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899B1 - 박판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박판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899B1
KR101147899B1 KR1020090128674A KR20090128674A KR101147899B1 KR 101147899 B1 KR101147899 B1 KR 101147899B1 KR 1020090128674 A KR1020090128674 A KR 1020090128674A KR 20090128674 A KR20090128674 A KR 20090128674A KR 101147899 B1 KR101147899 B1 KR 10114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lower die
electromagnetic force
coil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940A (ko
Inventor
정창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2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8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6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high energy impulses, e.g. magnet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동종 박판 또는 이종 박판을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박판 결합 장치가 소개된다.
이 박판 결합 장치는 일정한 단면을 갖는 홈(110)이 형성된 하부 다이(100)와, 상기 하부 다이(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10)이 구비된 전자 펀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210)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하부 다이(100)와 상기 전자 펀치(20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겹쳐진 박판(P)을 소성변형시켜 결합시킨다.
박판, 결합, 전자기력, 기하학적 구속

Description

박판 결합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THIN PLATE}
본 발명은 박판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동종 박판 또는 이종 박판을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박판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판과 박판을 결합시킬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키고자 하는 박판(P)을 중첩시켜 다이(10)와 펀치(20) 사이에 위치시키고, 펀치(20)를 하 방향(A)으로 타발하여 중첩된 박판(P)이 다이(10)에 형성된 그루브(11a)를 가지는 홈(11)에 함입되며 소성변형되도록 하여 박판(P)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그루부(11a)에서 박판(P)이 유동하여 박판(P)과 박판(P)의 결합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기하학적 구속부(R)가 형성되며, 이로써 박판(P)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박판(P)간의 결합 강도는 상기 기하학적 구속부(R)의 기하학적 구속량(S)에 비례하여 증가하는데, 상기 펀치(20)는 타발후 상기 박판(P) 및 다이(10)로부터 이탈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하학적 구속량(S)을 늘리기 위해 펀치(20) 및 다이(10)의 형상을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할 수는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정 한 도 이상으로 박판(P)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없었고, 과도한 펀치하중에 의해 결합된 박판(P)의 두께(T)가 감소하여 결합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박판을 결합함으로써, 박판과 박판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기하학적 구속부의 기하학적 구속량을 증가시켜 박판의 결합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박판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판 결합 장치는, 상기 하부 다이의 상측에 위치하고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구비된 전자 펀치; 상기 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하부 다이와 상기 전자 펀치(20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겹쳐진 박판(P)을 소성변형시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로부터 발생된 전자기력은 상기 결합되는 박판(P)간의 기하학적 구속량(S)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다이에 형성된 홈의 측면을 향해서도 하중을 가한다.
상기 하부 다이에 형성된 홈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박판 결합 장치에 따르면,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박판을 결합함으로써, 박판과 박판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기하학적 구속부의 기하학적 구속량 이 증가되어 박판의 결합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판 결합 장치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되, 앞서 설명된 도 1 및 도 2를 부분적으로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판 결합 장치는 하부 다이(100)와 전자 펀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다이(100)에는 일정한 단면을 갖는 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홈(110)은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펀치(200)는 상기 하부 다이(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그 내부에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10)이 구비된다. 이 코일은 외부 전원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부 다이(100)와 전자 펀치(200) 사이에 결합하고자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겹쳐진 박판(P)을 위치시키고, 상기 전자 펀치(200)를 작동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코일(210)로부터 발생된 전자기력이 상기 겹쳐진 박판(P)에 대해 화살표(E)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상기 겹쳐진 박판(P)을 상기 하부 다이(100)의 홈(110)에 함입시켜 유동되도록 하여 소성변형시킨다. 여기서, 상기 겹쳐진 박판(P)은 동종 박판(P)일 필요는 없으며, 이종 박판(P)인 경우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전자기력은 화살표(E)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 다이(100)에 형성된 홈(110)의 측면(111)까지 하중이 가해질 수 있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박판(P)과 박판(P)의 결합부에 형성된 기하학적 구속부(R)의 기하학적 구속량(S)이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보다 더욱 증가하게 됨으로써 박판(P)간의 결합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부 다이(100)의 홈(110)의 측면(111)에 가해진 하중은 결합된 박판(P)의 내측 하부에 종래의 다이(10)와 펀치(20)를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구현될 수 없없던 언더컷 형상의 함입부(C)를 형성하여 박판(P)간의 결합강도가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함입부(C)가 형성되면서 결합된 박판(P)의 두께(T) 또한 두꺼워질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문제시되었던 두께(T) 감소로 인한 결합강도의 저하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다이(100)에 형성된 홈(110)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전자 펀치(200)로부터 발생된 전자기력이 상기 홈(110)의 측면(111)에 균일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된 박판(P)의 결합강도를 최대한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박판 결합 장치에 따르면,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박판을 결합함으로써, 박판과 박판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기하학적 구속부의 기하학적 구속량이 증가되고, 언더컷 형상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박판의 결합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 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박판 결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박판 결합 장치에 의해 결합된 박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판 결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판 결합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판 결합 장치에 의해 결합된 박판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 다이 110 : 홈
111 : 측면 200 : 전자 펀치
210 : 코일 P : 박판
R : 기하학적 구속부 S : 기하학적 구속량

Claims (3)

  1. 일정한 단면을 갖는 홈(110)이 형성된 하부 다이(100);
    상기 하부 다이(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10)이 구비된 전자 펀치(200);
    상기 코일(210)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하부 다이(100)와 상기 전자 펀치(20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겹쳐진 박판(P)을 소성변형시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210)로부터 발생된 전자기력은 상기 결합되는 박판(P)간의 기하학적 구속량(S)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다이(100)에 형성된 홈(110)의 측면(111)을 향해서도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결합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다이(100)에 형성된 홈(110)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결합 장치.
KR1020090128674A 2009-12-22 2009-12-22 박판 결합 장치 KR101147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674A KR101147899B1 (ko) 2009-12-22 2009-12-22 박판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674A KR101147899B1 (ko) 2009-12-22 2009-12-22 박판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940A KR20110071940A (ko) 2011-06-29
KR101147899B1 true KR101147899B1 (ko) 2012-05-24

Family

ID=4440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674A KR101147899B1 (ko) 2009-12-22 2009-12-22 박판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088B1 (ko) * 2019-11-26 2021-03-30 (주)호원테크 경량화 전자기펄스 접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9786B (zh) * 2020-06-12 2021-04-27 中南大学 超声振动辅助的电磁锁焊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2185A (ja) * 1982-11-17 1984-05-28 Hitachi Ltd 拡散接合方法
KR20020027111A (ko) * 2000-10-06 2002-04-13 윤덕용 박판페어의 기계적 접합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2185A (ja) * 1982-11-17 1984-05-28 Hitachi Ltd 拡散接合方法
KR20020027111A (ko) * 2000-10-06 2002-04-13 윤덕용 박판페어의 기계적 접합을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088B1 (ko) * 2019-11-26 2021-03-30 (주)호원테크 경량화 전자기펄스 접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940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53579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20160027071A (ko) 적어도 2개의 박판 부품의 결합 방법
JP5276817B2 (ja) 金属接合体、金属接合方法、及び、金属接合装置
KR20120067291A (ko) 초음파 접합 장치
JP2015213945A (ja) 超音波接合方法
CN108115300A (zh) 连接由不同材料构成的构件的方法
CN110064836B (zh) 接合构造体以及接合方法
KR101147899B1 (ko) 박판 결합 장치
JP6161198B2 (ja) 異材接合方法
KR20110131826A (ko)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
JP5724568B2 (ja) 金属部材の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039203A1 (en) Metal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laminate
CN109396633A (zh) 超声波接合夹具、超声波接合方法和接合结构
JP2009295705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22628A (ja) 金属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金属接合体
US10391584B2 (en) Ultrasonic bonding jig, ultrasonic bonding method, and bonding structure
JP5109545B2 (ja) 積層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9166562A (ja) 接合体の製造方法
JP2021510938A (ja) 金属薄板部材同士を結合して積層鉄心を形成する方法
KR20160080364A (ko) 셀프 피어싱 리벳,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
JP2016078093A (ja) 接合構造体及び音波又は超音波接合方法
JP5395035B2 (ja) 金属材の接合方法
KR20180044622A (ko) 이종소재 접합 구조체 및 접합 방법
JP2024000711A (ja) 接合方法
JP2008278610A (ja) 積層鉄心製造用順送り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