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851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851B1
KR101669851B1 KR1020150070656A KR20150070656A KR101669851B1 KR 101669851 B1 KR101669851 B1 KR 101669851B1 KR 1020150070656 A KR1020150070656 A KR 1020150070656A KR 20150070656 A KR20150070656 A KR 20150070656A KR 101669851 B1 KR101669851 B1 KR 10166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sheet
protrusion
edge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종
Priority to KR102015007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2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솔의 날개편에 갑피의 뒤집어진 개방된 단부를 박음질하고, 상기 날개편 보다 상부로 돌출된 상기 단부의 끝단과 인솔의 테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야외 활동 시 발바닥의 통증과 피로감이 최소화되며, 미끄럼 방지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배수 기능이 뛰어나고, 친환경제품으로 인정되어 유럽에서 각종 세금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아웃솔 몸체의 테두리에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 몸체의 하면에 지면과 닿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아웃솔; 상기 날개편에 안에서 밖으로 뒤집어져 개방된 단부가 박음질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날개편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갑피;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안착되는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안착되어 테두리가 상기 단부의 끝단에 박음질되는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는 밖에서 안으로 뒤집어져 원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발명은 아웃솔, 갑피, 미드솔 및 인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신발은 아웃솔, 갑피, 미드솔 및 인솔을 포함하는데, 아웃솔, 갑피, 미드솔 및 인솔의 결합을 위하여 접착제를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는 신발을 생산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키고, 재활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접착공정이 없는 경량화 신발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79124호로 소개되었으나, 상기 경량화 신발은 미드솔을 구비하지 않아서 돌이 많은 강가에서 착용할 경우 발바닥에 상당한 통증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워터슈즈로서 부적합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각종 신발(운동화, 안전화, 실내화, 장화, 워터슈즈 등)의 겉창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의 논슬립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논슬립 돌출부의 효과인 미끄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하였고, 일예로서, 논슬립 돌출부의 표면을 엠보싱으로 처리하여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럼 현상을 최소화하였다.
그러나 상기 논슬립 돌출부는 건조한 곳에서 사용될 경우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지만, 우천 시나 수분이 많은 곳(산업현장, 건설현장, 강가, 또는 욕실 등)에서 사용될 경우 논슬립 돌출부의 표면과 지면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고 그 수막으로 인해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이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미끄럼 현상이 일어나서 오히려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 겉창의 재질을 수분이 있는 조건에서 흡착력을 갖는 고가의 제품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수요자들은 경제적인 부담으로 구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발포 성형에 의해 저가로 제작되는 신발(실내화, 장화, 슬리퍼, 워터슈즈 등)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신발 밑창의 하부에 돌출된 논슬립 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돌기에 논슬립 부재가 내입 고정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피혁(소, 양, 말, 캥거루, 상어 등) 또는 극세사로 직조된 천으로 만들어진 논슬립 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논슬립 부재의 높이를 논슬립 돌기와 동일한 높이 또는 조금 높게 돌출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우천 시나 수분이 많은 곳에서도 마찰력을 배가시키는 신발 밑창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124313호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신발 밑창에는 다수의 논슬립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논슬립 돌기의 결합홈에 일일이 상기 논슬립 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야 함으로 제작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우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럽에서는 지면과 닿는 아웃솔의 하면에 직물류가 많이 형성될 경우에 친환경 제품으로 인정되어 각종 세금 혜택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 아웃솔의 하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직물류를 접착하는 일이 많이 생기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웃솔의 날개편에 갑피의 뒤집어진 개방된 단부를 박음질하고, 상기 날개편 보다 상부로 돌출된 상기 단부의 끝단과 인솔의 테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야외 활동 시 발바닥의 통증과 피로감이 최소화되며, 미끄럼 방지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배수 기능이 뛰어나고, 아웃솔의 내구성도 한층 향상되며, 친환경제품으로 인정되어 유럽에서 각종 세금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 몸체의 테두리에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 몸체의 하면에 지면과 닿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아웃솔; 상기 날개편에 안에서 밖으로 뒤집어져 개방된 단부가 박음질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날개편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갑피;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안착되는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안착되어 테두리가 상기 단부의 끝단에 박음질되는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는 밖에서 안으로 뒤집어져 원상태가 된다.
상기 인솔의 테두리가 상기 단부의 끝단에 박음질될 때에 상기 인솔의 테두리 일측은 박음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웃솔 몸체와 돌출부에는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 몸체와 돌출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아웃솔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상기 아웃솔 몸체에는 상기 돌출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트의 형성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상기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큰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상기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친환경적이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상당히 감소시키며, 야외 활동시 발바닥의 통증과 피로감을 최소화시키고, 신발의 내부에 물이 찼을 경우에 배수 기능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아웃솔의 하면에 직물이 형성되는 친환경제품으로 인정되어 유럽에서 각종 세금 혜택을 누릴 수 있고, 아웃솔에 시트가 형성되어 내구성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으며, 작은 돌출부의 하면에는 시트가 형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큰 돌출부의 하면에 시트가 형성되더라도 돌출부의 모서리부에는 시트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 인장력을 가하지 않은 아웃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 인장력을 가한 아웃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 몸체(10)의 테두리에 날개편(61)이 형성되고,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지면과 닿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가 형성되는 아웃솔(60); 날개편(61)에 안에서 밖으로 뒤집어져 개방된 단부(71)가 박음질(95a)되고, 단부(71)가 날개편(61)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갑피(70); 아웃솔(60)의 상면에 안착되는 미드솔(80); 및 미드솔(80)의 상면에 안착되어 테두리가 단부(71)의 끝단에 박음질(95b)되는 인솔(90);을 포함하고, 갑피(70)는 밖에서 안으로 뒤집어져 원상태가 된다.
신발은 아웃솔(60), 갑피(70; Upper), 미드솔(80; Midsole) 및 인솔(90; Insole)을 포함하고, 아웃솔(60)은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를 포함하며, 아웃솔 몸체(10)의 테두리에 날개편(61)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지면과 닿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가 형성된다.
갑피(70)의 개방된 단부(71)가 안에서 밖으로 뒤집어져서 날개편(61)에 박음질(95a)되고, 상기 단부(71)는 날개편(61)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후술하는 인솔(90)과 결합된다. 아웃솔(60)에 시트(30)가 형성되어 있으면, 아웃솔(60) 전체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날개편(61)에 갑피(70)의 개방된 단부(71)가 박음질 되는 경우에 시트(30)가 박음질(95a)을 견고히 지지하므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날개편(61)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웃솔(60)의 상면에는 미드솔(80)이 안착되고, 미드솔(80)로는 일반적으로 EVA(Ethylene Vinyl Acetate)가 사용되나,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발포 성형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미드솔(80)로 인하여 야외 활동 시에 발바닥의 통증과 피로감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미드솔(80)의 상면에 안착되는 인솔(90)의 테두리는 단부(71)의 끝단에 박음질(95b)된다. 인솔(90)의 테두리와 단부(71)의 끝단을 박음질(95b)할 때에 인솔(90)의 테두리 일측을 박음질하지 않을 수 있다. 신발이 물속에서 주로 착용되는 워터슈즈이거나 세탁으로 인해 신발의 내부에 물이 많이 찼다면, 단부(71)의 끝단과 박음질되지 않은 인솔(90)의 테두리 일측으로 배수가 원활해져 신발이 훨씬 신속하게 건조된다. 신발의 건조 시에 신발을 세워두거나 거꾸로 세워두는 것을 감안하면, 단부(71)의 끝단과 박음질되지 않은 인솔(90)의 테두리 일측은 발뒤꿈치 부분 또는 발앞꿈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솔(90)은 발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의 섬유가 주로 사용된다.
아웃솔(60), 갑피(70), 미드솔(80) 및 인솔(90)이 모두 결합된 후에 갑피(70)를 밖에서 안으로 뒤집어서 원상태로 만들면, 외부에서는 박음질(95a, 95b)선이 보이지 않아 미려하고,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신발을 얻을 수 있다.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70)로는 신축성을 지닌 섬유가 사용되는데, 워터슈즈일 경우에 수용복 등에 사용되는 네오프렌계 등의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에는 시트(30)가 형성되고,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돌출부(20)가 형성되지 않은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는 시트(30)가 형성되고, 돌출부(20)가 형성되는 아웃솔 몸체(10)에는 돌출부(20)의 크기에 따라 시트(30)의 형성 위치가 달라진다.
아웃솔(60; Outsole)은 겉창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를 포함하는데,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는 지면과 닿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가 형성되고, 아웃솔(60)이 지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돌출부(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에는 시트(30)가 형성되고, 시트(30)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제조되는 직물로서, 메쉬(mesh) 구조를 가지고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지닌다.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돌출부(20)가 형성되지 않으면, 사출 성형에 의해 분사되는 사출액은 시트(30)의 메쉬 구조에 스며들게 되고, 사출액이 경화되어 아웃솔 몸체(10)가 되며,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시트(30)가 견고하게 형성된다.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돌출부(20)가 형성되면, 돌출부(20)의 크기에 따라 시트(30)의 형성 위치가 달라진다. 돌출부(20)가 작은 경우에는 돌출부(20)의 상부에 시트(30)가 형성되고, 돌출부(20)가 큰 경우에는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를 제외한 돌출부(20)의 외면에 시트(30)가 형성된다.
돌출부(20)가 작은 경우에는 시트(30)의 늘어날 수 있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사출 성형에 의해 분사되는 사출액의 압력으로 인하여 사출액이 시트(30)의 메쉬 구조를 통과한 후에 경화되어 돌출부(20)가 되고, 시트(30)는 돌출부(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시트(30)의 상면에서 사출액이 경화되어 아웃솔 몸체(10)가 된다.
돌출부(20)가 큰 경우에는 시트(30)의 늘어날 수 있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사출 성형에 의해 분사되는 사출액의 압력이 시트(30)를 충분히 신장시켜서 사출액이 시트(30)를 통과하지 않는다. 다만,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가 충분히 모따기 되어 있지 않다면, 사출액은 이 부분의 시트(30)의 메쉬 구조를 통과할 수 있다. 즉, 돌출부(20)가 큰 경우에는 사출액이 통과할 수 있는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를 제외한 돌출부(20)의 외면에 시트(30)가 형성되는데, 시트(30)의 상면에서 사출액이 경화되어 돌출부(20)와 아웃솔 몸체(10)가 되고, 시트(30)의 하면에서 사출액이 경화되어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가 된다. 이때,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에 대응하는 후술하는 하부 금형의 부분이 충분히 모따기 되어 있다면, 돌출부(20)는 모두 시트(30)의 상면에 형성된다.
경화되어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가 되는 사출액으로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R(Thermo Plastic Rubber)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과 같이 사출 성형이 가능한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돌출부(20)의 형성 여부 및 크기에 따라 시트(30)는 아웃솔 몸체(10)의 하면, 돌출부(20)의 하면, 돌출부(20)의 상부 또는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의 내부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시트(30)는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에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 인장력을 가하지 않은 아웃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 인장력을 가한 아웃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 공간(21)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40)에 시트(30)를 위치시키는 시트 배치 단계; 시트(30)가 배치된 하부 금형(40)에 상부 금형(50)을 위치시키는 금형 조립 단계; 및 하부 금형(40)과 상부 금형(50)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사출액을 주입하여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를 형성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배치 단계에서, 돌출 공간(2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트(30)가 하부 금형(40)의 상면에 위치하고, 돌출 공간(21)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트(30)가 돌출 공간(2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사출 성형 단계에서, 돌출 공간(2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시트(30)가 형성되고, 돌출 공간(21)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 공간(21)의 크기에 따라 시트(30)의 형성 위치가 달라진다.
하부 금형(40)에는 주입된 사출액이 경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를 형성하는 돌출 공간(21)이 형성되고, 시트 배치 단계는 돌출 공간(21)이 형성된 하부 금형(40)에 시트(30)를 위치시키는 공정으로서, 시트(30)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시트(30)를 하부 금형(40)에 위치시키거나(도 6 참조), 시트(30)에 인장력을 가하여 신장된 상태로 시트(30)를 하부 금형(40)에 위치시킨다(도 7 참조). 이때, 돌출 공간(2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트(30)가 하부 금형(40)의 상면에 위치하고, 돌출 공간(21)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트(30)가 돌출 공간(21)의 상부에 위치한다.
금형 조립 단계는 시트(30)가 배치된 하부 금형(40)에 상부 금형(50)을 위치시키는 공정으로서, 시트(30)의 테두리부는 하부 금형(40)과 상부 금형(5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사출 성형 단계에서는 하부 금형(40)과 상부 금형(50)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사출액을 주입하여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를 형성한다. 이때, 돌출 공간(2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시트(30)가 형성되고, 돌출 공간(21)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돌출 공간(21)의 크기에 따라 시트(30)의 형성 위치가 달라진다.
즉, 돌출 공간(2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사출액이 시트(30)의 메쉬 구조에 스며들게 되고, 사출액이 경화되어 아웃솔 몸체(10)가 되며,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시트(30)가 견고하게 형성된다. 또한, 돌출 공간(21)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돌출 공간(21)의 크기에 따라 시트(30)의 형성 위치가 달라지는데, 돌출 공간(21)이 작은 부분에서는 돌출부(20)의 상부에 시트(30)가 형성되고, 돌출 공간(21)이 큰 부분에서는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를 제외한 돌출부(20)의 외면에 시트(30)가 형성된다.
돌출 공간(21)이 작은 부분에서는 시트(30)의 늘어날 수 있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사출액이 시트(30)를 신장시키는 대신에 시트(30)의 메쉬 구조를 통과한 후에 경화되어 돌출부(20)가 되고, 시트(30)는 돌출부(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시트(30)의 상면에서 사출액이 경화되어 아웃솔 몸체(10)가 된다.
돌출 공간(21)이 큰 부분에서는 시트(30)의 늘어날 수 있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사출액이 시트(30)를 통과하는 대신에 시트(30)를 충분히 신장시킨다. 다만, 돌출 공간(21)의 모서리 부분이 충분히 모따기 되어 있지 않다면, 사출액은 이 부분의 시트(30)의 메쉬 구조를 통과할 수 있다. 돌출 공간(21)이 큰 경우에는 사출액이 통과할 수 있는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를 제외한 돌출부(20)의 외면에 시트(30)가 형성되는데, 시트(30)의 상면에서 사출액이 경화되어 돌출부(20)와 아웃솔 몸체(10)가 되고, 시트(30)의 하면에서 사출액이 경화되어 돌출부(20)의 모서리부가 된다. 이때, 돌출 공간(21)의 모서리 부분이 충분히 모따기 되어 있다면, 돌출부(20)는 모두 시트(30)의 상면에 형성된다.
돌출 공간(21)의 형성 여부, 크기 및 돌출 공간(21)의 모서리 부분의 모따기 정도에 따라 시트(30)는 아웃솔 몸체(10)의 하면, 돌출부(20)의 하면, 돌출부(20)의 상부 또는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의 내부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시트(30)는 접착제의 사용 없이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에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사출액이 경화된 후에 하부 금형(40)과 상부 금형(50)을 해체하고 시트(30)의 테두리부를 절개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60)을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아웃솔 몸체 20: 돌출부
21: 돌출 공간 25: 모서리부
30: 시트 40: 하부 금형
50: 상부 금형 60: 아웃솔
61: 날개편 70: 갑피
71: 단부 80: 미드솔
90: 인솔 95a, 95b: 박음질

Claims (4)

  1. 아웃솔 몸체(10)의 테두리에 날개편(61)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 지면과 닿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가 형성되는 아웃솔(60);
    상기 날개편(61)에 안에서 밖으로 뒤집어져 개방된 단부(71)가 박음질(95a)되고, 상기 단부(71)가 상기 날개편(61)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갑피(70);
    상기 아웃솔(60)의 상면에 안착되는 미드솔(80); 및
    상기 미드솔(80)의 상면에 안착되어 테두리가 상기 단부(71)의 끝단에 박음질(95b)되는 인솔(90);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70)는 밖에서 안으로 뒤집어져 원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90)의 테두리가 상기 단부(71)의 끝단에 박음질(95b)될 때에 상기 인솔(90)의 테두리 일측은 박음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에는 시트(30)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 몸체(10)와 돌출부(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0)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아웃솔 몸체(10)의 하면에는 상기 시트(3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가 형성되는 상기 아웃솔 몸체(10)에는 상기 돌출부(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트(30)의 형성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가 작은 경우에는 돌출부(20)의 상부에 상기 시트(3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가 큰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20)의 모서리부(25)를 제외한 상기 돌출부(20)의 외면에 상기 시트(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50070656A 2015-05-20 2015-05-20 신발 KR10166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656A KR101669851B1 (ko) 2015-05-20 2015-05-20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656A KR101669851B1 (ko) 2015-05-20 2015-05-20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851B1 true KR101669851B1 (ko) 2016-10-28

Family

ID=5724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656A KR101669851B1 (ko) 2015-05-20 2015-05-20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279A (en) * 1996-11-04 2000-08-22 Prodomo, S.A. Shoe and shoe comprising this sole
US20040159012A1 (en) * 2003-02-19 2004-08-19 Sympatex Technologies Gmbh Waterproof shoe structure with folded interior upper
KR100565975B1 (ko) * 2005-01-19 2006-03-30 주식회사 건종 쿠션실내화 제조방법
KR20130005929U (ko) * 2012-04-02 2013-10-11 김란희 인솔이 장착되는 아쿠아 슈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279A (en) * 1996-11-04 2000-08-22 Prodomo, S.A. Shoe and shoe comprising this sole
US20040159012A1 (en) * 2003-02-19 2004-08-19 Sympatex Technologies Gmbh Waterproof shoe structure with folded interior upper
KR100565975B1 (ko) * 2005-01-19 2006-03-30 주식회사 건종 쿠션실내화 제조방법
KR20130005929U (ko) * 2012-04-02 2013-10-11 김란희 인솔이 장착되는 아쿠아 슈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0204C (en) Shoe with slip-resistant, shape-retaining fabric outsole
US6775930B2 (en) Key hole midsole
JP6306319B2 (ja) 靴、及び靴底部品
KR101601673B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US20110214310A1 (en) Shoe chassis
KR20090124313A (ko) 신발 밑창
KR101642339B1 (ko) 장화
CA2306662A1 (en) Welted shoe construction and method
US2707340A (en) Weather protected rubber sole shoe
CN107529853B (zh) 用于鞋类物品的鞋床
KR101669851B1 (ko) 신발
US20130047463A1 (en) Shoe with elastic upper
KR101080873B1 (ko) 패턴 일체형 하부결합체가 구비된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70265562A1 (en) Shoe Galosh
KR101234128B1 (ko)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8683B1 (ko) 샌들
KR20180008948A (ko) 기능성 실내화
KR101744330B1 (ko) 신발 아웃솔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10547A1 (en) Waterproof footwea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1759164B1 (ko) 기능성 신발 덧신
KR200352368Y1 (ko) 실내용 슬리퍼 밑창의 구조
KR101474896B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안전화
CN113598479B (zh) 一种防水鞋的生产工艺
JP3220701U (ja) オーバーシューズ
US20230248080A1 (en) Sock with shoe-like properti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