유닛(302)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흡착부(310)들은 이를 중심으로 각각 바닥부유닛(302)을 형성할 수 있고, 인접되는 바닥부유닛(302)들은 저부의 면적에서 교차부위를 가지게 된다.
상기 연결부(320)의 형태는 선택적이나 흡착부(310)에 가까워질 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320)들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330)는 제1실시예에서 세 개의 연결부(320)가 대략 삼각 형태로서 형성되는 경우 대략 삼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부(301)는 바닥창부(300)의 저면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바닥부위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상 외측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닥부유닛(302)의 배열의 외주측은 각 측벽부(301)에 연결되고 이러한 형태는 전체적으로 일체의 사출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흡착부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바닥면에 대하여 접촉되는 부위는 주로 흡착부(310)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흡착부(310)가 연결부(320)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연결부(320)는 흡착부(310)의 상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흡착부(310)는 상측으로 오목한 원반 형태로 형성되는 컵부(311)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컵부(311)는 내부의 공간과 바닥면과의 사이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흡착력을 제공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런데, 보행시 흡착력의 해제를 고려하여야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흡착력의 해제를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제안되며, 이러한 흡착력 해제를 위한 구성은 컵부(311)의 중심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12)일 수 있다.
상기 돌기부(312)보다 컵부(311)의 외주측이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형태에 따라 바닥창부(300)의 소정의 부위가 보행 과정에서 바닥면에 접촉이 개시되면 최초 컵부(311)의 외주측에서 바닥면에 밀착되고 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압축 변형되면서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컵부(311)의 저부와 바닥면의 사이에 흡착력이 제공된다. 이에 더욱 큰 압력이 제공되는 과정에서 컵부(311)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돌기부(312)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바닥면에 접촉되고 컵부(311) 내부에 잔류한 공기를 압축하면서 바닥면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흡착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보행시 수분이 많은 부위에서 미끄러짐은 최초 신발의 바닥 부위가 접촉되어 수막이 형성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바닥면과의 접촉부위가 변화되는 과정에서 접촉 및 최초 압력의 제공의 과정에서는 컵부(311)에 의하여 흡착력을 발생하면서 이동을 위하여 하중이 바닥면과의 접촉부위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돌기부(312)가 하방으로 더욱 이동되도록 하면서 흡착력을 자연스럽게 해제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 연결부(320)들은 유연하게 변형되고 뒤틀림으로써 흡착부(310)들 상호간에 연결하여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흡착부(310) 자체의 형태를 유지하여 흡착력이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바닥부위의 형태를 유연하게 가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330)는 흡착 과정에서는 바닥면과 컵부(311)의 사이에 과도한 수막이 발생되지 않도록 접촉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임시저장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저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같이 전체적으로 바닥부유닛(302)들이 배열되고 하나의 바닥부유닛(302)을 형성하는 연결부(320)들 사이에 각각 개구부(330)들이 형성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유연성이 제공될 수 있으나 강성이나 지지력에 있어서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보강구조로서의 인레이부(350)가 더 배치되고 지지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된다.
이러한 인레이부(350)는 대략 바닥부위의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양측으로 소정의 가지 부위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레이부(350)의 사이에는 상기된 흡착부(310)들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인레이부(350)는 대략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은 흡착부(310)의 컵부(311)의 하단과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방으로의 압력의 제공시 인레이부(350)가 압축되면서 흡착부(310)에서 흡착력이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레이부(350)는 일부에 하나 이상의 요홈인 홈부(351)와 상측으로 함몰되는 링 형태의 단턱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홈부(351)와 단턱부(352)는 수분이 임시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인레이부(350)의 수막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보행시 최초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가장 큰 압력이 형성되는 뒤꿈치 부위에 대응되는 인레이부(350)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마찰부(37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20)들의 사이가 개방되도록 개구부(330)와, 그 사이를 메우는 형태로 충진부(340)가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상기 충진부(340)는 연결부(320)들의 연결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형태의 유지 성능을 향상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330)와 충진부(340)의 배열은 선택적일 수 있으나, 인레이부(350)와 인접되는 부위에서는 배수성과 수막현상의 최소화를 위하여 개구부(330)가 배열되고 측벽부(301)에 인접되는 부위에서는 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충진부(340)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저면도이다.
흡착부(310)와 인레이부(350)와 관련하여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아쿠아슈즈로서 수영장이나 해변과 같이 물놀이가 가능한 장소에서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물놀이로서의 효용성의 향상을 위하여 바닥창부(300)가 전방측에 물살을 밀어낼 수 있도록 갈퀴부(360)를 더 구비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갈퀴부(360)는 바닥창부(3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의 발에 착용되어 수영을 할 때 물을 밀어 낼 수 있는 전방의 소정의 면적을 확보하도록 한다.
물살을 밀어내는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갈퀴부(360)는 상측으로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 형태로서 갈퀴부(360)의 변형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361)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리브(361)의 상하방향으로의 두께는 갈퀴부(360)의 나머지 부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갈퀴부(360)는 바닥창부(300) 전체와 함께 일체의 사출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의 개방부를 상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갑피(100)와 인솔부(200)는 보니스재봉에 의한 방식으로 단차가 제거되어 상호간에 연결부(320)에서 연결되고, 갑피(100)의 상단측에는 링부(140)가 형성되고 이는 개방부에서 발이 삽입되고 이탈되는 과정에서 내구성와 감촉을 향상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링부(140)는 갑피(100)와 재봉에 의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솔부(200)는 배수성을 고려하여 메쉬형태,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바닥창부(300)의 개구부(330)로 내부의 수분이 배출될 수 있으나 완충성이나 감촉의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깔창부가 그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깔창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기 깔창부는 인솔부(20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창부(300)의 개구부(330)와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연통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510)의 모양, 크기 및 배열은 선택적이다.
다만, 저부에서 배수성의 향상을 위하여 연통부(510)와 연통부(510)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홈인 연통홈(52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연통홈은 소정의 바닥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깔창부(500)의 중심측으로는 인솔부(200)와의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마찰돌기(530)들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는, 갑피, 인솔부 및 바닥창부가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생산공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발의 모양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신발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분이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시 미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착력을 이용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발의 보행과정에서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흡착력이 해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은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갑피 120...후방갑피
130...연장부 140...링부
200...인솔부 210...재봉부
300...바닥창부 301...측벽부
302...바닥부유닛 310...흡착부
311...컵부 312...돌기부
320...연결부 330...개구부
340...충진부 350...인레이부
351...홈부 352...단턱부
360...갈퀴부 361...보강리브
370...마찰부 400...접합부
500...깔창부 510...연통부
520...연통홈 530...마찰돌기

Claims (9)

  1.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
    상기 갑피의 하측을 연결하는 인솔부;
    상기 인솔부 및 갑피와 결합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창부; 및
    상기 바닥창부에 형성되며 외주측에서 바닥면과 밀착되고 압축되어 흡착력을 제공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중심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창부는,
    저면이 흡착부의 하단의 높이에 대응되는 인레이부와, 흡착부의 상측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부는,
    컵부의 외주가 돌기부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바닥면에의 접촉과정에서 컵부의 외주가 접촉되면서 압축되어 흡착력을 제공하고, 발의 하중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돌기부가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흡착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레이부는,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으로 복수의 가지부들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부는,
    흡착부의 배열의 테두리를 이루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레이부에 인접되는 연결부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벽부에 인접되는 연결부 사이에는 충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5.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부는,
    하나의 흡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 등간격으로 6개의 연결부가 6개의 흡착부들을 연결하여 육각 형태의 바닥부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와 인솔부는,
    상호간에 모서리가 마주보는 상태로 보니스 재봉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부의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중에서 물살을 밀어낼 수 있는 갈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8. 삭제
  9. 삭제
KR1020150024180A 2015-02-17 2015-02-17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KR10160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80A KR101601673B1 (ko) 2015-02-17 2015-02-17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JP2017561214A JP6687643B2 (ja) 2015-02-17 2015-03-10 滑り防止構造を備えるアクアシューズ
AU2015383268A AU2015383268A1 (en) 2015-02-17 2015-03-10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SG11201706344XA SG11201706344XA (en) 2015-02-17 2015-03-10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CN201590001366.9U CN207531969U (zh) 2015-02-17 2015-03-10 具有防滑结构的水鞋
RU2017132398A RU2677403C1 (ru) 2015-02-17 2015-03-10 Акватуфля, имеющая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ую структуру
US15/551,473 US20180027920A1 (en) 2015-02-17 2015-03-10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PCT/KR2015/002301 WO2016133237A1 (en) 2015-02-17 2015-03-10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MX2017010483A MX2017010483A (es) 2015-02-17 2015-03-10 Zapatos acuáticos con estructura antideslizante.
EP15882771.7A EP3258804B1 (en) 2015-02-17 2015-03-10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CN201510137135.7A CN106136447B (zh) 2015-02-17 2015-03-26 具有防滑结构的水鞋
IL253744A IL253744A0 (en) 2015-02-17 2017-07-31 Water shoe with anti-slip structure
PH12017501485A PH12017501485A1 (en) 2015-02-17 2017-08-16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US16/807,285 US20200196702A1 (en) 2015-02-17 2020-03-03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80A KR101601673B1 (ko) 2015-02-17 2015-02-17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673B1 true KR101601673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80A KR101601673B1 (ko) 2015-02-17 2015-02-17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180027920A1 (ko)
EP (1) EP3258804B1 (ko)
JP (1) JP6687643B2 (ko)
KR (1) KR101601673B1 (ko)
CN (2) CN207531969U (ko)
AU (1) AU2015383268A1 (ko)
IL (1) IL253744A0 (ko)
MX (1) MX2017010483A (ko)
PH (1) PH12017501485A1 (ko)
RU (1) RU2677403C1 (ko)
SG (1) SG11201706344XA (ko)
WO (1) WO20161332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294B1 (ko) 2017-10-17 2018-12-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 성능이 향상된 방열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1302S1 (en) * 2011-10-24 2019-10-01 Dynasty Footwear, Ltd. Shoe bottom
KR101607584B1 (ko) * 2015-11-30 2016-03-31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물갈퀴를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신발
US11589650B2 (en) * 2017-08-04 2023-02-28 Stefanie Miller Kwiatkowski Slip resistant shoe
KR102109512B1 (ko) * 2019-02-27 2020-05-12 (주)서브원 아쿠아 슈즈
CN210611192U (zh) * 2019-04-03 2020-05-26 霍尼韦尔国际公司 具有阻力元件的鞋类外底
USD899741S1 (en) * 2019-05-14 2020-10-27 Nike, Inc. Shoe
USD934545S1 (en) * 2020-12-22 2021-11-02 Nike, Inc. Sho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877Y1 (ko) * 2005-07-28 2005-10-17 인 수 오 물놀이용 신발
JP3737377B2 (ja) * 2001-03-26 2006-01-18 サングリーン商事株式会社 釣り用ブーツのフエルト底
KR20120006266U (ko) * 2011-03-02 2012-09-12 (주)칸투칸 물빠짐과 통기성 및 안전성이 구비된 신발창 구조
KR20130001401A (ko) * 2011-06-27 2013-01-04 최광수 기능성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7322A (en) * 1964-03-04 1966-03-01 Robert B Stauft Resilient sole having self-cleaning suction cups
JPS4945298U (ko) * 1972-07-26 1974-04-20
US4118878A (en) * 1977-09-27 1978-10-10 Semon William P Article of footwear
JPH0444085Y2 (ko) * 1988-06-13 1992-10-19
JPH0231501U (ko) * 1988-08-23 1990-02-28
JP2000217601A (ja) * 1999-01-28 2000-08-08 Katsumi Yamazaki スリップ防止機能を有する履物
US20020184791A1 (en) * 2001-06-12 2002-12-12 Po-Chung Ko Bathing slipper
KR100493138B1 (ko) * 2002-06-29 2005-06-07 임백규 흡착보울과 흡배기구를 갖는 미끄럼방지용 신발
JP3096646U (ja) * 2003-02-26 2003-09-26 堂模 潘 靴の滑り防止構造
US7146751B2 (en) * 2003-05-23 2006-12-12 Crocs, Inc. Footwear pieces
US7503130B2 (en) * 2003-12-04 2009-03-17 Genesco, Inc. Water draining shoe
UA7767U (en) * 2004-10-22 2005-07-15 Disposable footwear for medicinal and prophylaxis establishments
US20090241369A1 (en) * 2008-03-28 2009-10-01 Earl J. Votolato Latticed elastic shoe cover with cleats
US8109012B2 (en) * 2008-10-09 2012-02-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drainage features
CN202190820U (zh) * 2010-11-22 2012-04-18 庄永良 排水、透气鞋底及其鞋
CN202051037U (zh) * 2011-05-11 2011-11-30 福建高力克鞋业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防滑鞋
CN202222538U (zh) * 2011-08-25 2012-05-23 福建晋江市华泰鞋塑有限公司 一种具有触须的防滑鞋底
TWM462012U (zh) * 2013-04-19 2013-09-21 Heng-Xian Su 適合水中活動的鞋
KR101486898B1 (ko) * 2013-05-31 2015-01-29 김정자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용 밑창
CN203302447U (zh) * 2013-06-19 2013-11-27 台州市博洋鞋业有限公司 防滑鞋
KR101453488B1 (ko) * 2014-07-01 2014-10-21 주식회사 도리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
CN204048227U (zh) * 2014-09-28 2014-12-31 代尔塔(中国)安全防护有限公司 防滑安全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377B2 (ja) * 2001-03-26 2006-01-18 サングリーン商事株式会社 釣り用ブーツのフエルト底
KR200398877Y1 (ko) * 2005-07-28 2005-10-17 인 수 오 물놀이용 신발
KR20120006266U (ko) * 2011-03-02 2012-09-12 (주)칸투칸 물빠짐과 통기성 및 안전성이 구비된 신발창 구조
KR20130001401A (ko) * 2011-06-27 2013-01-04 최광수 기능성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294B1 (ko) 2017-10-17 2018-12-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 성능이 향상된 방열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36447A (zh) 2016-11-23
EP3258804A1 (en) 2017-12-27
EP3258804A4 (en) 2018-10-03
US20180027920A1 (en) 2018-02-01
SG11201706344XA (en) 2017-09-28
PH12017501485A1 (en) 2018-02-05
EP3258804B1 (en) 2020-04-22
JP6687643B2 (ja) 2020-04-28
IL253744A0 (en) 2017-09-28
AU2015383268A1 (en) 2017-10-05
RU2677403C1 (ru) 2019-01-16
CN207531969U (zh) 2018-06-26
WO2016133237A1 (en) 2016-08-25
JP2018505033A (ja) 2018-02-22
CN106136447B (zh) 2018-07-06
US20200196702A1 (en) 2020-06-25
MX2017010483A (es)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673B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US7882648B2 (en) Footwear with laminated sole assembly
US988371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web and midsole protrusions
JP5411988B2 (ja) 靴のインソール
EP2833751B1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2011012642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CA2332315A1 (en) Contoured platform and footwear made therefrom
US20220125164A1 (en) Footwear with traction lugs bonded to a midsole
JP2002542849A (ja) 靴の中底
KR101607584B1 (ko) 물갈퀴를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신발
EP4169409A1 (en) Footwear with traction sole assembly
KR101080873B1 (ko) 패턴 일체형 하부결합체가 구비된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US11576462B2 (en) Footwear with mesh sole construction
KR100882849B1 (ko) 마사이워킹 신발
KR20170015862A (ko) 경량신발
KR20110034568A (ko) 반발탄성을 지닌 중공쿠션돌기가 내장된 바닥창
KR20190010983A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1276899B1 (ko) 실용성을 갖는 강제통풍신발
KR101669851B1 (ko) 신발
KR20170116599A (ko) 경량신발
KR200388748Y1 (ko) 신발밑창
KR20110119903A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20090129547A (ko)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KR20150075777A (ko) 경량신발
JPH09201211A (ja) 地下た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