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079B1 - 페이퍼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퍼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079B1
KR101601079B1 KR1020137026113A KR20137026113A KR101601079B1 KR 101601079 B1 KR101601079 B1 KR 101601079B1 KR 1020137026113 A KR1020137026113 A KR 1020137026113A KR 20137026113 A KR20137026113 A KR 20137026113A KR 101601079 B1 KR101601079 B1 KR 10160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rive gear
main body
hold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065A (ko
Inventor
코지 후루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코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코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코쿠
Publication of KR2013013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A47K10/3612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with drive and pinc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6Folding webs
    • B65H45/10Folding webs transversely
    • B65H45/101Folding webs transversely in combination with laying, i.e. forming a zig-zag pi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2010/3668Detection of the presence of a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Unwinding Web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페이퍼 롤로부터의 페이퍼의 송출과 절단을 전동 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한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 구조의 간략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한다. 페이퍼 지지 기구(5)와,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수부(3)와, 상기 페이퍼(10a)를 절단하는 페이퍼 절단 기구(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를, 단일의 구동 기어 기구(9)에 의해 택일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예를 들면 2 모터식의 구동 기구를 갖춘 종래의 페이퍼 홀더 장치와 비교하여, 모터 설치수의 감소에 의하여 외관 형체의 컴팩트화 및 저비용화가 도모됨과 함께, 구동 기구의 구조의 간략화가 촉진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페이퍼 홀더 장치{PAPER HOLDER DEVICE}
본원발명은, 화장지를 롤 모양에 감아서 이루어지는 페이퍼 롤을 유지하고, 상기 페이퍼 롤에서 페이퍼를 꺼내고, 접고, 절단하는 것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페이퍼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복지 의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고령자의 일상적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고, 그 중 하나로서 화장지용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는, 페이퍼를 용이하게 꺼내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2 참조).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페이퍼 홀더 장치는, 중심봉으로 지지되는 롤지로부터 종이를 한 쌍의 이송 롤러로 끼워 누르면서 꺼내어 차례대로 접음과 함께 이 접는 부분과 상기 끼워 누르는 부분의 중간에 배치한 커터로 종이를 절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구동원으로서 상기 이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각각 별개로 설치하고 있다(2 모터 방식). 또한, 상기 커터는 고정 배치된 고정측 커터와 크랭크 기구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가동측 커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커터의 이동 기구는 복잡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나는 페이퍼 홀더 장치도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롤 축으로 지지되는 롤지로부터 종이를 한 쌍의 이송 롤러로 끼워 누르면서 꺼내어 차례대로 접음과 동시에, 이 접는 부분과 상기 끼워 누르는 부분의 중간에 배치한 커터로 종이를 절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구동원으로서 상기 이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각각 별개로 설치하고 있다(2 모터 방식). 또한, 상기 커터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에 접속하고 분리하도록 이동하는 가동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날의 이동 기구는 복잡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0-28787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3-72998호 공보
이들 특허문헌 1, 2에 각각 나타난 페이퍼 홀더 장치에서는, 롤지로부터 종이를 꺼내어, 이것을 접고, 이 접힌 종이를 절단하여 롤지로부터 분리시키는 일련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손으로 롤지에서 종이를 꺼내어 접고, 이 접은 종이를 롤지로부터 잡아당겨서 떼어 사용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페이퍼 홀더 장치에 비하여, 종이를 꺼내기 쉽고, 특히 고령자에게는 바람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에, 이들 특허문헌 1, 2에 각각 나타난 페이퍼 홀더 장치에서는, 구동원으로서 종이 이송용 모터와 종이 절단용 모터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한 2 모터 방식의 구성인 점에서, 이들 각 모터의 배치 공간이 크고 또한 그 구동 기구도 복잡하게 되어, 설치장소의 관계로부터 컴팩트성이 요구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로서는 적합하다고 하기 어렵고, 또한 모터의 설치 수가 많은 만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도 있었다.
거기서 본원발명은, 페이퍼 롤에서 페이퍼를 꺼내고, 꺼내어진 페이퍼의 절단을 전동으로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한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 구조의 간략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는 단일의 구동 기어 기구(9)에 의해 택일적으로 구동될 뿐만 아니라, 고정날과 회전날의 구조, 페이퍼 수부의 구조를 궁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 번째 특징으로서, 구동 기어 기구(9)는 가역회전하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구동력을 받아 정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됨과 함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변위하는 구동 기어(64)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에 구비된 이송 기어 유니트(68)와 서로 맞물려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를 회전 구동하는 한편, 상기 제2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에 구비된 절단 구동 기어(59)와 서로 맞물려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를 회전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두 번째 특징으로서, 페이퍼 절단 기구(7)는, 상기 홀더 본체부(2)의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와 상기 페이퍼 수부(3) 사이에서 상기 절단 구동 기어(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날(71)과, 상기 회전날과 협동하여 상기 페이퍼(10A)를 절단하도록 상기 개폐 커버에 설치된 고정날(83)를 구비하여, 상기 개폐 커버(4)를 연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날(71)은 상기 고정날(83)에 대향하지 않으며, 상기 개폐 커버를 닫으면 상기 고정날(83)과 상기 회전날(71)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 특징으로서, 페이퍼 수부(3)는, 앞쪽에서 안쪽으로 하강 경사하는 평탄한 저벽(31)과 상기 저벽(31)의 안쪽의 둘레벽(33)에 설치되고, 또한 복수의 삽입 홈(37)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규정판(35)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 양태로서, 상기 특징을 갖는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 사람 손의 접근 유무를 검지하는 제1센서(101)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있어서의 페이퍼(10a)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2센서(10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어 기구(9)가 상기 제1센서(101)가 사람 손의 접근을 검지함과 함께 상기 제2센서(102)가 페이퍼(10a)의 부존재를 검지하였을 때에 그 작동이 개시되는 구성을 부가하고 있다.
또한, 일 양태로서, 상기 홀더 본체부(2)의 4개의 측벽면(2a~2d) 중에, 상기 개폐 커버(4)가 배치된 측벽면(2a)을 제외한 다른 3개의 측벽면(2b~2d)을 선택적으로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을 부가하고 있다.
또한, 일 양태로서, 페이퍼의 취출구(34)를 상기 홀더 본체부(2)의 4개의 측벽면(2a~2d)의 어느 하나인 측벽면(2a)에 대응하는 부위에, 또는 어느 두 개의 측벽면(2a, 2b)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또는 어느 세 개의 측벽면(2a, 2b, 2c)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또는 4개의 측벽면(2a~2d) 전부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한 구성을 부가하고 있다.
이상의 특징에 기초하여,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는, 상기 게재한 각 특허문헌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2 모터식 구동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페이퍼 홀더 장치에 비하여, 모터 설치수의 감소에 의해 외관 형체의 컴팩트화 및 저비용화가 도모됨과 함께, 구동 기구 구조의 간략화가 촉진된다.
또한, 상기 특징에 의해, 상기 모터(61)에 의한 구동 대상의 변경이 상기 모터(61)의 회전 방향의 변경에 의해서만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고, 예를 들면,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와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를 각각 개별 모터에 의해 구동하고, 이들 각 모터의 작동 제어를 각각 개별적으로 행하는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제어계가 간략화되고, 저비용화가 촉진됨과 함께, 구동 대상의 변경에 수반하는 작동상 신뢰성이 향상하게 된다.
상기 특징에 의해, 왕복운동과 비교하여 필요한 공간도 적어지고, 개폐 커버의 개폐만으로 회전날과 고정날의 상대적인 위치 맞춤이 가능하게 되므로, 페이퍼 장착을 포함한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기 특징에 의해,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로부터 송출되는 페이퍼(10a)를 그 두께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접는 동작이 한층 확실해지고, 또한 접는 폭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에도, 일 양태에 의하면, 부가한 구성의 작용으로, 예를 들면, 페이퍼(10a)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혹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상기 페이퍼(10a)가 접힌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페이퍼(10a)의 작성 동작이 개시되는 것 같은 사태의 발생이 미연에 확실히 회피되고,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사용에 있어서 편리성 및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일 양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페이퍼 홀더 장치가 설치되는 화장실 공간 내에 있어서의 변기의 배치(화장실 공간의 세로 벽면(W)에 대한 변기의 설치 방향이라든지, 측벽면과의 간격 등), 혹은 변좌에 착석한 사람이 페이퍼 홀더 장치로부터 페이퍼(10a)를 꺼내는 경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의 설치 방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페이퍼 홀더 장치의 세로 벽면(W)에의 설치 방향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상 편리성이 현격히 향상하고, 나아가서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상품 가치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의 착석 위치에 있어서 가장 꺼내기 쉬운 위치의 취출구(34)로부터 페이퍼(10a)를 꺼낼 수가 있고,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도 1] 본원발명의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 개폐 커버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도 1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 그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도 1의 IV-IV단면도이다.
[도 5] 회전날 유니트의 회전날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6] 도 5의 VI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회전날 유니트의 회전날 노출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8] 도 7의 VIII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 도 5의 사시도에 있어서 시점 위치를 변경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0] 고정날 유니트의 고정날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1] 도 10의 XI-XI단면도이다.
[도 12] 고정날 유니트의 고정날 돌출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3] 도 1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 회전날 유니트와 고정날 유니트의 위치 결정 상태 설명도이다.
[도 15] 도 1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옆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6] 도 15에 나타낸 구동 기어 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도 16에 나타낸 구동 기어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구동 기어 기구의, 페이퍼 송출부 구동시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9] 구동 기어 기구의, 페이퍼 절단부 구동시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20] 모터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1]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작동 제어의 플로차트이다.
[도 22] 본원발명의 제2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3] 도 22에 나타내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4] 도 22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본원발명의 제3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6] 도 25에 나타내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7] 도 25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의 다른 제1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 도 25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의 다른 제2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 본원발명의 제4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0] 도 29에 나타내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31] 도 29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 본원발명의 제5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3] 도 32에 나타낸 페이퍼 홀더 장치의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을 알맞은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제1실시형태」
도 1~도 4에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가 나타나있다. 이 페이퍼 홀더 장치(1)는, 예를 들면, 화장실의 세로 벽면(W)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화장지를 감아서 완성되는 페이퍼 롤(10)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페이퍼 롤(10)로부터 페이퍼(10a)를 소정의 길이만 송출하여, 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음과 함께, 이 접힌 페이퍼(10a)를 상기 페이퍼 롤(10)의 가까운 위치에서 절단하여 사용에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페이퍼(10a)의 송출에서부터 절단까지의 일련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페이퍼(10a)를 당겨내어 이것을 접어 잘라낸다, 라는 것과 같은 수고를 덜고, 특히 고령자에게 있어서는 알맞은 것이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는, 다음에 설명하는 홀더 본체부(2)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하부에 배치된 페이퍼 수부(3)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전면에서 상면에 이르는 부위를 필요에 따라서 덮개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4)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하, 이들 각 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홀더 본체부(2)」
상기 홀더 본체부(2)는,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좌우 한 쌍의 측벽(21, 21)과 배면벽(23)을 갖춤과 함께, 상기 각 측벽(21, 21)의 외측을 각각 측부 커버(22, 22)로 덮어서 구성된다. 또한, 이 홀더 본체부(2)의 전면 및 상면은 연속한 개구부로 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개폐 커버(4)가 설치된다. 또한, 이 개구부는 상기 홀더 본체부(2)의 저면측까지 연속하고, 여기에는 후술하는 페이퍼 수부(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내실(20)(즉,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21, 21)과 배면벽(23)과, 상기 페이퍼 수부(3)와 상기 개폐 커버(4)로 둘러싸인 공간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페이퍼 지지 기구(5)와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 및 페이퍼 절곡 기구(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113은, 상기 개폐 커버(4)에 설치된 간극이며, 상기 개폐 커버(4)를 닫은 상태에서도 이 틈구멍(113)으로부터 내부 페이퍼 롤(10)의 상황을 확인할 수가 있다.
「페이퍼 지지 기구(5)」
상기 페이퍼 지지 기구(5)는, 페이퍼 롤(10)을 그 아래쪽으로부터 되감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내실(20)의 하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21, 21)에 걸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전후 한 쌍의 지지 롤(11, 11)을 주체부로서 구성되지만, 상기 지지 롤(11, 11)에 지지된 페이퍼 롤(1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덧붙임 부위로서, 상기 홀더 본체부(2) 배면벽(23)의 전면측에 부설된 만곡판 모양의 롤 가이드(15)와 후술하는 페이퍼 절단 기구(7)의 회전날 유니트(7A)측에 부설된 만곡판재(灣曲板材)(16)를 구비하고 있다.
「페이퍼 이송 기구(6)」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내실(20)의 전측 상부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벽(21, 21) 사이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접근 배치된 상측의 구동 롤러(51)와 하측의 피동롤(52) 및 상기 개폐 커버(4)의 코너부 근방에 가로로 배치된 압력롤(5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 롤러(51)는, 상기 홀더 본체부(2)의 한쪽 측벽(21)의 외측에 배치된 후술하는 구동 기어 기구(9)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상기 피동롤(52)은 벨트(54)에 의하여 상기 구동 롤러(51)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구동 롤러(51)와 일체적임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압력롤(53)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개폐 커버(4)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51)에 눌려서 접촉되고, 상기 구동 롤러(51)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구동 롤러(51)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커버(4)를 연 상태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지지 기구(5)의 상기 지지 롤(11, 11)에 지지되는 페이퍼 롤(10)로부터 꺼낸 페이퍼(10a)를 상기 구동 롤러(51) 및 피동롤(52)의 외측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당겨내고(도 2, 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개폐 커버(4)를 닫아서 상기 압력롤(53)을 상기 구동 롤러(51)에 눌러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페이퍼(10a)는 상기 구동 롤러(51)와 압력롤(53)의 사이에 끼워진다(페이퍼(10a)의 세트 상태). 이 세트 상태로부터, 상기 구동 롤러(51)가 회전되면, 상기 페이퍼(10a)는 상기 구동 롤러(51)와 압력롤(53)에 의해 차례대로 아래 방향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피동롤(52)은 상기 구동 롤러(51)와 압력롤(53)에 의해 송출되는 페이퍼(10a)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다.
「페이퍼 절곡 기구(8)」
상기 페이퍼 절곡 기구(8)는, 상기 홀더 본체부(2)의 하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로부터 송출되는 페이퍼(10a)를 그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접어 사용에 제공하는 것이고,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앞쪽에서 안쪽으로 하강 경사하는 평탄한 저벽(31)과 상기 저벽(31)의 주위를 둘러쌈과 동시에 전면 측에 있어서는 소정의 폭으로 그 상단에서 상기 저벽(31)에 걸쳐 깊숙이 들어간 취출구(4)가 설치된 페이퍼 수부(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페이퍼 수부(3)의 안쪽에는 페이퍼(10a)의 접는 폭을 규정하는 규정판(35)이 배치된다. 이 규정판(35)은 둘레벽(33) 측에 설치한 조정부(36)의 복수의 삽입 홈(37)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페이퍼(10a)의 접는 폭을 증감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페이퍼 절단 기구(7)」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회전날 유니트(7A)와 고정날 유니트(7B)를 갖추어 구성된다.
「회전날 유니트(7A)」
상기 회전날 유니트(7A)는, 도 5~도 9에 나타내듯이, 지지 브라켓(70)에 회전부(69)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70)은, 약 S자형의 만곡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가로로 긴 만곡판재(16)와 상기 만곡판재(16)의 만곡방향 중간 단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재(16)의 볼록한 면 쪽으로 길게 나오는 연설부(延設部)(72)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만곡판재(16)의 상단부(16a)는 상기 연설부(72)의 연장측으로 만곡시켜서 상기 연설부(72)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브라켓(70)에는, 상기 연설부(72)와 상기 만곡판재(16)의 상단부(16a) 사이에 필요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공간 부분에 후술하는 회전부(69)가 수납 배치된다.
게다가 좌우 한 쌍의 상기 연설부(72, 72)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쐐기모양 형체를 가지는 돌기(7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만곡판재(16) 상단부(16a)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7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듯이, 한쪽 연설부(72)의 측부에는, 앞쪽을 향하여 하강 경사하는 면으로 구성되는 스톱퍼(7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69)는, 환봉 행태의 외주면의 일부를 그 축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서 약 L형으로 잘라 떨어뜨린 이형봉체(異形棒體)로 되고(도 14 참조), 또한 그 양단에는 각각 축방향의 바깥쪽으로 길게 나오는 지축(75)이 설치된 칼날홀더(74)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 칼날홀더(74)의 원호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부분(즉, 잘라서 떨어뜨리지 않은 부분)에는, 밴드형상의 회전날(71)이, 상기 회전부(69)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의 자르는 각도를 가지도록, 그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 소정의 회전 위상이 확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날(71)은 그 칼날끝(71a)의 회전 궤적원이 상기 회전날(71)의 축방향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서도 일치하도록 그 설치 상태가 설정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칼날 홀더(74)의 일단측에는 원형 링 모양의 가이드고리(77)가 상기 칼날 홀더(74)와 같은 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고리(77)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날(71)의 칼날(71a)의 회전 궤적원에 합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칼날 홀더(74)의 약 L형으로 잘라낸 면의 부분에는, 약 T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프로텍터(7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날(71)은 상기 칼날 홀더(74)의 축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로텍터(76)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날(71)은 상기 프로텍터(76) 측에서 보았을 경우, 항상 상기 프로텍터(76)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도 6에 나타내듯이 상기 프로텍터(76)가 전면을 향하는 회전 위치에서는, 상기 프로텍터(76)에 덮여서 외부로의 노출이 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회전부(69)의 회전 방향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상기 회전날(71)이 상기 회전부(69)의 위쪽으로부터 앞쪽을 거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 같은 방향(화살표 r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부(69)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일회전씩 회전 구동되지만, 그 회전의 개시 위치(즉, 정지 위치)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상기 프로텍터(76)가 상기 지지 브라켓(70)의 앞쪽에 서 일어서고, 상기 회전날(71)이 상기 프로텍터(76)의 배면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길게 나오는 위치로 된다. 상기 회전부(69)는,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회전을 개시하고, 도 8에 나타내듯이 상기 회전날(71)이 상기 지지 브라켓(70)의 앞쪽을 하강 이동하고, 다시 도 6에 나타내는 정지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일회전만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정지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날(71)은 상기 프로텍터(76)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이 회전부(69)의 회전 구동은,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의 이송 동작이 정지된 시점, 혹은 정지시점보다 소정 시간만큼 빠른 시점으로부터 개시되지만, 이 페이퍼 이송 기구(6)의 작동과 연동한 상기 회전부(69)의 회전 제어는, 후술하는 구동 기어 기구(9)의 제어 수단(도시 생략)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고정날 유니트(7B)」
상기 고정날 유니트(7B)는, 상기 개폐 커버(4)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커버(4)가 닫힌 상태일 때, 즉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사용 상태시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의 상기 회전날(71)과 협동하여 페이퍼(10a)를 절단하는 것이고, 도 10~도 13에 나타내듯이, 지지 브라켓(80)에 고정날(83)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80)은, 가로로 긴 만곡판 모양인 동시에 그 만곡방향의 약 중앙에 가로로 긴 개구(93)를 설치한 만곡판부(81a)와 상기 만곡판부(81a)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솟는 평판 모양의 가이드판부(81b)로 이루어지는 본체부(81)와, 상기 만곡판부(81a)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앞쪽으로 길게 나오는 세로벽부(82, 82)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만곡판부(81a)의 내면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판부(81b)의 하단 위치에서 배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95)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지지 브라켓(80)의 상기 각 세로벽부(82, 82)의 저면에는, 위쪽을 향하여 깊숙이 들어가는 삽입홈(90)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각 세로벽부( 82)의 상단부에는, 아래쪽을 향하는 쐐기 모양의 가이드 돌기(8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날(83)은 소정 길이의 띠판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고, 하나의 능선 부분에 칼날(83a)을 설치하고 있다. 이 고정날(83)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지축(84)이 축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날(83)은 이들 각 지축(84)을 상기 지지 브라켓(80)의 상기 각 세로벽부(82, 8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지지 브라켓(80) 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날(83)의 한쪽 지축(84)에는, 이동 레버(88)가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날(83)은, 상기 지축(84)에 설치된 용수철(8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날(83)의 칼날(83a) 쪽의 측면이 상기 이동 레버(88)에 설치한 스톱퍼(91)에 맞닿도록 힘이 더해짐으로써, 상기 칼날(83a)이 상기 오목부(95) 측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 레버(88)에 대한 최대 회전이동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톱퍼(91)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고정날(83)의 최대 회전이동 위치가 규제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상기 고정날(83)의 칼날(83a)에 이것을 안쪽으로 밀어넣는 것 같은 외부의 힘이 걸렸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날(83)은 상기 용수철(8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오목부(95)측으로 회전이동된다.
한편, 상기 이동 레버(88)는,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적절하게 떨어진 위치에 설치한 지축(86)에 설치된 용수철(87)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날(83)을 상기 지지 브라켓(80)의 상기 오목부(95) 내에 수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가세되어 있다. 또한, 이 이동 레버(88)의 첨단부는, 상기 개폐 커버(4)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측의 상기 스톱퍼(78)와 연결하고, 상기 스톱퍼(78)측에서 밀어넣는 방향으로의 외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내듯이, 상기 이동 레버(88)의 첨단측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상기 개폐 커버(4)가 열린 상태에 있고 상기 이동 레버(88)의 첨단측이 자유롭게 되어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레버(88)가 상기 용수철(87)에 의해 상기 지축(86)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이동 가세되고, 상기 이동 레버(88)에 연결된 상기 고정날(83)은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본체부(81)의 오목부(95) 측에 수납되고, 그 칼날(83a)은 상기 오목부(95)의 구연부와 거의 단차 없이 평평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13에 나타내듯이, 상기 개폐 커버(4)가 닫힌 상태에 있고 상기 이동 레버(88)의 첨단부가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측의 스톱퍼(78)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레버(88)가 상기 스톱퍼(78)에 의해 밀어넣어져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이 이동 레버(88)의 회전이동과 함께 상기 고정날(83)은 상기 지축(84) 주위에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오목부(95)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고, 그 칼날(83a)은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측의 회전날(71)의 칼날(71a)에 접촉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도 14 참조).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상기 고정날 유니트(7B)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상기 지지 브라켓(80)의 배면측에 돌출하여 설치한 설치보스(92)를 상기 개폐 커버(4)의 설치부(41)에 나사(43)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개폐 커버(4) 측에 설치되지만, 이 경우, 상기 설치보스(92)와 상기 설치부(41) 사이에는 용수철(42)이 끼어있고, 이 용수철(42)의 탄성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날 유니트(7B)는 상기 개폐 커버(4)에 대해서 접속하고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날 유니트(7A)와 고정날 유니트(7B)의 위치 결정」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와 고정날 유니트(7B)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은, 도 14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즉, 상기 회전날 유니트(7A)는 상기 홀더 본체부(2) 측에 고정되고 있고, 상기 홀더 본체부(2)로의 설치 위치는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고정날 유니트(7B)는, 상기 개폐 커버(4) 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 커버(4)측으로의 설치 위치는, 상기 용수철(42)의 탄성변형의 범위내에서 변위 가능하고, 고정적으로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개폐 커버(4)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와 고정날 유니트(7B)가 적정한 상대 위치 관계에 있음과 동시에 이것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의 페이퍼 홀더 장치(1)에서는, 이하와 같은 2개의 위치 결정 수법을 채용하고 있다.
제1위치 결정 수법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의 지지 브라켓(70)의 좌우 한 쌍의 연설부(72, 72)에 상기 돌기(73)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고정날 유니트(7B)의 좌우 한 쌍의 세로벽부(82)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깊숙이 들어가는 삽입홈(90)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 커버(4)의 열린 상태로부터 닫는 작동에 즈음해서는,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측의 상기 각 돌기(73, 73)에 상기 고정날 유니트(7B)측의 상기 각 삽입홈(90)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와 고정날 유니트(7B)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제2위치 결정 수법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의 상기 지지 브라켓(70)의 좌우 양단부에 홈(79)을 각각 설치하는 한편, 상기 고정날 유니트(7B)의 상기 지지 브라켓(80)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가이드 돌기(89)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개폐 커버(4)의 열린 상태로부터 닫는 작동에 즈음하여,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측의 상기 각 홈(79)에 상기 고정날 유니트(7B)측의 상기 각 가이드 돌기(89)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와 고정날 유니트(7B)의 좌우 방향(가로폭 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2개의 방법에 의한 위치 결정에 의하여, 상기 개폐 커버(4)를 닫은 상태, 즉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사용시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상기 고정날(83)의 칼날(83a)이 전방측으로 돌출하고, 그 칼날(83a)은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측의 상기 가이드고리(77)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날(71)의 칼날(71a)과 고정날(83)의 칼날(83a)의 상대 위치가 적정하게 설정된다.
「구동 기어 기구(9)」
구동 기어 기구(9)는,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와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를 택일적으로 구동하는 것이고, 도 15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2)의 한쪽 측벽(21)의 외면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 기어 기구(9)는, 도 15~도 17에 나타내듯이, 상기 측벽(21)에 웜 기어(62)를 설치한 가역 회전식의 모터(61)와, 상기 웜기어(62)와 서로 맞물리는 대기어(63A)와 소기어(63B)를 같은 축상에 일체로 형성한 웜 휠(63)과 상기 소기어(63B)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 기어(64)를 이동 암(67)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구동 기어 유니트(60)와,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의 구동 롤러(51)의 축단에 설치된 이송 기어(68A)와 상기 이송 기어(68A)와 서로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구동 기어(64)와 서로 맞물림 가능하게 된 아이들기어(68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기어 유니트(68)와, 상기 회전날 유니트(7A)의 지축(75)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64)와 서로 맞물림 가능하게 된 절단 구동 기어(59)를 각각 배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암(67)은, 상기 웜 휠(63)을 지지하는 기어축(65)에 대하여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기어(64)는 상기 이동 암(67)의 단부에 설치된 기어축(66)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동 기어 기구(9)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61)가 정회전 할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듯이,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이 상기 웜 기어(62)로부터 상기 웜 휠(63)에 전달되고, 나아가서 상기 웜 휠(63)의 회전(화살표 L방향)이 상기 구동 기어(64)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 기어(64)는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 기어(64)에는, 상기 지축(65)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 기어(64)는 상기 이동 암(67)과 일체적으로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아이들기어(68B)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61)에 의하여, 상기 이송 기어(68A)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가 작동하여 페이퍼(10a)의 이송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하, 이때의 상기 구동 기어(64)의 위치를 「제1위치」라고 한다.
반대로, 상기 모터(61)가 역회전할 때에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이 상기 웜 기어(62)로부터 상기 웜 휠(63)에 전달되고, 나아가서 상기 웜 휠(63)의 회전(화살표 R방향)이 상기 구동 기어(64)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 기어(64)는 화살표 L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 기어(64)에는, 상기 지축(65)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 기어(64)는 상기 이동 암(67)과 일체적으로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상기 절단 구동 기어(59)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61)에 의하여, 상기 절단 구동 기어(59)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가 작동하고, 페이퍼(10a)의 절단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의 상기 구동 기어(64)의 위치를 「제2위치」라고 한다.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작동」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에는, 도 20에 나타내듯이, 제1센서(101)와 제2센서(102)와 제어기(100)가 배치된다. 상기 제1센서(101)는, 사용자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접힌 상태로 유지된 접혀있는 페이퍼(10a)의 꺼냄을 의도하여 상기 페이퍼 수부(3) 측에 손을 내밀었을 때, 이 손의 접근을 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센서(102)는,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상기 접힌 페이퍼(10a)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페이퍼 홀더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제1센서(101)와 제2센서(10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6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페이퍼(10a)의 송출에서부터 접는 것, 나아가서는 접힌 페이퍼(10a)의 절단에 이르는 일련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상기 각 센서(101), (102)의 검출 신호는 각각 제어기(100)에 입력된다. 이 제어기(100)에서는, 상기 각 센서(101), (10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페이퍼 이송 동작」 및 「페이퍼 절단 동작」을, 미리 설정한 제어 형태하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61)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그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형태에 대한 기본사상을 설명한다.
(a)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작동(즉, 모터(61)의 정회전 기동에 의한 페이퍼의 송출 동작)은, 상기 제1센서(101)에 있어서 사람 손의 접근의 검지에 의하여 개시된다. 이것은, 사람에 의한 직접적인 스위치 조작을 배제하고, 사용상의 편리성,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단, 제2센서(102)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접힌 페이퍼(10a)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것은, 사람의 불필요한 동작에 기초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작동 개시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b) 제1센서(101) 및 제2센서(102)의 검지 신호를 받아서, 모터(61)의 정회전 기동에 의한 페이퍼(10a)의 송출 동작이 개시된 후로부터, 하기 (e)의 동작이 완료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제1센서(101)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하여도, 이 제어 신호는 제어상 무시한다. 이것은,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작동 후에 있어서의 사람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작동에 혼란을 초래하는 것을 피하고,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일련의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시키기 위함이다.
(c) 페이퍼(10a)의 송출 길이(즉, 접어놓은 길이)는, 모터(61)에 의한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의 구동 시간의 설정에 따라서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시간의 설정을 제어기(100)에 있어서 소프트적으로 실시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한 타이머 설정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d) 페이퍼(10a)의 송출 완료 후에 있어서의 페이퍼 절단 동작은, 모터(61)의 역회전 기동에 의하여 실시한다. 이는, 페이퍼(10a)의 「송출」과「절단」은, 동시에 행하여지지 않고, 반드시 택일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이기 때문에, 상기 모터(61)를 「송출 구동」과「절단 구동」의 쌍방에 이용하는 것이다.
(e) 페이퍼 절단 기구(7)에 있어서의 페이퍼(10a)의 절단 후, 모터(61)를 정회전 구동하여 페이퍼(10a)를 소정량 송출한다. 이것은, 페이퍼(10a)의 절단한 가장자리가 페이퍼 절단 기구(7) 부분에 멈추어 있으면, 다음 송출시에 이 절단 가장자리가 페이퍼 절단 기구(7) 부분에 걸려서 적정한 송출이 저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리 절단 가장자리를 페이퍼 절단 기구(7) 부분보다 앞으로 송출해 두는 취지이다. 이 송출량(즉, 미리 이송하는 양)은, 모터(61)에 의한 페이퍼 절단 기구(7)의 구동 시간의 설정에 의하여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시간의 설정을 제어기(100)에 있어서 소프트적으로 실시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한 타이머 설정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실제 작동을, 도 21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사용에 앞서, 상기 개폐 커버(4)를 열고 페이퍼 롤(10)을 상기 페이퍼 지지 기구(5) 측에 세트 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퍼 롤(10)로부터 페이퍼(10a)를 꺼내어, 이것을 상기 구동 롤러(51)의 위쪽을 통과하고, 나아가서는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의 회전날 유니트(7A)와 고정날 유니트(7B)의 사이를 통과하여 그 아래쪽까지 꺼내어 내린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개폐 커버(4)를 닫는다. 이 개폐 커버(4)의 덮개를 닫음으로써, 상기 압력롤(53)은 상기 페이퍼(10a)를 끼운 상태로 상기 구동 롤러(51)와 맞닿는다. 이상으로,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사용에 수반하는 상기 모터(61)의 제어는 이하와 같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우선, 스텝S1에 있어서 제1센서(101)가 첫회의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스텝S2에 있어서 제2센서(102)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제어가 개시된다.
상기 조건이 충족되면, 이것을 받아 모터(61)가 정회전 기동된다. 이 모터(61)의 정회전 기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 기어(64)가 도 18의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위치」로 설정되고, 상기 아이들기어(68B)와 맞물린다. 따라서, 이 아이들기어(68B)와 맞물리는 이송 기어(68A)를 통하여 상기 구동 롤러(51)가 회전 구동되고, 상기 페이퍼 롤(10)로부터 페이퍼(10a)가 송출된다.
이 페이퍼(10a)의 송출은, 소요 송출량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한 설정 시간 「Ta」만큼만 계속된다(스텝S4). 이 설정 시간 「Ta」의 경과에 의하여, 상기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되지만(스텝S5), 이 정지상태는 미리 설정한 설정 시간 「Tb」만큼만 계속된다. 이것은, 상기 모터(61)라든지 상기 구동 롤러(51)의 관성 회전을 고려하여, 다음에 행해지는 모터(61)의 역회전 구동의 적정한 개시를 담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에 의한 페이퍼(10a)의 송출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상기 페이퍼 절곡 기구(8)에서는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상태에서 송출되어오는 페이퍼(10a)가 차례대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힌다.
상기 소정 시간 「Tb」의 경과와 함께, 상기 모터(61)가 역회전 구동되고(스텝S7), 상기 구동 기어 기구(9)의 상기 구동 기어(64)가, 도 19의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위치」로 설정되고, 상기 절단 구동 기어(59)와 맞물린다. 따라서, 이 절단 구동 기어(59)에 설치된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가 작동하고, 페이퍼(10a)의 절단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페이퍼(10a)의 절단 동작은 설정시간 「Tc」동안 계속되고(스텝S8), 상기 설정시간 「Tc」의 경과와 함께 상기 모터(61)의 회전이 정지함(스텝S9)으로써 종료한다.
상기 모터(61)의 정지상태는, 미리 설정한 설정 시간 「Td」동안만 계속되(스텝S10)지만, 이는 상기 모터(61)라든지 상기 구동 롤러(51)의 관성 회전을 고려하여 다음에 행해지는 모터(61)의 정회전 구동의 적정한 개시를 담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설정 시간 「Td」의 경과와 함께, 상기 모터(61)의 정회전 구동이 개시되고(스텝S11), 다시 상기 구동 롤러(51)가 회전 구동되어 상기 페이퍼(10a)의 「미리 송출」이 설정 시간 「Te」동안에만 실행되고,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로 절단된 페이퍼(10a)의 절단한 가장자리가,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보다 아래쪽으로 소정의 길이만 보내어진다.
상기 설정 시간 「Te」의 경과와 함께, 상기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되고(스텝S13), 이것에 의해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일련의 동작이 종료하고,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는 다음 사용에 대비한 대기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는, 사람이 접힌 페이퍼(10a)의 사용을 원하여, 손을 상기 페이퍼 수부(3)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작동이 개시되고, 소정의 시간 후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접힌 페이퍼(10a)가 형성되는 것인 점으로부터, 상기 페이퍼(10a)를 얻기 위한 사람의 동작 혹은 조작은 대부분 필요로 하지 않고, 특히 고령자에게 있어 그 효과는 매우 유용한 것이 된다.
「II:제2실시형태」
도 22~도 24에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가 나타나 있다.
이 페이퍼 홀더 장치(1)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와 약간 그 외관형체(예를 들면, 페이퍼 수부(3)의 형상)는 다르지만, 그 기본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와 같은 것으로 여겨지고, 홀더 본체부(2)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하부에 배치된 페이퍼 수부(3)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한 측면에서 상면에 이르는 부위를 필요에 따라서 덮개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4)를 갖춤과 함께,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내실(20)에는 페이퍼 지지 기구(5)와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 및 페이퍼 절곡 기구(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실체적인 구성요소인 상기 페이퍼 지지 기구(5)와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 및 페이퍼 절곡 기구(8)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모두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같으므로, 제1실시형태의 해당 설명을 원용하고,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 제2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가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와 다른 점은,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와 상기 페이퍼 수부(3)의 구조 및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설치되는 취출구(34)의 형성 위치이다.
우선,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에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 만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제2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해 좌측의 측부 커버(22)와 상기 배면벽(23)을 선택적으로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2 및 도 23은,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의 측부 커버(22) 부분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한 제1 설치 구조예이다. 이 제1 설치 구조예의 경우,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우측의 측부 커버(22) 내에는 상기 구동 기어 기구(9)가 수납 배치되어 있지만, 홀더 본체부(2)에 대향하는 좌측의 측부 커버(22) 내에는 이러한 기구는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두께 치수를 홀더 본체부(2)에 대향하는 우측의 측부 커버(22)보다 얇게 설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홀더 본체부(2)에 대향하는 좌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함으로써,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으로부터의 연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으므로 공간이 한정된 화장실 공간에의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도 24는,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한 제2 설치 구조예이다. 이 제2 설치 구조예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치 구조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페이퍼 수부(3)의 구조 및 이 페이퍼 수부(3)에 설치되는 상기 취출구(34)의 형성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상기 페이퍼 수부(3)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접시 모양 형체를 가지고, 둘레벽(33)의 전면벽(33a)과 배면벽(33b)의 간격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페이퍼 수부(3) 내에서 접혀서 저벽(31) 상에 고정되어 올려지는 접힌 페이퍼(10a)의 접는 폭은 일정하게 되고, 이 점은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페이퍼 수부(3)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한 규정판(35)(도 4 참조)을 설치하여 접힌 페이퍼(10a)의 접는 폭을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과는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판(35)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페이퍼 수부(3)를 직사각형 접시 모양 형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구(34)의 형성 위치의 다양화가 실현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취출구(34)를 상기 페이퍼 수부(3)의 전면벽(33a)이 아닌, 홀더 본체부(2)에 대향하는우측의 측벽면(33c)에 상기 취출구(34)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취출구(34)의 형성 위치의 설정에 의하여, 상기 취출구(34)로부터 접힌 페이퍼(10a)의 인출 조작의 용이화가 도모된다. 즉, 상기 제1 설치 구조 예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함으로써, 상기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3) 중, 상기 개폐 커버(4)에 대응하는 전면벽(33a)에 상기 취출구(34)가 형성되어 있던 경우, 상기 취출구(34)와 상기 세로 벽면(W)이 접근하여 상기 취출구(34)로부터 접힌 페이퍼(10a)의 인출에 지장이 생기는 것도 염려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 본체부(2)에 대향하는 향하여 우측의 측벽면(33c)에 상기 취출구(3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취출구(34)의 앞쪽에 넓은 조작 공간이 확보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취출구(34)로부터 접힌 페이퍼(10a)를 인출하는 조작의 용이화가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페이퍼 수부(3)의 상기 취출구(34)에 대응하도록,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22)에,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노치개구(110)를 형성하고, 상기 페이퍼 수부(3)의 저벽(31)상에 접힌 상태로 고정되어 올려지는 접힌 페이퍼(10a)를, 상기 노치 개구(110)를 통하여 상기 취출구(34)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24에 나타내는 제2 설치 구조예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을 상기 세로 벽면(W)으로의 설치면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34)를 상기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33) 중, 홀더 본체부(2)에 대향하는 우측의 측벽면(33c)에 형성하여도 상기 취출구(34)의 외측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34)로부터 접힌 페이퍼(10a)를 꺼내는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부(2)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우측의 측부 커버(22)에, 사용자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접힌 상태로 유지된 접힌 페이퍼(10a)의 꺼내고자 하여 상기 페이퍼 수부(3)측에 손을 내밀었을 때에 이 손의 접근을 검지하는 상기 제1센서(101)(도 20 참조)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상기 접힌 페이퍼(10a)가 존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상기 제2센서(102)(도 20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 장치(111)와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가 작동 중인 것을 표시하는 알람 램프(1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커버(4)를 열어서 행하여지는 페이퍼 롤(10)의 탈부착은, 상기 제1 설치 구조예 및 제2 설치 구조예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상기 개폐 커버(4)의 개폐 방향 전방 측에 충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므로 문제는 없다.
「III:제3실시형태」
도 25~도 28에는, 본원발명의 제3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가 나타나 있다.
이 페이퍼 홀더 장치(1)도, 상기 제2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와 같게,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와 약간 그 외관형체가 다르지만, 그 기본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와 같은 것으로 여겨지고, 홀더 본체부(2)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하부에 배치된 페이퍼 수부(3)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한 측면으로부터 상면에 이르는 부위를 필요에 따라서 덮개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내실(20)에는 페이퍼 지지 기구(5)와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 및 페이퍼 절곡 기구(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실체적인 구성요소인 상기 페이퍼 지지 기구(5)와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 및 페이퍼 절곡 기구(8)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모두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같으므로, 제1실시형태의 해당 설명을 원용하고,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 제3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가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와 다른 점은,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설치되는 취출구(34)의 형성 위치이다.
먼저,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에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만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이 제3실시형태에서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제1 설치 구조예와, 도 27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제2 설치 구조예와, 도 28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우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제3 설치 구조예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구(34)의 형성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제1 설치 구조예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함으로써, 약간, 상기 취출구(34)로부터 접힌 페이퍼(10a)를 꺼내기 어렵다고 할 수 있지만, 본 설치 구조예는 접힌 페이퍼(10a)의 인출성이라는 것보다도, 오히려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으로부터의 연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고, 공간이 한정된 화장실 공간에서의 레이아웃성을 중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도 27에 나타내는 제2 설치 구조예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함으로써, 상기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33)의 전면(33a)에 설치된 상기 취출구(34)에 있어서는, 그 앞쪽에 충분한 조작 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취출구(34)로부터 접힌 페이퍼(10a)를 꺼내기가 용이해진다.
도 28에 나타내는 제3 설치 구조예의 경우에는,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우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함과 함께, 상기 취출구(34)가 상기 세로 벽면(W)의 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34)의 전방 측에 넓은 조작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고, 이 점은 상기 제1 설치 구조예의 경우와 같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부(2)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개폐 커버(4)에 상기 센서 장치(111)가, 또한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우측의 측부 커버(22)의 전면에 상기 알람 램프(112)가 배치되어 있다.
「IV:제4실시형태」
도 29~도 31에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가 나타나 있다.
이 페이퍼 홀더 장치(1)는, 상기 제2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와 상기 제3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의 병합안으로서 평가되는 것이다.
즉,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로서는, 도 29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제1 설치 구조예와, 도 31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제2 설치 구조예를, 임의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구(34)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도 29에 나타내듯이, 상기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33)의 전면벽(33a)과 배면벽(33b)에는 각각 저벽(31)에 걸치는 개구상의 취출구(34)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둘레벽(33)의 우측벽(33c)에는 상기 우측벽(33c)의 상단으로 개구하고, 여기에서부터 상기 저벽(31)에 걸쳐서 깊숙이 들어가는 홈 모양의 취출구(3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부(2)에 있어서는, 홀더 본체부(2)에 대향하는 우측의 측부 커버(22)의 하단에, 상기 페이퍼 수부(3)의 우측벽에 설치한 상기 취출구(34)에 대응하도록 하여 노치 개구(11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상기 제1 설치 구조예에서는,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를 상기 세로 벽면(W)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설치된 상기 3개의 취출구(34) 모두가 외부에 노출하고, 이들 어느 쪽의 취출구(34)로부터도 접힌 페이퍼(10a)를 꺼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1에 나타내는 제2 설치 구조예에서는,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d)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를 상기 세로 벽면(W)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 중 배면벽(33b)에 설치된 취출구(34)는 상기 세로 벽면(W)에 대향하여 이것을 사용할 수는 없지만, 그 외의 2개의 취출구(34)는 모두 외부에 노출하여 이들 어느 쪽의 취출구(34)로부터도 접힌 페이퍼(10a)를 꺼낼 수 있다.
「V:제5실시형태」
도 32 및 도 33에는, 본원발명의 제5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가 나타나 있다.
이 페이퍼 홀더 장치(1)는, 상기 제4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의 변형예로서 평가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4실시형태의 페이퍼 홀더 장치(1)는, 상기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로서, 상기 홀더 본체부(2)를 향하여 좌측의 측부 커버(22)를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제1 설치 구조예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제2 설치 구조예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구(34)의 형성 위치를, 상기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33)의 전면벽(33a)과 배면벽(33b), 및 우측벽(33c)의 세 위치로 설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33)의 배면벽(33b)에 설치된 상기 취출구(34)는, 상기 제2 설치 구조예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 없다.
거기서, 이 제5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페이퍼 홀더 장치(1)에서는, 페이퍼 홀더 장치(1)의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 구조를, 도 32, 도 33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본체부(2)의 배면벽(23)을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 하는 설치 구조만으로 하는 한편, 도 32에 나타내듯이,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구(34)의 형성 위치를, 상기 페이퍼 수부(3)의 둘레벽(33)의 전면벽(33a)과 우측벽(33c) 및 좌측벽(33d)의 세 위치로 설정하고, 이들 3개의 취출구(34)를 항상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페이퍼 수부(3)는, 상기 둘레벽(33)의 전면벽(33a)에 대향하는 부분(상기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면벽(33b) 부분)에 취출구(34)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점으로부터, 이 전면벽(33a)에 대향하는 부분을 개방시켜서, 상기 규제판(35)(도 4 참조)을 설치하여 접힌 페이퍼(10a)의 접는폭을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측벽(33c)과 좌측벽(33d)에 각각 조정부(36)를 설치하고 있다.
1  ··페이퍼 홀더 장치
2  ··홀더 본체부
3  ··페이퍼 수부
4  ··개폐 커버
5  ··페이퍼 지지 기구
6  ··페이퍼 이송 기구
7  ··페이퍼 절단 기구
7A ··회전날 유니트
7B ··고정날 유니트
8  ··페이퍼 절곡 기구
9  ··구동 기어 기구
10 ··페이퍼 롤
11 ··지지 롤
15 ··롤 가이드
16 ··만곡 판재
20 ··내실
21 ··측벽
22 ··측부 커버
23 ··배면벽
31 ··저벽
33 ··둘레벽
34 ··취출구
35 ··규정판
36 ··조정부
37 ··삽입홈
51 ··구동 롤러
52 ··피동롤
53 ··압력롤
54 ··벨트
59 ··절단 구동 기어
60 ··구동 기어 유니트
61 ··모터
62 ··웜 기어
63 ··웜 휠
64 ··구동 기어
65 ··기어축
66 ··기어축
67 ··이동 암
68 ··이송 기어 유니트
69 ··회전부
70 ··지지 브라켓
71 ··회전날
72 ··연장 설치부
73 ··돌기
74 ··칼날 홀더
75 ··지축
76 ··프로텍터
77 ··가이드고리
78 ··스톱퍼
79 ··홈
80 ··지지 브라켓
81 ··본체부
82 ··세로 벽부
83 ··고정날
84 ··지축
85 ··용수철
86 ··지축
87 ··용수철
88 ··이동 레버
89 ··가이드 돌기
90 ··삽입홈
91 ··스톱퍼
92 ··설치 보스
93 ··개구
95 ··오목부
100 ··제어기
101 ··제1센서
102 ··제2센서
110 ··노치 개구
111 ··센서 장치
112 ··알람 램프
113 ··틈구멍

Claims (5)

  1. 약 직사각형 상자 모양의 외관 형체를 가지고 세로 벽면(W)에 설치되는 홀더 본체부(2)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4개의 측벽면(2a~2d)의 어느 한쪽의 측벽면(2a)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 커버(4)를 가지는 페이퍼 홀더 장치로서,
    페이퍼 롤(10)을 되감기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페이퍼 지지 기구(5)와, 상기 페이퍼 롤(10)로부터 페이퍼(10a)를 되감아서 송출하는 페이퍼 이송 기구(6)와,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로부터 송출되는 페이퍼(10a)를 차례대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어서 취출구(34)를 통해 꺼낼 수 있도록 유지하는 페이퍼 수부(3)와,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와 상기 페이퍼 수부(3) 사이에 상기 페이퍼(10a)를 절단하는 페이퍼 절단 기구(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와 페이퍼 절단 기구(7)는, 단일의 구동 기어 기구(9)에 의해 택일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구동 기어 기구(9)는 가역회전하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구동력을 받아 정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됨과 함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변위하는 구동 기어(64)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어(64)가 상기 제1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에 구비된 이송 기어 유니트(68)와 서로 맞물려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를 회전 구동하는 한편, 상기 구동 기어(64)가 상기 제2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에 구비된 절단 구동 기어(59)와 서로 맞물려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페이퍼 절단 기구(7)는, 상기 홀더 본체부(2)의 상기 페이퍼 이송 기구(6)와 상기 페이퍼 수부(3) 사이에서 상기 절단 구동 기어(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날(71)과, 상기 회전날과 협동하여 상기 페이퍼(10A)를 절단하도록 상기 개폐 커버에 설치된 고정날(83)를 구비하여, 상기 개폐 커버(4)를 연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날(71)은 상기 고정날(83)에 대향하지 않으며, 상기 개폐 커버를 닫으면 상기 고정날(83)과 상기 회전날(71)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수부(3)는, 앞쪽에서 안쪽으로 하강 경사하는 평탄한 저벽(31)과 상기 저벽(31)의 안쪽의 둘레벽(33)에 설치되고, 또한 복수의 삽입 홈(37)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규정판(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람 손의 접근 유무를 검지하는 제1센서(101)와, 상기 페이퍼 수부(3)에 있어서의 페이퍼(10 a)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2센서(10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어 기구(9)는, 상기 제1센서(101)가 사람 손의 접근을 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센서(102)가 페이퍼(10a)의 부존재를 검지하였을 때에 그 작동이 개시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부(2)의 4개의 측벽면(2a)~(2d) 중에, 상기 개폐 커버(4)가 배치된 측벽면(2a)을 제외한 다른 3개의 측벽면(2b)~(2d)을, 선택적으로 상기 세로 벽면(W)에의 설치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34)가, 상기 홀더 본체부(2)의 4개의 측벽면(2a)~(2d)의 어느 하나의 측벽면(2a)에 대응하는 부위에, 또는 어느 두 개의 측벽면(2a), (2b)의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또는 어느 세 개의 측벽면(2a), (2b), (2c)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또는 4개의 측벽면(2a)~(2d) 모두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 홀더 장치.
KR1020137026113A 2011-03-02 2011-07-28 페이퍼 홀더 장치 KR101601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45295 2011-03-02
JP2011045295 2011-03-02
JP2011144749 2011-06-29
JPJP-P-2011-144749 2011-06-29
PCT/JP2011/067270 WO2012117582A1 (ja) 2011-03-02 2011-07-28 ペーパーホルダ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065A KR20130130065A (ko) 2013-11-29
KR101601079B1 true KR101601079B1 (ko) 2016-03-08

Family

ID=4675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113A KR101601079B1 (ko) 2011-03-02 2011-07-28 페이퍼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334357A1 (ko)
JP (1) JP5799450B2 (ko)
KR (1) KR101601079B1 (ko)
TW (1) TWI443021B (ko)
WO (1) WO2012117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6992B2 (en) 2013-03-15 2017-09-12 Vsi Import Solutions, Llc Electronic residential tissue dispenser
JP6167322B2 (ja) * 2014-04-11 2017-07-26 株式会社世界最速試作センター ペーパーホルダー
US9907441B2 (en) * 2014-04-18 2018-03-06 Vsi Import Solutions, Llc Electronic residential tissue dispenser
KR102066273B1 (ko) * 2015-06-15 2020-01-14 최미선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US11986134B2 (en) 2018-08-21 2024-05-21 Matsuo Industries, Inc. Sheet dispensing device
USD920232S1 (en) * 2019-03-08 2021-05-25 Brian Lewis Toilet paper holster charging station
WO2020204897A1 (en) 2019-03-29 2020-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olled product feed system
TWI700662B (zh) * 2019-11-07 2020-08-01 南開科技大學 應用物聯網的流動公廁維運系統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367A (ja) * 2005-07-05 2007-01-25 Shikoku:Kk ペーパー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23Y2 (ja) * 1989-02-13 1995-07-2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巻きおしぼりの製造装置
JPH0528290U (ja) * 1991-09-25 1993-04-16 正人 藤澤 ロール式自動トイレツトペーパー束出器
JPH076873Y2 (ja) * 1992-05-19 1995-02-22 勝 五味 ロールペーパー引出し切断装置
JPH06289U (ja) * 1992-06-18 1994-01-11 株式会社大矢根利器製作所 トイレットペーパー自動供給装置
JPH1035964A (ja) * 1996-07-22 1998-02-10 Brother Ind Ltd 用紙移送機構、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読取記録装置
JP2000287872A (ja) 1999-04-08 2000-10-17 Nissei Technica:Kk ロール紙自動繰り出し装置
JP3735014B2 (ja) * 2000-07-17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用紙切断機構及びこの用紙切断機構を有するプリンタ
JP3978323B2 (ja) 2001-09-05 2007-09-19 株式会社ニッセイテクニカ ロール紙自動繰り出し装置
KR200459113Y1 (ko) * 2009-06-10 2012-03-19 김득섭 화장실용 위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367A (ja) * 2005-07-05 2007-01-25 Shikoku:Kk ペーパー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43021B (zh) 2014-07-01
TW201244954A (en) 2012-11-16
JP5799450B2 (ja) 2015-10-28
KR20130130065A (ko) 2013-11-29
US20130334357A1 (en) 2013-12-19
JPWO2012117582A1 (ja) 2014-07-07
WO2012117582A1 (ja)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079B1 (ko) 페이퍼 홀더 장치
US8297160B2 (en) Hybrid towel dispenser
US8464976B2 (en) Dispenser load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loading a dispenser
US6848847B2 (en) Printer unit and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CN101143526B (zh) 带式打印装置
US8555761B2 (en) Paper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JP3978323B2 (ja) ロール紙自動繰り出し装置
JP2007014367A (ja) ペーパーホルダー
US20210196086A1 (en) Sheet dispensing device
WO2000060990A1 (fr) Dispositif distributeur automatique de papier en rouleau
EP2846669B1 (en) Paper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JP3644946B2 (ja) ロール紙自動繰り出し装置
CA2550357C (en) Hybrid towel dispenser
JP2012065957A (ja) ペーパーホルダー装置
JP7054943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
JP3006848B2 (ja) シートペーパー自動供給便座
JP2579782B2 (ja) シートカバー付便座
CA2541645A1 (en) Hybrid towel dispenser
JPH04170926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自動切断・供給装置
JPH073998Y2 (ja) シートペーパー供給装置
JP2699089B2 (ja) 便座の薄葉体載置装置
JPH01293825A (ja) 便座装置
JPH01293826A (ja) 便座装置
JPH01293824A (ja) 便座装置
JP2002255413A (ja) ロール紙巻取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