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389B1 -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389B1
KR101599389B1 KR1020140069406A KR20140069406A KR101599389B1 KR 101599389 B1 KR101599389 B1 KR 101599389B1 KR 1020140069406 A KR1020140069406 A KR 1020140069406A KR 20140069406 A KR20140069406 A KR 20140069406A KR 101599389 B1 KR101599389 B1 KR 10159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liding
metal support
convex structur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346A (ko
Inventor
유준일
김광곡
정유진
최광용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주)동서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기연 filed Critical (주)동서기연
Priority to KR102014006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1Use of special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3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8Methods of manufacture, e.g. shaping, applying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는 금속지지층과 상기 금속지지층 상단에 형성되는 활주층을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활주층이 형성되는 금속지지층의 상단면에는 상기 활주층이 활주방향에 대항하여 금속지지층에 인터록킹 결합되도록 활주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Sliding Bearing Assembly Enhanced Connecting Force Using Inter-locking of Metal Sheet with Surface Roughness}
본 발명은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끄럼 베어링은 금속지지층의 접동면에 고체윤활제를 매립하거나 주석계 비철합금, 납계 비철합금, 철계합금, 동계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구리-납계 합금, 합성수지 복합재 등의 라이닝층을 형성한 기계 요소로, 주로 발전소용 터빈 제네레이터 시스템, 선박 엔진, 터보 압축기, 자동차, 중장비, 공작기계, 산업용 회전 기계 등에서 저널, 가이드, 왕복 장치의 지지부 또는 슬라이딩부 등으로 사용되며, 그 형태 및 기능에 따라 부시형(원통형, 반원통형)과 평판형으로 나누어 진다.
이러한 미끄럼 베어링의 금속지지층에 비금속 라이닝층 (이하 활주층)이라 칭함)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통상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기계 가공을 통해 홈을 형성하여 금속지지층에 활주층을 접착시키는데 카본섬유 또는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가 포함된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가 섞여 있는 활주층과 금속지지층과의 접착력이 낮아 회전 기기 특성상 지속적인 마찰과 하중의 인가 그리고 진동 등의 가혹한 구동 조건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12242(베어링 부재용 활주층)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활주층과 금속지지층과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활주층과 금속지지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활주층과 금속지지층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면서도 미끄럼 베어링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는 금속지지층과 상기 금속지지층 상단에 형성되는 활주층을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활주층이 형성되는 금속지지층의 상단면에는 상기 활주층이 활주방향에 대항하여 금속지지층에 인터록킹 결합되도록 활주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활주층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금속지지층에 인터록킹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지지층의 미세 요철 구조의 표면 조도(Ra)는 1.0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 요철 구조는 상기 활주층의 활주시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되어 상기 금속지지층에 서로 다른 조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미세 요철 구조는 상기 활주층 활주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는 상기 미세 요철 구조는 상기 활주층의 활주시 발생하는 압력에 대응되어 상기 금속지지층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지지체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타공은 깊이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은 (A) 금속지지층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가공하는 단계; (B) 활주층(100)을 성형하는 단계; (C)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금속지지층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활주층을 접착제가 도포된 금속지지층 표면에 위치 시키는 단계; (E) 상기 활주층이 위치된 금속지지층을 가열 및 가압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E)단계는 상기 금속층을 히팅하여 접착제를 가열 경화시키는 단계(F)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는 금속지지층에 활주층이 활주방향에 대항되게 입체적으로 인터록킹 결합되어 활주층과 금속 지지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금속 지지층과 활주층과의 결합면적을 증가시켜 활주층과 금속지지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활주층에 발생하는 압력에 대응되게 금속지지층과 결합시킴으로써 금속지지층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면서도 내구성 저하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의 금속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다양한 요철구조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의 금속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요철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의 금속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타공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이하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로 칭한다)(1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10)는 크게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으로 이루어지며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층(200)이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금속 지지층(300)은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10)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주층(100)은 샤프트와 같은 구조체가 활주면에 지지되어 활주하는 층으로서 카본 또는 아라미드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활주층(100)이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사용되는 형태에 따라 다른 재질의 층이 결합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착층(200)은 상기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을 접착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접착제를 통해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접착제가 아닌 다양한 방법에 의해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을 결합하여 줄 수 있다.
즉, 상기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을 결합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여 줄 수 있으며 금속 지지층(300)에 활주층(100)을 직접 가압 성형하여 주는 형태로 형성하여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10)는 이와 같은 기본 구성을 가지며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을 추가적인 구성물없이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금속지지층과 활주층(100)이 평면 접착되는 형태가 아닌 입체적으로 접착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금속 지지층(300)에 상기 금속 지지층(300)의 두께 방향으로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접착제가 미세 요철 구조에 삽입 경화되어 금속 지지체(300)와 견고히 인터록킹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미세 요철구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줄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지지층(300)에 볼록부(302)와 오목부(304) 의 형태가 일정한 형태의 홈이 파진 형태(A~B), 금속 지지층(300)에 불규칙한 홈이 금속 지지층(300)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파진 형태(C~F)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는 미세 요철구조가 활주층(100)의 활주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활주층(100)의 활주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활주층(100)의 활주방향과 다른 방향인 금속 지지층(300)의 깊이 방향 또는 활주방향에 수직한 방향(L)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활주방향에 수직한 방향(L)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미세 요철구조가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홈형태로 형성될 때 미세 요철구조의 홈 형성방향이 도 1에 도시된 활주방향과 동일한 방향(W)으로 형성될 경우 인터록킹 효과가 떨어져 활주층(100)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활주방향에 수직하는 방향((L) 방향으로 형성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는 금속 지지층(300)에 접착제가 활주층(100)의 활주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미세 요철 구조에 삽입 경화된다.
따라서 접착층(200)이 활주층(100)을 활주시 발생하는 외력 방향에 대항하여 금속 지지층(300)에 인터록킹 결합시켜 주기 때문에 활주층(100)을 금속 지지층(300)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요철 구조로 인하여 금속 지지층(300)의 표면 단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단위당 접착력이 증가되고 표면 활성 면적을 증가시켜 접착을 위한 작용기가 함께 증가함으로 보다 강한 접착력을 확보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는 상기 미세 요철 구조의 조도(Ra)가 1.0 ㎛~ 4.00㎛인 것으로 형성된다.
측정기준 ISO 4386-2
구분 Ra 1.0 미만 Ra 1.0~1.5 Ra1.5~4.0 Ra4.0 초과
접착력-에폭시계 접착제(N/mm2) 5.0~12.9 13.0~19.9 20.0~35.0 18.0~22.0
접착력-아크릴계 접착제(N/mm2) 4.5~11.4 11.5~17.9 18.0~29.0 15.0~21.0
표 1은 이와 같은 조도에 따른 에폭시계 접착제의 접착력과 아크릴계 접착제의 접착력을 비교 실험한 결과로서 표1 에 나타난바와 같이 미세 요철 구조의 조도(Ra)는 1.0 ㎛~ 4.00㎛일 때 가장 효과적인 인터록킹 결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조도가 1.0 ㎛ 이하일 경우는 표면 단면적이 적고 표면 요철 형상에 따른 인터록킹 효과가 부족하여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 베어링 사용상의 높은 하중 등이 인가 되었을때 활주층(100)과 금속 지지층(300)이 분리 될 수 있는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조도가 4.0㎛ 을 초과 할 영우 금속 지지층(300) 표면의 금속 자체의 파손으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는 활주층(100)의 활주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미세 요철 구조가 조도(Ra) 1.0 ㎛~ 4.00㎛로 형성되기 때문에 견고히 활주층(100)을 금속 지지층(300)에 결합함과 동시에 내구성 또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10)의 금속지지체(300) 상에 형성되는 요철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는 미세요철구조가 금속 지지층(300)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 3은 상기 금속 지지층(300)의 넓이 방향(W)의 단면도로서 금속 지지층(300)의 중심부(310)는 낮은 조도(RA)로 미세요철구조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312)은 높은 조도로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금속 지지층(300)의 넓이 방향(W)의 단면도로서 금속 지지층(300)의 중심부(320)는 홈이 파진 형태로 미세요철구조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322)은 원호가 파진 형태로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다.
이는 활주층(100)에 샤프트와 같은 구조체가 활주시 활주 형태 또는 구조체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은 동적, 정적 하중이 활주층(100)에 형성되는데 하중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조도 또는 홈이 크지 않은 형태로 형성하여 주고 하중이 적게 발생하는 부분은 조도 또는 큰 홈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인터록킹 및 단면적 증가에 따른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는 활주층(100)에 발생하는 압력에 대응되게 금속 지지층(300)의 미세요철 구조의 조도 또는 형상을 다르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높이면서도 활주층(100)을 금속 지지층(300)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지지층(300)의 미세 요철 구조를 활주층(100) 활주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요철 구조가 활주층(100) 활주 방향에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활주층(100)의 활주시 발생되는 압력에 더욱 견고히 대항하여 활주층(100)을 금속 지지층(300)에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의 금속 지지체(300) 상에 형성되는 타공(330)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타공(330)은 접착제가 타공에 삽입된 후 경화되어 지지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활주층(100)을 금속 지지층(300)에 더욱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타공(330)의 형상은 바람직하기로는 타공(330)은 깊이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단면 형상(332, 333)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금속 지지층(300)에 타공을 형성하여 주고 활주층(100)에 금속 지지층(300)에 형성된 타공에 대응되는 타공을 형성하여 준 후 지지바(도시하지 않음)를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의 타공에 각각 삽입 고정하여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을 견고히 지지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은 이와 같은 본 발명만의 기술적 특징들을 통해 활주층(100)을 금속 지지층(300)에 견고히 결합시킴과 동시에 내구성 또한 높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미세 요철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하여 표현하였을뿐 이와 같은 확대 구조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이와같은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A) 금속 지지층(300)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가공하는 단계; (B) 활주층(100)을 성형하는 단계; (C)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금속 지지층(300)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활주층(100)을 접착제가 도포된 금속지지층(300) 표면에 위치 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활주층(100)이 위치된 금속 지지층(300)을 가열 및 가압 경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금속 지지층(300)의 표면을 기계 가공을 통해 평탄하게 형성하여 준 다음 Sand paper, blasting, etching, Acid Treatment 가공등을 통해 금속 지지층(300)에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주며 미세 가공 정도를 조절하여 알맞은 조도 또는 형상을 형성하여 준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조 가공, 기계가공 또는 그 외의 물리적 방법에 의해 금속 지지층(300)에 미세 요철구조를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지지층(300)에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준 후 카본 또는 아라미드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가 혼합된 활주층(100)을 성형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금속 지지층(30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준 후 활주층(100)을 접착제가 도포된 금속 지지층(300)위에 위치 시킨 후 가열 및 가압의 경화 사이클에 의해 접착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상기 금속지지층(300)을 히팅하여 접착제를 가열 경화시키는 단계(F)를 통하여 금속 지지층(300)과 활주층(1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결합시키며 가압 경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열을 전달하면서 같이 금속 지지층(300)을 직접 가열시켜 열을 접착제에 전달하여 접착제의 경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 지지층(300)을 직접 가열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작됨으로써 제작비용, 시간을 줄이면서도 금속지지층에 활주층(100)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미끄럼 베어링 구조체 100: 활주층 200: 접착층
300: 금속 지지층 302: 볼록부 304: 오목부
330: 타공

Claims (10)

  1. 금속지지층과 상기 금속지지층 상단에 형성되는 활주층을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활주층이 형성되는 금속지지층의 상단면에는 상기 활주층이 활주방향에 대항하여 금속지지층에 인터록킹 결합되도록 활주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미세 요철 구조는 상기 활주층에 샤프트와 같은 구조체 활주시 상기 구조체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되어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중심부는 상기 중심부의 주변부보다 낮은 조도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 요철 구조의 표면 조도(Ra)는 1.0 ㎛~ 4.00㎛이며,
    상기 미세 요철 구조는 상기 활주층 활주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층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금속지지층에 인터록킹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 구조는 상기 활주층의 활주시 발생하는 압력에 대응되어 상기 금속지지층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층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은 깊이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9. (A) 금속지지층 표면에 표면 조도(Ra)는 1.0 ㎛~ 4.00㎛이며 활주층 활주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미세 요철 구조를 가공하는 단계;
    (B) 활주층을 성형하는 단계;
    (C) 미세 요철 구조가 형성된 금속지지층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활주층을 접착제가 도포된 금속지지층 표면에 위치 시키는 단계;
    (E) 상기 활주층이 위치된 금속지지층을 가열 및 가압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금속지지층을 히팅하여 접착제를 가열 경화시키는 단계(F)를 더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KR1020140069406A 2014-06-09 2014-06-09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KR10159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06A KR101599389B1 (ko) 2014-06-09 2014-06-09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06A KR101599389B1 (ko) 2014-06-09 2014-06-09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46A KR20160003346A (ko) 2016-01-11
KR101599389B1 true KR101599389B1 (ko) 2016-03-03

Family

ID=5516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406A KR101599389B1 (ko) 2014-06-09 2014-06-09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019A (ja) * 2003-10-07 2005-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すべり軸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076B2 (ja) * 1992-04-16 2000-04-10 株式会社東芝 スラスト軸受
JP3306278B2 (ja) * 1995-11-20 2002-07-24 株式会社明電舎 スラスト軸受
JP3962103B2 (ja) * 1996-02-02 2007-08-22 株式会社明電舎 スラスト軸受
AT503986B1 (de) 2006-08-02 2008-05-15 Miba Gleitlager Gmbh Laufschicht für ein lagere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019A (ja) * 2003-10-07 2005-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すべり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46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6911B2 (en) Composite disc brake backing plate
CN101304932B (zh) 缓冲垫及其制造方法
US20120152667A1 (en) Brake Pad Assembly with Embedded Shim
JP2018519185A (ja) 軽量建造物要素における固定
JP2020503483A5 (ko)
US20180231033A1 (en) Film for Increasing Friction Between Two Frictionally Connected Components
TW201643328A (zh) 具有預形成多層摩擦墊及墊片之煞車墊
CN103671434B (zh) 用于将部件紧固到基座材料上的螺栓、方法以及螺栓布置
US9759247B2 (en) Structural component
KR20070084265A (ko) 댐퍼 플레이트를 가진 브레이크 라이닝
CN106133377A (zh) 带通用垫片的制动垫块组件
US20150165722A1 (en) Laminated composi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
KR101599389B1 (ko) 금속지지층 표면 조도 인터록킹을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WO2009039526A3 (en) Sheet of material with fluid-resistant bend controlling displacement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17001317A (ja) 複合体の製造方法
JP2853311B2 (ja) 動圧みぞ付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5146A (ko) 금속 지지층 타공 구조를 통한 결합력 강화 미끄럼 베어링 조립체
US20100122498A1 (en) Abrasive Sheet Including An Abrasive Layer
JP2007211405A (ja) 摺動用シートおよび滑り支持装置
US10569494B2 (en) Multilayer metal composite and brake pad including same
JP2000104771A (ja) ブレーキシュー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9284631A5 (ko)
KR101811877B1 (ko) 자동차 용도의 클러치용 건식 마찰 라이닝
JPH0219332B2 (ko)
KR101147899B1 (ko) 박판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