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443B1 -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443B1
KR101598443B1 KR1020150022056A KR20150022056A KR101598443B1 KR 101598443 B1 KR101598443 B1 KR 101598443B1 KR 1020150022056 A KR1020150022056 A KR 1020150022056A KR 20150022056 A KR20150022056 A KR 20150022056A KR 101598443 B1 KR101598443 B1 KR 10159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at cover
cushion sheet
cushi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현
Original Assignee
김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현 filed Critical 김만현
Priority to KR102015002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져 정렬된 쿠션 시트지를 들어 올려 점착 시트에 의해 점착층이 형성된 쿠션 시트의 하부 점착면 만을 전열히터로 가열한 후 압착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시트 커버의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지의 열손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쿠션 시트가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이 노출 형성되게 재단 및 배열되어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봉제 접합면 통해 시트 커버의 봉제 접합 과정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SEAT COVER FOR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시트 커버를 제조시 시트 커버의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지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트 커버의 봉제 접합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를 감싸도록 봉제 접합되는 시트 커버는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지와 시트 커버지 배면에 덧대어지는 쿠션 시트를 점착 수지와 열을 이용해 접합하는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식으로 제조된다.
종래 시트 커버 제조시 사용되는 라미네이팅 방식은 크게 핫 멜트(Hot melt) 방식과 가열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17143호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작 방법"에서는 핫 멜트 접착제를 스펀지 소재의 쿠션 시트에 도포하여 건조한 후 가죽 소재의 시트 커버지과 함께 가열로 내에서 가압하여 접착하는 전술한 핫 멜트 방식이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핫멜트 방식은 사용되는 핫 멜트 접착제의 특성상 140~180℃ 조건에서 약 30초간 가열 및 가압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고온 가압 조건에서는 가죽 소재의 시트 커버지가 경화되어 강연도가 떨어지고 신축성도 저하되어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633호의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에서는 불꽃 등으로 스펀지 소재의 쿠션 시트 표면을 가열하여 녹이고 이렇게 가열에 의해 생성된 액상의 점착제를 가죽 소재의 시트 커버지 배면에 붙인 상태에서 한 쌍의 롤러를 통과시켜 스펀지 소재의 쿠션 시트와 가죽 소재의 시트 커버지를 접합하는 가열 라미네이팅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가열 라미네이팅 방식은 폴리에스터 섬유 소재의 쿠션 시트를 가죽 소재의 시트 커버지에 접합하고자 하는 경우 폴리에스터 섬유를 불꽃 등을 이용하여 가열하게 되면 폴리에스터 섬유가 분해되어 버리거나 점착을 위한 용융액을 형성하지 못하여 라미네이팅이 매우 어렵고 섬유 간의 결속력이 약해 가죽에서 쉽게 분리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한 라미네이팅 방식들의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791호의 "가열 압착을 이용한 가죽과 폴리에스터 다층 견면의 라미네이팅 방법"에서는 기존의 핫-멜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가열 압착 라미네이팅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가죽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열 라미네이팅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선된 가열 라미네이팅 방식 역시 폴리에스터 다층 견면 소재의 쿠션 시트의 외측을 가열 장치로 녹인 상태로 가죽 소재의 시트 커버지와 함께 가압 롤러를 통과시켜 가죽 배면에 폴리에스터 다층 견면을 융착시키기 때문에 쿠션 시트를 이루는 소재에 따라 가열 장치로 가열하더라도 융착액을 형성하지 못하여 라미네이팅이 자체가 어려워지고 결속력이 약해 가죽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쿠션 시트를 이루는 소재 자체를 녹여 융착시키기 때문에 쿠션 시트의 융착부가 경화되어 쿠션 시트를 가죽에 덧대어 얻고자 하는 쿠션성과 신축성 향상 효과를 반감시키게 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 라미네이팅 방식들을 적용해 시트 커버를 제조시 쿠션 시트가 시트 커버지의 배면 전부를 덮도록 합지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트 커버 형상을 재단해 내도록 함으로써 시트 커버 재조시 재료 손실률을 높이게 되고, 시트 커버들의 봉제 접합이 이루어지는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부가 쿠션 시트로 덮여 봉제 접합부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봉제 접합 과정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시트 커버의 접합부에 불필요한 주름이나 굴곡들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시트 커버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되 제조 과정에서 시트 커버의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지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시트 커버의 봉제 접합 과정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0017143호(공개일자 1996.06.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633호(등록일자 2004.03.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3506호(등록일자 2014.01.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719호(등록일자 2014.05.13)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커버를 제조시 시트 커버의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지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트 커버의 봉제 접합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는,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 일부를 이루도록 재단 형성되는 시트 커버지; 및 상기 시트 커버지의 가장지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을 갖도록 재단되고, 상기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점착층을 이루는 점착 시트를 가열한 후 상기 봉제 접합면이 노출 형성되게 상기 시트 커버지의 배면 상에 올려져 압착 고정되는 쿠션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 커버지는 천연 가죽, 인조 가축, 합성 가죽 또는 직물지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시트는 직포, 부직포, 솜, 인조솜 또는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시트에 적층 형성되는 점착 시트는 면상 웹본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윕본드는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해 상기 쿠션 시트의 상기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일체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 일부를 이루도록 상기 시트 커버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이 형성되게 상기 쿠션 시트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쿠션 시트를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 상기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봉제 접합면이 노출 형성되게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상태로 상기 쿠션 시트를 상기 시트 커버지의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단계;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와 상기 시트 커버지 사이로 전열히터를 통과시켜 상기 쿠션 시트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구비된 점착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시트가 가열된 상기 쿠션 시트를 정렬된 상태로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 일체로 압착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항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는 상기 쿠션 시트가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져 정렬된 상태로 시차를 두고 단속 이동시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상기 쿠션 시트를 압착 고정시켜 완성된 상기 시트 커버를 이송 배출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길이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어 공급된 상기 쿠션 시트를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를 다시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정렬된 상태로 내려 압착 고정되게 가압하는 승강 압착부; 및 상기 이송부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 커버지와 상기 승강 압착부를 통해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쿠션 시트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 형성된 상기 점착 시트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압착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승강 이송 수단을 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 공급된 상기 쿠션 시트의 집어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바늘들이 돌출 형성되는 니들 플레이트;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서 가압 이송 수단을 통해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를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키도록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니들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된 다수의 바늘들이 대응되게 바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압착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늘들의 외주면 상에는 복수의 미늘들이 돌출 또는 요홈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 이송 수단은 기어드 모터; 상기 기어드 모터를 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치형 결합되는 가동 플레이트;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연동 가능하게 상기 니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가동축;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이송 수단은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1 가동축들을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가동 실린더를 통해 수직 이동시킬 수 있게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가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설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터 이송 트레이;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전열 히터; 및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를 벨트 컨베이어와 압착 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하도록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전열 히터로 상기 니들 플레이트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구비된 점착 시트를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 이송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이송 수단은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를 연결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 및 상기 타이밍 벨트를 통해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를 왕복 이송시키는 히터 이송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시트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져 정렬된 쿠션 시트지를 들어 올려 점착 시트에 의해 점착층이 형성된 쿠션 시트의 하부 점착면 만을 전열히터로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시트 커버의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지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쿠션 시트가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이 노출 형성되게 재단 및 배열하여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봉제 접합면 통해 시트 커버의 봉제 접합 공정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용 시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자동자용 시트 커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에 대한 제조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 부분을 확대 도시한 정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정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1의 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평단면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6의 승강 압착부 및 가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 대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용 시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자동자용 시트 커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커버(1)는 시트 커버지(10)와 쿠션 시트(20)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 시트(21) 통해 서로 층을 이루며 일체로 압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시트 커버지(10)는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 일부를 이루도록 다양한 조각 형태로 재단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시트 커버지(10)는 천연 가죽, 인조 가축 또는 합성 가죽을 포함하는 통상의 가죽 소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나, 시트 커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점착 시트(21)에 의해 점착층이 형성된 쿠션 시트(20)만을 분리하여 가열한 후 시트 커버지(10) 상에 올려 압착 고정하기 때문에 시트 커버지(10)를 상기한 가죽 소재들 이외에도 열에 약한 직물지 소재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쿠션 시트(20)는 시트 커버지(10)의 가장지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11)을 갖도록 재단 형성되고, 상기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점착층을 이루는 점착 시트(21)를 가열한 후 상기 봉제 접합면(21)이 노출 형성되게 상기 시트 커버지(10)의 배면 상에 올려져 압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쿠션 시트(20)는 점착 시트(21)를 통해 시트 커버와의 접합에 필요한 점착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직포, 부직포, 솜, 인조솜 또는 스펀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다양한 소재들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점착 시트(21)는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s Resin)로 이루어 면상 웹 본드(Web Bond) 구성될 수 있으며, 웹 본드는 상기한 쿠션 시트(20)의 제조 과정에서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해 쿠션 시트(20)의 상기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점착층을 형성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설명에서 쿠션 시트(20)와 점착시트(21)에 대한 용어를 따로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는 한 쿠션 시트(20)는 점착 시트(2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하나의 반제품을 의미하며, 점착 시트(21)는 쿠션 시트(21)에 형성된 점착층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1)는 쿠션 시트(20)가 시트 커버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11)이 노출 형성되게 적층됨에 따라 완성된 각 부분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1)들을 봉제 접합하여 자동차용 시트를 제작 시, 상기한 봉제 접합면(11)을 통해 이들의 봉제 접합 공정의 좀더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봉제 접합된 부분의 두께가 얇아져 불필요하게 발생된 주름이나 불규칙한 굴곡 등에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 형상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에 대한 제조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에 대한 제조 과정은 시트 커버지 재단 단계(ST10), 쿠션 시트 재단 단계(ST20), 정렬 단계(ST30), 쿠션 시트 수직 이송 단계(ST40), 점착 시트 가열 단계(ST50) 및 압착 단계(ST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시트 커버지 재단 단계(ST10)에서는 천연 가죽, 인조 가죽, 합성 가죽 또는 직물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커버지 원단으로부터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 이루는 각 부분들에 대응되게 제작된 제1 목형틀의 재단날을 이용해 상기한 시트 커버지(10)를 재단하도록 한다.
쿠션 시트 재단 단계(ST2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포, 부직포, 솜, 인조솜 또는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층되어 만들어진 쿠션 시트 원단으로부터 재단된 상기 시트 커버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11)이 형성하도록 사이즈 조절되어 제작된 제2 목형틀의 재단날을 이용해 상기 쿠션 시트(20)를 재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쿠션 시트 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해 면상 웹본드로 이루어진 점착 시트(21)를 일측면에 일체로 접합하여 하나의 점착층을 이루도록 제작되어 공급된다.
정렬 단계(ST30)에서는 쿠션 시트(20)를 시트 커버지(30) 상에 올려 상기 시트 커버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봉제 접합면(11)이 노출 형성되게 정렬한다.
쿠션 시트 수직 이송 단계(ST40)에서는 쿠션 시트(20)의 정렬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쿠션 시트(20)를 시트 커버지(10)로부터 이격되게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리도록 한다.
가열 단계(ST50)에서는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쿠션 시트(20)와 시트 커버지(10) 사이로 전열히터(143: 도 5 및 도 6 참조)를 통과시켜 쿠션 시트(20)의 시트 커버 대향면에 점착층을 이루는 점착 시트(21)를 가열하여 점착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압착 고정 단계(ST60)에서는 점착 시트(21)가 가열된 쿠션 시트(20)를 시트 커버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11)이 형성되게 정렬된 상태로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 일체로 압착 고정시켜 상기한 자동차 시트 커버를 완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은 전열히터(143)로 쿠션 시트(20)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 시트(21)만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시트 커버지(1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시트 커버지(10)를 이루는 천연 가죽, 인조 가축, 합성 가죽 또는 직물지 등이 경화되어 강연도가 떨어지고 신축성도 저하되는 등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에 따른 제조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제작된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100)를 첨부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100)는 전술한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과정 중에서 정렬 단계(ST30), 쿠션 시트 수직 이송 단계(ST40), 점착 시트 가열 단계(ST50) 및 압착 단계(ST60)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01) 상에 이송부(110), 승강 압착부(120) 및 가열부(140)를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6과 함께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송부(110)는 투입구쪽에 연장 형성되는 작업대(112)로부터 배출구를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게 설치되는 제1 벨트 컨베이어(111)와 제2 벨트 컨베이어(115)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부(110)는 서로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제1 벨트 컨베이어(111)와 제2 벨트 컨베이어(115)를 통해 작업대(112)에서 쿠션 시트(20)가 시트 커버지(10) 상에 올려져 정렬된 상태로 승강 압착부(120)쪽으로 시차를 두고 단속적으로 이동 시켜 공급함과 아울러, 승강 압착부(120)를 통해 시트 커버지(10) 상에 쿠션 시트(20)를 압착 고정시켜 완성된 자동차용 시트 커버(1)를 배출구 쪽으로 이송 배출시키도록 한다.
특히, 제1 벨트 컨베이어(111)를 통해 작업대(112)로부터 쿠션 시트(20)가 시트 커버지(10) 상에 올려져 정렬된 상태로 승강 압착부(120) 쪽으로 이송된 이후에는 승강 압착부(120) 및 가열부(140)를 통해 전술한 쿠션 시트 수직 이송 단계(ST40)와, 점착 시트 가열 단계(ST50) 및 압착 고정 단계(ST60)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단속 이송되게 상측에 구비된 컨트롤러(105)를 통해 구동 제어된다.
도 8은 도 6의 Ⅷ 부분을 확대 도시한 정단면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자동자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과 함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승가 압착부(120)는 승강 이송 수단(125)을 통해 제1 벨트 컨베이어(111)의 상측에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니들 플레이트(121)와, 제1 벨트 컨베이어(111)와 니들 플레이트(121) 사이에서 가압 이송 수단(135)을 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니들 플레이트(121)는 승강 이송 수단(125)을 통해 이송 공급된 쿠션 시트(20)의 집어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바늘들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니들 플레이트(121)에 구비된 다수의 바늘(121a)들은 이들에 대응되게 압착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바늘 관통공(131)을 통과해 쿠션 시트(20)의 상면을 집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니들 플레이트(121)의 승강 이송 수단(125)은 기어드 모터(126), 가동 플레이트(127) 및 복수의 제1 가동축(1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플레이트(127)는 하부가 기어드 모터(126)를 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치형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1 가동축(128)들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두고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 플레이트(127)와 연동 가능하게 니들 플레이트(121)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니들 플레이트(121)는 컨트롤러(105)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기어드 모터(126)의 회전 방향과 회전 량에 따라 이를 연결하는 가동 플레이트(127)와 제1 가동축(128)들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바닥면에 구비된 바늘(120a)들을 이용해 쿠션 시트(20)의 상면을 집어 시트 커버지(10) 상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직 상방으로 이격되게 들어 올려 가열부(140)를 통해 상기 점착 시트 가열 단계(ST50)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니들 플레이트(121)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늘(120a)들의 외주면 상에는 복수의 미늘들이 돌출 또는 요홈지게 형성하여 이를 통해 용이하게 쿠션 시트를 집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6의 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정단면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1의 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평단면 개략도이다.
도 6과 함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열부(140)는 니들 플레이트(121)를 통해 들어 올려진 쿠션 시트(20)의 하부를 통과하며 쿠션 시트(20)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점착층을 형성된 점착 시트(21)를 가열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141), 히터 이송 트레이(142), 전열 히터(143) 및 히터 이송 수단(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히터 이송 트레이(142)는 제1 벨트 컨베이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설되는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열 히터(143)는 하부 단열된 상태로 히터 이송 트레이(14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히터 이송 수단(145)은 전열 히터(143)가 설치된 히터 이송 트레이(142)를 제1 벨트 컨베이어(111)의 상면과 압착 플레이트(130) 사이를 통과하도록 왕복 이동시켜 전열 히터(143)로 니들 플레이트(121)에 의해 들어 올려진 쿠션 시트(20)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구비된 점착 시트(21)를 가열하도록 한다.
여기서, 히터 이동 수단(145)은 히터 이송 트레이(142)를 연결하며 제1 벨트 컨베이어(111)의 이송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146)와, 상기 타이밍 벨트(146)를 통해 전열 히터(143)가 설치된 히터 이송 트레이(142)를 왕복 이송시키도록 컨트롤러(105)를 통해 가동 제어되는 히터 이송 모터(147)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6과 함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열부(140)의 가열 히터(143)를 통해 들어 올려진 쿠션 시트(20)의 점착 시트(21)를 가열한 이후에는 니들 플레이트(121)를 내려 점착 시트(21)가 가열된 쿠션 시트(20)를 다시 시트 커버지(10)의 가장지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11)이 형성되게 시트 커버지(10) 상에 올려지게 정렬한 후, 가압 이송 수단(135)을 통해 제1 가동축(128)들을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 플레이트(130)를 통해 눌러 쿠션 시트(20)가 시트 커버지(10) 상에 압착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가압 이송 수단(135)는 가동 플레이트(127)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 실린더(136)와, 가동 실린더(136)를 통해 가압 플레이트(130)를 제1 가동축(128)들을 따라 수직 이동시킬 수 있게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가동축(137)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 압착부(120)의 압착 플레이트(130)를 통해 시트 커버지(10) 상에 쿠션 시트(20)를 압착 고정시켜 완성된 자동차 시트 커버(1)는 이송부(110)의 제1 벨트 컨베이어(111) 및 이에 연속되게 설치되는 제2 벨트 컨베이어(115)를 통해 배출구로 이송 배출되게 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통해 상기한 자동차 시트 커버 제조 장치(100)의 승가 압착부(120) 및 가열부(140)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및 도 13은 도 6의 승강 압착부 및 가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 대략도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구쪽 작업대(112) 상에서 시트 커버지(10) 상에 올려져 정렬된 쿠션 시트(20)는 시트 커버지(10)와 함께 제1 벨트 컨베이어(111)를 타고 승강 압착부(120)로 이송 공급되어 정지된다.
니들 플레이트(121)는 기어드 모터(126)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려져, 쿠션 시트와 시트 커버지가 압착 플레이트와 니들 플레이트에 의해 간섭 받지 않고 제1 벨트 컨베이어 통해 이송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압착 플레이트(130)는 가압 실린더(136)에 의해 제1 가동축(128)들의 축선을 따라 밀어 올려져 니들 플레이트(121)와 포개진 상태를 유지하며 하게 된다.
도 12의 (b)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드 모터(126) 통해 니들 플레이트(121)를 하향 이동시켜 압착 플레이트(130)의 바늘 관통공(131)을 통과한 바늘(121a)들을 이용해 쿠션 시트의 상면을 집은 후, 다시 기어드 모터(126) 통해 니들 플레이트(121)와 함께 압착 플레이트(130)를 밀어 올려 바늘(121a)들에 의해 쿠션 시트(20)를 시트 커버지로부터 이격되게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때, 니들 플레이트(121)에 형성된 바늘(121a)들에 의해 시트 커버지(10)가 손상되지 제1 벨트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니들 플레이트(121)를 하향 이송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이송 트레이(142)를 니들 플레이트(121)에 의해 집어 올려진 쿠션 시트(20) 하부를 통과하도록 왕복 이동시켜, 히터 이송 트레이(142) 상부에 구비된 전열 히터(143)로 점착 시트(21)에 의해 점착층이 형성된 쿠션 시트(20)의 하부 점착면을 가열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 히터(143)를 통해 점착 시트(21) 가열한 이후, 다시 기어드 모터(126)를 통해 압착 플레이트(130)가 포개진 상태로 니들 플레이트(121)를 하향 이동시켜 니들 플레이트(121)에 의해 들어 올려졌던 쿠션 시트(20)를 시트 커버지(10) 상에 처음 정렬되었던 상태 내려 놓는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실린더(136)를 통해 니들 플레이트(121)에 포개져 있던 압착 플레이트(130)를 제1 가동축(128)들을 따라 하향 이동시켜, 가압 플레이트(130)를 통해 시트 커버지(10) 상에 내려 놓은 쿠션 시트(20)를 가압하며 가열된 점착 시트(21)에 의해 쿠션 시트(20)가 시트 커버지(10) 상에 점차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실린터(136)를 통해 압착 플레이트(130)를 제1 가동축(128)들의 축선을 따라 밀어 올려 니들 플레이트(121)와 포개진 상태를 만들고, 기어드 모터(126)로 압착 플레이트(130)와 함께 니들 플레이트(121)를 상향 이동시켜 완성된 자동차용 시트 커버(1)가 컨트롤러(105)를 통해 재가동되는 제1 벨트 컨베이어(111)를 타고 배출구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시트 커버 장치(100)는 이송부(110)를 통해 쿠션 시트(20)가 시트 커버지(10) 상에 올려져 정렬된 상태로 쿠션시트(20)와 시트 커버지(10)를 시차를 두고 단속적으로 이송 공급하고, 승강 압착부(120)의 니들 플레이트(121)를 이용해 이송된 쿠션 시트(20)를 시트 커버지(10)로부터 이격되게 올려 가열부(140)의 전열 히터(143)로 점착 시트(21)에 의해 만들어지는 쿠션 시트(20)의 점착층 만을 가열한 후, 압착 플레이트(130)를 통해 쿠션 시트(20)를 시트 커버지(10) 상에 압착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자동차 시트 커버의 제조 과정에 필요한 일련의 공정들을 반자동 상태로 연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완성된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자동차용 시트 커버 10: 시트 커버지
20: 쿠션 시트 21: 점착 시트(점착층)
100: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101: 지지 프레임
102: 작업대 105: 컨트롤러
110: 이송부 111: 제1 벨트 컨베이어
115: 제2 벨트 컨베이어 120: 승강 압착부
121: 니들 플레이트 121a: 바늘
125: 승강 이동 수단 126: 기어드 모터
127: 가동 플레이트 128: 제1 가동축
130: 압착 플레이트 131: 바늘 관통공
135: 가압 이송 수단 136: 가압 실린더
137: 제2 가동축 140: 가열부
141: 가이드 레일 142: 히터 이송 트레이
143: 전열 히터 145: 히터 이송 수단
146: 타이밍 벨트 147: 히터 이송 모터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 형상의 가지고 서로 봉제 접합되어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 일부를 이루도록 시트 커버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이 형성되게 쿠션 시트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쿠션 시트를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 상기 시트 커버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봉제 접합면이 노출 형성되게 정렬하는 단계;
    상기 쿠션 시트의 정렬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쿠션 시트를 상기 시트 커버지로부터 이격되게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단계;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와 상기 시트 커버지 사이로 전열히터를 통과시켜 상기 쿠션 시트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구비된 점착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시트가 가열된 상기 쿠션 시트를 상기 시트 커버지의 가장지리를 따라 봉제 접합면이 형성되게 정렬된 상태로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 일체로 압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
  6. 복수 형상의 가지고 서로 봉제 접합되어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을 이루는 시트 커버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쿠션 시트가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져 정렬된 상태로 시차를 두고 단속적으로 이동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상기 쿠션 시트를 압착 고정시켜 완성된 상기 시트 커버를 이송 배출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길이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어 공급된 상기 쿠션 시트를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를 다시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정렬된 상태로 내려 압착 고정되게 가압하는 승강 압착부; 및
    상기 이송부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 커버지와 상기 승강 압착부를 통해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쿠션 시트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 형성된 점착 시트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승강 압착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승강 이송 수단을 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 공급된 상기 쿠션 시트의 집어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바늘들이 돌출 형성되는 니들 플레이트;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서 가압 이송 수단을 통해 상기 시트 커버지 상에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를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키도록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니들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된 다수의 바늘들이 대응되게 바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압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바늘들의 외주면 상에는 복수의 미늘들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승강 이송 수단은,
    기어드 모터;
    상기 기어드 모터를 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치형 결합되는 가동 플레이트;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연동 가능하게 상기 니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가동축;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가압 이송 수단은,
    상기 가동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동 실린더; 및
    상기 제1 가동축들을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각 가동 실린더를 통해 수직 이동시킬 수 있게 연결하는 복수의 제2 가동축;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12. 제8항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설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터 이송 트레이;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전열 히터; 및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를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압착 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하도록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전열 히터로 상기 니들 플레이트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기 쿠션 시트의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구비된 점착 시트를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히터 이송 수단은,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를 연결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 및
    상기 타이밍 벨트를 통해 상기 히터 이송 트레이를 왕복 이송시키는 히터 이송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장치.
  14. 삭제
  15. 제5항에서,
    상기 시트 커버지는,
    천연 가죽, 인조 가축, 합성 가죽 또는 직물지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
  16. 제5항에서,
    상기 쿠션 시트는,
    직포, 부직포, 솜, 인조솜 또는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
  17. 제5항에서,
    상기 점착 시트는 면상 웹본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웹본드는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해 상기 쿠션 시트의 상기 시트 커버지 대향면에 일체로 적층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 커버 제조 방법.
KR1020150022056A 2015-02-13 2015-02-13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59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56A KR101598443B1 (ko) 2015-02-13 2015-02-13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56A KR101598443B1 (ko) 2015-02-13 2015-02-13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443B1 true KR101598443B1 (ko) 2016-03-14

Family

ID=5554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056A KR101598443B1 (ko) 2015-02-13 2015-02-13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87B1 (ko) * 2016-12-12 2018-03-05 주식회사 한동산업 부직포제조장치
WO2021179392A1 (zh) * 2020-03-10 2021-09-16 江苏华艺服饰有限公司 一种方便垫绵剥离的褶皱工艺
CN114654859A (zh) * 2021-01-20 2022-06-24 书香门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地板贝壳层镶嵌装置及其镶嵌方法
CN116441897A (zh) * 2023-05-04 2023-07-18 重庆飞驰汽车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防尘套的智能化套装设备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143A (ko) 1994-11-15 1996-06-17 전성원 자동차용 시트커버 제작방법
KR200346633Y1 (ko) 2004-01-16 2004-04-01 (주)플라이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KR101353506B1 (ko) 2012-07-24 2014-01-23 (주)진솔인더스트리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가죽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96719B1 (ko) 2010-10-28 2014-05-19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마개 부재 및 저온 저장고
KR101413192B1 (ko) * 2014-03-27 2014-06-27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가죽라미네이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143A (ko) 1994-11-15 1996-06-17 전성원 자동차용 시트커버 제작방법
KR200346633Y1 (ko) 2004-01-16 2004-04-01 (주)플라이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KR101396719B1 (ko) 2010-10-28 2014-05-19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마개 부재 및 저온 저장고
KR101353506B1 (ko) 2012-07-24 2014-01-23 (주)진솔인더스트리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가죽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13192B1 (ko) * 2014-03-27 2014-06-27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가죽라미네이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87B1 (ko) * 2016-12-12 2018-03-05 주식회사 한동산업 부직포제조장치
WO2021179392A1 (zh) * 2020-03-10 2021-09-16 江苏华艺服饰有限公司 一种方便垫绵剥离的褶皱工艺
CN114654859A (zh) * 2021-01-20 2022-06-24 书香门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地板贝壳层镶嵌装置及其镶嵌方法
CN114654859B (zh) * 2021-01-20 2023-11-10 书香门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地板贝壳层镶嵌装置及其镶嵌方法
CN116441897A (zh) * 2023-05-04 2023-07-18 重庆飞驰汽车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防尘套的智能化套装设备及方法
CN116441897B (zh) * 2023-05-04 2023-10-20 重庆飞驰汽车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防尘套的智能化套装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443B1 (ko)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US5401556A (en) Laminated wood-based fibrous web and molded article formed of such web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rticle
JPS61169347A (ja) 自動車用内装構成要素
KR101537506B1 (ko) 고주파접합으로 형성된 패턴접합선을 갖는 다운제품용 이중원단의 제조장치
KR101228379B1 (ko) 가죽시트 라미네이팅 방법
US4383882A (en) Apparatus for sealing inserts between sheets of plastic material
US20130299085A1 (en)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KR101276931B1 (ko) 가죽과 스펀지의 라미네이팅 제조 방법
CN106182212A (zh) 无醛胶膜复合单板及应用其的胶合板自动排板生产工艺
KR200465271Y1 (ko) 무재봉 접착용 신발패턴 제조장치
KR101643186B1 (ko) 트림용 복합재 포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37149A (ko) 천연가죽 라미네이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가죽 시트
CN109501406A (zh) 汽车顶棚聚氨酯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汽车
KR101740659B1 (ko) 붙임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9166B1 (ko) 화장합판 제조장치
KR101627996B1 (ko) 멜트블로운 섬유 패드의 제조 방법
JP4238347B2 (ja) 糸綴じ冊子製本装置
KR101759208B1 (ko) 합판을 가공하여 가구를 제조하는 장치 또는 공정
TW530527B (en) Hot lamination of a dry photoresist film onto a board for printed circuit
KR20190008587A (ko) 압 착롤러를 이용한 에어 매트리스 다량 제조 방법
KR20190090475A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시스템
KR101796244B1 (ko) 라벨 절단 장치
KR101396791B1 (ko) 가열 압착을 이용한 가죽과 폴리에스터 다층 견면의 라미네이팅 접합 방법
AU80333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am lamination
KR102091029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