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08U - 다기능 양말 - Google Patents

다기능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08U
KR20220000308U KR2020200002724U KR20200002724U KR20220000308U KR 20220000308 U KR20220000308 U KR 20220000308U KR 2020200002724 U KR2020200002724 U KR 2020200002724U KR 20200002724 U KR20200002724 U KR 20200002724U KR 20220000308 U KR20220000308 U KR 202200003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foot
instep
perimeter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우 filed Critical 김영우
Priority to KR2020200002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308U/ko
Publication of KR20220000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6Deodo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바닥에 밀착되고, 그 전체에 통기홀이 구비된 메쉬 재질의 발바닥부, 면재질로 구성되고, 발바닥부의 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앞발이 삽입되는 발등부, 면재질로 구성되고 발바닥부의 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중간발 측부 및 뒤꿈치가 안착되는 둘레부, 발등부 및 둘레부에 발이 진입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둘레에 상응하는 발등부 및 둘레부의 단부에는 테두리 띠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는 벗겨짐방지부를 포함하되, 발등부는, 발톱에 대응되는 전방측 내측면에 적층 형성되어, 발톱에 의해 발등부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는 찢김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양말 {MULTIFUNCTIONAL SOCKS}
본 고안은 양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습성 및 통기성이 효과적이고, 발을 압박시키지 않으면서 발에서 이탈되지 않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발은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체중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부위로 수많은 혈관과 신경이 지나는 곳으로 원활한 혈액의 순환을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을 보호 및 보온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말 또는 덧신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근래에는 발목을 커버하지 않아 신발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신을 수 있는 덧신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덧신은 일반적으로 발을 감싸는 하나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고, 발에 착용되면 늘어나는 탄성재질의 엘라스틴 또는 폴리에스터와 같은 재료를 면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면, 원래의 크기보다 배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탄성성질로 원래 크기로 복귀하려는 현상이 상시 발생되어 발을 압박시키고, 발의 앞쪽 또는 뒤쪽에서 탄성력을 이기지못하고 미끄러져 복귀되어 발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복귀하려는 성질은 덧신이 발을 압박하여 발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발을 감싸는 개구부에 탄성밴드를 결합하여 발의 목부위를 조이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는 덧신의 복귀하려는 성질에 반(反)하여 발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텐션을 가지고 있어야 함으로, 이러한 탄성밴드에 의해 발에 피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발에 저림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는 발이 파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밴드와 같은 역할로 뒷꿈치 상부의 아킬레스건이 시작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덧신의 내면에 실리콘이 일부 도포되는 방법으로 보안하였으나, 이는 착용자가 걸을 때 신발과의 마찰을 이기지 못하고 벗겨지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및 엘라스틴과 같은 스판성질의 재료가 혼합됨에 따라 흡수성 및 흡기성이 저하되어 발에 땀이 그대로 고여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심한 발냄새가 유발된다. 또한, 세균이 번식되어 무좀과 같은 피부질병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과 착용 시 마찰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견고하게 발과 신발을 고정시켜줄 수 없으며, 얇은 재질로 발톱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19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420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80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발과 양말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고, 양말과 신발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발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는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3목적은, 흡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4목적은, 발톱에 의해 쉽게 찢기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발바닥에 밀착되고, 그 전체에 통기홀이 구비된 메쉬 재질의 발바닥부, 면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발바닥부의 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앞발이 삽입되는 발등부, 면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발바닥부의 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중간발 측부 및 뒤꿈치가 안착되는 둘레부, 상기 발등부 및 둘레부에 발이 진입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상응하는 상기 발등부 및 둘레부의 단부에는 테두리 띠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는 벗겨짐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등부는, 발톱에 대응되는 전방측 내측면에 적층 형성되어, 상기 발톱에 의해 상기 발등부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는 찢김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둘레부는 상기 발의 측부를 감싸는 측부둘레부 및 상기 발의 뒤꿈치부를 감싸는 뒤측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뒤측둘레부의 가장 넓은 폭은 상기 측부둘레부의 가장 좁은 폭의 2배로 형성되어 상기 발의 측부 및 뒤꿈치를 안정적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뒤측둘레부는 상기 발바닥부에 인접하는 단부보다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단부가 내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발의 뒤꿈치를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등부 및 둘레부는 상기 발바닥부에 박음질 시, 발등 측은 신축오버록 방식, 발바닥 측은 빗살모양 방식으로 박음질되어 신축성이 좋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바닥부에는 외측면에 일정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어 신발의 안창과 상기 발바닥부에 마찰력을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양말은, 발등부 및 둘레부가 발을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벗겨짐방지부가 형성되어 양말이 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을 감싸는 발바닥부, 발등부, 둘레부가 각각 분리되어 발을 압박시키지 않고, 벗겨짐방지부가 구비되어 탄성밴드 없이도 발에 밀착될 수 있어 발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땀이 많이 나는 발바닥 영역은 에어메쉬로 구성하여 통기성이 뛰어나고, 발등, 측부 및 뒤꿈치 영역은 면으로 구성하여 흡수성이 뛰어나다.
또한, 발톱 영역의 발등부에 찢김방지부를 구성하여 발톱에 의한 찢김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양말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을 간략하게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의 안쪽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을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발바닥부, 발등부, 둘레부를 서로 박음질하기 위해 사용된 박음질 방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의 실시예의 안쪽을 나타낸 평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의 발바닥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양말(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문에서의 착용자의 발은 앞발, 중간발 및 뒤발로 분리하였고, 앞발과 중간발의 관절부위가 앞꿈치로써, 까치발 시 바닥과 닿는 앞발 부위를 말한다. 또한, 발의 측부는 발의 옆면을 말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도와 실시예 사진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양말(1)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1)을 간략하게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1)의 안쪽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 사진으로,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1)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1)의 실시예의 안쪽을 나타낸 평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양말(1)은 발바닥부(10), 발등부(20), 둘레부(30), 개구부(40), 벗겨짐방지부(50) 및 찢김방지부(60)를 포함한다.
발바닥부(10)는 발바닥에 밀착되고, 그 전체에 통기홀(11)이 구비된 메쉬 재질로 형성된다. 발등부(20)는 면 재질로 구성되고, 발바닥부(10)의 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앞발이 삽입된다. 둘레부(30)는 면 재질로 구성되고 발바닥부(10)의 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중간발의 측부 및 뒤꿈치가 안착된다. 개구부(40)는 발등부(20) 및 둘레부(30)에 발이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벗겨짐방지부(50)는 개구부(40)의 둘레에 상응하는 발등부(20) 및 둘레부(30)의 단부에 테두리 띠 형상으로 적층 형성된다.
특히, 발등부(20)에는 발톱에 대응되는 전방측 내측면에 적층 형성되어, 발톱에 의해 발등부(20)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는 찢김방지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찢김방지부(60)는 면이 적층 접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향균제가 침지되어 발냄새를 억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발등부(20) 및 둘레부(30)에 사용되는 면은 100% 순도의 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은 보온성, 흡습성, 통기성에 탁월하다. 여름에는 빈 공간으로, 다른 합성섬유보다 빠르게 땀을 빠르게 흡수하여 쾌적하고 시원한 촉감을 얻을 수 있고, 겨울에는 면과 피부사이에 정지된 공기층을 많이 함유하여 보온성이 좋다. 따라서 4계절 내내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바닥부(10)에 사용되는 메쉬는 가볍고 시원하며 통기홀(11)을 구비하여 통기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땀이 나도 피부와 밀착되지 않아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발바닥부(10)는 에어메쉬로 구성되어 쿠션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발바닥부(10)는 바닥과 상시 접촉이 이루어지는 앞꿈치 및 뒤꿈치에 대응되는 영역은 면 재질로 구성되고, 발가락 및 중간발에 대응되는 영역은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영역별 특성에 따라 그 재질을 달리하여 발바닥에 대한 통기성 및 흡습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부(10)에는 외측면에 설정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어 상기 신발의 안창과 발바닥부(10)에 마찰력을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미끄럼방지부(70)가 구비된다. 미끄럼방지부(70)는 특정 문구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문구라고 한다면, 제조사의 이름 및 명칭 등이 기입될 수 있고, 특정 형상이라고 한다면, 사각형,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벗겨짐방지부(50), 미끄럼방지부(70) 및 후술할 이탈방지부(미도시)는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적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는 표면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엠보싱, 허니콤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양말(1)을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벗겨짐방지부(50)는 그 폭(D)이 9 ~ 10 mm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폭(D)이 9 mm 보다 좁으면, 벗겨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10 mm 보다 넓으면 이물감과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둘레부(30)는 측부둘레부(31) 및 뒤측둘레부(33)를 포함한다. 측부둘레부(31)는 발의 측부를 감싸고, 뒤측둘레부(33)는 발의 뒤꿈치부를 감싼다. 이때, 뒤측둘레부(33)의 가장 넓은 폭(d1)은 측부둘레부(31)의 가장 좁은 폭(d2)의 약 2배로 형성되고, 발바닥부(10)에 인접하는 단부보다 개구부(40)에 인접하는 단부가 내측으로 설정 각도 기울어져 발의 뒤꿈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은 발의 외형 굴곡을 표현하여 발의 측부 및 뒤꿈치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발바닥부(10), 발등부(20), 둘레부(30)를 서로 박음질하기 위해 사용된 박음질 방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실시예 사진으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의 발바닥부(10)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부 및 둘레부가 발바닥부에 박음질 시, 발등 측은 신축오버록(a) 방식을 사용하였고,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 측은 빗살모양(b) 방식으로 박음질됨으로써, 면 및 메쉬의 신축성을 살려 착용자의 발의 크기 및 형태에 알맞게 신축되어 착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 및 도 8을 참고하여, 둘레부(30) 단부와 발등부(20)는 직선방식(c)으로 박음질하여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착용 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말은 각각 분리 재단된 발바닥부(10), 발등부(20) 및 둘레부(30)를 박음질하여 형성되어 신축하려는 힘에 의해 발이 압박되어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살이 눌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착용자는 보행 시 신발의 뒤꿈치가 발의 뒤꿈치에서 미끄러져 이탈하고 다시 안착되는 현상이 반복되며 이에 따라 양말의 뒤꿈치가 벗겨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뒤측둘레부(33)는 신발의 뒤꿈치부와 접촉하는 뒤측둘레부(33)의 외측면에 설정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어 신발의 뒤꿈치부와 둘레부(30)의 마찰력을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는 착용자가 보행 시 발 뒤꿈치로 작용하는 수직압력 및 수평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탈방지부는 역삼각 형상인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띠 형상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직사각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남녀노소 구두를 착용할 때 피부보다 상대적으로 딱딱한 신발의 뒤꿈치부에 의해 피부가 까지거나 쓸리는 경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는 쿠션역할을 하여 발의 뒤꿈치 피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이하, 흡습성 및 통기성이 효과적인 다기능 양말(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1) 발바닥에 밀착되는 발바닥부(10)에 상응하는 메쉬를 재단한다.
(2) 발의 앞발이 삽입되는 발등부(20)에 상응하는 면을 재단한다.
(3) 발의 측부 및 뒤꿈치 둘레를 감싸는 둘레부(30)에 상응하는 면을 재단한다.
(4) 발가락의 발톱에 대응되는 발등부(20)의 내측면에 상응하는 면을 재단하고, 그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찢김방지부(60)를 부착한다.
(5) 전술한 (2)단계에서 재단된 발등부(20)와, 전술한 (3)단계에서 재단된 둘레부(30)에서, 발이 양말에 진입하도록 형성된 개구부(40) 둘레에 상응하는 단부에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를 테두리 형상으로 도포하고 경화시킨다.
(6) 전술한 (5)단계에서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가 경화되면, 발바닥부(10)의 전방둘레에 상응하도록 발등부(20) 둘레를 박음질하되, 발바닥부(10) 외측은 빗살모양(b) 방식으로, 발등부(20) 외측은 신축오버록(a) 방식으로 박음질한다.
(7) 발바닥부(10)의 후방둘레에 상응하도록 둘레부(30) 둘레를 박음질하되, 발바닥부(10) 외측은 빗살모양(b) 방식으로, 발등부(20) 외측은 신축오버록(a) 방식으로 박음질한다.
(8) 둘레부(30) 단부와 발등부(20) 단부의 서로 겹치는 영역을 직선방식(c)으로 박음질한다.
또한, (5)단계는 전술한 (1)단계에서 재단된 발바닥부(10)의 외측면에 설정 형상으로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미끄럼방지부(70)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5)단계 및 (6)단계 사이에는, 전술한 (5)단계에서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가 경화되면, 신발의 뒤꿈치부와 접촉하는 둘레부(30)의 외측면에 설정 형상으로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벗겨짐방지부(50)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양말은, 발등부(20) 및 둘레부(30)가 발을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벗겨짐방지부(50)가 형성되어 양말이 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을 감싸는 발바닥부(10), 발등부(20), 둘레부(30)가 각각 분리되어 발을 압박시키지 않고, 벗겨짐방지부(50)가 구비되어 탄성밴드 없이도 발에 밀착될 수 있어 발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땀이 많이 나는 발바닥 영역은 에어메쉬로 구성하여 통기성이 뛰어나고, 발등, 측부 및 뒤꿈치 영역은 면으로 구성하여 흡수성이 뛰어나다.
또한, 발톱 영역의 발등부(20)에 찢김방지부(60)를 구성하여 발톱에 의한 찢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신축오버록 방식(a)
빗살모양 방식(b)
직선 방식(c)
다기능 양말(1)
발바닥부(10)
통기홀(11)
발등부(20)
둘레부(30)
측부둘레부(31)
뒤측둘레부(33)
개구부(40)
벗겨짐방지부(50)
찢김방지부(60)
미끄럼방지부(70)

Claims (11)

  1. 발바닥에 밀착되고, 그 전체에 통기홀이 구비된 메쉬 재질의 발바닥부;
    면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발바닥부의 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앞발이 삽입되는 발등부;
    면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발바닥부의 후방 둘레에 상응하는 둘레가 박음질되어 중간발 측부 및 뒤꿈치가 안착되는 둘레부;
    상기 발등부 및 둘레부에 발이 진입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상응하는 상기 발등부 및 둘레부의 단부에는 테두리 띠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는 벗겨짐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등부는,
    발톱에 대응되는 전방측 내측면에 적층 형성되어, 상기 발톱에 의해 상기 발등부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는 찢김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상기 발의 측부를 감싸는 측부둘레부; 및
    상기 발의 뒤꿈치부를 감싸는 뒤측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뒤측둘레부의 가장 넓은 폭은 상기 측부둘레부의 가장 좁은 폭의 2배로 형성되어 상기 발의 측부 및 뒤꿈치를 안정적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뒤측둘레부는,
    상기 발바닥부에 인접하는 단부보다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단부가 내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발의 뒤꿈치를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뒤측둘레부는,
    상기 신발의 뒤꿈치부와 접촉하는 상기 뒤측둘레부에 일정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어 상기 신발의 뒤꿈치부와 상기 둘레부의 마찰력을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벗겨짐 방지부는,
    그 폭이 9 ~ 10 m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부 및 둘레부는,
    상기 발바닥부에 박음질 시, 발등 측은 신축오버록 방식, 발바닥 측은 빗살모양 방식으로 박음질되어 신축성이 좋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에는,
    외측면에 일정 형상으로 적층 형성되어 신발의 안창과 상기 발바닥부에 마찰력을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8. 제 1항, 4항 및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벗겨짐방지부, 미끄럼방지부 및 이탈방지부는,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는,
    바닥과 상시 접촉이 이루어지는 앞꿈치 및 상기 뒤꿈치에 대응되는 영역은 면 재질로 구성되고, 발가락 및 상기 중간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은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발바닥에 대한 통기성 및 흡습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찢김방지부는,
    면이 적층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찢김방지부는,
    향균제가 침지되어 발냄새를 억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말.
KR2020200002724U 2020-07-27 2020-07-27 다기능 양말 KR202200003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24U KR20220000308U (ko) 2020-07-27 2020-07-27 다기능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24U KR20220000308U (ko) 2020-07-27 2020-07-27 다기능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08U true KR20220000308U (ko) 2022-02-04

Family

ID=8025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24U KR20220000308U (ko) 2020-07-27 2020-07-27 다기능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3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860B1 (ko) * 2022-05-03 2022-11-25 서한나 무봉제 웰딩 덧버선 및 그 웰딩 덧버선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92Y1 (ko) 2002-10-30 2003-02-06 이창홍 해금
KR101474203B1 (ko) 2014-08-07 2014-12-17 엄태창 현악기용 음색조정장치
KR101631808B1 (ko) 2015-07-24 2016-06-17 엄태창 현악기용 음색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92Y1 (ko) 2002-10-30 2003-02-06 이창홍 해금
KR101474203B1 (ko) 2014-08-07 2014-12-17 엄태창 현악기용 음색조정장치
KR101631808B1 (ko) 2015-07-24 2016-06-17 엄태창 현악기용 음색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860B1 (ko) * 2022-05-03 2022-11-25 서한나 무봉제 웰딩 덧버선 및 그 웰딩 덧버선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044B2 (en) Cushioning foot insert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KR102416454B1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KR20040075918A (ko) 발목지지대를 갖는 양말
JP2019035159A (ja) フットカバー
KR20220000308U (ko) 다기능 양말
CN112638190B (zh) 转变成凉鞋或拖鞋的鞋
KR200442594Y1 (ko) 덧버선
WO2013179559A1 (ja) ハーフシューズ及びハーフシューズの製造方法
JPH10292206A (ja) フットカバー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102429797B1 (ko) 기능성 무재봉 덧신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JP3224132U (ja) 経穴刺激のフットカバー
US20180332899A1 (en) Padded Sock
KR20170111774A (ko) 땅콩형 덧버선 제조방법
KR20200072698A (ko) 벗겨짐 방지 기능을 갖는 덧신양말
KR101552570B1 (ko) 기능성 발가락 스타킹 및 그 제조방법
CN219628936U (zh) 一种有防水效果的防水鞋结构
JP3244825U (ja) フットカバー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JP6916567B1 (ja) 履物
US20210244129A1 (en) Maternity footwear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20140004070U (ko) 각질 방지용 덧버선
JP3212203U (ja) 靴用イン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