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547A -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 Google Patents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547A
KR20090129547A KR1020080055513A KR20080055513A KR20090129547A KR 20090129547 A KR20090129547 A KR 20090129547A KR 1020080055513 A KR1020080055513 A KR 1020080055513A KR 20080055513 A KR20080055513 A KR 20080055513A KR 20090129547 A KR20090129547 A KR 20090129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walking
masai
masai walking
sh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형
Original Assignee
이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형 filed Critical 이호형
Priority to KR102008005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9547A/ko
Publication of KR200901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에서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감지체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의 전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미드솔 내부에 생크가 내장되어 있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에 관한 것이다.
생크, 마사이워킹, 신발, 미드솔

Description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A midsole for Masai Walking health footwear having a barefoot technology}
본 발명은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에서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감지체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의 전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미드솔 내부에 생크가 내장되어 있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사이워킹을 재현할 수 있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42188566-PAT00001
한국특허 제10-377822호에서 상기 도면 부호의 명칭은 1: 신발, 2: 갑피, 3: 신발밑창, 10: 인솔(insole: 안창), 12: 미드솔(midsole), 13: 아웃솔(outsole)이 며 한국특허 제10-377822호를 살펴보면 신발의 뒷축이 없으며 신발의 밑창 바닥이 곡면(호형)인 마사이족처럼 걷는 신발을 마사이워킹(Masai Walking) 전문 롤링워킹신발(active rolling walking foorware: 잘 굴러가는 보행신발)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한국특허 제10-377822호의 도 2 내지 도 4에 하기와 같이 걷는 방법이 나와 있으며 "마사이워킹(Masai Walking)으로 걷는 모습"으로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42188566-PAT00002
Figure 112008042188566-PAT00003
Figure 112008042188566-PAT00004
한국워킹협회, 세계워킹협회, 신발업계 및 일반 수요자들은 신발의 뒷축이 없으며 신발의 밑창 바닥이 곡면(호형)인 마사이족처럼 걷는 신발을 마사이맨발기술(Masai Barefoot Technology)신발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인터넷 뿐만아니라 일반서적, 신문, 잡지, TV방송에서 마사이워킹(Masai Walking)용 전문신발 또는 마사이족 워킹용 전문신발, 마사이워킹용 전용신발, 마사이워킹에 관한 특허신발 또는 마사이워킹 특허신발라고 호칭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은 크게 3단계의 과정으로서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동단계,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이탈하는 단계를 좌우의 발이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종래의 신발은 뒤축의 형상이 지면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며 구두의 경우에는 뒤축에 예리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어서 착지 단계시에 이 모서리가 지면에 가장 먼저 닿게 되는데, 뒤축의 모서리는 접지면적이 좁은 선형형상이기 때문에 착지 시의 충격이 크고, 착지의 다음 단계인 중심이동단계로의 이동이 단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목관절은 물론 다리와 신체의 각 관절에 급격한 충격력이 전달되어 착지감이 좋지 못하고 보행이 부자연스럽게 된다.
종래의 마사이워킹 신발 미드솔은 고탄력성의 생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생크는 상부 후방쪽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방부가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되고 중앙 허리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비드(beed) 형태의 리브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마사이워킹 신발 미드솔에 내장되어 있는 생크는 앞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3박자 보행시 미드솔 자체가 부드럽게 넘어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미드솔 자체가 튀는 느낌으로 인하여 3박자 보행이 부자연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신발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서, 마사이워킹을 재현할 수 있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밑창구조로서 마사이워킹 신발 미드솔에 생크가 내장되어 있어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이 착지단계, 중심이동단계 및 이탈단계로 구분되어지는 3박자 보행 경우 연결판의 탄성으로 작동되는 3박자 굴림(rolling) 운동이 원활하게 생기면서 보행시 앞상카와 뒤상카를 눌러주기 때문에 아치형태의 지압효과가 일어나게 할 수 있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마사이워킹 신발에서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감지체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의 전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미드솔 내부에 생크가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감지체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의 전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밑창의 뒤축 바닥면을 발꿈치의 형상 및 보행시 발목관절에 대한 발꿈치의 운동 궤적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곡면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행시 지면에 대해 롤링운동이 이루어지고,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이 착지단계, 중심이동단계 및 이탈단계로 구분되어지는 3박자 보행 경우 생크의 탄성으로 작동되는 3박자 굴림(rolling) 운동이 원활하게 생기면서 보행시 상카를 눌러주기 때문에 아치형태의 지압효과가 일어나게 할 수 있는 마사이워킹 신발를 제작할 수 있어 신발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갑피, 깔창, 인솔, 미드솔 및 볼록한 곡면의 아웃솔로 구성된 마사이워킹을 재현할 수 있는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에 있어서 재질이 경도 40∼6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사이워킹을 재현할 수 있도록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하부면이 볼록한 곡면의 호형 형상을 이루고, 마사이워킹의 발뒤꿈치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뒤꿈 치의 경사각이 10∼60도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감지체(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22)의 후방에 후방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감지체(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22)의 전방에 전방공간부(28)가 형성되어 있는 미드솔(20); 상기 미드솔(20)의 하부면 후방공간부(26)에 부착되어 있으며, 쿠션재의 재질은 경도 15∼30인 소프트 폴리에스테르 스폰지 및 소프트 폴리우레탄 스폰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마사이워킹의 발뒤꿈치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후방감지체(40); 및 상기 미드솔(20)의 하부면 전방공간부(28)에 부착되어 있으며, 쿠션재의 재질은 경도 15∼30인 소프트 폴리에스테르 스폰지 및 소프트 폴리우레탄 스폰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마사이워킹의 발앞꿈치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전방감지체(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분리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드솔에 에 있어서 감지체(40, 50)는 양측 표면에 방수층(42, 42')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에 있어서 방수층(42, 42')은 폴리올 코팅층, 폴리올 원단 결합층, 경도 40∼60의 폴리에스테르 패드 및 경도 40∼60의 폴리우레탄 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드솔은 마사이워킹의 3박자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생크(60, 60- 1, 60-2, 60-3, 60-4, 60-5)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후방분리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에 있어서 생크는 앞생크(62)와 뒤생크(64)가 연결판(70)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후방분리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에 있어서 생크는 미드솔의 전방부에 내장되는 앞생크(62); 미드솔의 전방부에 내장되는 뒤생크(64); 및 상기 앞생크(62)와 뒤생크(64)가 연결된 연결판(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후방분리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에 있어서 연결판은 휘어지는 엷은 금속판 및 휘어지는 엷은 합성수지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후방분리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은 재질이 경도 25∼30인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는 인솔(10)이 미드솔(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경도 70∼8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마사이워킹의 3박자 보행을 재현할 수 있도록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볼록한 곡면의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뒤꿈치의 경사각이 10∼60도 되도록 형성된 아웃솔(30)이 미드솔(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신발밑창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후방분리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은 인솔(10)의 하부결합돌기(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상부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은 갑피, 밑창 및 깔창으로 구성된 통상의 신발이며 신발의 밑창이 인솔(10), 미드솔(20) 및 아웃솔(30)로 이루어져 있고 신 발의 뒷축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발의 밑창 바닥이 곡면인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방 감지체(40, 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22)의 전후방에 공간부(26, 28)가 형성되어 있어 마사이족처럼 걷는 마사이맨발기술(Masai Barefoot Technology) 신발, 마사이워킹(Masai Walking)용 전문신발, 마사이워킹용 신발, 마사이워킹전용 신발, 마사이워킹에 관한 특허기술신발 또는 마사이워킹 특허신발에 관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신발 뒤굼치의 주요경사각이 10~60도인 경사진 곡면 형상의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요경사각이 10도 이하 경우 마사이워킹 신발의 롤링(ROLLING)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주요경사각이 60도 이상 경우 경사가 너무 급하여 신발을 신을 때 또는 서서 있을 때 안정되지 않고 불안정한 자세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신발에서 미드솔(20)은 재질이 경도 40∼6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미드솔의 경도가 40 이하 경우 너무 소프트하여 미드솔이 지지체 역할을 하지 못하고 미드솔의 경도가 60 이상 경우 너무 단단하여 미드솔이 탄성체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은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미드솔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중심돌기(22)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소프트 감지체(MASAI SENSER)(40, 50)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신발에서 미드솔(20)의 뒤축은 경사진 곡면형상에 따라 소프트 후방감지체(40)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미드솔은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이탈단계에서 밑창의 뒤축이 지면을 벗어나게 되는데 전 단계에서 수축되었던 소프트 감지체(MASAI SENSER)가 복원되면서 반발력이 발생하고 보행자의 발을 진행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보행효율이 높으며 가뿐하고 경쾌한 보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신발에서 소프트 감지체(40, 50)는 쿠션재의 재질이 경도 15∼30인 소프트 폴리에스테르 스폰지 및 소프트 폴리우레탄 스폰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드솔(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분리된 상태로 미드솔(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고, 하부는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볼록한 곡면의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신발은 미드솔(20)의 하부에 소프트 감지체(40, 50)를 부착하여 미드솔의 소프트 감지체(40, 50)가 내장된 상태로 미드솔(20)의 완제품을 제작한 후 신발 내부에 장착하여 제작한다. 본 발명의 신발은 미드솔(20)의 내부에 경도 15∼3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도 28인 소프트 감지체(40, 50)를 내장하여 탄성과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프트 감지체(40, 50)의 경도가 15 이하 경우 너무 소프트하여 감지체가 지지체 역할을 하지 못하고 소프트 감지체(40, 50)의 경도가 30 이상 경우 너무 단단하여 감지체가 탄성체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신발에 있어서 미드솔(20)은 뒤꿈치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뒤축의 주요경사각이 10∼60도 각도를 이루는 반타원형 형태의 소프트 감지체(40, 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신발의 소프트 감지체(40, 50)는 감지체가 내장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경도를 반으로 줄여주며 완충효과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미드솔은 소프트 감지체(40, 50)가 형성되어 있어 신발의 착지 경우 소프트 감지체(40, 50)가 지면과 나란한 상태로 놓이도록 하여 수축에 의한 완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착지 및 중심이동 단계시 수축된 소프트 감지체는 이탈단계에서 형상이 복원되어 반발력을 발생하므로 보행 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의 미드솔에 있어서 소프트 감지체는 미드솔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제작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신발에서 소프트 감지체(40, 50)는 내부쿠션재(44)의 양쪽 측면에 방수층(42, 42')이 장착되어 있으며, 방수층(42, 42')의 재질은 폴리올 코팅층, 폴리올 원단 결합층, 경도 40∼60의 폴리에스테르 패드 및 경도 40∼60의 폴리우레탄 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소프트 감지체(40, 50)가 가수분해현상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은 미드솔(20)의 완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 먼저 재질이 경도 15∼30인 소프트 폴리에스테르 스폰지 및 소프트 폴리우레탄 스폰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내부쿠션재(44)를 제작하고, 재질이 폴리올 코팅층, 폴리올 원단 결합층, 경도 40∼60의 폴리에스테르 패드 및 경도 40∼60의 폴리우레탄 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방수층(42, 42')을 제작한 후 내부쿠션재(44)의 양쪽 측면에 방수층(42, 42')을 부착하여 소프트 감지체(40, 50)를 제작한다.
도 8 내지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신발에서 미드솔(20)은 밑창의 외형 및 곡면의 형상을 본떠서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생크(shank)(60, 60-1, 60-2, 60-3, 60-4, 60-5)가 내장되어 있어 밑창의 뒤축 바닥면을 발꿈치의 형상 및 보행시 발목관절에 대한 발꿈치의 운동 궤적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곡면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행시 지면에 대해 롤링운동이 이루어진다.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신발 미드솔(20)에 내장되어 있는 연결판생크(60, 60-1, 60-2)는 앞생크(62)와 뒤생크(64)가 연결판(70)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앞생크(62)와 뒤생크(64)가 연결판(70)으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앞생크(62)와 뒤생크(64)가 연결판(70)으로 분리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분리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고정구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판생크(60, 60-1, 60-2)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생크(62)와 뒤생크(64) 역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판(70)은 앞생크(62)와 뒤생크(64)의 재질보다 더 경도가 약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간 휘어질 수 있는 엷은 금속판을 사용하거나 약간 휘어질 수 있 엷은 합성수지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하여 보행 경우 연결판생크에 있어서 앞생크(62)와 뒤생크(64)가 연결판(7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은 보행 경우 연결판생크 경우 앞생크(62)와 뒤생크(64)가 연결판(7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이 착지단계, 중심이동단계 및 이탈단계로 구분되어 지는 3박자 보행 경우 연결판(70)이 탄성작용을 하며 연결판(70)의 탄성으로 마사이워킹의 굴림(rolling)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판생크는 보행시 신발 밑창이 튀는 느낌이 없이 뒤꿈치에서 앞꿈치까지 보행에 탄력이 있는 형태로 굴림(rolling)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 미드솔(20)은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이 착지단계, 중심이동단계 및 이탈단계로 구분되어지는 3박자 보행 경우 연결판(70)의 탄성으로 작동되는 3박자 굴림(rolling) 운동이 원활하게 생기면서 보행시 앞상카(62)와 뒤상카(64)를 눌러주기 때문에 아치형태의 지압효과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 신발에 있어서 생크(60, 60-1, 60-2, 60-3, 60-4, 60-5)는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슬릿(6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리브(62b)가 형성되어 있어 생크 자체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생크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다수개의 관통공(62c)이 형성되어 있어 접착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은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은 착지단계, 중심이동단계 및 이탈단계의 3박자로 구분되어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은 착지단계에서 착지하는 순간 뒤축이 지면에 닿게 되는데 밑창의 접지면적이 넓기 때문에 착지에 따른 충격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연결판(70)의 탄성으로 작동되는 3박자 굴림(rolling) 운동이 원활하게 생기면서 보행시 앞상카(62)와 뒤상카(64)를 눌러주기 때문에 아치형태의 지압효과가 일어나게 할 수 있어 완충효율이 높고 부드러운 착지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은 연결판생크가 내장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경도를 반으로 줄여주며 완충효과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은 중심이동단계로 보행동작이 연결되면 곡면형상인 뒤축의 바닥면은 지면을 따라 롤링운동을 하고 충격력은 연속적으로 분산되어 흡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은 곡면형상을 따라 점차적으로 중심이 이동되기 때문에 발목관절과 다리 및 신체의 각 관절에는 급격한 충격이 유발되지 않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보행이 이루어진다.
도 8 내지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생크는 전방부가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되고 중앙 허리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비드(beed) 형태의 리브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에서 생크는 밑창 및 신발의 원형을 보존하고 보행 시에 굴곡 및 신장의 변형빈도가 높은 밑창이 원래의 형상으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함과 더불어 보행시 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이탈단계에서 반발력이 부가되도록 하여 경쾌한 보행을 도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에서 생크는 어떠한 형상 및 소재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P.V.C) 재질을 사용하여 미드솔의 외형 및 곡면의 형상을 본떠서 판재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행시 굴곡각이 비교적 큰 생크의 전방부는 전방의 일정위치에서 전방 끝단으로 개방된 다수의 슬릿(62a)을 형성하여 수등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앞굼치 부위의 굽힘작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생크의 중앙 허리부분은 보강을 위해 비드(beed) 형태의 리브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관통공(62c)을 형성시켜 미드솔(20)의 제조시 성형액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 미드솔(22) 내부에 삽입된 생크에 의해 밑창 및 신발의 원형이 잘 보존되고 보행시에 굴곡 및 신장의 변형되는 빈도가 높은 밑창의 원래 형상으로의 복원이 원활하며 밑창의 형상이 탄력적이면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보행의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탈단계에서 복원력에 의한 반발력이 부가되어 앞굼치를 보행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경쾌한 보행이 이루어지며 보행효율이 높다.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에서 인솔(10)은 미드솔(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재질이 경도 25∼30인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고, 보행의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탈단계에서 복원력에 의한 반발력이 부가되어 경쾌한 보행이 이루어지며 보행효율이 높다. 인솔(10)의 경도가 25 이하 경우 너무 소프트하여 인솔이 지지체 역할을 하지 못하고 인솔의 경도가 30 이상 경우 너무 단단하여 인솔이 탄성체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신발에서 아웃솔(30)의 뒷축은 지면에 대해 이루는 신발 뒤굼치의 주요경사각이 10~60도인 경사진 곡면 형상의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요경사각이 10도 이하 경우 마사이워킹용 신발의 롤링(ROLLING)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주요경사각이 60도 이상 경우 경사가 너무 급하여 신발을 신을 때 또는 서서 있을 때 안정되지 않고 불안정한 자세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 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에서 아웃솔(30)은 미드솔(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경도 70∼8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볼록한 곡면의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뒤꿈치의 경사각이 25∼45도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웃솔(30)의 경도가 70 이하 경우 너무 소프트하여 아웃솔이 지지체 역할을 하지 못하고 아웃솔의 경도가 80 이상 경우 너무 단단하여 아웃솔이 탄성체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 미드솔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 미드솔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체에 방수층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생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미드솔에 생크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드솔이 부착된 밑창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미드솔이 부착된 밑창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연결판 생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연결판 생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연결판 생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생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생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생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미드솔에 내장된 생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솔 12: 하부결합돌기
20: 미드솔 22: 하부중심돌기
24: 상부결합홈 26: 후방공간부
28: 전방공간부 30: 아웃솔
40: 후방감지체 42, 42': 방수층
44: 내부쿠션재 50: 전방감지체
60, 60-1, 60-2, 60-3, 60-4, 60-5: 연결판생크
62: 앞생크 62a: 슬릿
62b: 리브 62c: 관통공
64: 뒤생크 70: 연결판

Claims (3)

  1. 갑피, 깔창, 인솔, 미드솔 및 볼록한 곡면의 아웃솔로 구성된 마사이워킹을 재현할 수 있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재질이 경도 40∼6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사이워킹을 재현할 수 있도록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하부면이 볼록한 곡면의 호형 형상을 이루고, 마사이워킹의 발뒤꿈치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뒤꿈치의 경사각이 10∼60도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마사이워킹의 발중앙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부의 중앙에 하부중심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감지체(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22)의 후방에 후방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감지체(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중심돌기(22)의 전방에 전방공간부(28)가 형성되어 있는 미드솔(20); 상기 미드솔(20)의 하부면 후방공간부(26)에 부착되어 있으며, 쿠션재의 재질은 경도 15∼30인 소프트 폴리에스테르 스폰지 및 소프트 폴리우레탄 스폰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마사이워킹의 발뒤꿈치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후방감지체(40); 상기 미드솔(20)의 하부면 전방공간부(28)에 부착되어 있으며, 쿠션재의 재질은 경도 15∼30인 소프트 폴리에스테르 스폰지 및 소프트 폴리우레탄 스폰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마사이워킹의 발앞꿈치 착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전방감지체(50); 및 마사이워킹의 3박자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미드솔(2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생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재질이 경도 25∼30인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는 인솔(10)이 미드솔(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경도 70∼8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마사이워킹의 3박자 보행을 재현할 수 있도록 전방부에서 후방부에 걸쳐서 볼록한 곡면의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뒤꿈치의 경사각이 10∼60도 되도록 형성된 아웃솔(30)이 미드솔(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신발밑창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인솔(10)의 하부결합돌기(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상부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KR1020080055513A 2008-06-13 2008-06-13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KR20090129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513A KR20090129547A (ko) 2008-06-13 2008-06-13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513A KR20090129547A (ko) 2008-06-13 2008-06-13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547A true KR20090129547A (ko) 2009-12-17

Family

ID=4168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513A KR20090129547A (ko) 2008-06-13 2008-06-13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5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52Y1 (ko) * 2016-12-05 2017-09-07 김원방 볼로니아 공법을 개선한 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52Y1 (ko) * 2016-12-05 2017-09-07 김원방 볼로니아 공법을 개선한 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600B1 (ko)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에어백미드솔 구조
KR100825431B1 (ko)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관통터널 미드솔 구조
KR100584527B1 (ko) 터널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제작방법
US7814683B2 (en) Health footwear having improved heel
JP4908209B2 (ja) 囲われて関節のようにつなげられているつま先を有する履物の物品
KR100825437B1 (ko) 허리형태 생크와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TW201737824A (zh) 具有可調適配合度的鞋類物品(二)
KR100780556B1 (ko) 에어백 및 터널부가 형성된 마사이워킹 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KR100786556B1 (ko)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KR100825435B1 (ko)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KR100882190B1 (ko)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KR100807365B1 (ko) 측면패드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KR100825433B1 (ko)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0807362B1 (ko) 전후방 소프트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밑창 구조
KR100765805B1 (ko) 터널부가 형성된 롤링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882849B1 (ko) 마사이워킹 신발
KR100800063B1 (ko) 에어백 및 터널부가 형성된 마사이워킹 전문 롤링신발 장착용 미드솔
KR100800060B1 (ko) 에어백 및 상하터널부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KR100849601B1 (ko)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관통터널미드솔 구조
KR100800055B1 (ko)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0882847B1 (ko) 마사이워킹 신발
KR100823456B1 (ko)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미드솔 구조
KR20090129547A (ko)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KR100955028B1 (ko)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KR100882189B1 (ko) 마사이워킹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