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128B1 -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128B1
KR101234128B1 KR1020110073035A KR20110073035A KR101234128B1 KR 101234128 B1 KR101234128 B1 KR 101234128B1 KR 1020110073035 A KR1020110073035 A KR 1020110073035A KR 20110073035 A KR20110073035 A KR 20110073035A KR 101234128 B1 KR101234128 B1 KR 101234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ressure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sl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699A (ko
Inventor
조규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니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니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니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1007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1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7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퍼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던 끈을 제거하고 슬리퍼의 밑창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발바닥에 붙여서 슬리퍼를 착용함으로써 맨발과 같은 편안함과 상쾌함 및 독특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발에 땀이 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고, 발가락 사이와 발등에 걸쳐지게 되는 끈과의 마찰로 인하여 생기는 상처와 냄새를 방지할 수 있는 발바닥에 붙여서 착용하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슬리퍼는, 노면으로부터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 상기 밑창 상면에 접착제로 접착된 천; 상기 천의 상부에 형성된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발바닥에 붙여서 착용하고, 상기 천과 점착제층은 상기 밑창의 가장자리 0.5∼1㎝ 부분의 내측으로만 위치하며, 상기 밑창과 점착제층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층 상부에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하여 니들펀칭한 부분은 점착제가 밑창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slip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리퍼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던 끈을 제거하고 슬리퍼의 밑창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발바닥에 붙여서 슬리퍼를 착용함으로써 맨발과 같은 편안함과 상쾌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발에 땀이 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고 발가락 사이에 끼여지는 끈으로 인한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지면에 닿게 되는 발바닥 보호용 밑창에 발을 걸치기 위한 끈을 연결시켜 쉽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의 일종으로, 시원하고 땀 배출이 용이하여 여름철에 외출시 많이 착용했었는데, 최근에는 주거생활의 변화에 따라 슬리퍼가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실내화로서의 착용이 보편화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종래의 슬리퍼는, 지면에 닿게 되는 밑창(1)과, 밑창에 고정되고 밑창을 착용자의 발에 걸치기 위해 발등을 감싸면서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끈(2)으로 구성되며 맨발로 착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슬리퍼는 끈이 엄지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보행시 마찰에 의해 발가락 사이에 상처가 날 경우가 많고, 끈이 발을 너무 조이게 되면 끈과 접촉되는 부위에 상처가 생기기 쉬우며 통풍이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으며, 보행하면서 발에 땀이 나면 끈이 접촉되어 있는 발등과 발가락 사이에 땀과 먼지가 합쳐져 떼처럼 새카맣게 이물질이 생겨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냄새까지 나서 매우 불쾌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리퍼는 발 전체가 슬리퍼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의 앞 부분만 고정되기 때문에 슬리퍼를 착용하고 걸어다닐 때 쉽게 벗겨지고 더구나 발에 땀이 났을 때는 잘 미끄러져서 보행이 불편해진다는 문제가 있고, 끈이 발의 앞 부분만 잡아주고 뒤꿈치 부분은 잡아주지 않기 때문에 보행시 뒤꿈치 부분이 슬리퍼 밑창에 떨어졌다 붙었다를 반복하게 되면서 소리가 날뿐만 아니라 비가 올 때는 빗물이 종아리까지 튀어서 묻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426079호 "발바닥 부착 착용 신발", 실용신안등록 제429882호 "스트랩 없는 샌들"과 같이 끈을 사용하지 않고 밑창 상부에 점착제를 도포한 슬리퍼가 출현하였는데, 상기 등록 실용신안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밑창 상면 전체에 점착제를 도포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점착제 위에 발바닥을 올려놓으면 겔(gel) 상태의 점착제가 밀리면서 일부가 밑창 상면을 벗어나게 되고, 장시간 착용하고 있으면 밑창의 측면에도 점착제가 접착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
둘째, 점착제를 밑창 상면에 단순히 도포하거나 점착시트를 접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밑창과 점착제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서 슬리퍼를 착용하고 걸어다니면 점착제나 점착시트가 밑창 상면에서 쉽게 분리되어 슬리퍼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퍼를 발에 착용하기 위해 필수적이었던 끈을 제거하고 대신 슬리퍼의 밑창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슬리퍼를 발바닥에 부착해서 착용함으로써 맨발과 같은 편안함과 상쾌함 및 독특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발에 땀이 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고, 발가락 사이와 발등에 걸쳐지게 되는 끈과의 마찰로 인하여 생기는 상처와 냄새를 방지할 수 있는 발바닥에 붙여서 착용하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슬리퍼는, 노면으로부터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 상기 밑창 상면에 접착제로 접착된 천; 상기 천의 상부에 형성된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발바닥에 붙여서 착용하고, 상기 천과 점착제층은 상기 밑창의 가장자리 0.5∼1㎝ 부분의 내측으로만 위치하며, 상기 밑창과 점착제층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층 상부에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하여 니들펀칭한 부분은 점착제가 밑창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는 폴리올레핀 계열의 열가소성 탄성체인 TPE(Thermo Plastic Elastomer)이고, 점착제층은 발의 장심(掌心) 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착용시 발바닥이 밑창 상면에 닿게 되는 발 앞 부분과 뒤꿈치 부분에만 형성되며, 천에는 그림이나 문자로 다양한 문양과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밑창은 하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요철, 돌기 도는 굴곡 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밑창은 노면에 직접 닿게 되는 깔창과, 상기 깔창 상면에 접착되고 보행시 충격을 흡수해 주는 쿠션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붙이는 슬리퍼는, 밑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밑창의 상면에 천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천의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서 니들펀칭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은 점착제를 금형에서 사출하는 방법으로 형성하거나, 점착제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막이나 필름 형태로 가공된 점착제를 열과 압력을 가해 부착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슬리퍼는, 슬리퍼를 착용하기 위하여 발가락 사이와 발등에 걸쳐지게 되는 끈을 제거하는 대신 밑창의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발바닥에 부착해서 착용하기 때문에 슬리퍼를 착용하더라도 맨발과 같은 편안함과 상쾌함 및 독특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등이 전부 노출되어 있어서 통풍이 잘되므로 발 건강에 유익하다. 또한, 보행하면서 발에 땀이 나더라도 발바닥이 슬리퍼 밑창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발가락 사이와 발등에 걸쳐지게 되는 끈과의 마찰로 인해 생기는 상처와 냄새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발가락 사이에 끼여지는 끈으로 인한 불편함도 없앨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리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퍼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퍼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슬리퍼를 착용하기 위한 끈이나 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발바닥을 밑창의 상면에 형성한 점착제층에 부착하여 슬리퍼를 착용한다는 점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붙이는 슬리퍼를 설명하면, 슬리퍼는 노면으로부터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10)과, 상기 밑창(10) 상면에 접착제로 접착시킨 천(21)과, 상기 천(21)의 상부에 형성된 점착제층(20)으로 구성되고, 착용시 점착제층(20)이 발바닥에 접착 고정되게 되므로 슬리퍼와 발이 일체가 되기 때문에 슬리퍼를 착용했더라도 맨발과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
밑창(10)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우레탄계 합성고무, 합성섬유 또는 코르크와 같은 가벼운 목재와 같은 재질로 된 것인데, 밑창(10)을 일체로 된 하나의 구성요소로 제조해도 되지만, 깔창(11)과 쿠션부재(12)로 구분하여 제조하여 이들을 접착제로 접착시켜 제조할 수도 있고, 뒷굽을 따로 붙이거나 깔창에 뒷굽이 있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깔창(11)은 노면에 직접 닿게 되는 부분으로 슬리퍼를 착용하고 보행할 때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하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지그재그 패턴, 굴곡 패턴, 요철 또는 돌기 등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쿠션부재(12)는 깔창(11) 상면에 접착되는데 보행시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 주기 위하여 깔창(11)보다 경도(硬度)가 낮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밑창(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밑창의 상면보다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쿠션부재(12)가 있는 경우에는 쿠션부재(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를 형성한다.
점착제를 밑창(10)의 상면에 직접 도포하면 밑창(10)과 점착제층(20)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서 보행중에 점착제층(20)이 밑창(1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밑창(10) 상면에 천(21)을 접착시킨 후, 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점착제의 접착 면적을 크게 하여 밑창(10)과 점착제층(20)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켰고, 또한, 밑창(10)과 점착제층(20)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점착제층(20) 상부에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하여 니들펀칭 자국(22)을 따라 점착제가 밑창(10)까지 침투하도록 구성한다는 점이 본 발명의 중요한 기술적 특징중의 하나이다.
점착제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접착성 실리콘 또는 접착성 실리콘 합성물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폴리올레핀 계열의 열가소성 탄성체인 TPE(Thermo Plastic Elastom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20)은 이물질이 묻거나 더러워졌을 때는 물에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나면 접착력이 복원되므로 다시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에는 상부에 이형지 또는 보호필름을 점착제층의 상부에 붙여서 보관한다.
점착제층(20)이 투명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천(21)을 사용하고 그 위에 그림이나 글씨 등으로 다양한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슬리퍼의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천(21)은 폴리에스터와 같은 재질이 바람직하고, 천(21)과 점착제층(20)은 밑창(10)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부분, 바람직하기로는 0.5∼1㎝ 부분의 내측으로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발바닥이 점착제층(20)을 누르더라도 점착제가 밀려서 밑창(10)의 측면까지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0)은 장심(掌心) 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착용시 발바닥이 밑창(10) 상면에 닿게 되는 발 앞 부분과 뒤꿈치 부분에만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퍼는, 밑창(1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밑창(10)의 상면에 천(21)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천(21)의 상부에 점착제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층(20)의 상부에서 니들펀칭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한다. 여기서 천(21)을 밑창(10)의 상면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착제는, 점착제층(20)을 형성할 때 가해지는 고열에도 녹아내리지 않도록 200℃ 이상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점착제층(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밑창(10)의 상면에 접착된 천(21)의 상부에 점착제를 금형에서 사출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노즐을 통해 점착제를 분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일정 두께를 가지는 막이나 필름 형태로 가공된 점착제를 열과 압력을 가해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금형에서 사출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고체상태의 점착제를 교반시킨 후 가열하여 액화시킨 다음, 상면에 천을 접착시킨 밑창을 사출기에 부착된 고정금형판에 붙이고, 가동금형판을 이동시켜 상기 고정금형판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가동금형판에 형성된 사출공을 통해 상기 천의 상부에 액화된 점착제를 사출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가동금형판을 후퇴시키고, 점착제층(20)이 형성된 슬리퍼를 상기 고정금형판에서 떼어낸다.
노즐을 통해 점착제를 분사할 때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지 않을 부분에 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액체상태의 점착제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도포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켜서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또, 막이나 필름 형태의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 쌍의 로울러 사이로 점착제를 통과시키거나 프레스로 압착하여 반고체 상태의 점착제를 일정 두께를 가지는 막이나 필름 형태로 가공하고, 막이나 필름 형태로 가공된 점착제를 원하는 모양으로 잘라내서 천의 상부에 얹어 놓고 열과 압력을 가해 접착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밑창 11 : 깔창
12 : 쿠션부재
20 : 점착제층 21 : 천
22 : 니들펀칭(needle punching) 자국

Claims (10)

  1. 노면으로부터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
    상기 밑창 상면에 접착제로 접착된 천;
    상기 천의 상부에 형성된 점착제층;
    으로 구성되어 발바닥에 붙여서 착용하고, 상기 천과 점착제층은 상기 밑창의 가장자리 0.5∼1㎝ 부분의 내측으로만 위치하며, 상기 밑창과 점착제층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층 상부에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하여 니들펀칭한 부분은 점착제가 밑창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착용시 발바닥이 밑창 상면에 닿게 되는 발 앞 부분과 뒤꿈치 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하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나 굴곡 패턴이 형성되고, 노면에 직접 닿게 되는 깔창;
    상기 깔창 상면에 접착되고, 보행시 충격을 흡수해 주는 쿠션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가장자리를 따라 밑창의 상면보다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에는 그림이나 글씨로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제의 재질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열가소성 탄성체인 TPE(Thermo Plastic Elasto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
  7. 밑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밑창의 상면에 천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천의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에서 니들펀칭하는 단계;
    를 거쳐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천의 상부에 점착제를 금형에서 사출하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천의 상부에 노즐을 통해 점착제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막이나 필름 형태로 가공된 점착제를 열과 압력을 가해 부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이는 슬리퍼의 제조방법.
KR1020110073035A 2011-07-22 2011-07-22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35A KR101234128B1 (ko) 2011-07-22 2011-07-22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35A KR101234128B1 (ko) 2011-07-22 2011-07-22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99A KR20130011699A (ko) 2013-01-30
KR101234128B1 true KR101234128B1 (ko) 2013-02-19

Family

ID=4784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35A KR101234128B1 (ko) 2011-07-22 2011-07-22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2772D0 (en) * 2015-02-19 2015-04-08 Sherriff Dean And Stanley Mark Adhesive insert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879990B1 (ko) 2017-06-20 2018-08-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부위 보호용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633Y1 (ko) * 1986-01-31 1989-08-25 주식회사대림 운동화의 중창
JPH073302U (ja) * 1993-06-23 1995-01-20 株式会社ドリーム総合研究所 使い捨てスリッパ
KR200426079Y1 (ko) 2006-06-12 2006-09-14 이용백 발바닥 부착 착용 신발
US20100037485A1 (en) 2008-08-13 2010-02-18 Chi-Kung Wu Slipp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633Y1 (ko) * 1986-01-31 1989-08-25 주식회사대림 운동화의 중창
JPH073302U (ja) * 1993-06-23 1995-01-20 株式会社ドリーム総合研究所 使い捨てスリッパ
KR200426079Y1 (ko) 2006-06-12 2006-09-14 이용백 발바닥 부착 착용 신발
US20100037485A1 (en) 2008-08-13 2010-02-18 Chi-Kung Wu Slipp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99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42500A1 (en) Wrestling shoe with textile on toe cap
EP3332661A1 (en) Rigid three-dimensional sock-shoe
CA2807642C (en) Insole pad for footwear
US20180184759A1 (en) Non-slip Removable Footwear Insert
KR101234128B1 (ko) 붙이는 슬리퍼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89844A1 (en) Skate boot having an inner liner with an abrasion resistant overlay
US20190216173A1 (en) Adherable Footwear Cushion
KR100978201B1 (ko) 덧신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873B1 (ko) 패턴 일체형 하부결합체가 구비된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60168845A1 (en) Ventilating shoe pad
CN210539218U (zh) 一种热塑性片材及鞋垫套装
JP3221302U (ja) 足被覆具
KR20170111774A (ko) 땅콩형 덧버선 제조방법
KR20220000308U (ko) 다기능 양말
CN207355592U (zh) 一种pu软木增强减震内增高鞋垫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200417573Y1 (ko) 끈이 없는 샌들
KR101268394B1 (ko) 덧양말
CN216255721U (zh) 一种增加足底支撑的浸胶底袜鞋
CN212661205U (zh) 一种便于穿着的雪地靴
KR101098424B1 (ko) 이탈 방지수단을 갖는 양말 내 착용형 키높이 패드
CN210124373U (zh) 草坪记忆鞋垫
KR101669851B1 (ko) 신발
KR20180011574A (ko) 키높이용 양말
CA2957975A1 (en) Rigid three-dimensional sock-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